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5년 3월 1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5년 3월 1일)은 태평양 전쟁 말기, 연합군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한 일본 해군의 주요 전력 배치와 구성을 나타낸다. 연합함대, 제2함대, 제1항공함대, 제3항공함대, 제10항공함대, 제12항공함대, 제10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 해상호위총사령부, 구레 진수부, 요코스카 진수부 등 주요 함대 및 부대별로 세분화된 편성을 보여준다. 각 함대 및 부대는 전함,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 수송함, 항공대 등 다양한 함정과 부대로 구성되었으며, 일본 본토 방어, 해상 수송로 보호, 항공 작전 수행 등 각기 다른 임무를 수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2년 7월 14일)
1942년 7월 14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은 연합함대를 포함한 다양한 함대와 부대의 편성 정보를 상세히 보여주는 자료로, 각 함대별 전력 편성을 통해 당시 일본 해군의 전력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8월 15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4년 8월 15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1944년 8월 15일 당시 일본 제국 해군의 함대 및 부대 편성을 정리한 문서로, 지나방면함대, 제1기동함대, 제4함대, 제5함대, 제6함대, 제8함대, 항공함대, 남동방면함대, 남서방면함대, 해상호위총사령부 등의 상세 정보가 수록되어 있습니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
괌 전투 (1944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과 일본이 괌 점령을 위해 벌인 전투에 참여한 군대와 부대의 편성을 정리한 문서로, 미국이 괌을 탈환하여 일본 본토 공격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한 전투의 주요 지휘관, 부대 현황, 전투 과정, 지휘관, 그리고 전투 결과에 따른 영향 등을 다룬다. - 태평양 전쟁의 전투 서열 -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
몰락 작전의 전투 서열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연합군이 일본 본토 침공을 위해 계획한 올림픽 작전과 코로넷 작전에 투입될 예정이었던 군대의 편성과 장비를 상세히 설명한다. - 1945년 일본 - 일본의 항복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은 이오지마와 오키나와 함락, 본토 침공 위협, 경제 붕괴 직전 상황,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투하, 소련의 대일 참전 등으로 항복을 결정, 1945년 8월 15일 옥음방송을 통해 패전을 선포하고 9월 2일 항복 문서에 서명했다. - 1945년 일본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일본 제국 해군의 전투 서열 (1945년 3월 1일) | |
---|---|
일본 제국 해군 전투 서열 (1945년 3월 1일) | |
개요 | |
시기 | 1945년 3월 1일 |
본국 방위 총지휘관 | 고가 미네이치 대장 |
연합 함대 사령 장관 | 도요다 소에무 대장 |
해군 총대신 | 미쓰마사 요나이 |
지휘 구성 | |
군령부 총장 | 시마자키 시게타로 |
해군 총대신 | 미쓰마사 요나이 |
군령부 차장 | 오자와 지사부로 |
제1 총지휘관 | 다카스 시로시로 |
제2 총지휘관 | 이노우에 시게요시 |
제3 총지휘관 | 오자와 지사부로 |
제5 총지휘관 | 노무라 나오쿠니 |
제6 총지휘관 | 시바자키 시게오 |
제1 항공 함대 사령관 | 데라오카 긴조 |
제3 항공 함대 사령관 | 마쓰다 지카시 |
제5 항공 함대 사령관 | 우가키 마토메 |
제10 항공 함대 사령관 | 오자와 지사부로 |
제11 항공 함대 사령관 | 나카지마 마사미 |
제12 항공 함대 사령관 | 요시미 미쓰하루 |
제13 항공 함대 사령관 | 야마모토 데이치 |
전투 서열 | |
연합 함대 | 사령 장관: 도요다 소에무 대장 |
제2 함대 | 사령 장관: 이세 쇼이치 중장 |
제3 함대 | 사령 장관: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 |
제5 함대 | 사령 장관: 시마 시로 중장 |
제31 전대 | 사령관: 에지마 시게오 소장 |
제1 기동 부대 | 사령 장관: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 |
제1 항공 함대 | 사령 장관: 데라오카 긴조 중장 |
제3 항공 함대 | 사령 장관: 마쓰다 지카시 중장 |
제5 항공 함대 | 사령 장관: 우가키 마토메 중장 |
제10 항공 함대 | 사령 장관: 오자와 지사부로 중장 |
제11 항공 함대 | 사령 장관: 나카지마 마사미 중장 |
제12 항공 함대 | 사령 장관: 요시미 미쓰하루 중장 |
제13 항공 함대 | 사령 장관: 야마모토 데이치 중장 |
2. 연합함대
연합함대는 일본 해군의 주력 함대로, 태평양 전쟁의 주요 해전에 참전하였다.[1] 1945년 3월 1일 당시 연합함대는 제22전대, 제31전대, 제11수뢰전대, 제101항공전대, 제1수송전대, 제1연합통신대 등으로 구성되었다.[1]
제22전대는 제1~4감시정대와 기쿠마루로 구성되었다. 제31전대는 이스즈와 제43구축대(다케, 우메, 마키, 기리, 가야), 제52구축대(스기, 모미, 가시, 히노키, 가에데) 그리고 제31, 43호해방함으로 구성되었다.
