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연방사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연 방사선은 지구와 우주에서 기원하며, 위치와 시간에 따라 달라지는 방사선을 의미한다. 국제 원자력 기구(IAEA)는 배경 방사선을 특정된 소스를 제외한 모든 소스에 기인하는 선량 또는 선량률로 정의한다. 자연 방사선은 자연계에 원래 존재하는 방사선으로, 공기, 음식, 토양, 우주 등 다양한 곳에서 발생하며, 인공 방사선과 함께 환경 방사선을 구성한다. 자연 방사선은 연간 2.4 mSv 수준이며, 라돈, 우주 방사선, 지면 방사선 등이 주요 원인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온화 방사선 - 알파 입자
    알파 입자는 헬륨 원자핵으로, 불안정한 원자핵의 알파 붕괴 시 방출되는 양전하 입자이며, 낮은 투과력에도 불구하고 체내 흡수 시 위험하고, 핵물리학 연구와 화재 경보기, 암 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이온화 방사선 - 우주선 (물리)
    우주선은 지구 대기권 밖에서 오는 고에너지 입자 흐름으로, 양성자와 원자핵으로 구성되어 대기와 반응하며 이차 입자를 만들고, 입자 물리학과 우주론 연구에 중요한 정보 제공 및 지구 환경과 우주 탐사에 영향을 미친다.
  • 우주선 (물리) - 오마이갓 입자
    오마이갓 입자는 빛의 속도에 매우 가깝게 이동하며 지구 입자 가속기에서 생성되는 입자보다 훨씬 높은 에너지를 가진 우주선 입자를 지칭하며, 최초 관측 이후 유사한 사건들이 수백 건 기록되어 텔레스코프 어레이 프로젝트를 통해 근원 추적 연구가 진행 중이고 최근에는 아마테라스 입자가 관측되기도 했다.
  • 우주선 (물리) - 우주선 파쇄
    우주선 파쇄는 우주선이 원자핵과 충돌하여 핵반응을 일으켜 다양한 핵종을 생성하는 과정으로, 특히 리튬, 베릴륨, 붕소와 같은 가벼운 원소의 기원을 설명하고 우주 생성 핵종을 형성하여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
  • 방사능 -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은 윌러드 리비가 1949년에 발견한 유기 물질 연대 측정 방법으로, 탄소-14의 방사성 붕괴를 이용하여 최대 6만 년까지의 연대를 측정하며, 고고학 유물 연대 측정에 주로 사용된다.
  • 방사능 - 핵분열
    핵분열은 원자핵이 중성자와 충돌하여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열되는 현상으로, 막대한 에너지를 방출하며 원자력 발전과 핵무기에 응용되지만 방사성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자연방사선

2. 정의

국제 원자력 기구(IAEA)는 배경 방사선을 "특정된 소스를 제외한 모든 소스에 기인하는 선량 또는 선량률(또는 선량 또는 선량률과 관련된 관측된 측정값)[1]"으로 정의한다. 즉, 이미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방사선과 의도적으로 도입된 특정 소스에 의한 방사선을 구분한다. 이는 특정 방사선원에 대한 측정을 할 때 기존 배경이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감마선 배경에서 방사성 오염을 측정하면, 오염만으로는 예상보다 측정값이 높아질 수 있다.

그러나 우려되는 방사선원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특정 위치에서의 총 방사선 선량 측정값을 일반적으로 '''배경 방사선'''이라고 한다. 이는 환경적 목적으로 주변 선량률을 측정할 때 흔히 사용된다.

3. 자연 방사선

자연 방사선은 지구와 우주에서 기원하며, 위치와 시간에 따라 그 양이 달라진다.

원자력 시험 박물관 밖 기상 관측소의 감마선 수준은 9.8 μR/h (0.82 mSv/a)로, 세계 평균 배경 방사선량(0.87 mSv/a)과 유사하다.


초기 연구자들은 안개 상자를 사용하여 우주선 및 배경 방사선을 시각화했다.


방사성 물질은 토양, 암석, 물, 공기, 식물 등 자연 환경 전반에 걸쳐 존재하며, 인체는 이러한 물질을 흡입하거나 섭취함으로써 내부 피폭을 겪는다. 또한, 신체 외부에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과 우주에서 오는 우주선으로부터 외부 피폭을 받는다. 전 세계 평균 자연 유효 방사선량은 연간 약 2.4mSv이다.[2] 이는 2008년 전 세계 평균 인공 방사선 피폭량(약 0.6mSv)의 4배에 해당한다. 그러나 미국, 일본 등 일부 선진국에서는 의학 영상 기술의 발달로 인해 인공 방사선 피폭량이 자연 방사선 피폭량보다 더 큰 경우도 있다. 유럽의 경우, 국가별 평균 자연 배경 방사선 피폭량은 영국(연간 2mSv 미만)에서 핀란드의 일부 집단(연간 7mSv 이상)까지 다양하다.[5]

국제 원자력 기구(IAEA)는 자연 방사선원에 의한 피폭이 일상생활에서 피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우라늄토륨 광석 등 자연 방사성 물질(NORM)을 취급하는 특정 상황에서는 건강 보호 조치를 고려해야 한다고 언급했다.[6]

환경 방사선은 자연 방사선과 인공 방사선으로 나뉜다. 자연 방사선은 자연계에 원래 존재하는 방사선이며, 인공 방사선은 핵실험이나 원자력 사고 등으로 인해 방출된 방사성 물질에 의한 것이다.

