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의 지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도네시아의 지리는 1만 개가 넘는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마트라, 자바, 칼리만탄, 술라웨시, 뉴기니 등 5개의 주요 섬과 소 순다 열도, 말루쿠 제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2019년 기준으로 약 191만 6907제곱킬로미터이며, 세 개의 시간대를 사용한다. 지형은 화산 활동이 활발하고, 지진이 자주 발생하며, 열대 우림 기후를 나타낸다. 행정 구역은 37개의 주와 특별주, 군, 시, 구, 마을로 나뉘며, 2020년 기준 인구는 약 2억 7,020만 명으로 세계 4위의 인구 대국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네시아의 지리 - 보니만
보니 만은 동인도 제도 술라웨시 섬의 두 반도 사이에 위치하며 플로레스 해와 연결된 만으로, 2015년 여객선 침몰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인도네시아의 지리 | |
---|---|
지도 정보 | |
![]() | |
일반 정보 | |
대륙 | 아시아 및 오세아니아 |
지역 | 동남아시아 |
면적 | |
면적 순위 | 14위 |
총 면적 | 1,904,569 |
육지 면적 비율 | 23.62% |
물 면적 비율 | 76.38% |
해안선 길이 | 54,720 |
국경 | |
국경 국가 | 말레이시아: 파푸아뉴기니: 동티모르: |
고도 | |
최고점 | 푼착자야산 (카르스텐즈 피라미드), |
최저점 | 해수면, |
수문학 | |
가장 긴 강 | 카푸아스강, |
가장 큰 호수 | 토바호, |
기후 | |
기후 | 주로 열대 우림 기후(Af), 남동부는 주로 열대 사바나 기후(Aw), 자와섬과 술라웨시섬 일부 지역은 열대 몬순 기후(Am) |
지형 | |
지형 | 칼리만탄섬 대부분, 뉴기니 남부, 수마트라 동부, 자와 북부는 평야; 술라웨시, 수마트라 서부, 자와 남부, 소순다 열도, 말루쿠 제도는 험준한 화산 지형; 뉴기니 중부, 북서부, 칼리만탄 북부는 험준한 산악 지형 |
자원 | |
천연 자원 | 경작지, 석탄, 석유, 천연 가스, 목재, 구리, 납, 인산염, 우라늄, 보크사이트, 금, 철, 수은, 니켈, 은 |
자연재해 | |
자연 재해 | 쓰나미, 화산, 지진 활동 (중부 제외), 인도양 연안의 열대 사이클론, 자와섬의 산사태, 홍수 |
환경 문제 | |
환경 문제 | 심각한 삼림 벌채, 산성비 유발하는 대기 오염, 강 오염 |
경제 수역 |
2. 지리
인도네시아는 동서로 약 5120km, 남북으로 약 1760km에 걸쳐 펼쳐진 세계에서 가장 큰 군도 국가이다.[2] 섬의 정확한 개수에 대해서는 조사 기관과 시점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17,000개 이상의 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주요 섬으로는 수마트라, 자바, 보르네오(인도네시아에서는 ''칼리만탄''으로 불림), 술라웨시, 뉴기니가 있으며, 이 외에도 누사 틍가라와 말루쿠 제도 등 수많은 섬들이 존재한다. 총 육지 면적은 약 1904569km2이며, 내륙 해역을 포함하면 세계에서 가장 넓은 섬나라이다.[5] 배타적 경제 수역(EEZ)을 포함한 총 영토 면적은 약 790만 km2에 달한다.[6][7]
지질학적으로 인도네시아는 여러 지각판이 만나는 경계 지역에 위치하여 환태평양 조산대의 일부를 이룬다. 이로 인해 화산 활동과 지진이 매우 활발하며, 이는 인도네시아의 지형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적도 부근에 위치하여 전반적으로 열대 기후를 나타내며, 연중 기온 변화는 크지 않으나 계절풍의 영향으로 우기와 건기가 구분되는 지역이 많다.
인도네시아는 생물 다양성이 매우 풍부한 메가다이버시티 국가 중 하나로,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생태계가 만나는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월리스 선과 같은 생물 지리 경계선이 존재하여 동식물 분포에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그러나 높은 인구 밀도와 급속한 산업화는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대규모 산림 벌채와 불법 벌채, 이로 인한 산불과 스모그, 해양 자원의 남획, 도시화에 따른 대기 오염, 쓰레기 처리 문제 등이 주요 과제로 남아있다.[40] 특히 산림 및 이탄지 파괴는 인도네시아를 세계적인 온실 가스 배출국 중 하나로 만들었으며[41], 서식지 파괴는 수많은 고유종 및 멸종 위기종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42]
인도네시아는 석탄, 석유, 천연 가스, 주석, 니켈, 목재, 보크사이트, 구리, 금, 은 등 다양한 천연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2. 1. 위치 및 영토
인도네시아는 동서로 약 5120km 뻗어 있으며 남북으로는 1760km에 이르는 군도 국가이다.[2] 세계에서 가장 큰 군도 국가로 여겨진다. 국토의 범위는 북위 6도 4분에서 남위 11도(남북 1888km), 동경 94도 58분에서 141도 1분(동서 5110km)이다.[120]섬의 수는 조사 기관과 시기에 따라 다르게 보고된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국가 측량 및 지도 조정 기관(Bakosurtanal)의 지리 공간 측량에 따르면 17,500개의 섬이 있으며,[3] 국립 항공 우주 연구소(LAPAN)의 2002년 측량에서는 18,307개,[4] CIA 월드 팩트북은 17,508개로 기록하고 있다.[4] 이러한 차이는 썰물 때 드러나고 밀물 때 잠기는 조석 섬, 모래 암초, 바위 산호초 등을 포함하는 측량 방법의 차이 때문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17,508개로 알려졌으나, 이는 조수간만의 차로 물에 잠기는 사주나 암초를 포함한 숫자이다. 지리 공간 정보국은 2013년 유엔 해양법 협약에 따라 13,466개의 섬으로 명명하고 하향 수정했다.[69] 그러나 이후에도 섬의 수를 둘러싼 논쟁은 계속되었고,[70] 2017년 8월 기준으로는 16,056개로 알려져 있다.[71] 인도네시아의 정치에 의해 추정된 명명된 섬은 8,844개이며, 이 중 922개는 영구적인 섬이다.

