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대교는 인천국제공항과 송도국제도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21.38km의 다리이다. 1999년 계획되어 2005년 착공, 2009년 개통되었으며, 총 사업비는 2조 4500억 원이 소요되었다. 주요 설계 및 시공은 삼성물산 컨소시엄이 담당했다. 사장교 구간을 포함하여,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긴 사장교 중 하나로 꼽히며, 국내외 토목 전문가들로부터 '세계 3대 아름다운 다리'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개통 당시 5,500원이었던 통행료는 2017년 인하되었다. 2010년에는 고속버스 추락 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도로 교량 - 올림픽대교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념하기 위해 건설된 올림픽대교는 공사 중 붕괴 사고와 헬기 추락 사고를 겪으며 1989년에 개통되었다. - 해상교량 - 루스키 다리
루스키 다리는 2012년 APEC 정상 회의를 계기로 건설되었으며 세계에서 가장 긴 중앙 경간을 가진 사장교 중 하나이고 블라디보스토크의 랜드마크이다. - 대한민국의 유료교 - 부산항대교
부산항대교는 부산 영도구와 남구를 잇는 총 3,331m 길이의 사장교로, 높이 190m의 다이아몬드 주탑과 고리형 접속도로를 갖추고 2014년 개통되었으며, 개통 초기 무료 운영 후 유료화되어 일정 기준 초과 차량의 통행이 제한된다. - 대한민국의 유료교 - 울산대교
울산대교는 울산광역시 남구와 동구를 잇는 다리로, 2015년 완공되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으며 통행료를 징수하고, 동쪽 진입로에 전망대가 설치되어 관광 명소로 활용된다.
인천대교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없음 |
위치 | 인천광역시 |
좌표 | 37° 24' 50" N, 126° 34' 0" E |
일반 정보 | |
종류 | 사장교, 아치교 |
차선 | 6차선 고속도로 |
총 길이 | 21.38km |
폭 | 33.4m |
주경간 | 800m |
높이 (주탑) | 230.5m |
해상 높이 | 74m |
공사 시작 | 2005년 |
완공 | 2009년 |
노선 정보 | |
노선 번호 | 고속국도 제110호선 |
주요 경유지 | 인천광역시 연수구 - 인천광역시 중구 |
연결 노선 | 제2경인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
기타 정보 | |
관리 | 인천대교 주식회사 |
통행료 | 유료 |
2. 역사
1999년 7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캐나다 방문 중 인천제2연륙교 경협사업을 제시하면서 인천대교 건설이 시작되었다. 2000년 2월 28일 캐나다 AGRA사에서 제2연륙교 민간투자사업제안서를 제출하였으나, 2000년 5월 AGRA사는 영국 AMEC사에 인수되었다. 2001년 3월 19일 민간투자사업 심의를 완료하고, 2001년 7월 14일 우선협상자를 지정하였다. 2003년 6월 18일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사업시행자를 지정하였다.
2004년 6월 28일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에서 제2연륙교 연결도로 (국고 구간) 사업시행을 지시하였고, 2004년 10월 12일 국고 구간 사전공사 착수를 지시하였다. 2004년 11월 3일 인천제2연륙교를 고속국도 제110호선 제2경인고속도로로 지정하였고, 2004년 12월 31일 한국도로공사에서 국고 구간 공사를 발주하였다. 2005년 노무현 전 대통령은 기공식에 참석해 인천대교를 '희망과 번영의 길'이라고 명명했다.[11] 2005년 4월 22일 국고 구간 공사 공사 입찰을 하였고, 2005년 6월 3일 인천제2연륙교 명칭을 인천대교로 확정하였다.