우주선에 의한 공기 샤워


thumb

자연 방사선은 우주선과 지각 내 방사성 핵종(칼륨-40, 우라늄 계열, 토륨 계열 및 붕괴 생성물)에서 기인한다. 우라늄 계열과 토륨 계열은 붕괴 과정에서 라돈을 생성하므로, 공기 중에는 미량의 방사성 라돈이 존재한다. 지자기의 영향으로 우주선 기원의 방사선은 고위도 지역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 대지 유래 자연 방사선량은 지각 내 방사성 물질의 양에 따라 지역별로 차이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우주선 기원 환경 방사선의 세기가 강하며, 고도 1500m마다 방사선 세기가 약 2배 증가한다.[56]

자연 방사선 피폭량은 세계 평균 2.4mSv로 추정되지만, 지역에 따라 1mSv에서 수십 mSv까지 큰 차이를 보인다. 브라질 과라파리는 10mSv가 넘는 지역이 있으며, 이란 람사르에서는 최대 260mGy(선량 단위)가 측정되는 핫스팟도 존재한다.[57] 일본의 경우, 가나가와현(0.81mSv)에서 기후현(1.19mSv)까지 지역별 편차를 보인다.[58]

다음 표는 UNSCEAR, 일본 문부과학성,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발표한 평균 연간 피폭량 추정치를 비교한 것이다.

평균 연간 피폭량 공표치 (추정치) (밀리시버트)
방사선UNSCEAR[52][53]일본 문부과학성[54]프린스턴 대학교[55]비고
기원분류세계
평균
주요 범위일본미국
자연대기1.260.2-10.0a0.402.29주로 라돈, (a)실내 라돈 가스 축적에 의존
내부0.290.2-1.0b0.40.16경구 섭취, (b)식생활에 의존, 미국의 수치는 체성분에 의한 것(칼륨-40, 탄소-14 등)
대지0.480.3-1.0c0.400.19(c)대지 조성이나 건축 재료에 의존
우주0.390.3-1.0d0.30.31(d)고도 및 위도에 의존
소계2.401.0-13.01.502.95
인공의료0.600.03-2.02.303.00의료 선진국에서 높은 수치를 보임
방사성 낙진0.0070 - 1+0.01-1963년에 최대, 이후 감소, 1986년에 최고. 아직도 실험장 주변이나 사고 주변 지역에서는 높은 수치를 보임. 미국의 값은 기타에 포함.
기타0.00520-200.0010.25직업 피폭 등.평균 직업 피폭은 0.7mSv, 광산 노동자의 피폭은 높음, 원전 주변 주민은 0.02mSv
소계0.60-수십2.3113.25
합계3.001.0-수십3.816.20
*수치는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전의 것



다음 표는 다양한 방사선원에 따른 연간 평균 인체 노출량을 나타낸다.

이온화 방사선에 1년에 평균 인간에 노출되는 정도 (단위: 밀리시버트(mSv)/년)
방사원전 세계[69]미국[70]일본[71]비고
공기 흡입1.262.280.40대부분 실내 축적에 의한 라돈에서 기인.
음식, 물 섭취0.290.280.40(칼륨-40, 탄소-14 등)
육지에서 온 지구방사선0.480.210.40토양, 건물 자재에서 기인.
우주로부터 온 우주방사선0.390.330.30고도에 따름.
부분 총계 (자연방사선)2.403.101.50인구 상당수가 10–20 mSv에 노출됨
의료0.603.002.30전 세계 수치에서 방사선 치료는 제외됨.
미국 수치는 대부분 CT 스캔, 핵의학임.
소비자 물품0.13담배, 비행기 여행, 건물 자재 등.
대기 핵실험0.0050.011963년 최고 0.11 mSv. 그 이후로 감소 중. 관련 지역 주변에 있을 경우 더 높음
직업 상의 노출0.0050.0050.01노동자에 대한 전 세계 평균은 0.7 mSv. 대부분 광산의 라돈에 기인함.[69]
미국의 경우 의료 및 항공 노동자들에게 영향을 미침.[70]
체르노빌 사고0.0020.011986년 최고 0.04 mSv. 그 이후로 감소 중. 관련 지역 주변에 있을 경우 더 높음
핵연료 주기0.00020.001주변 지역에서 최대 0.02 mSv. 직업 상의 노출은 제외
기타0.003산업, 안전, 의료, 교육, 연구
부분 총계 (인공방사선)0.613.142.33
전체3.016.243.83밀리시버트 / 년


3. 1. 우주 방사선

지구와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끊임없이 우주로부터 오는 방사선에 노출되어 있다. 이 방사선은 주로 태양계 외부에서 유래한 양전하를 띤 이온(주로 양성자부터 및 더 큰 원자핵)으로 구성된다. 이 방사선은 대기 중의 원자와 상호 작용하여 X선, 뮤온, 양성자, 알파 입자, 파이온, 전자, 중성자 등을 포함하는 공기 샤워를 생성한다.[12] 우주 방사선으로 인한 직접적인 선량은 주로 뮤온, 중성자 및 전자로부터 발생하며, 이 선량은 지자기장과 고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미국 덴버(고도 1650미터)는 해수면의 약 두 배의 우주선량을 받는다.[13]

2005년 1월 20일 상공 12km에서의 추정 선량.(단위 마이크로시버트/시)


이 방사선은 약 10km 고도의 상부 대류권에서 훨씬 더 강렬하기 때문에, 이 환경에서 연간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항공사 승무원과 승객에게 특히 문제가 된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항공기 승무원은 비행 중 연간 2.2mSv[14]에서 2.19mSv/년[15][16] 사이의 추가적인 직업적 방사선 노출을 받는다.