인도네시아는 5개의 주요 섬인 수마트라, 자바, 보르네오(인도네시아에서는 ''칼리만탄''으로 불림), 술라웨시, 뉴기니와 두 개의 주요 섬 그룹(누사 틍가라와 말루쿠 제도) 및 60개의 작은 섬 그룹으로 구성된 호상 열도이다.[49][45] 이 중 4개의 섬은 다른 나라와 영토를 공유하는데, 보르네오 섬은 말레이시아 및 브루나이와, 칼리만탄 북동부 해안의 세바틱 섬은 말레이시아와, 티모르 섬은 동티모르와, 뉴기니 섬은 파푸아뉴기니와 국경을 접한다. 섬나라로서 국토의 광대함에 비해 육상 국경을 접하는 나라는 3개국뿐이며, 국경선의 길이는 동티모르와 253km, 말레이시아와 1881km, 파푸아뉴기니와 824km이다.[44] 또한 바다를 사이에 두고 필리핀,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팔라우 등과 가깝다.[46]
인도네시아의 총 육지 면적은 1904569km2(2019년 기준[47])이며, 해협, 만, 기타 수역 등 93000km2의 내륙 해역을 포함한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섬나라이다.[5] 주변 해역을 포함한 인도네시아의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영토(육지와 해상)는 약 5백만 km2에 이른다. 정부는 6159032km2의 배타적 경제 수역(EEZ)을 주장하며, 이를 합하면 총 면적은 약 790만 km2에 달한다.[6][7] 2018년 기준으로 국토의 31.2%가 농지, 51.7%가 산림으로 추정된다.[44] 해안선 길이는 약 81000km로 세계 3위이지만, 이 중 30000km에서 침식이 발생하여 해안 방벽 건설과 조림 등 대책이 이루어지고 있다.[48]
인도네시아는 대륙 횡단 국가로, 그 영토는 지질학적으로 아시아 또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일부로 간주되는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 플라이스토세 동안 대순다 열도는 아시아 본토와 연결되었고 뉴기니는 오스트레일리아와 연결되어 있었다.[8][9] 카리마타 해협, 자바 해, 아라푸라 해는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해수면 상승으로 형성되었다. 플레이트의 침강에 의한 해구에 따라 수마트라 섬, 자바 섬, 발리 섬, 플로레스 섬 등의 소순다 열도가 이어져 있으며, 소순다 열도의 북쪽에는 자바 해를 사이에 두고 칼리만탄 섬이, 그 동쪽에는 술라웨시 섬과 파푸아 섬 등의 섬들이 있다.[51] 이처럼 섬과 지역마다 다른 경제 사회 환경 및 자연 생태계를 보인다.[49]
2. 2. 지형 및 지질
인도네시아는 동서로 약 5120km, 남북으로 약 1760km에 걸쳐 펼쳐진 세계에서 가장 큰 군도 국가이다.[2] 섬의 정확한 개수에 대해서는 조사 시기와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대략 17,000개 이상의 섬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주요 섬으로는 수마트라, 자바, 보르네오(칼리만탄), 술라웨시, 뉴기니가 있으며, 이 외에도 누사 틍가라와 말루쿠 제도 등 수많은 섬들이 존재한다. 보르네오, 티모르, 뉴기니 등의 섬은 말레이시아, 동티모르, 파푸아뉴기니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총 육지 면적은 약 1904569km2이며, 내륙 해역까지 포함하면 세계에서 가장 넓은 섬나라이다.[5] 배타적 경제 수역(EEZ)을 포함한 총 영토 면적은 약 790만 km2에 달한다.[6][7]
지질학적으로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대륙과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사이에 위치하며, 여러 지각판(유라시아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태평양판, 필리핀해판 등)이 만나는 복잡한 경계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55] 이러한 지질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인도네시아는 환태평양 조산대의 일부로서 화산 활동과 지진이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는 지역이다. 국토 대부분에 걸쳐 산악 지형이 발달했으며, 특히 수마트라에서 누사 틍가라를 거쳐 말루쿠 제도, 술라웨시 북동부로 이어지는 지역에는 수많은 활화산이 분포한다.[25][26] 빈번한 지진과 화산 활동은 인도네시아의 지형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때로는 대규모 자연재해를 일으키기도 한다.[28]
2. 2. 1. 주요 지형
인도네시아 군도는 동서로 약 5120km 뻗어 있으며 남북으로는 1760km에 이르는 세계에서 가장 큰 군도 국가이다.[2] 섬의 개수에 대해서는 조사 시기와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다. 2007년부터 2010년까지 국가 측량 및 지도 조정 기관(Bakosurtanal)의 조사에서는 17,500개,[3] 2002년 국립 항공 우주 연구소(LAPAN)의 조사에서는 18,307개, CIA 월드 팩트북에서는 17,508개로[4] 집계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조석에 따라 나타나거나 잠기는 섬, 모래 암초, 바위 산호초 등을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8,844개의 섬에 이름을 붙였으며, 이 중 922개는 영구적인 섬이다. 일반적으로 17,508개의 섬이 있다고 알려졌으나, 이는 조수간만의 차로 물에 잠기는 사주나 암초를 포함한 숫자이며, 지리 공간 정보국은 2013년 유엔 해양법 협약에 따라 13,466개의 섬으로 명명하고 하향 수정했다.[69] 그러나 이후에도 섬의 수를 둘러싼 논쟁은 계속되었고,[70] 2017년 8월 기준으로는 16,056개로 알려져 있다.[71]인도네시아는 다섯 개의 주요 섬, 즉 수마트라, 자바, 보르네오(인도네시아에서는 ''칼리만탄''으로 알려짐), 술라웨시, 뉴기니와 두 개의 주요 섬 그룹(누사틍가라와 말루쿠 제도) 및 60개의 작은 섬 그룹으로 구성된다.[49][45] 이 중 보르네오 섬은 말레이시아 및 브루나이와, 세바틱 섬은 말레이시아와, 티모르 섬은 동티모르와, 뉴기니 섬은 파푸아뉴기니와 국경을 공유한다.[46] 국경선의 길이는 동티모르와 253km, 말레이시아와 1881km, 파푸아뉴기니와 824km이다.[44] 바다를 사이에 두고는 필리핀, 싱가포르, 오스트레일리아, 팔라우 등과 가깝다.[46]
인도네시아의 총 육지 면적은 1904569km2이며, 해협, 만 등 93000km2의 내륙 해역을 포함한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섬나라이다.[5] 주변 해역을 포함한 인도네시아의 영토는 약 5백만 km2에 달하며, 정부는 6159032km2의 배타적 경제 수역을 주장하여 총 면적은 약 790만 km2에 이른다.[6][7] 2018년 기준 국토의 31.2%가 농지, 51.7%가 산림으로 추정된다.[44] 해안선 길이는 약 81000km로 세계 3위이지만, 이 중 30000km에서 침식이 발생하여 해안 방벽 건설과 조림 등 대책이 이루어지고 있다.[48] 국토는 북위 6도 4분에서 남위 11도(남북 1888km), 동경 94도 58분에서 141도 1분(동서 5110km) 범위에 걸쳐 있다.[120]
지질학적으로 인도네시아는 아시아 또는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일부로 간주되는 섬들로 구성된 대륙 횡단 국가이다. 플라이스토세 동안 대순다 열도는 아시아 본토와, 뉴기니 섬은 오스트레일리아와 연결되어 있었다.[8][9]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해수면 상승으로 카리마타 해협, 자바 해, 아라푸라 해가 형성되었다. 판의 침강에 의한 해구를 따라 수마트라 섬, 자바 섬, 발리 섬, 플로레스 섬 등의 소순다 열도가 이어져 있으며, 소순다 열도 북쪽에는 자바 해를 사이에 두고 칼리만탄 섬이, 그 동쪽에는 술라웨시 섬과 뉴기니 섬 등이 있다.[51]


산은 인도네시아의 주요 지형으로, 활발한 조산 운동이 진행 중이다.[57] 약 400개의 화산을 보유한 세계적인 화산 국가이며,[54] 활화산 수는 130개 전후이고[55][54] 매년 10개 정도의 화산이 분화한다.[56] 특히 수마트라 섬에서 소순다 열도에 걸쳐 해발 1000m에서 3000m급의 화산이 길게 늘어서 활발한 활동을 보인다.[57] 메라피 산이나 켈루드 산처럼 화쇄류나 화산 쇄설류로 큰 인명 피해를 낸 화산도 있으며,[54] 크라카타우나 탐보라 산과 같이 역사적인 대규모 분화로 알려진 화산도 있다.[55] 인도네시아 최고봉은 푼착 자야로 해발 4884m이다.[44]
2015년 기준 산림율은 53%로,[59] 세계 3위의 열대림 보유국이다.[58] 산림의 51%는 천연림, 44%는 이차림, 5%는 조림지이다.[59] 정부는 생태에 따라 혼교구릉림, 산지림, 사바나·대나무·낙엽수·몬순림, 이탄 습지림, 담수 습지림, 맹그로브림으로 구분하며, 이 중 혼교구릉림은 목재 생산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60] 강수량이 많은 수마트라, 칼리만탄, 뉴기니 등에서는 열대 우림이, 건기가 뚜렷한 자바 동부와 소순다 열도 등에서는 몬순림이 발달한다.[117] 해발 1000m에서 3000m 지대에는 산지 다우림이 발달하며, 염수가 섞이는 갯벌과 충적지에는 맹그로브림이 발달하는데, 이는 세계 맹그로브림 면적의 5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넓다.[59] 그 외 칼리만탄 섬에는 히스림(Heath forest), 수마트라 섬에는 소나무림이 분포한다.[117]
