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리천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리천 전투는 후삼국 시대 말기 고려와 후백제 간에 벌어진 전투이다. 고려군은 태조 왕건과 견훤이 총지휘했으며, 좌강, 중군, 우강으로 나뉘어 각 부대별로 병력을 편성했다. 고려군 규모에 대한 기록은 《고려사》에 87,500명, 《삼국사기》에 10만 명 이상으로 나오지만, 국사편찬위원회의 분석에 따르면 과장되었을 수 있다는 이견도 존재한다. 이 전투는 고려의 후삼국 통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후백제의 멸망을 이끌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백제가 참가한 전투 - 공산 동수 전투
    공산 동수 전투는 927년 고려 태조 왕건이 후백제 견훤에게 대패한 전투로, 신라 구원 과정에서 왕건은 견훤의 기습을 받아 신숭겸을 비롯한 많은 장수를 잃었으나, 왕건은 목숨을 건지고 후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리천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일리천 전투
관련후삼국 통일
날짜936년 9월
장소일선군(一善郡) 일리천(一利川).
(현 구미시 인동동 일대)
결과고려의 압도적 승리, 후백제의 패주,
황산 전투에서 후백제 항복, 멸망.
교전 세력
교전국 1고려
교전국 2후백제
지휘관 및 지도자
고려고려 태조 왕건
견훤
술희
왕순식
유금필
견권
김철
후백제후백제 왕 신검
청주성주 양검
광주성주 용검
효봉
덕술
애술
명길
병력 규모
고려87,500명(고려사), 107,500명(삼국사기)
후백제불명
피해 규모
고려불명
후백제전사 5,700명
포로 3,200명
기타

2. 전투의 배경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다시 시도해주세요.)

3. 고려군의 진용

일리천 전투에 참전한 고려군은 좌강, 중군, 우강의 3군과 이를 지원하는 3군 원병, 제성군으로 편성되었다.

좌강은 견권, 술희, 황보금산, 강유영 등이 이끄는 마군 1만 명과 능달, 기언, 한순명, 흔악, 영직, 광세 등이 이끄는 지천군 보군 1만 명으로 구성되었다.

중군은 왕순식이 이끄는 마군 2만 명, 유금필, 관무, 관헌 등이 이끄는 흑수, 달고, 철륵 등의 경기병 9,500명, 정순, 애진 등이 이끄는 우천군 보군 1천 명, 종희, 견훤 등이 이끄는 천무군 보군 1천 명, 김극종, 조간 등이 이끄는 간천군 보군 1천 명으로 구성되었다.

우강은 김철, 홍유, 박수경, 연주, 훤량 등이 이끄는 마군 1만 명과 삼순, 준량, 영유, 길강충, 흔계 등이 이끄는 보천군 보군 1만 명으로 구성되었다.

3군 원병은 공훤, 능필, 왕함윤 등이 이끄는 기병 300명이었고, 제성군은 14,700명이었다.[1]

3. 1. 총지휘부

태조 왕건, 견훤[1]

직책이름병력
좌강(左綱)대상(大相) 견권, 술희, 황보금산, 원윤(元尹) 강유영 등마군(馬軍) 1만명
지천군(支天軍) 대장군(大將軍)원윤 능달, 기언, 한순명, 흔악, 정조(正朝) 영직, 광세 등보군(步軍) 1만명
중군(中軍)명주대광(溟州大匡) 왕순식, 대상 긍준, 왕렴, 왕예, 원보 인일 등마군(馬軍) 2만명
대상 유금필, 원윤 관무, 관헌 등흑수(黑水)·달고(達姑)·철륵(鐵勒) 제번(諸蕃) 경기(勁騎) 9,500명
우천군(祐天軍) 대장군원윤 정순, 정조 애진 등보군(步軍) 1천명
천무군(天武軍) 대장군원윤 종희, 정조 견훤 등보군(步軍) 1천명
간천군(杆天軍) 대장군김극종, 원보 조간보군(步軍) 1천명
우강(右綱)대상 김철, 홍유, 박수경, 원보(元甫) 연주, 원윤 훤량 등마군(馬軍) 1만명
보천군(補天軍) 대장군원윤 삼순, 준량, 정조 영유, 길강충, 흔계 등보군(步軍) 1만명
3군 원병(三軍援兵)대장군 대상 공훤, 원윤 능필, 장군(將軍) 왕함윤 등기병(騎兵) 300명
제성군(諸城軍)14,700명


3. 2. 좌강

부대지휘관병력
좌강견권(堅權), 술희(述希), 황보금산(皇甫金山), 원윤(元尹) 강유영(康柔英)마군(馬軍) 1만 명
지천군(支天軍)대장군(大將軍) 원윤 능달(能達), 기언(奇言), 한순명(韓順明), 흔악(昕岳), 정조(正朝) 영직(英直), 광세(廣世)보군(步軍) 1만 명

[1]

3. 3. 중군

왕순식(王順式)이 이끄는 중군은 대상 긍준(兢俊), 왕렴(王廉), 왕예, 원보 인일(仁一) 등 마군(馬軍) 2만 명으로 구성되었다.[1] 대상 유금필(庾黔弼), 원윤 관무(官茂), 관헌(官憲) 등은 흑수(黑水), 달고(達姑), 철륵(鐵勒) 제번[1]경기[2](諸蕃勁騎) 9,500명을 이끌었다. 우천군(祐天軍) 대장군 원윤 정순(貞順), 정조 애진(哀珍) 등 보군(步軍) 1천 명, 천무군(天武軍) 대장군 원윤 종희(宗熙), 정조 견훤(見萱) 등 보군(步軍) 1천 명, 간천군(杆天軍) 대장군 김극종(金克宗), 원보 조간(助杆) 등 보군(步軍) 1천 명도 중군에 소속되었다.