우주 비행사 역시 지구 표면의 인간보다 더 높은 배경 방사선에 노출된다. 국제 우주 정거장이나 우주 왕복선과 같이 낮은 궤도에 있는 우주 비행사는 지구 자기장에 의해 부분적으로 보호되지만, 우주선을 축적하고 지구의 자기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반 알렌 복사대의 영향도 받는다. 로 여행했던 아폴로 우주 비행사가 경험한 것처럼 낮은 지구 궤도 밖에서는 배경 방사선이 훨씬 더 강렬하며, 이는 달 착륙 또는 화성에 대한 미래의 장기적인 인간 탐사에 큰 어려움으로 작용한다.

우주선은 대기 중에서 핵종 변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우주선에 의해 생성된 2차 방사선이 대기 중의 원자핵과 결합하여 다른 핵종을 생성한다. 여러 우주 기원 핵종이 생성될 수 있지만,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질소 원자와의 상호 작용으로 생성되는 탄소-14이다. 이러한 우주 기원 핵종은 지구 표면에 도달하여 생물체에 통합될 수 있다. 이 핵종들의 지속적인 생성, 생물체로의 통합, 그리고 상대적으로 짧은 반감기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에서 나무 유물이나 인간 유해와 같은 고대 생물학적 물질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원리이다.

해수면에서의 우주 방사선은 일반적으로 고에너지 입자와 감마선의 핵 반응에 의해 생성된 양전자의 소멸로부터 511keV 감마선으로 나타난다. 고도가 높을수록 연속적인 제동 복사 스펙트럼의 기여도 있다.[12]

대부분의 자연 방사선 중 중성자 배경은 우주선이 대기와 상호 작용하여 생성된다. 중성자 에너지는 약 1MeV에서 최고조에 달하며 그 이상에서는 급격히 감소한다. 해수면에서 중성자 생성은 우주선과 상호 작용하는 물질 1kg당 초당 약 20개의 중성자(또는 초당 제곱미터당 약 100~300개의 중성자)이다. 중성자속은 지자기 위도에 따라 달라지며, 자기 극 근처에서 최대값을 갖는다. 태양 활동이 최소일 때, 태양 자기장의 차폐가 낮아 중성자속은 태양 활동이 최대일 때보다 약 두 배 높다. 또한 태양 플레어 동안에는 중성자속이 크게 증가한다. 건물이나 선박과 같이 크고 무거운 물체의 근처에서는 중성자속이 더 높게 측정된다. 이는 "우주선 유도 중성자 신호" 또는 "선박 효과"로 알려져 있으며, 처음 바다에서 선박으로 감지되었다.[12]

우주선 기원의 방사선은 지자기의 영향으로 고위도일수록 높다. 우주선은 공기 중에서 흡수되지만, 공기의 밀도가 낮으면 흡수량도 줄어든다고 생각되므로,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은 장소에서는 우주선 기원의 환경 방사선의 세기가 특히 강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고도 1500m마다 방사선의 세기는 2배가 된다고 한다.[56]

3. 2. 지상 방사선

토양, 암석 등에는 칼륨, 우라늄, 토륨 및 그 붕괴 생성물과 같은 방사성 핵종이 포함되어 있어 지상 방사선이 발생한다.[12] 이러한 방사성 핵종은 지질학적 특성에 따라 지역별로 편차가 크다. 대한민국 옥천 누층군에서는 우라늄토륨이 포함되어 있어 자연 방사능이 검출되며, 금산군에서 최고 1.78mSv로 측정되었다.[72]

지상 배경 방사선은 신체 외부에 남아있는 방사성 원인을 포함한다. 주요 방사성 핵종은 칼륨, 우라늄 및 토륨과 그 붕괴 생성물이며, 이 중 일부인 라듐라돈은 방사능이 강하지만 농도가 낮다.[12] 지구 형성 이후 방사성 붕괴로 인해 대부분 감소해 왔지만, 라듐-226 (우라늄-238 붕괴 사슬의 토륨-230의 붕괴 생성물)과 라돈-222 (라듐-226의 붕괴 생성물)처럼 자연적으로 계속 생성되는 짧은 반감기를 가진 동위원소도 많다.[12]

토륨과 우라늄(및 그 자손)은 주로 알파 붕괴베타 붕괴를 겪으며 쉽게 감지되지 않지만, 그들의 많은 딸핵종은 강한 감마선 방출체이다. 토륨-232는 납-212에서 239 keV 피크, 탈륨-208에서 511 keV, 583 keV 및 2614 keV, 악티늄-228에서 911 keV 및 969 keV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우라늄-238은 비스무트-214의 609 keV, 1120 keV 및 1764 keV 피크로 나타난다(대기 중 라돈과 동일한 피크). 칼륨-40은 1461 keV 감마선 피크를 통해 직접 감지할 수 있다.[12]