산림 면적은 1990년 약 118만 km2(산림율 63%)에서 2020년 약 92만 km2(산림율 49%)로 감소 추세이다.[60]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개발과 목재 생산 활성화로 산림 감소가 정점에 달했으며, 이후에도 불법 벌채, 산림 화재, 토지 전용의 영향이 계속되고 있다.[61] 산림 감소는 온실 기체의 주요 배출원이 되고 있으며,[58] 속성 수종 인공림이나 팜유 농원으로의 토지 전용은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쳤다.[62] 2007년 기후 변화 기본 협약 당사국 회의에서 채택된 발리 로드맵(Bali Road Map) 이후, 인도네시아는 REDD+ (개발도상국의 산림 보전 활동에 기반한 온실 기체 배출 감축[63]) 이행의 일환으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천연림과 이탄지의 신규 개발을 동결하고, 2012년 국가 전략을 발표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64] 신규 개발 동결의 영향으로 2016년 이후 산림 감소 억제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62]
인도네시아는 세계적인 호수 및 늪 보유국으로,[65] 국내 최대 호수인 토바호(약 110000ha)와 가장 깊은 호수인 마타노 호수(깊이 600m) 등 약 830개의 호수와 735개의 연못이 있으며, 총 면적은 약 500000ha에 달한다.[66] 주요 하천은 5,590개이며, 관광 및 운송 수단으로 활용되는 곳도 있다.[67] 칼리만탄 섬의 카푸아스 강과 마하캄 강 등이 긴 강으로 꼽힌다.[67] 아시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하수도 보급이 미흡하여 미처리된 오염수가 하천으로 유입되어 수질 오염이 심각한 문제이다.[68] 하천의 59%가 산업 폐수 및 생활 폐수로 오염되었으며, 세계 은행으로부터 세계에서 가장 오염된 강으로 지목된 치타룸 강과 같은 사례도 있다.[67]
2. 2. 2. 지질학적 특징

인도네시아는 지질학적으로 매우 활동적인 지역에 위치하며, 여러 지각판의 경계가 만나는 곳이다. 현재 인도네시아 지역은 중생대에 곤드와나 대륙에서 분리된 대륙 조각이 순다랜드에 충돌하면서 형성된 호상 열도로 구성되어 있다.[55] 이 지역은 필리핀을 포함하여 지구상에서 가장 복잡한 지각 변동이 일어나는 곳 중 하나로, 6~7곳의 Collision zone|충돌대eng, 8곳의 섭입대 및 해구가 발견된다.[55] 주요 지각판으로는 유라시아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태평양판, 필리핀해판 등이 있으며, 이 판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높은 지진 및 화산 활동이 나타난다.[55]
주요 섬인 수마트라, 자바, 마두라, 칼리만탄(보르네오)은 순다 판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지리학자들은 이들을 술라웨시와 함께 대순다 열도로 분류한다. 반면 인도네시아 동쪽 끝의 서뉴기니는 오스트레일리아 판 위에 위치한다. 플라이스토세에는 대순다 열도가 아시아 본토와, 뉴기니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과 연결되어 있었으나, 빙하기 이후 해수면 상승으로 카리마타 해협, 자바 해, 아라푸라 해 등이 형성되며 현재의 모습이 되었다.[8][9] 순다 대륙붕과 사훌 대륙붕 사이에는 술라웨시, 누사 틍가라(소순다 열도), 말루쿠 제도가 위치하며, 이 섬들은 최대 4500m 깊이의 심해로 둘러싸여 있다.
술라웨시는 반다 해 판, 몰루카 해 판, 순다 판 등 세 개의 판 위에 걸쳐 있어 지질 구조가 복잡하며, 특히 북동부 지역에서 지진과 화산 활동이 활발하다.[10][11][12] 누사 틍가라는 발리에서 동쪽으로 이어지는 두 줄기의 섬들로 구성되며, 안쪽 열은 수마트라에서 이어지는 알파인 벨트의 연장선상에 있는 화산섬들이다. 이 지역은 아시아와 오스트레일리아의 동식물이 혼합된 왈라세아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13] 말루쿠 제도는 지질학적으로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복잡한 지역 중 하나로, 네 개의 다른 지각판 경계에 위치한다. 할마헤라, 세람, 부루 등의 주요 섬들은 매우 깊은 바다에서 가파르게 솟아 있으며, 평평한 해안 평야가 거의 없다.[14] 남쪽의 반다 해에서는 반다 해 판과 오스트레일리아 판의 수렴으로 반다 호라는 화산섬 열이 만들어졌으며[15][16],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깊은 지점 중 하나인 웨버 해연(Weber Deep)도 이곳에 있다.[17][18]
지형학적으로 뉴기니 섬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일부로 간주되며, 사훌 대륙붕에 위치한다.[19][20] 오스트레일리아 판의 지각 운동으로 섬 중앙에는 뉴기니 고원이라 불리는 높고 눈 덮인 산맥이 형성되었고, 해안가에는 덥고 습한 충적 평야가 발달했다.[21] 뉴기니 고원은 동서로 약 650km 뻗어 있으며, 섬의 최고봉인 푼착 자야(4884m)도 이 지역의 수디르만 산맥에 위치한다.[44] 뉴기니는 지각 운동으로 인해 특히 북부와 서부 지역에서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발생한다.[22][23]

인도네시아는 세계적인 화산 국가로, 약 400개의 화산을 보유하고 있으며[54] 이 중 약 130개[55]에서 150개[26] 정도가 활화산으로 분류된다. 매년 평균 10개 정도의 화산이 분화 활동을 보인다.[56] 특히 수마트라에서 소순다 열도를 거쳐 말루쿠 제도의 반다 제도, 그리고 술라웨시 북동부로 이어지는 화산대는 해발 1000m에서 3800m급의 화산들이 밀집해 있으며 활발한 활동을 보인다.[24][25][57] 메라피 산이나 켈루드 산처럼 화쇄류나 화산이류로 큰 피해를 준 화산도 있으며[54], 1815년 숨바와의 탐보라 산 폭발(약 92,000명 사망)과 1883년 크라카토아 폭발(약 36,000명 사망)은 역사상 가장 강력했던 화산 폭발로 기록되어 있다.[55] 화산 활동은 화산재를 통해 주변 토양을 비옥하게 만들기도 하지만[55], 동시에 예측 불가능한 재해 위험을 안고 있어 농업 환경에 불안정성을 더하기도 한다. 메라피 산은 주변 인구 밀집 지역에 미치는 위험 때문에 세계의 지정된 10년 화산 중 하나로 지정되기도 했다.[29]
인도네시아의 복잡한 지각 구조는 활발한 지진 활동의 원인이 된다. 수마트라에서 발리섬에 이르는 인도양 측에서는 인도-오스트레일리아 판이 순다 판 아래로 연평균 50~70mm의 속도로 섭입하고 있다.[50] 이 과정에서 형성된 약 5500km 길이의 순다 거대 단층은 순다 해구와 수마트라, 자바, 소순다 열도에 걸친 산맥을 만들었으며[27], 이 단층 주변에서는 판 경계 지진이 자주 발생한다.[50] 2000년까지 55년간 규모 6 이상의 지진이 71회 발생했으며, 특히 수마트라섬 서쪽 해안부터 말루쿠 제도에 이르는 지역에서 빈발한다.[55] 칼리만탄 지역은 상대적으로 지진 활동이 적지만, 술라웨시나 뉴기니 등에서는 필리핀해 판과 태평양 판의 충돌 및 섭입으로 인해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발생한다.[51]
역사적으로 큰 피해를 남긴 지진으로는 2004년 수마트라 지진(규모 9.1-9.3)이 대표적이다. 이 지진은 해당 지역에서 기록된 최초의 규모 9급 지진으로, 거대한 쓰나미를 일으켜 인도네시아 아체주 등에서 약 22만 5천 명의 사망자와 42만 5천 명 이상의 이재민을 발생시켰다.[28][30][52] 이 외에도 2006년 자바섬 중부 지진이나 2009년 수마트라 지진 등 수천 명의 사망자를 낸 지진들이 발생했으며[53], 2009년 파푸아 지진(규모 7.6)과 같이 다른 지역에서도 강진이 기록되었다.[32][33][34] 이러한 지진 피해는 건축물의 내진 설계 미흡과 관련이 깊어, 내진 기준 강화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53]
지질 구성 측면에서 보면, 산지는 주로 고생대와 중생대의 암반 또는 제4기의 활화산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릉지는 제3기의 화산암이나 퇴적암(특히 석회암)으로 구성되며, 평야는 대부분 충적층이다.[55] 충적층은 특히 수마트라, 자바, 칼리만탄, 파푸아 지역에 넓게 분포하는데, 이들 지역의 저습지는 지반이 연약하여 개발에 어려움이 따르기도 한다.[55] 고온 다습한 기후로 인해 암석의 풍화와 침식이 활발하며 토양 발달은 더딘 편이지만, 자바섬과 같이 활화산이 많은 지역에서는 화산성 퇴적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 토양을 비옥하게 유지시켜 주요 농업 지대를 형성한다.[55]
2. 3. 기후
적도에 위치한 인도네시아의 기후는 연중 비교적 균일한 경향을 보인다. 인도네시아는 여름이나 겨울의 극단적인 변화 없이 건기(dry season)와 우기(wet season)의 두 계절을 갖는다. 인도네시아 대부분 지역에서 건기는 남동 계절풍이 우세한 5월에서 10월 사이이고, 우기는 북서 계절풍이 우세한 11월에서 4월 사이이다.[72] 강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계절풍의 영향은 지역과 지형에 따라 다양하다.[72]
칼리만탄, 수마트라와 같은 일부 지역은 계절 간 강수량과 기온의 차이가 미미한 반면, 누사틍가라와 같은 다른 지역은 건기에 가뭄, 우기에 홍수가 발생하는 등 훨씬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인도네시아의 강수량은 풍부하며, 특히 서부 수마트라, 북서부 칼리만탄, 서부 자바, 서부 뉴기니에서 많다. 연 강수량은 500mm 정도에서 6000mm 이상으로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많은 지역에서 2000mm를 초과한다.[76] 우기에는 단기 집중형의 호우가 나타나 농업에 중요한 수자원이 되지만, 수해를 일으키기 쉽다.[75] 건기에는 월 강수량이 0에 가까워 가뭄이 발생하기도 하고,[75] 한편, 장소에 따라서는 지형이나 기류의 영향으로 다우가 나타나기도 한다.[76]
술라웨시의 일부 지역과 숨바와 티모르와 같이 호주에 더 가까운 일부 섬은 건조하지만, 이는 예외적인 경우이다. 인도네시아 면적의 81%를 차지하는 거의 균일하게 따뜻한 해역은 육지의 기온이 상당히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해안 평원은 평균 28°C, 내륙 및 산악 지역은 평균 26°C, 고산 지역은 23°C이며, 전반적으로 연중 25°C에서 27°C 사이를 유지하고 연교차는 작다.[73] 이 지역의 상대 습도는 70%에서 90% 사이이다.
