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서울 동북부 청량리역에서 인천역을 잇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다. 1994년 분당선 구간이 개통되었고, 2012년 수인선 구간이 개통된 후 2020년 두 노선이 통합되었다. 현재 분당선 급행은 고색역과 죽전역 사이, 수인선 급행은 인천역과 오이도역 사이를 운행하며, 2026년 학익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는 대한민국 최초로 VVVF 제어와 유도전동기를 채용한 전동차로, 스테인리스 차체와 에어스프링 대차를 적용하여 승차감을 높였으며, 여러 세대에 걸쳐 개량되어 수도권 노선에서 운행 중이고 향후 추가 도입 계획도 있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철도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국제공항철도는 서울과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으로, 서울역, 김포공항역, 인천공항1터미널역 등을 지나 직통열차와 일반열차를 운행한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1994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분당선
    분당선은 서울 왕십리역과 경기 수원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인선과 직결되어 인천역까지 운행하며, 급행 열차 운행, 소음 문제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기도 했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노선 이름수인·분당선
고유 이름수인·분당선(水仁·盆唐線)
로마자 표기Suin-Bundang-seon
노선 색상노란색
노선 번호K2
노선 종류광역철도
운영 체계수도권 전철
운영 주체한국철도공사
소유자국가철도공단
개통일2020년 9월 12일 (수인선 전 구간 개통 및 직결 운행 개시)
개통 역사1994년 9월 1일: 분당선 (수서~오리)
2003년 9월 3일: 분당선 (선릉~수서)
2004년 11월 26일: 분당선 (오리~보정)
2011년 12월 28일: 분당선 (보정~기흥)
2012년 6월 30일: 수인선 (오이도~송도)
2012년 10월 6일: 분당선 (왕십리~선릉)
2012년 12월 1일: 분당선 (기흥~망포)
2013년 11월 30일: 분당선 (망포~수원)
2016년 2월 27일: 수인선 (송도~인천)
2018년 12월 31일: 분당선 (청량리~왕십리)
운행 상태영업 중
기점청량리역 (일부 열차) 또는 왕십리역 (대부분 열차)
직결점수원역
종점인천역
역 수63
경유 노선경원선, 분당선, 수인선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3차분
351000호대 전동차
351000系4次車
351000系4次車
분당선 열차 죽전역 출발 장면
분당선 열차 죽전역 출발 장면
수인분당선 노선도
노선도 (노란색 U자 형태)
노선 정보
총 연장104.5 km
선로2
궤간1,435 mm (표준궤)
전철화 방식교류 25,000 V, 60 Hz 가공 전차선 방식
신호 방식ATC (왕십리역 - 고색역)
ATS (청량리역 - 왕십리역, 고색역 - 인천역)
차량 기지분당차량사업소, 시흥차량사업소
운행 차량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61편성)
최고 속도ATC 구간 (왕십리역~고색역): 80km/h
ATS 구간 (청량리역~왕십리역, 고색역~인천역): 100km/h
기타 정보
공식 웹사이트돌아온 수인선, 하나로 이어진 수인분당선!

2. 연혁


  • '''분당선 구간'''

1994년 9월 1일 : 수서역 ~ 오리역 구간이 분당선으로 정식 개통되었다.[4]

2003년 9월 3일 : 수서역 ~ 서울릉역 구간이 북쪽으로 연장되었다.[4]

2004년에는 1월 16일 이매역, 9월 24일 구룡역, 11월 26일 보정역(임시역)이 신설 개통되었다.[4]

2007년 12월 24일 : 죽전역이 신설 개통되었다.[4]

2011년 12월 28일 : 죽전역 ~ 기흥역 구간이 남쪽으로 연장되었고, 임시 보정역이 지하철역인 새로운 보정역으로 대체되었다.[2][4]

2012년 10월 6일 : 서울릉역 ~ 왕십리역 구간이 북쪽으로 연장되었다.[4]

2012년 12월 1일 : 기흥역 ~ 망포역 구간이 남쪽으로 연장되었다.[4]

2013년 11월 30일 : 망포역 ~ 수원역 구간이 서쪽으로 연장되어 1호선과 연결되었고, 급행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4]

2018년 12월 31일 : 청량리역까지 북동쪽으로 연장되어 경춘선, 1호선 및 광역철도와 연결되었다.[4]

2022년 12월 : 분당선 구간 노후화로 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11]

  • '''수인선 구간'''

2012년 6월 30일 : 오이도역 ~ 송도역 구간이 수인선으로 개통되었다.[3][4]

2014년 12월 27일 : 달월역이 신설되었다.