2005년 6월 16일 인천대교 기공식이 열렸고, 2005년 7월 1일 민자 구간 본공사가 착공되었다.[5] 2005년 12월 26일에는 국고 구간 계약 및 착공에 들어갔다.[5] 2009년 8월 국고 구간, 2009년 10월 민자 구간 공사가 마무리되었다.[5]
주요 설계 및 시공 계약자는 삼성물산 컨소시엄(대림, 대우, GS, 한진, 한화, 금호)이었다.[5] 총 비용은 2.45조원이었으며, 국비 지원을 받는 연결 도로가 포함되었다.[5] 21.38km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3곳의 정부 건설 구간과 민간 자본으로 건설된 중앙부 12.34km 구간으로 구성되었다.
교량 구간은 18.38km 길이로, 인천항으로 가는 주요 해상 항로 위에 사장교 구간이 있다. 사장교 구간은 높이 230.5m의 주탑, 74m의 수직 여유 공간, 5개의 경간(중앙 경간 800m과 양쪽에 260m 및 80m 경간)으로 구성되어 건설하기 가장 어려운 부분이었다.[5] 중앙 구간에 인접한 접근로 경간은 일련의 150m 캔틸레버 밸런스 경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50m 경간으로 구성된 하부 고가교는 교량의 양쪽 끝에서 육지와 연결된다. 아치교 경간은 교량의 인천 쪽에 위치하며, 교량 데크의 각 측면에 두 개의 동일한 붉은색 아치로 구성되어 있다.[5]
2009년 10월 16일 전 구간 개통 당시 통행료는 5,500원이었고, 2009년 10월 19일 자정부터 차량 통행이 시작되었다. 2017년 8월 15일 통행료는 소형 기준 6,200원에서 5,500원으로 인하되었다.[12]
2. 1. 계획
1999년 7월 김대중 전 대통령이 캐나다 방문 중 인천제2연륙교 경협사업을 제시하였고, 2000년 2월 28일 캐나다 AGRA사에서 제2연륙교 민간투자사업제안서를 제출하였다(영국 AMEC사에 인수). 2000년 5월 AGRA사는 영국 AMEC사에 인수되었다. 2001년 3월 19일 인천제2연륙교 민간투자사업 심의를 완료하였고, 2001년 7월 14일 민간투자사업 우선협상자를 지정하였다. 2003년 6월 18일 민간투자사업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사업시행자를 지정하였다. 2004년 6월 28일 제2연륙교 연결도로 (국고 구간) 사업시행을 건설교통부 (현 국토교통부)에서 지시하였고, 2004년 10월 12일 사전공사 착수를 지시(국고 구간)하였다. 2004년 11월 3일 인천제2연륙교를 고속국도 제110호선 제2경인고속도로로 지정(대통령령 18579호)하였고, 2004년 12월 31일 국고 구간 공사를 한국도로공사에서 발주하였다. 2005년 노무현 전 대통령은 기공식에 참석해 인천대교를 '희망과 번영의 길'이라고 명명했다.[11] 2005년 4월 22일 국고 구간 공사 공사 입찰을 하였고, 2005년 6월 3일 인천제2연륙교 명칭을 인천대교로 확정하였다.2. 2. 개발
2005년 6월 16일 인천대교 기공식에 노무현 전 대통령이 참석하였고, 2005년 7월 1일 민자 구간 본공사가 착공되었다.[5] 2005년 12월 26일에는 국고 구간 계약 및 착공에 들어갔다.[5] 2009년 8월 국고 구간 공사가 마무리되었고, 2009년 10월 민자 구간 공사도 마무리되었다.[5]주요 설계 및 시공 계약자는 삼성물산 컨소시엄(대림, 대우, GS, 한진, 한화, 금호)이었다.[5] 총 비용은 2.45조원이었으며, 국비 지원을 받는 연결 도로가 포함되었다.[5] 이 21.38km의 고속도로 건설 사업은 3곳의 정부 건설 구간과 민간 자본으로 건설된 중앙부 12.34km 구간으로 구성되었다.[5]
교량 구간은 18.38km 길이로, 인천항으로 가는 주요 해상 항로 위에 사장교 구간을 가지고 있다.[5] 이 사장교 구간은 높이 230.5m의 주탑, 74m의 수직 여유 공간, 5개의 경간(중앙 경간 800m과 양쪽에 260m 및 80m 경간)으로 구성되어 건설하기 가장 어려운 부분이었다.[5] 중앙 구간에 인접한 접근로 경간은 일련의 150m 캔틸레버 밸런스 경간으로 구성되어 있다.[5] 50m 경간으로 구성된 하부 고가교는 교량의 양쪽 끝에서 육지와 연결된다.[5] 아치교 경간은 교량의 인천 쪽에 위치하며, 교량 데크의 각 측면에 두 개의 동일한 붉은색 아치로 구성되어 있다.[5]