바람은 온화하고 일반적으로 예측 가능하며, 태풍과 대규모 폭풍은 인도네시아 해역의 선박에 거의 위험을 초래하지 않으며, 주요 위험은 롬복 해협과 사페 해협과 같은 해협의 빠른 해류에서 발생한다.
인도네시아의 기후는 거의 전적으로 열대 기후이며, 인도네시아의 모든 주요 섬에서 발견되는 열대 우림 기후(쾨펜 ''Af'')가 지배적이다. 그 다음으로는 자바의 북쪽 해안, 술라웨시의 남쪽 및 동쪽 해안, 발리에서 주로 나타나는 열대 몬순 기후(쾨펜 ''Am'')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중앙 자바, 동 자바 저지대, 파푸아 남부 해안 및 롬복 동쪽의 작은 섬에서 발견되는 열대 사바나 기후(쾨펜 ''Aw'')가 있다.[72] 하지만 적도 부근은 건기와 우기가 불분명하고 연중 다우 다습하다.[72]
그러나 해발 1300m~1500m의 인도네시아 산악 지역에는 더 서늘한 기후 유형이 존재한다. 해양성 기후(쾨펜 ''Cfb'')는 연중 비교적 균일한 강수를 보이는 산악 지역, 열대 우림 기후에 인접한 지역에서 우세하며, 아열대 고산 기후(쾨펜 ''Cwb'')는 열대 몬순 및 사바나 기후에 인접한, 건기가 더 뚜렷한 고산 지역에 존재한다. 이러한 산악 지역에서는 온대 습윤 기후가 나타난다.[72] 또한, 이리안자야에는 빙하와 만년설을 볼 수 있는 고산 지대가 있다.[73]
해발 3000m 이상에서는 춥고 아한대 기후가 지배적이며, 서리와 간혹 눈이 더 흔하게 나타난다. 아한대 해양성 기후(쾨펜 ''Cfc'')는 해발 3000m~3500m 사이에서 존재하며, 인도네시아 최고봉의 산비탈에서 발견되며, 해양성 기후와 툰드라 기후 사이의 전환 역할을 한다. 툰드라 기후(쾨펜 ''ET'')는 파푸아의 영구 설산 봉우리를 포함하여 인도네시아 최고봉의 해발 3500m 이상에서 발견된다. 이 기후 체제에서는 월평균 기온이 모두 10°C 미만이며, 월별 강수량은 균일하다.
평년값 (월 단위) | 수마트라섬 | 자와섬 | 소순다 열도 | ||||||||||||||||
---|---|---|---|---|---|---|---|---|---|---|---|---|---|---|---|---|---|---|---|
반다아체 | 메단 | 파당 | 푸칸바루 | 잠비 | 벵쿨루 | 팔렘방 | 팡칼피낭 | 바탐섬 | 세랑 | 자카르타 (탄중프리오크) | 치레본 | 스마랑 | 수라바야 | 덴파사르 | 비마 | 와잉가푸 | 쿠팡 | ||
평균 기온 (°C) | 최난월 | 28.0 (6월) | 28.0 (5월) | 27.2 (5월) | 28.2 (5월) | 27.6 (5월) | 27.5 (5월) | 27.7 (5, 9월) | 27.7 (5, 8, 9월) | 28.1 (4, 5월) | 27.7 (4, 5, 10월) | 29.4 (10월) | 28.9 (10월) | 28.7 (10월) | 29.0 (10월) | 28.2 (11월) | 29.0 (11월) | 28.5 (11월) | 28.7 (11월) |
최한월 | 26.3 (12월) | 26.6 (12월) | 26.2 (8-9월) | 26.9 (1월) | 26.7 (12-1월) | 26.4 (12월) | 26.7 (1-2월) | 26.3 (1월) | 26.9 (12월) | 26.9 (2월) | 27.8 (2월) | 26.6 (2월) | 27.1 (1-2월) | 27.2 (7월) | 26.3 (8월) | 26.2 (7월) | 25.6 (7-8월) | 26.0 (7월) | |
강수량 (mm) | 최다 월 | 300.7 (11월) | 350.5 (10월) | 509.5 (11월) | 356.3 (11월) | 266.1 (11월) | 404.4 (12월) | 367.8 (3월) | 276.1 (3월) | 277.6 (12월) | 300.4 (1월) | 476.2 (2월) | 449.8 (3월) | 394.4 (2월) | 380.7 (2월) | 350.7 (1월) | 228.9 (1월) | 185.1 (2월) | 468.0 (1월) |
최소 월 | 74.0 (6월) | 82.3 (2월) | 257.7 (8월) | 161.9 (6월) | 105.5 (6월) | 166.9 (7월) | 64.5 (8월) | 103.5 (8월) | 80.0 (2월) | 33.3 (8월) | 49.7 (8월) | 26.4 (8월) | 35.5 (8월) | 11.9 (8월) | 27.6 (7월) | 2.2 (8월) | 1.4 (8월) | 2.5 (8월) | |
평년값 (월 단위) | 칼리만탄섬 | 술라웨시섬 | 말루쿠 제도 | 파푸아섬 | |||||||||||||||
폰티아낙 | 팡칼란분 | 탄중세롤 | 반자르마신 | 발릭파판 | 비퉁 | 팔루 | 루우크 | 바우바우 | 마제네 | 마카사르 | 테르나테 | 암본 | 사움라키 | 투알 | 소롱 | 비악 | 메라우케 | ||
평균 기온 (°C) | 최난월 | 27.5 (5-6월) | 27.2 (5월) | 28.2 (5월) | 27.9 (5, 9월) | 27.9 (5월) | 28.3 (12월) | 27.8 (5,10월) | 28.5 (1,11월) | 28.2 (11월) | 28.4 (10월) | 28.2 (10월) | 27.5 (3월) | 27.8 (12월) | 28.7 (11월) | 27.8 (11월) | 27.6 (2월) | 27.4 (5월) | 28.2 (12월) |
최한월 | 26.7 (11-1월) | 26.4 (7,12월) | 26.9 (1월) | 26.8 (7월) | 27.1 (1월) | 27.4 (7-8월) | 27.0 (7월) | 26.2 (7-8월) | 26.3 (7월) | 27.4 (7월) | 26.5 (1월) | 26.9 (2월) | 25.2 (8월) | 26.1 (8월) | 26.3 (7월) | 26.1 (8월) | 26.9 (7월) | 25.4 (7-8월) | |
강수량 (mm) | 최다 월 | 377.2 (11월) | 468.2 (5월) | 344.5 (1월) | 433.4 (12월) | 329.8 (6월) | 226.7 (2월) | 225.9 (10월) | 184.9 (7월) | 320.6 (12월) | 234.7 (12월) | 750.6 (1월) | 240.7 (1월) | 669.8 (7월) | 333.2 (5월) | 398.8 (1월) | 448.2 (7월) | 275.9 (3월) | 376.4 (3월) |
최소 월 | 211.4 (3월) | 135.5 (9월) | 205.7 (7월) | 67.9 (9월) | 173.6 (8월) | 69.1 (9월) | 57.6 (12월) | 43.2 (10월) | 27.2 (8월) | 37.4 (8월) | 19.3 (8월) | 109.3 (9월) | 84.2 (11월) | 4.1 (9월) | 85.0 (8월) | 152.1 (1월) | 183.3 (11월) | 28.3 (9월) |
향후 우려되는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는 강수량 증가, 이에 따른 홍수 및 토사 재해의 증가·격화 외에도, 특히 연안 지역에 인구가 집중된 자바섬을 비롯한 섬들에서는 해수면 상승도 우려된다.[113] 이에 따라 정부는 2007년에 기후 변화 대책 행동 계획을 발표하여, 기후 변화 완화책으로 에너지 부문의 이산화 탄소 배출 억제 및 녹지화 추진을, 홍수 등의 재해 격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일반에 대한 계몽, 인프라 정비 계획 및 설계 기준 재검토 등을 제시했다.[113]
2. 4. 생태
인도네시아는 균류와 박테리아 등을 포함하여 약 32만 5천 종의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메가다이버시티 국가로 알려져 있다.[114] 이러한 풍부한 생물 다양성은 인도네시아가 생물 지리구상 동양구와 오스트레일리아구에 걸쳐 있는 지리적 위치 덕분이기도 하다.[114] 롬복 해협에서 마카사르 해협을 통과하는 월리스 선은 이 두 생물 지리구를 나누는 경계선으로, 이 선을 기준으로 동식물의 종류가 뚜렷하게 달라진다.[115] 웨버 선과 같은 다른 생물 분포 경계선도 알려져 있다.[73]보르네오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섬으로, 본래 보르네오 저지대 우림이 광범위하게 분포했으나, 상당 부분이 농경지 등으로 개간되면서 야생 생물들은 섬 내부의 보르네오 산악 우림으로 서식지를 옮겨야 했다. 북말루쿠 제도는 독특한 우림 생태 지역을 형성하고 있으며, 역사적으로 향신료 제도로 유명했다.[35] 뉴기니 해안 근처의 여러 섬들, 예를 들어 섬 북서쪽 끝 첸데라와시 만 입구에 위치한 비악의 석회암 섬들은 저마다 독특한 생물지리적 특징을 지닌다.[36][37]