2016년 2월 27일 : 송도역 ~ 인천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3][4]

2017년 7월 10일 : 수인선 구간에 급행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0년 9월 12일 : 수원역 ~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고,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9][4]
2020년 2월 2일 : 수원역 ~ 한대앞역 구간 시험운행이 개시되었다.[7]

2020년 5월 29일 :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라 수원역 ~ 오이도역 구간이 부활되었다.[8]

2020년 9월 12일 : 수인선 수원역 ~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고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9][4]

2020년 11월 1일 : 한대앞역 ~ 고색역 구간 평일 출/퇴근 시간에 한하여 상/하행 6회 열차 증편이 이루어졌다.[10]

2022년 12월 : 분당선 구간 노후화로 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11]

2026년 상반기 이후 : 학익역 개통 예정이다.

2. 1. 분당선 구간

1994년 9월 1일 : 수서역 ~ 오리역 구간이 분당선으로 정식 개통되었다.[4]

2003년 9월 3일 : 수서역 ~ 서울릉역 구간이 북쪽으로 연장되었다.[4]

2004년에는 1월 16일 이매역, 9월 24일 구룡역, 11월 26일 보정역(임시역)이 신설 개통되었다.[4]

2007년 12월 24일 : 죽전역이 신설 개통되었다.[4]

2011년 12월 28일 : 죽전역 ~ 기흥역 구간이 남쪽으로 연장되었고, 임시 보정역이 지하철역인 새로운 보정역으로 대체되었다.[2][4]

2012년 10월 6일 : 서울릉역 ~ 왕십리역 구간이 북쪽으로 연장되었다.[4]

2012년 12월 1일 : 기흥역 ~ 망포역 구간이 남쪽으로 연장되었다.[4]

2013년 11월 30일 : 망포역 ~ 수원역 구간이 서쪽으로 연장되어 1호선과 연결되었고, 급행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4]

2018년 12월 31일 : 청량리역까지 북동쪽으로 연장되어 경춘선, 1호선 및 광역철도와 연결되었다.[4]

2022년 12월 : 분당선 구간 노후화로 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11]

2. 2. 수인선 구간

2012년 6월 30일 : 오이도역 ~ 송도역 구간이 수인선으로 개통되었다.[3][4]

2014년 12월 27일 : 달월역이 신설되었다.

2016년 2월 27일 : 송도역 ~ 인천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3][4]

2017년 7월 10일 : 수인선 구간에 급행 열차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0년 9월 12일 : 수원역 ~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고,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9][4]

2026년 상반기 이후 : 학익역 개통 예정이다.

2. 3. 수인·분당선 통합 이후

2020년 2월 2일 : 수원역 ~ 한대앞역 구간 시험운행이 개시되었다.[7]

2020년 5월 29일 : 철도거리표 개정에 따라 수원 ~ 오이도 구간이 부활되었다.[8]

2020년 9월 12일 : 수인선 수원역 ~ 오이도역 구간이 개통되고 분당선과 직결 운행을 시작하면서 '''수인·분당선'''으로 통합되었다.[9][4]

2020년 11월 1일 : 한대앞역 ~ 고색역 구간 평일 출/퇴근 시간에 한하여 상/하행 6회 열차 증편이 이루어졌다.[10]

2022년 12월 : 분당선 구간 노후화로 보수 공사가 완료되었다.[11]

2026년 상반기 이후 : 학익역 개통 예정이다.