바다 및 기타 대형 수역 위의 지상 방사선 수준은 지상 배경의 약 10분의 1인 경향이 있다. 반대로, 해안 지역(및 담수 옆 지역)은 분산된 퇴적물로부터 추가적인 기여를 받을 수 있다.[12]

일본에서는 가나가와현의 0.81mSv에서 기후현의 1.19mSv (대기 중의 라돈으로부터의 피폭량은 포함하지 않음)로 지역별 편차가 있다.[58]

3. 3. 공기 중 방사선

공기 중 방사선의 가장 큰 원천은 땅에서 나오는 방사성 기체인 라돈과 그 붕괴 생성물이다. 라돈은 우라늄의 붕괴 생성물로,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광석을 함유한 암석에 집중되어 있다. 라돈은 이러한 광석에서 대기 중이나 지하수로 스며들거나 건물로 침투한다. 라돈은 폐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흡연 다음으로 폐암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간주된다.[8] 미국에서만 연간 15,000~22,000명의 암 사망자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8]

라돈은 불균일하게 분포하며 날씨에 따라 농도가 달라진다. 특히 단열이 잘 된 주택에서 밀폐가 잘 안 된 바닥이나 환기가 잘 안 되는 지하실은 라돈이 건물 내에 축적되어 고농도에 노출될 수 있다. 북아메리카와 유럽의 일부 지역에서는 라돈이 배경 방사선의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지하실 밀봉 및 흡입 환기는 라돈 노출을 줄이는 방법이다.

다음은 공기 흡입으로 인한 연간 방사선 노출량을 나타낸 표이다.

연간 밀리시버트 (mSv) 단위의 평균적인 연간 인체 방사선 노출량
방사선원전 세계[2]미국[3]일본[4]비고
공기 흡입1.262.280.40주로 라돈에서 비롯되며, 실내 축적에 따라 달라짐



대기 중 배경 방사선의 대부분은 라돈과 그 붕괴 생성물에 의해 발생한다. 감마선 스펙트럼은 라돈 붕괴 생성물인 비스무트-214에 속하는 609, 1120 및 1764 keV에서 두드러진 피크를 보여준다. 대기 중 배경 방사선은 풍향 및 기상 조건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라돈은 또한 폭발적으로 땅에서 방출되어 수십 킬로미터를 이동할 수 있는 "라돈 구름"을 형성할 수 있다.[12]

일본에서는 대기 중의 라돈으로부터의 연간 피폭량은 0.4mSv로 추정된다.[59]

3. 4. 음식 및 물을 통한 방사선

음식 및 물에는 칼륨-40(40K), 탄소-14(14C) 등 자연 방사성 동위원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섭취를 통해 체내에 흡수된다.[69][70][71] 평균적인 인간은 약 17mg의 칼륨-40과 약 24ng의 탄소-14를 가지고 있다.[17] 외부 방사성 물질에 의한 내부 오염을 제외하면, 이 두 가지가 인체의 생물학적 기능 구성 요소로부터 발생하는 내부 방사선 노출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초당 약 4,000개의 40K 핵[18]과 비슷한 수의 14C가 붕괴한다. 40K에 의해 생성되는 베타 입자의 에너지는 14C 붕괴에서 나오는 베타 입자의 약 10배이다.14C는 인체 내에서 약 3700 Bq(0.1 μCi) 수준으로 존재하며, 생물학적 반감기는 40일이다.[19] 14C 원자는 세포의 약 절반의 유전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반면, 칼륨은 DNA의 구성 요소가 아니다. 한 사람의 DNA 내부에서 14C 원자가 붕괴하는 것은 초당 약 50번 발생하며, 탄소 원자를 질소 원자로 변화시킨다.[20]

라돈과 그 붕괴 생성물을 제외한 방사성 핵종으로부터의 전 세계 평균 내부 선량은 0.29 mSv/a이며, 이 중 0.17 mSv/a는 40K, 0.12 mSv/a는 우라늄 및 토륨 계열, 12 μSv/a는 14C에서 발생한다.[2]

3. 5. 자연 방사선이 높은 지역

자연 방사선은 위치와 시간에 따라 다르며, 세계적으로 예외적으로 높은 자연 방사선 환경을 가진 지역으로는 이란의 람사르, 브라질의 과라파리, 인도의 카루나가팔리 등이 있다.[22]

지구 표면에서 기록된 순수 자연 방사선의 최고 수준은 브라질의 흑색 해변(포르투갈어로 ''areia preta'')에서 90 μGy/h였다.[25] 이는 연중 지속적인 노출 시 0.8 Gy/a로 환산되지만, 실제로는 계절별로 수준이 다르며 가장 가까운 거주지에서는 훨씬 낮다. 과라파리와 쿠무루샤티바 인근의 관광 해변은 나중에 각각 14 및 15 μGy/h로 평가되었다.[26][27]

인구 밀집 지역에서 가장 높은 배경 방사선은 람사르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주로 현지에서 자연 방사성 석회암을 건축 자재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가장 많이 노출된 주민 1,000명은 연간 평균 외부 유효 방사선량이 6mSv으로, 인공적인 원인으로 일반 대중이 노출될 때 ICRP 권고 한도보다 6배 높다.[28] 이들은 또한 라돈으로부터 상당한 내부 피폭을 받는다. 주변 방사선에 의한 유효 선량이 연간 131mSv이고 라돈에 의한 내부 평생 피폭 선량이 연간 72mSv인 집에서 기록적인 방사선 수준이 발견되기도 했다.[28] 이는 세계 평균 자연 방사선 인체 노출량보다 80배 이상 높은 수치이다.