제11수뢰전대는 사카와와 하나쓰키, 요이즈키, 사쿠라, 나라, 쓰바키, 게야키, 야나기, 다치바나, 니레, 쓰타 등의 구축함으로 구성되었다. 제101항공전대는 제1001해군항공대와 제1081해군항공대로 구성되었다. 제1수송전대는 제9호, 제14호, 제15호, 제114호, 제115호, 제135호, 제136호, 제139호, 제140호, 제143호, 제144호, 제151호, 제160호 수송함으로 구성되었다. 제1연합통신대는 도쿄 해군통신대와 오와다 통신대로 구성되었다.
부속 함정으로는 전함 (무사시, 후소, 야마시로), 항공모함(호쇼, 쇼카쿠, 즈이카쿠, 다이호), 중순양함(지쿠마), 경순양함(기타가미 (순양함)), 수상기모함(가모이), 제1구축대(노카제, 가미카제, 시오카제, 아사가오), 구축함(유카제, 하타카제, 나미카제), 해방함(미야케, 야쿠시마), 제2수송대(제11호, 제17호, 제18호 수송함), 구잠정(제28호, 제30호, 제33호 구잠정), 표적함(야카제, 세쓰, 하카치, 오하마)이 있었다. 특설병원선으로는 다카사고마루, 히카와마루, 제2히카와마루가 있었다.[1]
2. 1. 제22전대
2. 2. 제31전대
2. 3. 제52구축대
2. 4. 제11수뢰전대
2. 5. 제101항공전대
2. 6. 제1수송전대
2. 7. 제1연합통신대
2. 8. 부속
3. 제2함대
제1항공전대는 야마토, 아마기, 가쓰라기, 준요, 류호로 구성되었다. 제2수뢰전대는 야하기를 기함으로, 제7구축대(우시오, 가스미, 히비키), 제17구축대(이소카제, 하마카제, 유카키제), 제21구축대(하쓰시모, 아사기리, 가스미), 제41구축대(후유쓰키, 스즈쓰키)가 소속되어 있었다. 제31전대는 하나쓰키와 제43구축대(다케, 마키, 기리, 가야), 제52구축대(스기, 모미, 가시, 히노키, 가에데, 하기, 나시)로 구성되었다.
3. 1. 제1항공전대
3. 2. 제2수뢰전대
3. 3. 제31전대
4. 제1항공함대
필리핀 방면 항공 작전을 담당하였다. 26항공전대는 북필리핀 해군항공대, 중필리핀 해군항공대, 남필리핀 해군항공대, 제141해군항공대, 제153해군항공대, 제201해군항공대, 제221해군항공대, 제341해군항공대, 제761해군항공대, 제763해군항공대로 구성되었다. 타이완 해군항공대, 제132해군항공대, 제133해군항공대, 제165해군항공대, 제634해군항공대, 제765해군항공대, 제1021해군항공대도 배속되어 있었다.
