맨위로가기

이혜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혜천은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로, 투수였다. 개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8년 두산 베어스에 입단하여 2008년까지 활약했으며,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일본 프로 야구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에서 활동했다. 이후 두산 베어스를 거쳐 2014년 NC 다이노스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014년 통산 1000이닝을 달성했고, 2015년 은퇴 후 호주 프로야구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통산 700경기 출장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천중학교 (부산) 동문 - 권성주
    권성주는 연세대학교와 도쿄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금호산업 등에서 근무한 기업인이자, 바른정당, 국민의힘 등에서 활동하며 현재 게이트웨이 투 코리아 대표이사와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객원교수를 겸임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천중학교 (부산) 동문 - 박성호 (1986년)
    대한민국의 전 야구 선수 박성호는 197cm의 장신 우완 투수로, 삼성 라이온즈에 지명된 후 한화 이글스에서 프로 생활을 시작, KIA 타이거즈를 거쳐 다시 한화 이글스로 돌아온 후 은퇴하여 연천 미라클의 투수 코치를 역임했다.
이혜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혜천
로마자 표기Lee Hei-Chun
한글이혜천
한자李惠踐
가타카나イヘチョン
선수 정보
포지션구원 투수
투구좌투
타석좌타
생년월일1979년 3월 12일
출생지부산광역시
신장184cm
체중88kg
프로 입단 년도1997년
드래프트 순위1998년 KBO 2차 드래프트 2라운드 (OB 베어스)
선수 경력
KBO 리그OB 베어스/두산 베어스 (1998년 ~ 2008년, 2011년 ~ 2013년)
NC 다이노스 (2014년 ~ 2015년)
NPB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2009년 ~ 2010년)
ABL애들레이드 바이트 (2015년 ~ 2017년)
멜버른 에이시스 (2017년 ~ 2018년)
주요 기록
KBO 리그 데뷔1998년 9월 2일 (인천 vs 현대)
NPB 데뷔2009년 5월 4일
KBO 리그 최종 출장2015년 10월 24일 (마산 vs 두산)
NPB 최종 출장2010년 10월 8일
KBO 리그 통산 기록 (2008년 시즌 종료 기준)
승패53승 40패
평균 자책점4.16
탈삼진682
연봉
2012년2억 5,000만 원
2013년2억 원
2014년1억 원
2015년9,000만 원
국가대표
아시안 게임2006 도하 동메달

2. 한국 프로야구 시절

2. 1. OB 베어스 & 두산 베어스 시절 (1차)

개성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98년 2차 2라운드 지명을 받아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주로 중간 계투로 등판했다. 1998년 9월 2일 현대전에서 1군 무대에 처음으로 등판한 후, 2006년 4월 27일 롯데전에서 최연소 500경기 출전(27세 1개월 15일)을 기록했다.[4] 도하 아시안 게임에 출전하였으나 동메달에 그쳤고, 이듬해에는 허리 디스크 수술로 인해 병역 면제 판정을 받았지만 재활로 인해 정규 시즌에는 불참하고 2007년 한국시리즈에만 출전했다.[4] 2008년 시즌에서는 선발로 등판했다.

한편, 1999년 선발로만 2승을 거두어 1992년 이진(2선발승) 이후 7년 만에 베어스에서 선발로만 2승을 기록한 투수가 됐으며 그 뒤에 2001년 4선발승, 2005년 7선발승, 2006년 8선발승, 2008년 7선발승을 거두었다. 이진에 앞선 베어스 좌투수 2선발승 이상 투수였던 구동우는 데뷔 첫 해인 1989년 2선발승, 1990년 6선발승을 기록했으나, 한오종(88년 4선발승) (1990년 쌍방울 이적)[5], 윤석환 (1991년 삼성 이적)[6], 이진(방위복무)(89년 3선발승 92년 2선발승) 등[7]의 공백 탓인지 1991년 정식 감독 취임한 이재우 감독에 의해 마구잡이로 혹사당하여 1990년 이후 하락세를 걸어 1994년을 끝으로 은퇴했다.[8] 이재우 감독은 1991년 초반에 잠깐 1위를 했지만 구동우를 혹사 시킨 것 외에도 중반의 11연패 뿐 아니라 장호연의 연봉 재계약 문제-부상 등으로 투수진이 원활하게 돌아가지 못한 탓인지 최하위로 처지자 1991년 시즌 도중 중도 사퇴했다. 1998년 2차 드래프트 2순위로 한국의 OB 베어스(현: 두산 베어스)에 입단, 2년차부터 팀의 중간계투의 중심으로 활약했다. 2006년에는 2006 WBC 한국 대표팀 예비 엔트리 멤버로 등록되었다.