람사르의 높은 방사선 수준과 관련된 건강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역학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아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론을 내리기에는 이르다.[28] 최근 통계 분석에서는 부정적인 건강 영향의 위험과 자연 배경 방사선의 증가된 수준 사이에 상관관계가 없다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30]

UNSCEAR의 2008년 보고에 따르면, 인구 79.9만 명의 람사르에서는 연간 피폭량이 3mSv에서 10mSv 이상 사이이며, 대부분인 49.5만 명은 5mSv 미만 피폭이지만, 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20만 명이 연간 10mSv 이상 피폭되는 것으로 추정된다.[57]

일본에서는 최소인 가나가와현의 0.81mSv에서 최대인 기후현 1.19mSv (대기 중의 라돈으로부터의 피폭량은 포함하지 않음)로 지역별 차이가 있다.[58] 일본에서는 저선량의 목조 건축으로 라돈으로부터의 연간 피폭량은 0.4mSv로 추정된다.[59]

4. 인공 방사선

인공 방사선은 인간의 활동으로 만들어지는 방사선을 의미한다.

핵분열이나 가속기 등을 통해 생성된 방사성 물질에서 나오는 방사선이 이에 해당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핵실험이나 원자력 사고 시 발생하는 방사성 낙진이 있으며, 이는 자연 방사선보다 더 국지적인 특징을 보인다. 1945년부터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중국 등에서 실시한 약 2000회의 핵실험 중, 특히 1940년대부터 1960년대에 걸쳐 진행된 500회 이상의 대기권 핵실험 및 원자폭탄 투하로 인해 1963년에는 연간 0.15mSv의 방사선 증가가 있었다. 이후 핵실험 자숙으로 2000년에는 잔존 방사선이 0.005mSv까지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원자력 발전소는 정상 운전 시 미량의 방사성 물질을 배출하지만, 원자력 사고 발생 시에는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확산될 수 있다. 연구 시설이나 병원 등 방사성 물질 취급 시설에서도 평상시 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방출된다. 1986년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2011년 이후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는 환경 방사능에 큰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원자력 사고이다.[62] 1993년 유엔 과학위원회 보고에 따르면, 1945년부터 1960년대 대기권 핵폭발로 인한 피폭 선량은 2230만 Sv로 추정되며, 체르노빌 사고는 60만 Sv로 핵폭발의 15배에 달한다.[60]

화력 발전에서 석탄 연소 시 발생하는 플라이애시 또한 방사성 물질을 확산시킨다. 이는 지각에 존재하던 방사성 물질을 생활권으로 방출하는 것이지, 새롭게 생성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인공 방사선으로 인한 연간 평균 피폭량 추정치를 나타낸 표이다.

평균 연간 피폭량 공표치 (추정치) (밀리시버트)
방사선UNSCEAR[52][53]일본 문부과학성[54]프린스턴 대학교[55]비고
기원분류세계
평균
주요 범위일본미국
인공의료0.600.03-2.02.303.00의료 선진국에서 높은 수치를 보임
방사성 낙진0.0070 - 1+0.01-1963년에 최대, 이후 감소, 1986년에 최고. 아직도 실험장 주변이나 사고 주변 지역에서는 높은 수치를 보임. 미국의 값은 기타에 포함.
기타0.00520-200.0010.25직업 피폭 등.평균 직업 피폭은 0.7mSv, 광산 노동자의 피폭은 높음, 원전 주변 주민은 0.02mSv
소계0.60-수십2.3113.25
*수치는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전의 것


4. 1. 의료 방사선

X선 촬영, CT 스캔, 방사선 치료 등 의료 행위로 인해 발생하는 방사선이다. 일반적인 흉부 엑스레이는 20μSv의 유효 선량을 방출하며,[47] 치과 엑스레이는 5μSv에서 10μSv의 선량을 방출한다.[48] CT 스캔은 전신에 1mSv에서 20mSv의 유효 선량을 방출한다.

인공 방사선에 대한 전 세계 평균 인체 노출량은 0.6mSv이며, 이는 주로 의료 영상에서 비롯된다. 미국의 경우 연간 평균 3mSv이다.[3]

연간 밀리시버트 (mSv) 단위의 평균적인 연간 인체 방사선 노출량
방사선원전 세계[2]미국[3]일본[4]비고
공기 흡입1.26mSv2.28mSv주로 라돈에서 비롯되며, 실내 축적에 따라 달라짐
음식 및 물 섭취0.29mSv0.28mSv(칼륨-40, 탄소-14 등)
지면으로부터의 육상 자연 방사선0.48mSv0.21mSv토양 및 건축 자재에 따라 달라짐
우주로부터의 우주 방사선0.39mSv0.33mSv고도에 따라 달라짐
소계 (자연 방사선)상당한 인구 집단은 10mSv–20mSv를 받음
의료전 세계 수치는 방사선 치료를 제외함;
미국 수치는 주로 CT 스캔 및 핵의학.
소비재0.13mSv담배, 항공 여행, 건축 자재 등
대기 핵실험0.005mSv0.01mSv1963년에 0.11mSv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감소 추세; 시험 부근에서 더 높음
직업적 노출0.005mSv0.005mSv0.01mSv전 세계 근로자의 평균은 0.7mSv로, 주로 광산의 라돈 때문;[2]
미국은 주로 의료 및 항공 종사자 때문.[3]
체르노빌 사고0.002mSv0.01mSv1986년에 0.04mSv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감소 추세; 사고 지역 부근에서 더 높음
핵연료 주기0.0002mSv0.001mSv지역 부근에서 최대 0.02mSv; 직업적 노출 제외
기타0.003mSv산업, 보안, 의료, 교육 및 연구
소계 (인공 방사선)0.61mSv3.14mSv2.33mSv
총계3.01mSv6.24mSv3.83mSv밀리시버트/년