2. 3. 개장
2009년 10월 16일 민자, 국고 구간 전 구간 개통 당시 통행료는 5,500원이었고, 2009년 10월 19일 자정부터 차량 통행이 시작되었다. 2017년 8월 15일 통행료는 소형 기준 6,200원에서 5,500원으로 인하되었다.[12]3. 구조 및 설계
인천대교는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 위치하여 하부 구조물에 내진 설계를 적용했다.[6]
총 길이 12.3km, 주 케이블 정착 경간 800m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긴 사장교이다. 폭 33.4m의 강철/콘크리트 복합 데크는 인천항 출입구 주요 해상로 위 74m 높이에 6차선 교통로를 지지하며, 영종도의 인천국제공항과 송도국제도시,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의 수도권 지역을 연결한다. 사장교 구간은 총 길이 1480m로, 80m, 260m, 800m, 260m, 80m의 5개 경간으로 구성된다. 역 Y자형 주탑의 높이는 230.5m이다. 1.8km의 접근 경간과 8.7km의 고가교가 교량을 완성하며, 두 곳 모두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 데크로 건설되었다. 기초는 직경 3m의 현장 타설 말뚝이다.[7] 교량 데크 간의 움직임을 수용하기 위해 조인트당 최대 50톤의 신축 이음 장치가 장착되었다.
총 21km가 넘는 대형 구조물이지만 공구 분할은 실시하지 않고, 삼성물산 외 7개 회사로 구성된 JV가 모든 것을 담당했다. 공사비 절감을 위해 동남아시아에서 노동자를 초빙하여 공사에 투입했다. 건설 지역은 과거 지진 발생 기록이 있어, 사장교 부분의 구조 설계는 일본의 장대교가 담당하여 내진성을 고려한 설계를 실시했다.
3. 1. 구조
Incheon Bridge영어의 주요 설계 및 시공 계약자는 삼성물산 컨소시엄(대림, 대우, GS, 한진, 한화, 금호)이었다.[5] 교량 구간은 18.38km이다. 이 교량은 인천항으로 가는 주요 해상 항로 위에 사장교 구간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높이 230.5m의 주탑, 74m의 수직 여유 공간, 5개의 경간(중앙 경간 800m과 양쪽에 260m 및 80m 경간)으로 구성되어 건설하기 가장 어려운 부분이었다. 중앙 구간에 인접한 접근로 경간은 일련의 150m 캔틸레버 밸런스 경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50m 경간으로 구성된 하부 고가교는 교량의 양쪽 끝에서 육지와 연결된다. 아치교 경간은 교량의 인천 쪽에 위치하며, 교량 데크의 각 측면에 두 개의 동일한 붉은색 아치로 구성되어 있다. 교량이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하부 구조물에 대한 내진 설계를 채택했다.[6]총 길이 12.3km, 주 케이블 정착 경간이 800m인 Incheon Bridge영어는 세계에서 이 유형의 교량 중 다섯 번째로 긴 교량이다. 폭 33.4m의 강철/콘크리트 복합 데크는 인천항 출입구의 주요 해상로 위 74m 높이에 6차선 교통로를 지지하며, 영종도의 인천국제공항과 송도국제도시,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의 수도권 지역을 연결한다. 사장교 구간은 총 길이 1480m로, 80m, 260m, 800m, 260m, 80m의 5개 경간으로 구성된다. 역 Y자형 주탑의 높이는 230.5m이다. 1.8km의 접근 경간과 8.7km의 고가교가 교량을 완성하며, 두 곳 모두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 데크로 건설되었다. 기초는 직경 3m의 현장 타설 말뚝이다.[7] 교량 데크 간의 움직임을 수용하기 위해 Incheon Bridge영어에는 조인트당 최대 50톤의 신축 이음 장치가 장착되었다.