3. 4. 우강

김철, 홍유, 박수경, 원보 연주, 원윤 훤량 등이 이끄는 마군(馬軍) 1만 명과[1] 삼순, 준량, 정조 영유, 길강충, 흔계 등이 이끄는 보천군(補天軍) 보군(步軍) 1만 명으로 구성되었다.[1]

3. 5. 3군 원병 및 제성군

공훤, 능필, 왕함윤 등이 이끄는 기병 300명으로 구성된 3군 원병이 있었다. 또한 14,700명의 제성군이 있었다.[1]

4. 고려군 규모에 대한 논란

고려사삼국사기에는 일리천 전투에 동원된 고려군의 규모가 87,500명에서 10만 명이 넘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이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실제 규모는 이보다 훨씬 적었을 것이라는 주장이 있다.[3] 특히 태조 직속 군대의 규모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정경현 교수 등 일부 학자들은 태조 직속 군대가 6,000명 이하였을 것으로 추정하지만, 이는 학계의 정설은 아니며 명확한 사료적 근거도 부족하다.[4]

4. 1. 사서 기록

고려사》에 따르면 일리천 전투에 동원된 고려군은 87,500명에 달하고 《삼국사기》에선 10만 명이 넘는 병력을 동원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국사편찬위원회 간행물인 《한국사》에서 분석한 바에 따르면 이는 《고려사》 편찬자의 잘못에 의해 과장되었으며, 특히 6만 3000명에 달하여 병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태조 직속 군대의 실제 규모를 6000명 이하로 추정된다는 의견도 있다.[3] 단, 이러한 주장은 정경현 교수 등 소수 학자들의 추정일 뿐 뚜렷하게 남아있는 정식 사서의 기록을 전부 부정해버릴 만한 명확한 사료적 근거는 사실상 전무하다. 《전쟁과 역사》를 집필한 전쟁사 권위자 임용한 교수와 대한민국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의 공식자료는 《고려사》와 《삼국사기》의 고려군 병력 규모를 긍정하고 있다.[4]

4. 2. 학계의 분석 및 이견

高麗史중국어에 따르면 일리천 전투에 동원된 고려군은 87,500명에 달하고 三國史記중국어에선 10만 명이 넘는 병력을 동원하였다고 기록되어 있지만 국사편찬위원회 간행물인 《한국사》에서 분석한 바에 따르면 이는 高麗史중국어 편찬자의 잘못에 의해 과장되었으며 특히 63,000명에 달하여 병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태조 직속 군대의 실제 규모를 6,000명 이하로 추정된다는 의견도 있다.[3] 단, 각주에 링크된 국편위 게시글 맨 아래 부분을 보면 알 수 있듯 이러한 주장은 결코 학계에서 통용되는 정설이 아니며, 정경현 교수 등 소수 학자들의 추정에 불과할 뿐 뚜렷하게 남아있는 정식 사서의 기록을 전부 부정해버릴 만한 명확한 사료적 근거는 사실상 전무하다. 《전쟁과 역사》를 집필한 전쟁사 권위자 임용한 교수와 대한민국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의 공식자료는 高麗史중국어와 三國史記중국어의 고려군 병력 규모를 긍정하고 있다.[4]

5. 전투의 결과 및 영향

일리천 전투는 고려후백제의 후삼국 통일 전쟁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 전투의 승리로 고려는 후삼국 통일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후백제는 멸망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다.
고려의 승리 요인


  • 왕건의 전략과 리더십: 왕건은 뛰어난 전략과 리더십으로 고려군을 이끌었다. 특히, 견훤의 아들 신검의 배신을 예측하고 이를 역이용하는 전략은 전투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 고려군의 사기: 고려군은 왕건의 지휘 아래 높은 사기를 유지했다. 반면, 후백제군은 신검의 쿠데타로 인해 사기가 저하된 상태였다.
  • 지리적 이점: 일리천 지역은 고려군에게 유리한 지형이었다. 고려군은 이를 활용하여 후백제군을 효과적으로 공격할 수 있었다.

후백제의 패배 요인

  • 신검의 쿠데타: 신검은 아버지 견훤을 금산사에 유폐하고 왕위에 올랐다. 이는 후백제 내부의 분열을 초래하고, 군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 견훤의 이탈: 견훤은 금산사를 탈출하여 고려에 투항했다. 이는 후백제군의 사기를 더욱 저하시키고, 고려군의 사기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 전략적 실패: 후백제군은 고려군의 전략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했다. 특히, 신검은 왕건의 계략에 빠져 전투에서 패배했다.

전투의 영향

  • 후삼국 통일: 일리천 전투의 승리로 고려는 후삼국 통일의 기반을 마련했다. 936년, 고려는 후백제를 멸망시키고 후삼국을 통일했다.
  • 고려 왕조의 안정: 일리천 전투는 고려 왕조의 안정을 가져왔다. 왕건은 이 전투를 통해 자신의 권위를 확립하고, 고려 왕조의 기틀을 다졌다.
  • 민족 정체성 형성: 후삼국 통일은 한반도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고려는 후삼국 통일을 통해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고, 통일 국가의 기틀을 마련했다.


일리천 전투는 단순한 전투가 아니라, 한국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이 전투를 통해 고려는 후삼국을 통일하고,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참조

[1] 문서
[2] 문서
[3] URL http://db.history.go[...]
[4] 간행물 고려시대 군사전략 https://new.mnd.go.k[...]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