2007년 시즌에는 선수 등록에서 제외되었고 공식 경기에 한 경기도 등판하지 못했으나, 요통으로 군에 입대하지 않았다. 10월 일본에서 열린 페니크스리그에서 호투했고, 한국시리즈에서는 구원 등판했다.

2008년 오프 시즌에 FA 자격을 행사하여 일본 프로야구 이적을 추진했다. 11월 東京ヤクルトスワローズ와 2년 계약을 체결했다.[1]

3. 일본 프로야구 시절

2008년 시즌이 끝난 후, 일본 프로 야구 센트럴 리그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2년 계약을 맺었으며, 등번호는 '49'번으로 배정받았다.[2] 2년간 1승 2패, 1세이브, 17홀드,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고 계약 만료 후 방출됐다. 왼손 선발 후보로서 스프링 캠프부터 고다 시게루(高田繁) 감독으로부터 큰 기대를 받았으나, 오픈전 5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1승 3패, 평균자책점 6.95로 불안정한 투구를 이어가다 개막 직전인 3월 31일 오른쪽 팔꿈치 연골 손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했다. 5월 4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広島東洋カープ)전에서 첫 등판, 첫 선발을 맡았다. 8월 2일 주니치 드래건스(中日ドラゴンズ)전에서는 모리노 마사히코(森野将彦)에게 오른쪽 옆구리 부근에 사구를 던졌으나, 사과하지 않아 난투극으로 번졌다.[2] 왼손 원포인트 릴리버로 42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3.65의 성적을 남겼다. 피안타와 볼넷이 많은 것이 과제였다.

2010년 11월 15일, 구단으로부터 3년차 이후 계약 제안을 받지 못하고 야쿠르트를 퇴단했다.

3. 1.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 시절

2008년 시즌이 끝난 후, 일본 프로 야구 센트럴 리그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와 2년 계약을 맺었으며, 등번호는 '49'번으로 배정받았다.[2] 2년간 1승 2패, 1세이브, 17홀드, 4점대 평균자책점을 기록하였고 계약 만료 후 방출됐다. 왼손 선발 후보로서 스프링 캠프부터 고다 시게루(高田繁) 감독으로부터 큰 기대를 받았으나, 오픈전 5경기에 선발 등판하여 1승 3패, 평균자책점 6.95로 불안정한 투구를 이어가다 개막 직전인 3월 31일 오른쪽 팔꿈치 연골 손상으로 전력에서 이탈했다. 5월 4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広島東洋カープ)전에서 첫 등판, 첫 선발을 맡았다. 8월 2일 주니치 드래건스(中日ドラゴンズ)전에서는 모리노 마사히코(森野将彦)에게 오른쪽 옆구리 부근에 사구를 던졌으나, 사과하지 않아 난투극으로 번졌다. 왼손 원포인트 릴리버로 42경기에 등판하여 평균자책점 3.65의 성적을 남겼다. 피안타와 볼넷이 많은 것이 과제였다.

2010년 11월 15일, 구단으로부터 3년차 이후 계약 제안을 받지 못하고 야쿠르트를 퇴단했다.

4. 한국 프로야구 복귀

4. 1. 두산 베어스 시절 (2차)

야쿠르트에서 방출된 후 2010년 12월 8일 친정 팀 두산 베어스와 계약금 6억원, 연봉 3억 5,000만원, 옵션 1억 5,000만원 등 총액 12억원에 계약하며 복귀하였다. 등번호는 두산 시절에 달았던 59번이 아닌, 야쿠르트 시절에 달았던 49번으로 정해졌다. 그러나 1군 32경기에 나와 1승 4패, 1세이브, 4홀드, 6점대 평균자책점에 그쳤고, 2011년 7월에 수비 연습 도중 펑고 타구에 맞아 왼 손등에 골절상을 당해 시즌을 마감했다. 2011년에는 선발과 구원으로 활약하지 못하고 1승에 그쳤으며, 경기 전 연습 중 부상으로 8월 상순 2군으로 강등된 후 시즌 중 1군으로 복귀하지 못했다. 이후에도 부진이 이어졌으며 2013년에는 1군 13경기에 등판하여 1패, 11점대 평균자책점이라는 최악의 성적을 기록했다. 2012년 등번호를 59번으로 되돌렸지만 성적은 향상되지 못하고 다시 1승에 그쳤다. 2013년에도 성적 부진으로, 같은 해 11월, 선수 보강을 목적으로 한 2차 드래프트에서 NC 다이노스에 지명되었다.