총 연장 21.27km(교량 부분 18.2km)이다. 고가교 구간은 교각 간격이 50m, 접속교 구간은 교각 간격이 145m이다. 사장교는 교각 간격이 800m로, 대한민국에서 교각 간격이 가장 긴 다리이다.
3. 2. 설계
인천대교는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 위치해 있어 하부 구조물에 대한 내진 설계를 채택했다.[6]총 길이 12.3km, 주 케이블 정착 경간이 800m인 인천대교는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긴 사장교이다. 폭 33.4m의 강철/콘크리트 복합 데크는 인천항 출입구 주요 해상로 위 74m 높이에 6차선 교통로를 지지하며, 영종도의 인천국제공항과 송도국제도시,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의 수도권 지역을 연결한다. 사장교 구간은 총 길이 1480m로, 80m, 260m, 800m, 260m, 80m의 5개 경간으로 구성된다. 역 Y자형 주탑의 높이는 230.5m이다. 1.8km의 접근 경간과 8.7km의 고가교가 교량을 완성하며, 두 곳 모두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 데크로 건설되었다. 기초는 직경 3m의 현장 타설 말뚝이다.[7] 교량 데크 간의 움직임을 수용하기 위해 인천대교에는 조인트당 최대 50ton의 신축 이음 장치가 장착되었다.
총 21km가 넘는 대형 구조물이지만 공구 분할은 실시하지 않고, 시공업체가 된 삼성물산 외 7개 회사로 구성된 JV가 모든 것을 담당했다. 공사비 절감을 위해 동남아시아에서 노동자를 초빙하여 공사에 투입했다. 건설 지역은 과거 지진 발생 기록이 있어, 사장교 부분의 구조 설계는 일본의 장대교가 담당하여 내진성을 고려한 설계를 실시했다.
4. 수상 및 평가
인천대교는 많은 국내외 토목 전문가들이 '세계 3대 아름다운 다리'로 꼽는다.[13] 특히 2005년 착공 당시 영국 금융전문지 유로머니가 선정한 '올해의 PF최우수상'을 수상하였고, 2010년에는 일본토목학회에서 주최한 '다니까상'을, 2011년에는 미국토목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OCEA상'을 수상하였다.[13] 그 중에서도 '가장 야경이 아름다운 다리를 꼽는다면 바로 인천대교'를 꼽는다.[13] 전문가들은 "인천대교 앞에 있는 청량산 꼭대기에 올라 줌렌즈 또는 망원경을 통해 인천대교를 바라보는 S코스 경치와 석양은 단연 세계 최고"라고 극찬하고 있다.[13]
5. 통행료
인천대교 통행료는 2009년 10월에 소형 기준 5500KRW으로 결정되었다. 이는 기존 영종도로 이어지는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의 영종대교 통행료 3700KRW과 비교하면 약 2배 가까이 차이가 나는 것으로, 이 때문에 인천광역시 시민들을 중심으로 통행료가 비싸다는 논란이 일었다.[14][15]
이후 국토교통부에서 통행료를 인하하기 위해 2013년부터 인천대교주식회사와 협의를 시작해 2017년 자금재조달을 통해 2017년 8월 15일부터 소형 기준으로 700KRW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이로 인해 매일 이 교량을 통해 출퇴근하는 이용객 기준으로 연간 약 330000KRW씩 절약할 수 있게 되었다.[16][17]
아래 요금표는 2017년 8월 15일부터 적용되는 요금이다.