CT 스캔 등이 보급된 국가에서는 의료 피폭이 자연 피폭 값을 넘어서고 있으며, 위험이 우려되기 시작했다.[64] 전기사업연합회에서는 의료 피폭을 세계 0.61mSv, 일본 2.25mSv로 추정하고 있다. 비록 의료 목적으로 사용되더라도 방사선은 유해하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

4. 2. 핵실험 및 원자력 사고

과거 핵실험으로 인한 낙진과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같은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해 방사성 물질이 환경에 방출될 수 있다.[62]

1940년대와 1960년대 사이에 빈번하게 이루어진 지상 핵폭발은 상당량의 방사성 오염을 일으켰다. 일부는 국지적이었지만, 일부는 핵 낙진 형태로 멀리 퍼져나갔고, 그중 일부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다. 이러한 핵실험으로 인해 1963년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0.15mSv의 배경 방사선 증가가 있었으며, 이는 모든 원인으로부터의 평균 배경 피폭량의 약 7%에 해당한다. 1963년 부분 핵실험 금지 조약으로 지상 핵실험이 금지되면서 2000년까지 전 세계 피폭량은 연간 0.005mSv로 감소했다.[35]



원자력 발전소는 정상적인 운전 중에는 소량의 방사성 기체를 방출하여 공공에 대한 미미한 방사선 노출을 유발한다. 그러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와 같이 대량의 방사능이 방출되는 사고도 있었다. 체르노빌 사고는 즉각적인 사망자를 발생시킨 유일한 사고였다.

체르노빌 사고로 인한 총 노출량은 영향을 받은 지역 주민들에게 20년 동안 10~50mSv였으며, 사고 처리반에게는 100mSv 이상이었다. 급성 방사선 증후군으로 28명이 사망했다.[39]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한 총 노출량은 영향을 받은 지역 주민들에게 1~15mSv였으며, 어린이의 갑상선 노출량은 50mSv 미만이었다. 167명의 정비 작업자가 100mSv 이상의 노출을 받았으며, 이 중 6명은 250mSv 이상을 받았다.[40]

스리마일 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 인한 평균 노출량은 0.01mSv였다.[41]

윈드스케일 화재, 마야크 단지에서 나온 핵 폐기물에 의한 테차 강 오염, 그리고 같은 단지에서 발생한 카스틀름 재해와 같은 초기 핵무기 시설에서의 여러 사고로 인해 상당한 방사능이 환경으로 방출되었다. 윈드스케일 화재로 인해 성인에게는 5~20mSv, 어린이에게는 10~60mSv의 갑상선 노출이 발생했다.[42]

다음은 핵실험 및 원자력 사고로 인한 연간 인체 방사선 노출량을 나타내는 표이다.

연간 밀리시버트 (mSv) 단위의 평균적인 연간 인체 방사선 노출량
방사선원전 세계[2]일본[4]비고
대기 핵실험0.0050.011963년에 0.11 mSv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감소 추세; 시험 부근에서 더 높음
체르노빌 사고0.0020.011986년에 0.04 mSv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 감소 추세; 사고 지역 부근에서 더 높음
핵연료 주기0.00020.001지역 부근에서 최대 0.02 mSv; 직업적 노출 제외


4. 3. 핵연료 주기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는 평상시 운전 중에도 미량의 방사성 물질이 방출될 수 있다. 다음 표는 핵연료 주기와 관련된 연간 평균 인체 방사선 노출량을 나타낸다.

핵연료 주기에 의한 연간 인체 방사선 노출량 (단위: mSv)
국가방사선량비고
전 세계[2]0.0002주변 지역 최대 0.02 mSv (직업 상 노출 제외)
일본[4]0.001주변 지역 최대 0.02 mSv (직업 상 노출 제외)



미국 원자력 규제 위원회 등에서는 일반인에 대한 연간 방사선 노출 허용량을 1 mSv로 제한하고 있다.