3. 운영

'''하행'''


  • 청량리~인천 구간 평일: 2회, 주말·공휴일: 3회
  • 청량리~고색 구간 평일: 1회, 주말·공휴일: 1회
  • 청량리~죽전 구간 평일: 6회, 주말·공휴일: 1회
  • 왕십리~인천 구간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0회
  • 왕십리~고색 구간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5회
  • 왕십리~죽전 구간 평일: 62회, 주말·공휴일: 35회
  • 죽전~인천 구간 평일: 3회, 주말·공휴일: 1회(첫차)
  • 죽전~고색 구간 평일: 13회, 주말·공휴일: 2회(첫차)
  • 오이도~인천 구간: 평일 37회, 주말·공휴일: 37회
  • 왕십리~오이도 구간 평일 2회(막차), 주말·공휴일(막차)1회
  • 왕십리~고색 구간 급행 7회, 주말·공휴일: 없음
  • 오이도~인천 구간 급행 3회, 주말·공휴일: 없음
  • 고색~인천 구간 평일: 1회(첫차), 주말·공휴일: 1회(첫차)


'''상행'''

  • 인천~청량리 구간 평일: 3회, 주말·공휴일: 없음
  • 인천~왕십리 구간 평일: 41회, 주말·공휴일: 33회
  • 인천~죽전 구간 평일: 3회(막차), 주말·공휴일: 1회
  • 인천~고색 구간 평일: 1회(막차), 주말·공휴일: 1회(막차)
  • 인천~오이도 구간 평일: 34회, 주말·공휴일: 37회
  • 오이도~왕십리 구간 평일: 1회(첫차), 주말·공휴일: 1회(첫차)
  • 고색~청량리 구간 평일: 2회, 주말·공휴일: 2회
  • 고색~왕십리 구간 평일: 51회, 주말·공휴일: 35회
  • 고색~죽전 구간 평일: 2회, 주말·공휴일: 1회(막차)
  • 죽전~청량리 구간 평일: 3회, 주말·공휴일: 3회
  • 죽전~왕십리 구간 평일: 60회, 주말·공휴일: 59회
  • 인천~오이도 구간 급행 5회, 주말·공휴일: 없음
  • 고색~청량리 구간 급행 1회, 주말·공휴일: 없음
  • 고색~왕십리 구간 급행 6회, 주말·공휴일: 없음


한국철도공사(Korail)는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에서 출퇴근 시간대에 지역 철도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급행열차를 운영한다.[6] 이러한 서비스는 다음과 같다.

==== 급행 운행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출퇴근 시간대에 지역 철도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급행열차를 운영한다.[6] 분당선 급행은 고색역죽전역 사이를 급행으로 운행하고, 왕십리역 또는 청량리역까지는 일반 열차로 운행한다. 수인선 급행은 인천역과 오이도역 사이를 급행으로 운행한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상행 7회(1회만 청량리역까지 운행),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하행 7회 운행하며, 수인선은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상행 5회,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하행 3회 운행한다.

하행은 청량리역/왕십리역/죽전역/오이도역/고색역을 기점으로 하여 인천행, 고색행, 죽전행, 오이도행 열차가 평일/주말, 공휴일에 따라 횟수의 차이를 두어 운행한다. 상행은 인천역/오이도역/고색역/죽전역을 기점으로 하여, 청량리행, 왕십리행, 죽전행, 고색행 열차가 평일/주말, 공휴일에 따라 횟수의 차이를 두어 운행한다.

급행열차는 분당선·수인선 직통 운행 개시 후에도 청량리역에서 인천역까지 직통하는 열차는 운행되지 않는다.(완행만 운행된다.)[6]

==== 완행 운행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평일 및 주말·공휴일에 따라 운행 횟수가 다르다. 하행 기준으로 청량리~인천 구간은 평일 2회, 주말·공휴일 3회 운행하고, 왕십리~인천 구간은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0회 운행한다. 왕십리~고색 구간은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하며, 왕십리~죽전 구간은 평일 62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한다. 오이도~인천 구간은 평일과 주말·공휴일 모두 37회 운행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구간에서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행 기준으로 인천~청량리 구간은 평일 3회, 주말·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으며, 인천~왕십리 구간은 평일 41회, 주말·공휴일 33회 운행한다. 인천~오이도 구간은 평일 34회, 주말·공휴일 37회 운행한다. 고색~왕십리 구간은 평일 51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하고, 죽전~왕십리 구간은 평일 60회, 주말·공휴일 59회 운행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구간에서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왕십리-인천 간은 하루 140회, 왕십리-고색 간은 하루 56회, 왕십리-죽전 간은 하루 114회, 오이도-인천 간은 하루 38회 운행한다.

