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시철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 도시철도는 인천광역시와 수도권을 연결하는 도시 철도 시스템으로, 현재 1호선, 2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부천 및 인천 구간)의 세 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1호선은 계양역에서 송도달빛축제공원역까지, 2호선은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 운행하며, 7호선은 부천 까치울역에서 석남역까지 운행한다. 1호선은 1999년 개통되었으며, 2호선은 2016년에 개통되었다. 2023년 기준 총 3개 노선의 연간 이용객은 1억 4천만 명 이상이다. 향후 인천 도시철도는 3호선 순환선, 주안송도선 등 노선 확장을 계획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부천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부천시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 경부선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간선 철도로, 일제강점기에 건설되어 한국 경제 발전에 기여했으며, KTX 개통 등 지속적인 개량을 통해 고속철도 시대를 열었지만, 선로 용량 부족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인천 도시철도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소유주 | 인천광역시청, 부천시청 |
운영자 | 인천교통공사 |
운행 지역 | 인천광역시, 부천시 |
종류 | 도시 철도 |
체계 | 수도권 전철 |
노선 수 | 3 |
역 수 | 65 |
개통일 | 1999년 10월 6일 |
실거리 | 73.8km |
수송량 | 199,527 명 |
노선 정보 | |
시스템 맵 | |
![]() | |
기타 | |
로마자 표기 | Incheon dosi cheoldo |
한글 표기 | 인천도시철도 |
한자 표기 | 仁川都市鐵道 |
2. 노선
인천 도시철도는 현재 인천광역시 내에서 운행되는 두 개의 노선과 서울 지하철 7호선을 통해 수도권 지역과 연결되어 있다.
노선색 | 노선명 | 기점 | 종점 | 연장 | 역 수 | 운영 |
---|---|---|---|---|---|---|
style="background-color:;"| | 1호선 | 계양 | 송도달빛축제공원 | 30.3km | 30 | 인천교통공사 |
style="background-color:;"| | 2호선 | 검단오류 | 운연 | 29.1km | 27 | |
style="background-color:;"| | 서울 지하철 7호선(부천 및 인천 구간) | 까치울 | 석남 | 14.4km | 11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부천 및 인천 구간)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각 노선의 문서를 참조하면 된다.
2. 1. 1호선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계양구 계양역과 연수구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을 잇는 30.3km 길이의 남북 지하철 노선이다.[2] 1999년 10월 6일 개통되었으며, 서울, 부산, 대구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네 번째로 개통한 지하철 시스템이다. 서울 지하철 1호선 부평역과 수인-분당선 원인재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 북쪽의 계양역에서 남쪽의 국제업무지구역까지 1호선을 따라 이동하는 데 약 57분이 소요된다. 1호선의 색상은 밝은 파란색이다.1999년 10월 6일 박촌역~동막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05년 1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약 27만 6천 명이다.[6]
2007년 3월에는 계양역까지 1개 역이 연장 개통되어 공항철도로 환승할 수 있게 되었다. 2009년 6월에는 6개 역이 남쪽으로 연장 개통되었다.
1호선은 8량 1편성, 총 34개 열차를 운행한다. 처음 25개 열차는 1998년에서 1999년 사이에 대우중공업과 로템에서 제작되었으며, 마지막 9개 열차는 노선 연장에 따라 2007년에서 2008년 사이에 현대로템에서 제작되었다.
2025년 5월경, 검단신도시 개발에 따른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검단 연장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향후 송도 국제도시 노선에 인천타워 구간이 추가로 설치될 예정이며, 계양역에서 검단까지 노선을 연장하는 계획이 있다.
2. 2. 2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서구 검단오류역에서 남동구 운연역까지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같은 중전철로 계획되었으나, 이후 경전철로 변경되어 2016년 7월 30일에 개통되었다.총 길이는 29.1km이며, 검암역(공항철도), 주안역(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시청역(인천 도시철도 1호선)에서 환승할 수 있다. 아시아드 주경기장 북쪽에 지상 구간이 있으며, 노선 색상은 주황색이다.