4. 4. 석탄 화력 발전

유엔 유럽 경제 위원회(UNECE)의 수명 주기 평가에 따르면, 거의 모든 에너지원은 제조 또는 운영 과정에서 일정 수준의 직업적 및 공공적인 방사성 핵종 노출을 초래한다. 그중 석탄 화력 발전(현대식)의 경우 일반인은 0.7 man·시버트/GW-annum, 직업인은 11 man·시버트/GW-annum 수준으로 노출된다.[43]

석탄 발전소는 석탄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회 형태로 방사선을 방출한다. 비산회에는 주변 사람들이 흡입하거나 섭취할 수 있는 방사성 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작물에 흡수될 수도 있다. 1978년 오크리지 국립 연구소의 논문에 따르면 당시 석탄 화력 발전소 반경 500m 이내의 주민들은 연간 19 μSv의 전신 선량을 받을 수 있다고 추정했다.[44] 1988년 유엔 방사선 영향 과학 위원회 보고서에서는 1km 떨어진 곳의 선량을 구형 발전소는 연간 20 μSv, 비산회 포집 시설이 개선된 신형 발전소는 연간 1 μSv로 추정했지만, 시험을 통해 확인되지는 않았다.[45]

석탄 연소 시 우라늄, 토륨 및 이들의 붕괴 생성물인 라듐, 라돈, 폴로늄 등이 방출된다.[46] 이 방사성 물질들은 과거 석탄 매장지에 묻혀 있다가 비산회 형태로 대기 중으로 방출되거나, 비산회가 포집되는 경우 비산회로 만든 콘크리트에 포함될 수 있다.

4. 5. 기타 인공 방사선

소비자 물품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으로는 담배, 비행기 여행, 건축 자재 등이 있다.[70] 담배에는 폴로늄-210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라돈의 붕괴 생성물에서 유래하며 담배 잎에 달라붙는다. 흡연량이 많은 경우, 폴로늄-210의 붕괴로 인해 폐의 분절 기관지 분기점에서 국소적으로 연간 160mSv의 방사선량이 발생한다. 이 선량은 방사선 방호 제한치와 직접 비교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방호 제한치는 전신 선량을 다루는 반면, 흡연으로 인한 선량은 신체의 매우 작은 부분에 전달되기 때문이다.[49]

이 외에도, 핵분열이나 가속기 등으로 만들어진 방사성 물질로부터 방사선이 발생한다. 핵실험이나 원자력 사고 시에 방출되는 방사성 낙진에 의한 것으로, 자연 방사선보다 더 국지적이다. 세계 평균은 0.11mSv, 일본은 0.012mSv로 추정된다.

1945년부터 50년 동안 미국, 소련, 영국, 프랑스, 중국 등에서 약 2000회의 핵실험을 실시했다. 1940년대부터 60년대에 걸쳐 실시한 500회 이상의 대기권 내 핵폭발 실험이나 원자폭탄 투하로 인해 방사성 물질이 흩뿌려졌고, 1963년에는 연간 0.15mSv가 증가했다. 이후 핵실험 자숙에 의해 2000년에는 잔존 방사선이 0.005mSv까지 감소했다고 여겨진다.

원자력 발전소는 평상 운전 시 미량의 방사성 물질을 배출하지만, 원자력 사고 시에는 대량의 방사성 물질이 확산된다. 그 외 방사성 물질을 취급하는 시설(연구 시설, 병원 등)에서도 평상시에 미량으로 방출되고 있다. 방사성 동위원소의 방사능 등이 있으며[62], 원자력 발전소 사고(원자력 사고) 등이 있으면 수치가 커진다.[62] 환경 방사능에 큰 영향을 미친 원자력 발전소 사고로는 1986년의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사고[62], 2011년 이후의 후쿠시마 제1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있다.

1993년 유엔 과학위원회의 보고에 따르면, 1945년부터 60년대에 실시된 대기권 핵폭발로 확산된 방사성 물질에 의한 피폭 선량은 2230만 Sv로 추정된다. 이에 비해 체르노빌 사고에 의한 선량은 60만 Sv로 추정되며, 이는 핵폭발의 15배에 해당한다.[60]

또한 화력 발전에서 석탄을 태울 때 나오는 플라이애시도 방사성 물질을 확산시킨다. 다만 이것은 지각에 존재했던 방사성 물질을 생활권 내에 방출하는 것으로, 새롭게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국소적이긴 하지만 X선(엑스선) 촬영(약 0.02mSv, 구강 X선은 0.0033mSv)이나 CT 스캔(7-20mSv) 장치 등에서도 방사선이 발생한다.[62]

5. 환경 방사선 측정

방사선 및 방사능 오염 정도를 파악하고 인체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환경 방사선 측정이 이루어진다.[68] 주로 감마선을 측정하며, 가이거-뮐러 계수관, 신틸레이션 검출기, 전리함 등이 사용된다.[66]

정부 기관은 환경 감시의 일환으로 방사선 측정값을 수집하여 대중에 공개하며, 협력 단체나 개인도 실시간 측정값을 공개하기도 한다. 이러한 측정에는 가이거-뮐러 계수관이나 섬광 검출기가 사용된다. 전자는 일반적으로 더 작고 저렴하며 여러 방사선 유형에 반응하는 반면, 후자는 더 복잡하고 특정 방사선 에너지와 유형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간 측정값은 일반적으로 검증되지 않지만, 독립적인 검출기 간의 상관관계는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인다.

'''실시간 정부 방사선 측정 사이트 (일부)'''

국가/지역사이트명URL
유럽 및 캐나다유럽 방사선 데이터 교환 플랫폼(EURDEP)[https://remap.jrc.ec.europa.eu/GammaDoseRates.aspx 감마선량률 간단한 지도]
미국EPA Radnet[https://www.epa.gov/radnet/near-real-time-and-laboratory-data-state 주별 실시간 및 실험실 데이터]



'''국제 실시간 협력/개인 측정 사이트 (일부)'''

사이트명URL
Safecast[http://safecast.org/tilemap/?y=0&x=0&z=3 http://safecast.org/tilemap]
uRad Monitorhttp://www.uradmonitor.com/



일본에서는 1957년부터 생활 환경의 방사선 오염과 인체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환경 방사선 및 방사능 조사를 조직적으로 실시하고 있다.[68] 또한, 원자력 시설에서 방출되는 인공 방사성 물질로부터 공중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원자력 시설 안팎에서 환경 방사선 및 방사능 수준을 감시한다.