4. 1. 26항공전대
4. 2. 기타 구성
5. 제3항공함대
제3항공함대는 일본 본토 방면 항공 작전을 담당하였다. 직속 부대로는 제131해군항공대, 제210해군항공대, 제252해군항공대, 제343해군항공대, 제601해군항공대가 있었다. 또한, 제722해군항공대, 제752해군항공대, 제1023해군항공대, 관토 해군항공대가 직속으로 편성되었다. 제27항공전대는 남방 군도 해군항공대와 이오섬 경비대로 구성되었다.
5. 1. 직속
5. 2. 제27항공전대
6. 제10항공함대
제10항공함대는 훈련 부대를 중심으로 편성되었다. 제11연합항공대는 가스미가우라 해군항공대, 쓰쿠바 해군항공대, 야타베 해군항공대, 햐쿠리하라 해군항공대, 나고야 해군항공대, 가고시마 해군항공대, 기타우라 해군항공대, 오쓰 해군항공대, 진마치 해군항공대, 제2군산 해군항공대, 제고와카 해군항공대, 도요하시 해군항공대, 마쓰시마 해군항공대, 야마토 해군항공대, 제3오카자키 해군항공대, 도쿄 해군항공대로 구성되었다. 제12연합항공대는 후지요시 나오타로 소장 지휘 아래 우사 해군항공대, 오무라 해군항공대, 다쿠마 해군항공대, 쓰이키 해군항공대, 원산 해군항공대, 후쿠야마 해군항공대, 미네야마 해군항공대, 아마쿠사 해군항공대, 히메지 해군항공대, 부산 해군항공대, 이와쿠니 해군항공대, 니시죠 해군항공대, 광주 해군항공대, 간논지 해군항공대, 이사하야시 해군항공대로 구성되었다. 제13연합항공대는 이토 요시아키 소장 지휘 아래 오이 해군항공대, 스즈카 해군항공대, 칭타오 해군항공대, 도쿠시마 해군항공대, 고치 해군항공대로 구성되었다.
6. 1. 제11연합항공대
6. 2. 제12연합항공대
6. 3. 제13연합항공대
7. 제12항공함대
제12항공함대는 북동 방면 항공 작전을 담당하였다.
- 호쿠토 해군항공대
- 지시마 설상대
7. 1. 구성
8. 제10방면함대
8. 1. 제1남견함대
묘코, 다카오, 아마쓰카제, 제59호 특설구잠정과 제9~13특별근거지대, 제15설상대가 1945년 2월 5일에 제1남견함대에 편입되었다.8. 2. 제2남견함대
1945년 2월 5일, 일본 제국 해군의 제2남견함대는 제102, 106, 109호 초계정, 제21~23특별근거지대, 특설포함 반요마루로 구성되었다.8. 3. 제13항공함대
말래이 해군항공대, 동인도 해군항공대가 직속으로 있었다. 제11~13, 31해군항공대가 부속되어 있었다. 제23항공전대는 북오스트레일리아 해군항공대로 구성되었고, 제28항공전대는 제331해군항공대, 제381해군항공대로 구성되었다.9. 남서방면함대
필리핀 및 남방 지역 방위를 담당하였다. 제27특별근거지대가 직속부대로 있었다.
9. 1. 직속
9. 2. 제4남견함대
제4남견함대는 제25특별근거지대, 제26특별근거지대, 제28특별근거지대로 구성되었다. 제25특별근거지대는 와카타카와 제7, 20, 21, 26, 27경비대를 포함하고, 제26특별근거지대는 기지를 포함한다. 제28특별근거지대는 제18경비대로 구성되었다. 부속 부대로는 제33, 105방공대, 제36, 201~203, 224, 232설상대가 있었다.10. 해상호위총사령부
1944년 11월 15일에 창설된 해상호위총사령부는 일본의 해상 수송로 보호를 위한 함대였다. 직속 부대로는 제18전대(도키와, 고에이마루, 창바이산마루)가 있었다. 제1호위함대 예하에 제101전대, 제102전대, 제103전대, 제8호위선딘사령부, 제901해군항공대, 제936해군항공대가 편성되었고, 부속함으로 나미106가 있었다.