3. 1. 급행 운행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출퇴근 시간대에 지역 철도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급행열차를 운영한다.[6] 분당선 급행은 고색역과 죽전역 사이를 급행으로 운행하고, 왕십리역 또는 청량리역까지는 일반 열차로 운행한다. 수인선 급행은 인천역과 오이도역 사이를 급행으로 운행한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상행 7회(1회만 청량리역까지 운행),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하행 7회 운행하며, 수인선은 평일 아침 러시아워 시간대에 상행 5회,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하행 3회 운행한다.

하행은 청량리/왕십리/죽전/오이도/고색을 기점으로 하여 인천행, 고색행, 죽전행, 오이도행 열차가 평일/주말, 공휴일에 따라 횟수의 차이를 두어 운행한다. 상행은 인천/오이도/고색/죽전을 기점으로 하여, 청량리행, 왕십리행, 죽전행, 고색행 열차가 평일/주말, 공휴일에 따라 횟수의 차이를 두어 운행한다.

급행열차는 분당선·수인선 직통 운행 개시 후에도 청량리역에서 인천역까지 직통하는 열차는 운행되지 않는다.(완행만 운행된다.)[6]

3. 2. 완행 운행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평일 및 주말·공휴일에 따라 운행 횟수가 다르다. 하행 기준으로 청량리~인천 구간은 평일 2회, 주말·공휴일 3회 운행하고, 왕십리~인천 구간은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0회 운행한다. 왕십리~고색 구간은 평일 42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하며, 왕십리~죽전 구간은 평일 62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한다. 오이도~인천 구간은 평일과 주말·공휴일 모두 37회 운행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구간에서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행 기준으로 인천~청량리 구간은 평일 3회, 주말·공휴일에는 운행하지 않으며, 인천~왕십리 구간은 평일 41회, 주말·공휴일 33회 운행한다. 인천~오이도 구간은 평일 34회, 주말·공휴일 37회 운행한다. 고색~왕십리 구간은 평일 51회, 주말·공휴일 35회 운행하고, 죽전~왕십리 구간은 평일 60회, 주말·공휴일 59회 운행한다. 이 외에도 다양한 구간에서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다.

왕십리-인천 간은 하루 140회, 왕십리-고색 간은 하루 56회, 왕십리-죽전 간은 하루 114회, 오이도-인천 간은 하루 38회 운행한다.