2013년 현대 로템에서 제작한 2량 1편성 열차 37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2. 3. 서울 지하철 7호선 (부천 및 인천 구간)
서울 지하철 7호선은 2012년 10월 27일에 온수역 너머로 연장되어 서울시를 벗어나 인천까지 10.2km 구간, 9개의 역이 추가되었다. 이 연장 구간은 부평구청역에서 끝나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연결되었다.[1] 2021년 5월 22일, 7호선은 석남역까지 3.94km 연장 개통되어 인천으로 더 깊숙이 연장되었다.[2] 인천시와 부천시 구간은 인천교통공사가 자체 보유한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로 운영하며, 두 차량은 서로의 노선 구간에서 직결 운행을 한다.[3]부천 및 인천 구간은 인천 도시철도 3호선의 역할을 수행하며, 온수역부터 석남역까지 인천교통공사 7호선 운영사업단 소속 승무원이 전담한다. 승무 교대는 온수역에서 이루어진다.[4] 7호선 부천 및 인천 구간은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2호의 나목을 충족하지 않아 인천 도시철도로 엄연히 분류되기 때문에, 2021년 5월 22일에 개통된 석남 연장 구간을 비롯한 청라국제도시 구간에 대한 건설 및 운영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5] 향후 청라국제도시역까지 연장하여 AREX로 환승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6]
3. 이용 인원
노선 | 구간 | 승차 인원 (2023년) | 일일 평균 승차 인원 | 하차 인원 (2023년) | 일일 평균 하차 인원 |
---|---|---|---|---|---|
계양 ~ 송도달빛축제공원 | 67,608,325명 | 368,884명 | 67,034,349명 | 267,582명 | |
검단오류 ~ 운연 | 43,628,775명 | 238,873명 | 43,560,050명 | 169,506명 | |
까치울 ~ 석남 | 35,736,926명 | 193,576명 | 34,918,137명 | 163,905명 | |
총계 | 총 3개 노선 | 146,974,026명 | 801,333명 | 145,512,536명 | 600,993명 |
4. 향후 확장 계획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송도국제도시에 인천타워 구간을 추가로 설치하고, 계양역에서 검단까지 노선을 연장할 계획이다.
4. 1. 3호선 (계획)
인천 도시철도 3호선은 도원역을 기점으로 하는 순환 노선으로 계획되어 있다. 도원역에서 서울 지하철 1호선과, 동막역에서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될 예정이다. 노선 색상은 밝은 녹색이다. 개통 시기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4. 2. 주안송도선 (계획)
'''주안송도선'''은 인천시에서 제안된 총 14.1km 길이의 노면 전차 노선이다. 2028년에 착공하여 2033년 운행을 목표로 한다.[3] 차량은 1편성(5량 1편성)의 노면 전차 차량으로 운행되며, 48개의 좌석과 171개의 입석을 수용할 수 있다. 총 12대의 차량으로 운행될 예정이며, 첨두 시 운행 간격은 4.5분이다. 주안역(수도권 전철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시민공원역(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하대역, 학익역, 송도역(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인천대입구역(인천 도시철도 1호선)에서 환승이 가능하다.[4]4. 3. 기타 확장 계획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은 계양역에서 검단까지, 그리고 송도국제도시 노선에 인천타워 구간을 추가로 연장하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참조
[1]
웹사이트
인천교통공사
https://www.ictr.or.[...]
2024-08-02
[2]
웹사이트
General information
https://web.archive.[...]
Incheon Transit Corporation
2015-04-24
[3]
뉴스
주안송도선 2028년 착공 목표
https://www.incheont[...]
[4]
뉴스
인천시,‘부평연안부두선’등 8개 노선, 87.79km 확충 나선다
https://www.incheon.[...]
[5]
웹사이트
Incheon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https://www.incheon.[...]
[6]
웹인용
인천지하철 수송실적
https://web.archive.[...]
2006-03-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