10. 1. 직속
10. 2. 제1호위함대
11. 구레 진수부
구레 진수부는 일본 해군의 주요 군항 중 하나인 구레를 방어하는 부대였다. 구레 해병단, 오타케 해병단, 야스우라 해병단, 구레 잠수함기지대, 구레 해군항무부, 도쿠야마 해군항무부, 구레 해군통신대, 구레 해군항공대, 제332해군항공대가 있었다. 전함으로는 하루나, 이세, 휴가가, 중순양함으로는 아오바가 있었다. 특설포획망정 오우마루, 도쿠야마 경비대, 제317, 351, 352, 3111, 3113 설영대, 구레 해군경비대, 오타케 경비대, 벳부 경비대, 구레 방비전대가 있었다.
구레 방비전대 예하에는 사에키 해군항공대, 사에키 방비대, 부설정 유리지마, 누와지마가 있었다. 대잠훈련부대로는 로(呂) 로62, 로68, 로500이, 해방함으로는 메토, 구가, 간즈, 오가, 제59, 65, 113, 213, 219호, 제102, 104, 106, 124, 154, 186, 190호가 있었다. 제33, 34 소해대, 시모노세키 방비대도 있었다.
구레 잠수전대에는 특설포함 나치마루, 제19잠수대 (이121, 이122, 이155, 이158, 이156, 이157, 이159, 이162, 이165)와 제33잠수대 (이201, 이202, 로63, 로64, 로67)가 있었다. 구레 연습전대에는 장갑순양함 야쿠모, 이와테, 이즈모, 중순양함 도네, 경순양함 오요도가 있었다.
제2특공전대에는 오우라 돌격대 (고류 (잠수함)・갑표적 병(丙)형), 히카리 돌격대, 히라오 돌격대가 있었다. 제21연합항공대로는 마쓰야마 해군항공대, 우와지마 해군항공대, 구라시키 해군항공대, 우라도 해군항공대가 있었다.
11. 1. 주요 부대
12. 요코스카 진수부
요코스카 진수부는 도쿄 만 입구를 방어하며 수도권 방위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요코스카 해병단, 다케야마 해병단, 하마나(아라이)해병단, 요코스카 잠수함기지, 요코스카 해군항무부, 요코스카 해군통신대, 제302해군항공대, 제312해군항공대가 소속되어 있었다. 또한, 전함 나가토와 구축함 사와카제, 제6잠수대(로57, 로58, 로59)도 포함되었다. 해방함으로는 오키, 아마쿠사, 시사카, 제37호, 제45호, 제47호, 제49호, 제6호, 제12호, 제56호, 제74호가 있었고, 구잠정 제51호, 제52호, 특무함(운송함) 소야도 요코스카 진수부에 소속되었다.
요코스카 해군항공대, 제903해군항공대와 더불어 요코스카 해군경비대 예하에는 요코스카 제1~3경비대, 다우라 경비대, 구리하마 제1~3경비대, 다테야마 경비대, 누마즈 경비대, 후지사와 경비대, 요코하마 경비대, 아미 경비대, 오쿠스 경비대가 있었다. 요코스카 방비전대에는 제1소해대, 소해정 제27호, 구잠정 제42호, 제44호, 제47호, 제48호, 요코스카 방비대, 오나가와 방비대가 포함되었다.
지지미마 방면 특별근거지대에는 하하지마 경비대와 지지미마 통신대가 있었다. 제3해상호위대에는 잠수모함 고마하시, 해방함 제4호, 제50호, 구잠정 제14호, 제26소해대, 제112구잠대, 이세 방비대가 소속되어 있었다.
제20연합항공대에는 스노사키 해군항공대, 후지사와 해군항공대, 다우라 해군항공대, 제1사가미노 해군항공대, 제2사가미노 해군항공대, 제1고리야마 해군항공대, 제1고와 해군항공대, 가토리 해군항공대, 제1오카자키 해군항공대, 제2오카자키 해군항공대, 쓰치우라 해군항공대, 미에 해군항공대, 시미즈 해군항공대가 편제되어 있었다.
12. 1. 주요 부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