최근의 위성 관측 자료에 따르면, 인도네시아는 약 14416km2에 달하는 갯벌을 보유하여 세계에서 가장 넓은 갯벌 면적을 가진 나라이다.[38] 그러나 1999년부터 2019년까지 맹그로브, 갯벌, 염습지를 포함한 전체 갯벌 생태계에서 약 1426km2가 순감소하여, 전 세계 갯벌 변화량의 36%를 차지하는 가장 큰 변화를 겪기도 했다.[39]
2015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산림율은 53%로[59], 브라질, 콩고 민주 공화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넓은 열대림을 보유하고 있다.[58] 전체 산림 면적 중 천연림이 51%, 이차림(과거 벌채 후 자연적으로 재생된 숲)이 44%, 인공 조림지가 5%를 차지한다.[59] 인도네시아 정부는 산림 생태계를 혼효 구릉림, 산지림, 사바나·대나무·낙엽수·몬순림, 이탄 습지림, 담수 습지림, 맹그로브림의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이 중 혼효 구릉림은 목재 생산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60]
연 강수량이 풍부한 수마트라 섬, 칼리만탄 섬, 이리안자야 등지에는 열대 다우림이 발달해 있으며, 건기가 뚜렷한 자바 섬 동부와 소순다 열도 등에서는 몬순림(계절풍림)이 주로 나타난다.[117] 이 두 유형의 숲이 만나는 경계 지역에는 열대 반상록림이 형성되어 있다.[117] 해발 1000m에서 3000m 사이의 고지대에는 산지 다우림이 발달하며, 고도에 따라 숲의 모습이 달라진다.[117] 바닷물과 민물이 섞이는 해안가의 갯벌과 충적지에는 맹그로브림이 넓게 분포하는데[117], 그 면적이 전 세계 맹그로브림의 약 5분의 1에 달할 정도로 광대하다.[59] 이 외에도 칼리만탄 섬에는 독특한 토양 환경에서 자라는 Heath forest|히스림영어이, 수마트라 섬에는 소나무림이 분포한다.[117]
그러나 인도네시아의 산림 면적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1990년 약 1180000km2(산림율 63%)였던 산림 면적은 2020년 약 920000km2(산림율 49%)까지 줄어들었다.[60] 특히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이어진 대규모 개발과 목재 생산으로 인해 산림 파괴가 극심했으며, 그 이후에도 불법 벌채, 빈번한 산불, 농지나 플랜테이션을 위한 토지 전용 등으로 산림 감소가 계속되고 있다.[61] 이러한 산림 파괴는 온실 기체 배출의 주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58], 특히 생물 다양성이 낮은 속성수 인공림이나 팜유 농장으로의 전환은 기존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62] 생물들의 주요 서식지인 열대 우림이 줄어들면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의 레드 리스트(멸종 위기종 목록)에 이름을 올린 종들도 적지 않다.[114]
이에 인도네시아 정부는 산림 보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2007년 유엔 기후 변화 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채택된 발리 로드맵을 계기로, REDD+(개발도상국의 산림 보전 및 지속 가능한 관리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 메커니즘[63]) 이행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천연림과 이탄 습지의 신규 개발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모라토리엄을 시행했으며, 2012년에는 국가 REDD+ 전략을 발표했다.[64] 이러한 노력 덕분에 2016년 이후에는 산림 감소 속도가 유의미하게 둔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62]
인도네시아의 동물상은 매우 다양하여 약 28만 종의 동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에는 포유류 약 500종, 조류 약 1500종, 파충류 약 2000종, 양서류 약 1000종, 어류 약 8500종, 곤충류 약 25만 종, 연체동물 약 2만 종이 포함된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오랑우탄과 코모도왕도마뱀 등이 인도네시아를 대표하는 동물이다.
인도네시아의 식물상 역시 풍부하여 약 3만 종의 식물이 자생한다. 이 중 종자식물이 약 2만 5000종(그중 약 1만 종은 목본 식물[116])이며, 양치식물 약 1250종, 선태식물(이끼류) 약 1500종, 해초 약 1800종 등이 있다.[114] 식물 지리학적으로는 말레이시아 식물구계구에 속한다.[116] 인도네시아에는 해발고도가 높은 화산이 많아 기온의 수직적 차이가 크며, 이에 따라 해안가의 맹그로브 숲부터 상록 우림, 고산식물 지대까지 다채로운 식물 분포를 보인다.[73] 특히 종자식물 중 약 40%는 해당 속 수준에서 인도네시아 고유종일 정도로 독특한 식물상을 자랑한다.[116] 다만, 술라웨시 섬과 같이 일부 지역은 아직 식물상에 대한 조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117]
열대 다우림을 구성하는 주요 식물 과(科)로는 디프테로카르푸스과, 콩과, 녹나무과, 감람과, 사포테과, 멀구슬나무과, 참나무과, 무환자나무과, 대극과, 꼭두서니과, 포포나무과, 뽕나무과 등이 있다. 이러한 숲은 대개 울창한 상층부와 달리 하층의 관목이나 초본 식물은 잘 발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117] 대신 덩굴식물이나 나무에 붙어사는 착생식물의 종류는 매우 풍부하다. 하지만 숲 바닥은 햇빛이 잘 들지 않아 식생이 빈약한 것이 일반적이다.[117] 건기가 있는 지역의 몬순림에서는 티크와 같은 낙엽수가 주를 이루며, 거대한 Liana|목본성 덩굴식물영어도 흔히 볼 수 있다.[117]
3. 환경 문제
인도네시아의 높은 인구 밀도와 급격한 산업화는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그러나 높은 빈곤 수준과 자원 부족, 취약한 국가 운영 능력으로 인해 환경 문제는 정책 우선순위에서 밀려나는 경우가 많다.[40] 주요 문제로는 대규모 산림 벌채(상당수가 불법 벌목)와 이로 인한 산불이 있으며, 이는 인도네시아 서부,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일부 지역에 심각한 스모그를 발생시킨다. 또한 해양 자원의 과도한 남용, 급속한 도시화 및 경제 개발과 관련된 대기 오염, 교통 체증, 쓰레기 관리, 안정적인 식수 및 폐수 처리 부족 등 다양한 환경 문제가 존재한다.[40]
특히 산림 벌채와 이탄지 파괴는 인도네시아를 세계 3위의 온실 기체 배출국으로 만들었다.[41] 이러한 서식지 파괴는 인도네시아 고유 생물종의 생존을 심각하게 위협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인도네시아 포유류 140종을 멸종 위기 종으로 분류했으며, 그중 수마트라 오랑우탄을 포함한 15종은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42]
도시화 문제도 심각하다. 1970년 전체 인구의 15%에 불과했던 도시 거주 인구 비율은 현재 30% 이상으로 증가하며 도시 환경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산업 오염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자바섬에서 심화되고, 증가하는 중산층의 부는 자동차 수와 관련 배출량의 급격한 증가를 야기한다. 쓰레기 및 폐수 처리 시스템에 대한 압력도 커지고 있다. 여전히 많은 지역에서 정화조 시스템 또는 개방된 수로 및 강 시스템으로 폐수를 그대로 방류하여 수자원의 주요 오염원이 되고 있다. 안전한 식수에 접근할 수 있는 인도네시아인은 극히 드물며, 사용하기 전에 물을 끓여야 한다.