구분 | 요금 |
---|---|
경차 | 2750KRW |
소형 | 5500KRW |
중형 | 9400KRW |
대형 | 12200KRW |
6. 사건 및 사고
2010년 5월 20일, 인천대교에서 버스 추돌 사고가 발생해 12명이 사망했다.
6. 1. 2010년 버스 추락 사고
2010년 7월 3일 오후 1시 20분경, 포항에서 출발하여 인천국제공항으로 향하던 고속버스가 인천대교 요금소를 통과한 직후, 영종 나들목의 일반도로와 연결되는 고가도로 위에서 앞에 가던 1톤 화물차와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은 채 주행 중 차량 고장으로 멈춰 서 있던 승용차를 피하려다 가드레일을 들이받고 10m 아래 하늘도시 제3공구 공사현장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19][20][21] 이 사고로 14명이 사망하고 10명이 부상을 당했다.[22] 이는 인천대교 개통 이래 20명 이상의 사상자를 낸 최초의 대형사고였다. 사고 원인은 고속버스 운전기사의 과속 및 안전거리(약 100m) 미확보와 추돌당한 마티즈 승용차 운전자가 자동차 고장을 감지하고도 차량 운행을 강행하였고, 고장으로 차량이 정지한 후에도 안전대를 세우는 등의 적극적인 대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23]참조
[1]
Structurae
[2]
웹사이트
Incheon Bridge, Seoul – Road Traffic Technology
http://www.roadtraff[...]
Net Resources International
2009-10-18
[3]
웹사이트
사업소개
http://www.incheonbr[...]
2011-02-04
[4]
웹사이트
Halcrow: Incheon bridge
http://www.halcrow.c[...]
halcrow.com
2011-01-02
[5]
뉴스
Longest Bridge in Korea Opens to Traffic Monday
https://www.wsj.com/[...]
Wall Street Journal
2009-10-19
[6]
웹사이트
Incheon bridge
http://www.arup.com/[...]
arup.com
2011-01-02
[7]
웹사이트
Home
http://www.mageba.ch[...]
[8]
뉴스인용
인천대교 16일 개통… 차량 통행은 19일부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10-20
[9]
뉴스인용
위용 드러내는 인천대교
http://imnews.imbc.c[...]
MBC 뉴스
2009-10-20
[10]
Youtube
위 뉴스의 동영상 (다음 TV팟)
http://tvpot.daum.ne[...]
[11]
웹사이트
공중에 걸린 고속도로 '인천대교'를 다녀와서
http://www.asiae.co.[...]
[12]
간행물
국토교통부공고 제2017-1206호
http://gwanbo.mois.g[...]
2017-08-14
[13]
뉴스인용
야경이 정말 아름다운 인천대교
http://www.incheonin[...]
인천in.com
2011-08-01
[14]
뉴스인용
인천대교 통행료 너무 비싸다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09-10-20
[15]
뉴스인용
인천대교, 통행료 5500원 확정
http://www.kdpress.c[...]
데일리경제
2009-10-20
[16]
문서
1년 근무일수를 235일 (휴일 120일 및 휴가 10일 제외)로 적용한 값임.
[17]
블로그
국토교통부, 인천대교 통행료 인하 실시!
http://blog.naver.co[...]
국토교통부 공식블로그
2017-08-09
[18]
뉴스인용
인천 유나이티드, 지역 명물 '인천대교' 달고 뛴다
http://www.sportsseo[...]
스포츠서울
2009-10-20
[19]
뉴스
<그래픽> 인천대교 고속버스 추락 참사 상황도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0-07-04
[20]
좌표
[21]
뉴스
'떨어져 나간 의자만이…' 진흙탕 추락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10-07-03
[22]
뉴스인용
인천대교 버스추락, 사망자 1명 추가 총 14명
http://www.cbs.co.kr[...]
노컷뉴스
2010-07-20
[23]
뉴스
인천대교 개통후 첫 대형사고… 안전대책 도마에
http://biz.heraldm.c[...]
헤럴드경제
2010-07-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