4. 2. NC 다이노스 시절

2013년 11월 22일에 열린 2014년 2차 드래프트를 통하여 NC 다이노스의 1라운드 지명을 받아 이적했다.[9] 10월 9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4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1이닝 1피안타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역대 73번째 통산 1000이닝을 달성하였다.[10] 팀이 승리하면서 이 경기의 승리 투수가 되었다. 2014년 NC 다이노스에서는 두산 베어스 시절과 마찬가지로 좌완 중간 계투로 기용되었다.

준플레이오프에서 2경기 1 1/3이닝 3피안타 2볼넷 1사구 3실점을 기록하였다.

방어율경기수세이브홀드완투완봉이닝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삼진실점자책비고
20.2520000001 1/33021133



9월 13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구원 등판해 2/3이닝 1피안타 1삼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이 등판으로 개인 통산 700경기 출장을 기록했고, 이 기록은 역대 7번째 기록이었다.[12] 시즌 종료 후 KBO 리그 은퇴를 선언하였다. 2015년 시즌 종료 후 NC 다이노스에서 방출되었고, 오스트레일리안 베이스볼 리그(Australian Baseball League)의 애들레이드 바이츠(Adelaide Bite)와 계약했다.

4. 2. 1. 2014 시즌

2013년 11월 22일에 열린 2014년 2차 드래프트를 통하여 NC 다이노스의 1라운드 지명을 받아 이적했다.[9] 10월 9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경기에서 4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1이닝 1피안타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면서 역대 73번째 통산 1000이닝을 달성하였다.[10] 팀이 승리하면서 이 경기의 승리 투수가 되었다. 2014년 NC 다이노스에서는 두산 베어스 시절과 마찬가지로 좌완 중간 계투로 기용되었다.

4. 2. 2. 준플레이오프

2경기에서 1 1/3이닝 3피안타 2볼넷 1사구 3실점을 기록하였다.

방어율경기수세이브홀드완투완봉이닝피안타피홈런볼넷사구삼진실점자책비고
20.2520000001 1/33021133


4. 2. 3. 2015 시즌

9월 13일 SK 와이번스와의 경기에서 구원 등판해 2/3이닝 1피안타 1삼진 무실점으로 막아냈다. 이 등판으로 개인 통산 700경기 출장을 기록했고, 이 기록은 역대 7번째 기록이었다.[12] 시즌 종료 후 KBO 리그 은퇴를 선언하였다. 2015년 시즌 종료 후 NC 다이노스에서 방출되었고, 오스트레일리안 베이스볼 리그(Australian Baseball League)의 애들레이드 바이츠(Adelaide Bite)와 계약했다.

5. 호주 프로야구 시절

2016년에 애들레이드 바이트에 입단하였다.[3] 2018년에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호주에 친척이 있다고 한다.[3]

2017년에 멜버른 에이시즈에 입단하였다.[3] 2018년에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호주에 친척이 있다고 한다.[3]

5. 1. 애들레이드 바이트 시절

2016년에 애들레이드 바이트에 입단하였다.[3] 2018년에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호주에 친척이 있다고 한다.[3]

5. 2. 멜버른 에이시즈 시절

2017년에 멜버른 에이시즈에 입단하였다.[3] 2018년에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호주에 친척이 있다고 한다.[3]

6. 투구 스타일

이혜천의 투구폼은 던지기도 어려운 좌완 쓰리쿼터 투수다. 좌완 투수로는 비교적 빠른 140 km대 중후반, 최고 구속 154 km 정도의 직구를 던진다. 특히 사이드암에 가까운 독특한 투구 폼을 가지고 있다. 빠른 구속에 비해 제구력이 매우 부족하였다. 타석에 선 타자마저도 당황시키는 매우 불안정한 제구력을 가졌는데, 이것이 오히려 타자에게 불안감을 주는 장점으로 작용하였다. 김기태, 양준혁, 이승엽 등 정상급 좌타자에게 상당히 강한 모습을 보였다.

7. 기타

좋지 않은 피칭을 보였을 때 ‘이핵천’, ‘12억 화염 방사기’, 이혜천재지변[13],‘혜르노빌’[14] 등으로 불린다.