2015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산림율은 53%로[59], 세계 3위의 열대림 보유국이다.[58] 산림 구성은 천연림 51%, 이차림 44%, 조림지 5%이다.[59] 정부는 생태에 따라 혼합 구릉림, 산지림, 사바나·대나무·낙엽수·몬순림, 이탄 습지림, 담수 습지림, 맹그로브림의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며, 이 중 천연림에서 가장 흔한 혼합 구릉림은 목재 생산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60] 연 강수량이 많은 수마트라섬, 칼리만탄섬, 서뉴기니 등에서는 열대 우림이, 건기가 뚜렷한 자바섬 동부와 소순다 열도 등에서는 몬순림이 각각 발달하며, 그 경계에서는 이행대로서 열대 반상록림이 보인다.[117] 해발 1000m에서 3000m 지대에서는 산지 우림이 발달하며, 상부와 하부에서 다른 형태를 보인다.[117] 염수가 섞이는 갯벌과 충적지에서는 맹그로브림이 발달하며[117], 세계 맹그로브림 면적의 5분의 1을 차지할 정도로 광대하다는 특징이 있다.[59] 그 외 칼리만탄 섬에 히스림, 수마트라 섬에 소나무림이 보인다.[117]
그러나 산림 면적은 1990년 시점 약 118만 평방킬로미터(산림율 63%)였으나 2020년 시점 약 92만 평방킬로미터(산림율 49%)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60] 197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친 개발과 목재 생산의 활발화와 함께 산림 감소가 정점을 찍은 이후에도 불법 벌채와 산림 화재, 토지 전용의 영향이 보인다.[61] 산림 감소는 온실 기체의 주요 배출원이 되고 있으며[58], 산림 감소의 원인 중 하나인 속성 수종의 인공림이나 팜유 농원으로의 토지 전용은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쳤다.[62]
2007년에 개최된 기후 변화 기본 협약 당사국 회의에서는 산림 감소·열화 억제 외에, 산림의 보전과 지속 가능한 경영 등을 위한 노력의 중요성을 명기한 발리 로드맵이 채택되었으며, 이후 인도네시아는 REDD+ (개도국의 산림 보전 활동에 기반한 온실 기체 배출 삭감[63]) 실시의 일환으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천연림과 이탄지의 신규 개발을 동결하거나, 2012년에 국가 전략을 발표하는 등 노력하고 있다.[64] 신규 개발 동결의 영향으로, 2016년 이후에는 산림 감소 억제가 유의미하게 보인다.[62]
향후 우려되는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는 강수량 증가, 이에 따른 홍수 및 토사 재해의 증가·격화 외에도, 특히 연안 지역에 인구가 집중된 자바섬을 비롯한 섬들에서는 해수면 상승도 우려된다.[113] 이에 따라 정부는 2007년에 기후 변화 대책 행동 계획을 발표하여, 기후 변화 완화책으로 에너지 부문의 이산화 탄소 배출 억제 및 녹지화 추진을, 홍수 등의 재해 격화에 대한 대응책으로 일반에 대한 계몽, 인프라 정비 계획 및 설계 기준 재검토 등을 제시했다.[113]
인도네시아의 환경 보전 행정은 1972년 환경 계획 작성·입안 전국 위원회 설립을 시작으로, 1978년 환경 담당 국무대신의 임명, 1982년 환경 보전 관리법 제정, 1990년 환경 영향 관리국 설치 등의 움직임이 있었다.[122] 1993년 환경부(2015년 부처 개편으로 환경산림부가 되었다[123])를 설치한 이후, 1997년 환경 관리법 제정, 1999년 지속 가능한 천연 자원 관리를 위한 5개년 계획 수립, 2002년 「전략 계획 및 행동 프로그램」 제정 등 환경 정책에 힘을 쏟게 되었으며, 또한 지방 분권화에 따라 환경 보전의 중심축은 국가 수준에서 지방 수준으로 옮겨졌다.[68]
2016년 시점에서는 지방 정부의 환경 행정 능력은 지역 차이가 있지만 개선이 필요한 상황이며, 중앙 정부에서도 환경부가 행정 평가 시스템에서 엄격한 평가를 받는 등, 법 집행상의 과제가 남아 있을 뿐만 아니라, 전문 기술자 육성 및 시민의 의식 개혁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되고 있다.[123]
4. 행정 구역
인도네시아의 행정 구역은 주(Provinsi) 또는 특별주(Daerah Khusus/Istimewa)로 가장 먼저 나뉜다. 주는 다시 군(Kabupaten)과 시(Kota)로 나뉘고, 군은 다시 하위 행정 단위인 크차마탄(Kecamatan, 군 아래의 구)으로, 시는 크차마탄(시 아래의 구)으로 나뉜다. 가장 작은 단위는 데사(Desa, 촌락) 또는 클루라한(Kelurahan, 도시 지역의 마을)이다[118]. 주보다 상위의 공식적인 행정 구역은 없지만, 통계 목적으로는 인도네시아 전체를 수마트라, 자바, 소순다 열도, 칼리만탄, 술라웨시, 말루쿠, 파푸아의 7개 지역으로 크게 나누기도 한다[45].
주는 주지사(Gubernur)와 주의회(Dewan Perwakilan Rakyat Daerah Provinsi, DPRD Provinsi)가 지방 행정을 담당한다. 주지사는 하위 행정 구역인 군과 시의 행정 사무를 지도하고 감독하며 보좌하는 역할을 한다[118]. 2021년 기준 인도네시아에는 34개의 주가 있었으나, 2022년 6월 30일 파푸아 주가 파푸아 주, 중앙파푸아 주, 산악파푸아 주, 남파푸아 주로 분할되었고[120], 같은 해 11월 17일에는 서파푸아 주에서 남서파푸아 주가 분리되어 주의 수는 38개로 늘어났다. 이 중 자카르타 수도 특별주, 욕야카르타 특별주, 아체 주, 파푸아 주, 서파푸아 주 5곳은 종교, 민족, 역사적 배경 등을 이유로 특별 자치권을 부여받은 특별주이다[118].
군과 시는 각각 군수(Bupati)와 군의회(DPRD Kabupaten), 시장(Wali kota)과 시의회(DPRD Kota)가 지방 행정을 맡는다. 군은 주로 농촌 지역을, 시는 주로 도시 지역을 관할한다는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인 제도상의 차이는 크지 않다[118]. 2021년 6월 기준으로 인도네시아에는 416개의 군과 98개의 시가 있다[118].
크차마탄(Kecamatan)은 군수(Camat)가 책임자로서 하위 행정 단위인 데사(마을)나 클루라한(구)에 대한 지도 및 감독 업무를 수행한다. 2021년 6월 기준으로 7,274개의 크차마탄이 있다[118]. 데사(Desa)는 주로 군(Kabupaten) 아래의 크차마탄에 속하며, 클루라한(Kelurahan)은 주로 시(Kota) 아래의 크차마탄에 속하는 행정 단위이다. 2021년 6월 기준으로 총 83,843개의 데사와 클루라한이 있다[118].