4. 역 목록

거리누적
거리소재지경원선K209청량리Cheongnyangni淸凉里미운행전역정차{{한국 도시철도
{{한국 도시철도
{{한국 도시철도 (일부)
경원선
중앙선-0.0서울특별시동대문구K210왕십리Wangsimni往十里{{한국 도시철도
{{한국 도시철도
{{한국 도시철도
경원선2.42.4성동구분당선K211서울숲(에스엠타운)Seoul Forest(SMTOWN)서울숲2.24.6K212압구정로데오Apgujeongrodeo狎鷗亭로데오1.96.5강남구K213강남구청Gangnam-gu Office江南區廳{{한국 도시철도1.27.7K214선정릉Seonjeongneung宣靖陵{{한국 도시철도0.78.4K215선릉Seolleung宣陵{{한국 도시철도0.79.1K216한티Hanti한티1.010.1K217도곡Dogok道谷{{한국 도시철도0.710.8K218구룡Guryong九龍0.611.4K219개포동Gaepo-dong開浦洞0.712.1K220대모산입구Daemosan大母山入口0.612.7K221수서Suseo水西{{한국 도시철도
{{한국 도시철도
SRT3.015.7K222복정(동서울대학)Bokjeong(Dongseoul Univ.)福井(東서울大學校){{한국 도시철도3.218.9송파구K223가천대Gachon Univ.嘉泉大2.421.3경기도성남시K224태평Taepyeong太平1.022.3K225모란Moran牡丹{{한국 도시철도0.923.2K226야탑Yatap野塔2.325.5K227이매(성남아트센터)Imae(Seongnam Art Center)二梅{{한국 도시철도1.727.2K228서현(페퍼저축은행)Seohyeon(Pepper Savings Bank)書峴1.428.6K229수내(한국잡월드)Sunae(Korea JobWorld)藪內1.129.7K230정자Jeongja亭子{{한국 도시철도1.631.3K231미금(분당서울대병원)Migeum(Seoul Nat'l Univ. Bundang Hospital)美金{{한국 도시철도1.833.1K232오리Ori梧里1.134.2K233죽전(단국대)Jukjeon(Dankook Univ.)竹田●1.836.0용인시K234보정Bojeong寶亭||1.337.3K235구성Guseong駒城||{{한국 도시철도1.638.9K236신갈Singal新葛||1.640.5K237기흥(백남준아트센터)Giheung(Nam June Paik Art Center)器興●●{{한국 도시철도1.441.9K238상갈(루터대학교)Sanggal(Luther Univ.)上葛||1.943.8K239청명Cheongmyeong淸明||2.846.6수원시K240영통(경희대)Yeongtong(Kyung Hee Univ.)靈通||1.147.7K241망포Mangpo網浦●●1.549.2K242매탄권선Maetan Gwonseon梅灘勸善||1.851.0K243수원시청(경기아트센터)Suwon City Hall(Gyeonggi Art Center)水原市廳●●1.452.4K244매교Maegyo梅橋||1.453.8K245수원Suwon水原●●{{한국 도시철도
경부선1.555.3수인선K246고색Gosaek古索●2.758.0K247오목천(수원여대)Omokcheon(Suwon Women's Univ.)梧木川미운행1.659.6K248어천Eocheon漁川5.164.7화성시K249야목Yamok野牧2.667.3K250사리Sari四里4.772.0안산시K251한대앞Hanyang Univ. at Ansan漢大前{{한국 도시철도2.274.2K252중앙(서울예술대)Jungang(Seoul Institute of the Arts)中央1.675.8K253고잔(고대안산병원)Gojan(Korea Univ. Ansan Hospital)古棧1.477.2K254초지(신안산대)Choji(Shin Ansan Univ.)草芝{{한국 도시철도1.578.7K255안산Ansan安山1.880.5K256신길온천Singil oncheon新吉溫泉2.282.7K257정왕(한국공학대)Jeongwang(Tech Univ. of Korea)正往2.985.6시흥시K258오이도Oido烏耳島●style="text-align: left;"|1.487.0K259달월Darwol達月|2.189.1K260월곶Wolgot月串|1.590.6K261소래포구Soraepogu蘇萊浦口●1.391.9인천광역시남동구K262인천논현Incheon Nonhyeon仁川論峴●1.092.9K263호구포Hogupo虎口浦|1.394.2K264남동인더스파크Namdong Induspark南洞産業團地[12]|1.395.5K265원인재Woninjae源仁齋●{{한국 도시철도1.096.5연수구K266연수Yeonsu延壽●0.997.7K267송도Songdo松島|2.7100.4K268학익Hagik鶴翼|1.3style="text-align: right;" |미추홀구K269인하대Inha Univ.仁荷大●2.4101.5K270숭의(인하대병원)Sungui(Inha Univ. Hospital)崇義|1.8103.3K271신포Sinpo新浦|1.5104.8중구K272인천Incheon仁川●{{한국 도시철도1.1105.9

5. 차량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는 6량 편성으로, 수인·분당선의 청량리 - 왕십리 - 인천 구간에서 운행된다. 1993년부터 도입된 1세대(351-01~351-22)는 2030년대 중반 퇴역 예정이다. 이후 2003년부터 2세대(351-23~351-28), 2011년부터 3세대(351-29~351-43, 351–61~351–78), 2022년부터 4세대(351-44~351-59, 351-79) 전동차가 순차적으로 도입되었다.

한국철도 351000호대 전동차 (1세대)


한국철도 351000호대 전동차 (2세대)


한국철도 351000호대 전동차 (3세대)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는 6량 편성으로, 오이도-인천 구간에서만 운행된다.