8. 출신 학교

9. 등번호

이혜천은 1998년 55번을 시작으로, 1999년부터 2008년까지, 그리고 2012년부터 2015년까지 59번을 등번호로 사용했다. 2009년부터 2011년까지는 49번을, 2016년부터 2017년까지는 26번을 사용했다. 2017년부터 2018년까지는 46번을 등번호로 사용하였다.

10. 주요 기록

wikitable

기록날짜소속구장상대팀상대 타자경기 결과기타각주
1경기 출장1998. 9. 2두산 베어스도원현대 유니콘스
500경기 출장2006. 4. 27두산 베어스잠실롯데 자이언츠역대 13번째
600경기 출장2012. 4. 28두산 베어스잠실KIA 타이거즈역대 11번째
700경기 출장2015. 9. 13NC 다이노스마산SK 와이번스역대 7번째
통산 1000 이닝2014. 10. 9NC 다이노스대구삼성 라이온즈9 - 4김광현역대 73번째


  • 첫 등판・첫 선발: 2009년 5월 4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6차전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 2이닝 ⅓을 5피안타 2실점
  • 첫 탈삼진: 위와 같음, 1회말 아마가이 소이치로로부터 헛스윙 삼진
  • 첫 홀드: 2009년 7월 1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의 7차전 (야마나시현 오세 스포츠 공원 야구장), 5회말 세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
  • 첫 승리: 2009년 8월 11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의 11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11회초 다섯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완투, 1이닝 무실점
  • 첫 세이브: 2009년 10월 12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24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 9회초 네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완투, 1이닝 무실점

10. 1. KBO

이혜천은 KBO에서 활동하며 59번(1998년 ~ 2008년, 2012년 ~ 2015년)과 49번(2011년)을 등번호로 사용했다.

10. 2. NPB

2009년 5월 4일 히로시마 도요 카프와의 6차전(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에서 첫 등판과 첫 선발로 나와 2이닝 ⅓을 5피안타 2실점을 기록했다. 같은 경기 1회말에 아마가이 소이치로로부터 헛스윙 삼진을 기록해 첫 탈삼진을 기록했다. 2009년 7월 1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의 7차전 (야마나시현 오세 스포츠 공원 야구장)에서 5회말 세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으로 첫 홀드를 기록했다. 2009년 8월 11일, 요코하마 베이스타스와의 11차전 (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11회초 다섯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하여 1이닝 무실점으로 첫 승리를 기록했다. 2009년 10월 12일, 요미우리 자이언츠와의 24차전(메이지 진구 야구장)에서 9회초 네 번째 투수로 구원 등판, 1이닝 무실점으로 첫 세이브를 기록했다. 2009년부터 2010년까지 등번호 '49'번을 사용했다.

11. 연도별 성적


도|}구

단|구

단}}!!등판!!

!!완투!!완봉!!무

구!!승

리!!패

전!!

!! style="line-height:1.1em" |
!!

!!

!!투

이닝!!

!! style="line-height:1.1em" |

!!

!!고



구!!

!!탈

진!!

!!
!!실

점!!

!!



!! style="line-height:1.1em" |WHIP

|-

|style="text-align:center;"|1998

|rowspan="10" style="text-align:center;"|OB
두산


|15||0||0||0||--||0||0||0||--||----||43||10.1||5||0||6||0||1||9||0||0||2||2||1.74||1.06

|-

|style="text-align:center;"|1999

|77||8||1||1||--||8||4||0||--||.667||540||119.0||119||11||70||2||9||98||11||3||69||63||4.76||1.59

|-

|style="text-align:center;"|2000

|'''78'''||2||0||0||--||5||6||1||11||.455||384||84.1||88||9||50||3||4||76||6||2||51||47||5.02||1.64

|-

|style="text-align:center;"|2001

|53||10||0||0||--||9||6||3||6||.600||631||141.2||152||17||72||2||3||107||13||0||72||57||3.62||1.58

|-

|style="text-align:center;"|2002

|'''78'''||3||0||0||--||2||4||1||12||.333||352||79.0||72||7||46||3||9||75||5||0||46||41||4.67||1.49

|-

|style="text-align:center;"|2003

|'''83'''||0||0||0||--||5||3||0||11||.625||250||55.0||46||4||37||2||5||36||7||0||27||24||3.93||1.51