이 외에도 중앙 정부는 국가적 이익을 위해 전략적으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특정 행정 기능을 수행할 목적으로 주, 군, 시의 하위에 특별 지구(Kawasan Khusus)를 설치할 수 있다[118].
주 | 면적(km2) | 인구(천 명) |
---|---|---|
아체 주 | 57,956.00 | 5,333.7 |
북수마트라 주 | 72,981.23 | 14,936.2 |
서수마트라 주 | 42,012.89 | 5,580.2 |
리아우 주 | 87,023.66 | 6,493.6 |
리아우 제도 주 | 8,201.72 | 2,118.2 |
잠비 주 | 50,058.16 | 3,585.1 |
벵쿨루 주 | 19,919.33 | 2,032.9 |
남수마트라 주 | 91,592.43 | 8,550.9 |
방카블리퉁 주 | 16,424.06 | 1,473.2 |
람풍 주 | 34,623.80 | 9,081.8 |
자카르타 수도 특별주 | 664.01 | 10,609.7 |
반텐 주 | 9,662.92 | 12,061.5 |
서자바 주 | 35,377.76 | 48,782.4 |
중앙자바 주 | 32,800.69 | 36,742.5 |
욕야카르타 특별주 | 3,133.15 | 3,712.9 |
동자바 주 | 47,803.49 | 40,878.8 |
발리 주 | 5,780.06 | 4,362.7 |
서누사틍가라 주 | 18,572.32 | 5,390.0 |
동누사틍가라 주 | 48,718.10 | 5,387.7 |
서칼리만탄 주 | 147,307.00 | 5,470.8 |
중앙칼리만탄 주 | 153,564.50 | 2,702.2 |
남칼리만탄 주 | 38,744.23 | 4,122.6 |
동칼리만탄 주 | 129,066.64 | 3,808.2 |
북칼리만탄 주 | 75,467.70 | 713.6 |
북술라웨시 주 | 13,892.47 | 2,638.6 |
고론탈로 주 | 11,257.07 | 1,181.0 |
중앙술라웨시 주 | 61,841.29 | 3,021.9 |
동남술라웨시 주 | 38,067.70 | 2,659.2 |
남술라웨시 주 | 46,717.48 | 9,139.5 |
서술라웨시 주 | 16,787.18 | 1,436.8 |
말루쿠 주 | 46,914.03 | 1,862.6 |
북말루쿠 주 | 31,982.50 | 1,299.2 |
파푸아 주 | 319,036.05 | 4,355.5 |
서파푸아 주 | 102,955.15 | 1,156.8 |
전국 | 1,916,906.77 | 272,682.5 |
5. 인구
202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총 인구는 약 2억 7,020만 명으로, 중국, 인도, 미국에 이어 세계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다[120]. 생산가능인구 (15세부터 64세)의 비율은 70.72%이며, 이 정점은 2030년까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120]. 지역별로는 자바 섬에 1억 5,160만 명이 집중되어 있으며, 다음으로 수마트라 섬에 5,860만 명이 거주하고, 나머지 약 20%의 인구는 술라웨시 섬이나 칼리만탄 섬 등의 섬에 흩어져 있어[120], 인구 밀도의 지역적 차이가 뚜렷하다[45]. 특히 수도 자카르타는 국토의 0.003% 정도의 극소 지역임에도 인구의 3.9%가 집중되어 있으며, 그 결과 개발이 집중되어 다른 지역과의 경제 격차를 낳고 있어, 수도 이전의 이유 중 하나가 되고 있다[121].
참조
[1]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2]
서적
Indonesi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Federal Research Division, Library of Congress
1993
[3]
뉴스
Hanya ada 13.466 Pulau di Indonesia
https://nationalgeog[...]
2012-02-08
[4]
웹사이트
CIA World Factbook
https://www.cia.gov/[...]
[5]
웹사이트
Island Countries of the World
https://www.worldatl[...]
WorldAtlas.com
2019-08-10
[6]
서적
Prevention and Compensation of Marine Pollution Damage: Recent Developments in Europe, China and the US
https://books.google[...]
Kluwer Law International
2006
[7]
서적
Indonesi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11
[8]
서적
Encyclopedia of Coastal Science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6-11-08
[9]
서적
Geology and Archaeology: Submerged Landscapes of the Continental Shelf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2016-01-05
[10]
서적
Mountains: The origins of the Earth's mountain systems
https://books.google[...]
Dunedin Academic Press
2018-01-03
[11]
서적
The Geology and Tectonics of Eastern Indonesia: Proceedings of the Ccop-Ioc Seatar Working Group Meeting, Bandung, Indonesia, 9–14 July 1979
https://books.google[...]
Pergamon Press
1981
[12]
서적
Tectonic Evolution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1996
[13]
간행물
[14]
간행물
[15]
논문
Stratigraphical analysis of island arc-continental margin collision in eastern Indonesia
1976
[16]
논문
Tectonics of the Indonesian Region
US Geol. Soc. Prof. Pap.
1979
[17]
서적
Ecosystems of the Deep Oceans
https://books.google[...]
Elsevier
2003-03-27
[18]
뉴스
Biggest exposed fault on earth found in eastern Indonesia
http://www.thejakart[...]
2018-02-17
[19]
웹사이트
Big Bank Shoals of the Timor Sea: An environmental resource atlas
http://www.aims.gov.[...]
Australian Institute of Marine Science
2006-08-28
[20]
웹사이트
Republik Indonesia
http://www.wirantapr[...]
Dr Willy Wirantaprawira
2006-08-28
[21]
서적
The Geology of Austra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논문
Timor–Tanimbar Trough: the foreland basin of the evolving Banda orogen
1986
[23]
서적
Evolution and Dynamics of the Australian plate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2003-01-01
[24]
서적
Focus on Indonesia
https://books.google[...]
Information Division, Embassy of Indonesia
1976
[25]
서적
Indonesia
Lonely Planet
[26]
웹사이트
Volcanoes of Indonesia
http://www.volcano.s[...]
Smithsonian Institution
2007-03-25
[27]
서적
From the Ground Up: Perspectives on Post-Tsunami and Post-Conflict Aceh
https://books.google[...]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2012
[28]
서적
Geohazards in Indonesia: Earth Scien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2017-10-25
[29]
서적
Geodetic And Geophysical Effects Associated With Seismic And Volcanic Hazards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04-06-25
[30]
웹사이트
Preliminary Assessment of the Macroeconomic Impact of The Tsunami Disaster on Affected Countries, and of Associated Financing Needs
https://www.imf.org/[...]
2024-11-16
[31]
서적
Dynamics of Crustal Magma Transfer, Storage and Differentiation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2008
[32]
서적
Tectonic Evolution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1996
[33]
서적
Geohazards in Indonesia: Earth Scien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https://books.googl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2017-10-25
[34]
웹사이트
7.4 magnitude earthquake near Manokwari, West Papua, Indonesia : January 03, 2009 22:33
https://earthquaketr[...]
2018-02-06
[35]
간행물
[36]
웹사이트
Terrestrial Ecoregions - Central Range montane rain forests (AA0105)
https://www.worldwil[...]
2010-09-29
[37]
웹사이트
Terrestrial Ecoregions - Biak-Numfoor rain forests (AA0103)
https://www.worldwil[...]
2010-09-29
[38]
논문
The global distribution and trajectory of tidal flats
https://www.nature.c[...]
2019
[39]
논문
High-resolution mapping of losses and gains of Earth's tidal wetlands
https://www.reposito[...]
2022-05-13
[40]
웹사이트
Deforestation in Indonesia and the Orangutan Population
http://www.american.[...]
TED Case Studies
2007-08-14
[41]
뉴스
A climate threat, rising from the soil
https://www.washingt[...]
2009-12-11
[42]
웹사이트
Animal Info – Indonesia
http://www.animalinf[...]
Animal Info – Information on Endangered Mammals
2007-08-14
[43]
논문
Archipelagic Sea-Lanes in Indonesia – Their legality in International Law
https://maritimejour[...]
2011-02-24
[44]
웹사이트
Explore All Countries 一 Indonesia
https://www.cia.gov/[...]