6. 문제점 및 논란

6. 1. 일부 구간 지하화 문제

당초 수원시 구간인 오목천 ~ 고색 구간은 지상으로 건설될 예정이었으며, 경부선과 수인선을 잇는 세류 ~ 고색 구간에는 화물용 삼각선이 설치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있었고, 수원시가 지하화 비용을 부담하는 조건으로 지하화 협약이 체결되면서 삼각선 계획은 폐지되었다.[13]

6. 2. 12호선 직결 논란

서울 경전철 동북선을 중전철로 건설하여 분당선과 직결시키자는 주장이 왕십리 ~ 상계 구간 지역사회에서 나왔었다.[14] 그러나 2019년 10월 9일 동북선 경전철이 착공이 확정되면서 연장계획은 사실상 무산되었으며, 분당선이 청량리역으로 연장되면서 사실상 불가능해졌다.[14]

6. 3. 소음 문제

1994년 최초 개통 이후 30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소음 문제로 인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수인·분당선은 노선 특성상 곡선반경 250m 이내의 곡선과 하저터널에 의한 급구배 구간이 많다. 또한 지상 구간을 제외한 모든 지하 구간이 콘크리트 도상으로 되어 있어 주행 소음의 난반사가 심하다. 특히 특정 구간의 주행 소음은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전 구간 중 최고 수준이다. 한국철도공사는 방음 패드 사용 등의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지하 구간에서 자갈 대신 콘크리트 도상을 사용한 것도 소음 문제의 원인 중 하나다. 분당선의 경우 왕십리역~청량리역, 오리역~보정역 구간을 제외한 대부분의 구간이 지하이다. 자갈 도상은 자갈 사이의 빈 공간으로 소음을 흡수하지만, 콘크리트 도상은 소음을 반사한다. 직선 주로에서는 큰 문제가 없지만, 곡선 주로에서는 85데시벨을 넘는 심각한 소음이 발생하기도 한다.

한국철도공사는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전동차의 주변환장치 VVVF 인버터를 도시바GTO에서 우진산전제 IGBT로 교체하고, 신규 전동차를 도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음 문제는 여전히 심각한 상황이다.

7. 향후 계획

2026년에 송도역인하대역 사이에 학익역이 개통될 예정이다. 또한, 2025년까지 수원에 연결선을 건설하여 경부고속철도인천역수인선을 통해 KTX가 운행할 수 있도록 검토 중이다.

참조

[1] 웹사이트 돌아온 수인선, 하나로 이어진 수인분당선! https://www.korea.kr[...]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Korea.kr 2020-09-17
[2] 뉴스 Date Announced For Southern Bundang Extension http://kojects.com/2[...] 2011-11-13
[3] 웹사이트 경기신문 {{!}}{{!}} 수인선 전철 안산 구간 29일 착공 http://www.kgnews.co[...] 2011-05-01
[4] 간행물 Final phase of Korea's Suin Line complete https://www.railjour[...] Simmons-Boardman Publishing Inc. 2020-09-15
[5] 뉴스 “25분 거리를 10분만에… 지역경제도 살아났으면”… 27일 완전 재개통 앞둔 수인선 시범 운행 http://news.kmib.co.[...] 국민일보 2016-02-24
[6] 웹사이트 수인분당선 급행열차 시간표 (2020년 9월 12일부) https://transitin.ti[...]
[7] 뉴스 철도공단, 수인선 수원~한대앞 구간 종합시험운행 착수 https://www.fnnews.c[...] 파이낸셜뉴스 2020-02-02
[8]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20-414호 http://gwanbo.mois.g[...] 2020-05-29
[9] 뉴스 12일 수원역~인천역 잇는 수인선 전체 구간 연결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0-09-09
[10] 웹인용 수인분당선 출/퇴근 시간대 증편.. 배차 간격 5분 단축 https://www.donga.co[...]
[11] 뉴스 분당선, 6월부터 운행시간 조정…"낡고 위험한 철도 집중개량 할 것" https://news.naver.c[...] 뉴스1 2020-03-31
[12] 뉴스 수인선 신설역사 8개역명 확정 https://news.naver.c[...] 뉴시스 2012-05-15
[13] 뉴스 수원시-철도공단, 수인선 수원구간 지하화 협약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3-11
[14] 뉴스 강남은 중전철! 강북은 경전철? 서울 동북부 5개 구민, 동북선 중전철화 요구 http://www.yonhap21.[...] 지역연합신문 2014-03-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