|-

|style="text-align:center;"|2004

|79||2||0||0||--||2||2||1||12||.500||235||52.0||52||5||31||0||3||35||4||0||35||34||5.88||1.60

|-

|style="text-align:center;"|2005

|30||21||1||1||--||7||4||0||3||.636||479||109.1||105||10||54||1||7||59||4||1||58||48||3.95||1.45

|-

|style="text-align:center;"|2006

|32||22||0||0||--||8||6||0||1||.571||594||142.0||119||4||56||0||12||104||5||1||52||44||2.79||1.23

|-

|style="text-align:center;"|2008

|34||22||0||0||0||7||5||0||0||.583||482||109.1||110||14||43||0||'''13'''||83||5||0||59||57||4.69||1.40

|-

|style="text-align:center;"|2009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white-space:nowrap;"|야쿠르트

|42||1||0||0||0||1||1||1||12||.500||164||37.0||42||3||14||2||2||27||1||0||15||15||3.65||1.51

|-

|style="text-align:center;"|2010

|19||0||0||0||0||0||1||0||5||.000||73||17.2||11||4||7||0||1||18||0||0||10||10||5.09||1.02

|-

|style="text-align:center;"|2011

|rowspan="3" style="text-align:center;white-space:nowrap;"|두산

|32||3||0||0||0||1||4||1||4||.200||152||34.0||31||2||17||0||4||30||4||0||27||24||6.35||1.41

|-

|style="text-align:center;"|2012

|48||0||0||0||0||1||3||0||7||.250||179||38.2||42||2||21||0||5||18||0||0||33||32||7.45||1.63

|-

|style="text-align:center;"|2013

|13||1||0||0||0||0||1||0||0||.000||54||9.1||16||0||7||0||5||7||0||0||12||12||11.57||2.46

|-

|style="text-align:center;"|2014

|rowspan="2" style="text-align:center;white-space:nowrap;"|NC

|25||0||0||0||0||1||0||0||2||1.000||85||18.0||22||0||8||0||2||17||1||0||7||6||3.00||1.67

|-

|style="text-align:center;"|2015

|29||0||0||0||0||0||0||0||3||.000||74||17.1||15||3||7||0||2||10||1||0||11||10||5.19||1.27

|-

!colspan="2"|KBO:16년

|706||96||2||2||0||56||48||7||72||.538||4534||1019.1||994||88||525||14||84||771||66||7||561||501||4.42||1.49

|-

!colspan="2"|NPB:2년

|61||1||0||0||0||1||2||1||17||.333||237||54.2||53||7||21||2||3||45||1||0||25||25||4.12||1.36

|}


  • OB(OB 베어스)는 1999년에 두산(두산 베어스)으로 구단명을 변경

참조

[1] 뉴스 두산 이혜천, 불펜피칭서 합격점 http://news.naver.co[...] 마이데일리
[2] 뉴스 「ここは韓国じゃない、日本だ」…中日・森野が激高 http://www.zakzak.co[...] ZAKZAK 2009-08-03
[3] 웹사이트 https://s.wowkorea.j[...]
[4] 뉴스 두산 이혜천, 불펜피칭서 합격점 http://news.naver.co[...] 마이데일리
[5] 뉴스인용 프로야구「地域(지역)연고」증발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22-02-10
[6] 뉴스인용 프로야구 선수 대이동도 끝나 팀웍 다지기 돌입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2022-02-10
[7] 뉴스인용 [이재국의 배팬알백] <35편> OB의 암흑기 시작…‘이광환 자율야구’의 시련 https://www.doorundo[...] 두런두런 2022-02-10
[8] 뉴스인용 91프로야구 카운트다운 (중) 하위 4팀 싸움에 쌍방울 최대변수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2022-02-10
[9] 뉴스 NC, 2차 드래프트서 이혜천·김성계·심재윤 영입 http://www.knnews.co[...] 경남신문
[10] 뉴스 이혜천, 역대 73번째 1000이닝 달성 http://news1.kr/arti[...] 뉴스원
[11] 뉴스 NC 다이노스 연봉 계약 완료…나성범 2억2000만원·박민우 9500만원 http://www.ajunews.c[...] 아주경제
[12] 뉴스 NC 이혜천, 역대 7번째 700경기 등판 http://osen.mt.co.kr[...] OSEN
[13] 뉴스 LG·두산 ‘닮은꼴 부진’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14] 뉴스 동병상련의 3강, 우승 키워드는 ‘불펜’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