2023-07-26
[45]
문서
第24章 地域ごとの特徴
https://www.jbic.go.[...]
国際協力銀行
[46]
문서
第1章 概観(国土、民族、社会、歴史など)
https://www.jbic.go.[...]
国際協力銀行
[47]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 - 概況・基本統計
https://www.jetro.go[...]
2023-07-25
[48]
문서
インドネシア国 防災分野における情報収集・確認調査報告書 要約
https://openjicarepo[...]
国際協力機構、八千代エンジニヤリング、オリエンタルコンサルタンツグローバル
2023-08-06
[49]
문서
第四部 インドネシア: 農林水産業の現状及び農業政策
https://www.maff.go.[...]
農林水産省
[50]
문서
インドネシア国 防災分野における情報収集・確認調査報告書 要約
https://openjicarepo[...]
国際協力機構、八千代エンジニヤリング、オリエンタルコンサルタンツグローバル
2023-08-06
[51]
논문
インドネシアに津波警報システムを構築するには
日本海洋学会 沿岸海洋研究会
[52]
논문
2004年インドネシア・スマトラ沖地震津波の被害 一我が国の防災対策への教訓一
土木学会
[53]
문서
インドネシア国 防災分野における情報収集・確認調査報告書 要約
https://openjicarepo[...]
国際協力機構、八千代エンジニヤリング、オリエンタルコンサルタンツグローバル
2023-08-06
[54]
논문
インドネシアの活火山
公益社団法人 砂防学会
[55]
논문
インドネシアにおける応用地質の現状
日本応用地質学会
[56]
논문
インドネシアの火山観測
東京地学協会
[57]
논문
インドネシアの鉱業事情について
環境資源工学会
[58]
논문
インドネシアにおけるREDD+の動向と政策
国際緑化推進センター
[59]
문서
REDDプラスへの取組動向 Country Report 平成29年度 インドネシア共和国
https://www.ffpri.af[...]
国立研究開発法人 森林研究・整備機構 森林総合研究所 REDD研究開発センター
2023-08-02
[60]
문서
森林を活用した防災・減災の取組 Country Report 2020年度 インドネシア共和国
https://www.ffpri.af[...]
国立研究開発法人 森林研究・整備機構 森林総合研究所 REDDプラス・海外森林防災研究開発センター
2023-08-03
[61]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共和国
https://www.ffpri.af[...]
独立行政法人 森林総合研究所 REDD研究開発センター
2023-08-02
[62]
논문
世界の熱帯林をめぐる状況
生協総合研究所
[63]
웹사이트
REDDプラス(REDD+)とは
http://redd.ffpri.af[...]
国立研究開発法人 森林研究・整備機構 森林総合研究所 REDD研究開発センター
2023-08-03
[64]
문서
REDDプラスへの取組動向 Country Report 平成29年度 インドネシア共和国
https://www.ffpri.af[...]
国立研究開発法人 森林研究・整備機構 森林総合研究所 REDD研究開発センター
2023-08-02
[65]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における湖沼水質改善のための技術協力
https://www.ilec.or.[...]
国際湖沼環境委員会
2023-08-08
[66]
논문
第16回世界湖沼会議に参加して
水資源・環境学会
[67]
웹사이트
【コラム】インドネシアの河川
https://www.indonesi[...]
インドネシア総合研究所
2023-08-07
[68]
논문
インドネシア・河川上流域住民の河川に対する環境配慮行動を促すための個人的規範形成モデル
土木学会
[69]
뉴스
インドネシア、島4000以上消滅? 総数数え直し修正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3-07-26
[70]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の島の数は13,000以上
http://www.tufs.ac.j[...]
東京外国語大学 総合国際学研究員 青山亨研究室
2023-07-26
[71]
뉴스
島の数1万6056に 新たに2590島登録 国連会議
https://jakartashimb[...]
じゃかるた新聞
2017-08-22
[72]
간행물
インドネシアの自然環境と農産資源について
日本熱帯農業学会
[73]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
https://kotobank.jp/[...]
2023-08-10
[74]
간행물
インドネシア・アンボン島の地すべり及び泥流災害
https://www.jsnds.or[...]
日本自然災害学会
[75]
간행물
インドネシアCitarum川流域の水田地区における氾濫解析
自然災害研究協議会東北地区部会・日本自然災害学会東北支部
[76]
간행물
インドネシアの降水量分布と気流系
日本地理学会
[77]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バンダアチェ
https://www.data.jma[...]
2023-08-06
[78]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メダン
https://www.data.jma[...]
2023-08-06
[79]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パダン
https://www.data.jma[...]
2023-08-06
[80]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プカンバル
https://www.data.jma[...]
2023-08-06
[81]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ジャンビ
https://www.data.jma[...]
2023-08-06
[82]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ブンクル
https://www.data.jma[...]
2023-08-06
[83]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パレンバン
https://www.data.jma[...]
2023-08-06
[84]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パンカルピナン
https://www.data.jma[...]
2023-08-06
[85]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バタム島
https://www.data.jma[...]
2023-08-06
[86]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スラン
https://www.data.jma[...]
2023-08-06
[87]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ジャカルタ/JAKARTA/TANJUNG PRIOK
https://www.data.jma[...]
2023-08-06
[88]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チレボン
https://www.data.jma[...]
2023-08-06
[89]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スマラン
https://www.data.jma[...]
2023-08-06
[90]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スラバヤ
https://www.data.jma[...]
2023-08-06
[91]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デンパサル
https://www.data.jma[...]
2023-08-06
[92]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ビマ
https://www.data.jma[...]
2023-08-06
[93]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ワインガプー
https://www.data.jma[...]
2023-08-06
[94]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クパン
https://www.data.jma[...]
2023-08-06
[95]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ポンティアナク
https://www.data.jma[...]
2023-08-06
[96]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パンカランブーン
https://www.data.jma[...]
2023-08-06
[97]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タンジュンスロル
https://www.data.jma[...]
2023-08-06
[98]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パンジャルマシン
https://www.data.jma[...]
2023-08-06
[99]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バリクパパン
https://www.data.jma[...]
2023-08-06
[100]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ビトゥン
https://www.data.jma[...]
2023-08-06
[101]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パル
https://www.data.jma[...]
2023-08-06
[102]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ルウク
https://www.data.jma[...]
2023-08-06
[103]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バウバウ
https://www.data.jma[...]
2023-08-06
[104]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マジェネ
https://www.data.jma[...]
2023-08-06
[105]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マカッサル
https://www.data.jma[...]
2023-08-06
[106]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トルナテ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8-06
[107]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アンボン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8-06
[108]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サウムラキ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8-06
[109]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トゥアル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8-06
[110]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ソロン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8-06
[111]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ビアク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8-06
[112]
웹사이트
平年値データ - メラウケ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8-06
[113]
간행물
インドネシア国 防災分野における情報収集・確認調査報告書 要約
https://openjicarepo[...]
国際協力機構、八千代エンジニヤリング、オリエンタルコンサルタンツグローバル
2023-08-06
[114]
논문
インドネシアの生物多様性の現況と保全施策について
国際緑化推進センター
[115]
논문
インドネシアの国立公園
https://www.pref.ish[...]
石川県白山自然保護センター
2023-08-10
[116]
간행물
インドネシア国 生物多様性保全計画基礎調査団報告書
https://openjicarepo[...]
国際協力事業団社会開発協力部
2023-08-10
[117]
간행물
インドネシア国 プロジェクト形成調査(生物多様性保全日米協力)別冊資料
https://libopac.jica[...]
国際協力事業団企画部
2023-08-11
[118]
보고서
インドネシアの地方自治一令和4年度(2022年度)改訂版一
https://www.clair.or[...]
2023-07-26
[119]
보고서
インドネシアの地方自治一令和4年度(2022年度)改訂版一
https://www.clair.or[...]
2023-07-26
[120]
보고서
インドネシアの地方自治一令和4年度(2022年度)改訂版一
https://www.clair.or[...]
2023-07-26
[121]
보고서
インドネシアの地方自治一令和4年度(2022年度)改訂版一
https://www.clair.or[...]
2023-07-26
[122]
논문
東南アジアにおける環境規制
表面技術協会
[123]
웹사이트
インドネシアにおける法制度の整備・執行
https://www.env.go.j[...]
環境省
2023-08-08
[124]
웹인용
Island Countries Of The World
https://www.worldatl[...]
WorldAtlas.com
2019-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