방사능 측정은 수자원인 하천수나 지하수, 토양이나 해저 토, 해수, 농산물, 지표 생물 등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며, 게르마늄 반도체 검출기를 이용한 감마선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핵종의 동정 및 방사능 측정이 이루어진다. 트리튬 등 감마선을 방출하지 않고 저준위 베타선을 방출하는 핵종의 분석에는 액체 신틸레이션 검출기 등을 이용한 베타선 스펙트럼 분석이 이루어진다.

6. 방사선 계측

방사선 측정 시, 특정 방사선원 외의 모든 원천에서 측정된 값을 배경 방사선으로 정의하고 보정한다.[1] 이는 국제 원자력 기구에서 정의한 내용과 일치한다.[1] 예를 들어, 감마선 배경에서 방사성 오염을 측정할 때, 배경 방사선이 측정값에 영향을 주어 실제 오염도보다 높은 측정값이 나올 수 있다.

우려되는 방사선원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특정 위치에서의 총 방사선 선량 측정값을 일반적으로 '''배경 방사선'''이라고 한다. 이는 주로 환경적 목적으로 주변 선량률을 측정할 때 사용된다.

방사선 계측 실험실에서는 특정 방사선원 시료 측정 시 기기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우발적인 원천에서 측정된 값을 배경 방사선으로 정의한다. 이 배경 기여는 여러 번의 측정을 통해 안정적인 값으로 설정되며, 시료 측정 시 측정된 비율에서 이 값을 빼서 보정한다.[1]

방사선 방호 기기에서도 기기 판독값이 배경 방사선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오염 감지에 사용되는 섬광 검출기는 감마선 배경이 높은 환경에서 섬광 물질이 배경 감마선에 영향을 받아 판독값이 높아질 수 있다. 심한 경우, 낮은 수준의 방사선을 측정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기기에서는 "준비" 상태에서 배경을 지속적으로 감시하고, "측정" 모드에서 얻은 판독값에서 이를 뺀다.

정기적인 방사선 측정은 여러 수준에서 수행된다. 정부 기관은 환경 감시의 일환으로 방사선 판독값을 수집하여 대중에 공개하며, 협력 단체나 개인도 실시간 판독값을 공개한다. 방사선 측정에는 가이거-뮐러 계수관과 섬광 검출기가 사용된다. 전자는 작고 저렴하며 여러 유형의 방사선에 반응하는 반면, 후자는 특정 방사선 에너지와 유형을 감지할 수 있다. 실시간 판독값은 일반적으로 검증되지 않지만, 독립적인 검출기 간의 상관 관계는 측정값의 신뢰도를 높인다.

'''실시간 정부 방사선 측정 사이트 목록 (여러 유형의 기기 사용):'''

국가사이트
유럽 및 캐나다유럽 방사선 데이터 교환 플랫폼(EURDEP)
미국EPA Radnet



'''국제 실시간 협력/개인 측정 사이트 목록 (주로 가이거-뮐러 검출기 사용):'''


  • GMC 지도 (http://www.gmcmap.com/)
  • Netc (http://www.netc.com/)
  • Radmon (http://www.radmon.org/)
  • Radiation Network (http://radiationnetwork.com/)
  • Radioactive@Home (http://radioactiveathome.org/map/)
  • Safecast (http://safecast.org/tilemap)
  • uRad Monitor (http://www.uradmonitor.com/)


모니터링은 방사선 관리상의 기본적인 행위이며, 방사선 방호의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방사선 및 방사능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를 해석 및 평가하는 것을 말한다.[65] 특히 원자력 관련 시설 내 작업 환경 또는 시설 외 일반 환경에서의 환경 방사선 모니터링을 '''환경 모니터링'''이라고 한다.[66]

일본에서는 1957년부터 생활 환경의 방사선 오염 정도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환경 방사선 및 방사능 조사를 조직적으로 실시하고 있다.[68]

원자력 시설에서는 방출되는 인공 방사성 물질로부터 공중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시설 안팎에서 환경 방사선 및 방사능 수준을 감시한다. 환경 방사선 측정은 주로 감마선을 측정하며, 가이거-뮐러 계수관, 신틸레이션 검출기, 전리함 검출기 등이 사용된다.

방사능 측정은 수자원, 토양, 해저 토, 해수, 농산물, 지표 생물 등 광범위하게 이루어지며, 게르마늄 반도체 검출기를 이용한 감마선 스펙트럼 분석을 통해 핵종을 동정하고 방사능을 측정한다.

트리튬과 같이 감마선을 방출하지 않고 저준위 베타선을 방출하는 핵종은 액체 신틸레이션 검출기 등을 이용해 베타선 스펙트럼 분석을 수행한다.

7. 방사선 피폭량 예시

자연 방사선은 위치와 시간에 따라 다양하다. 다음 표는 이온화 방사선에 대한 연간 평균 인체 노출량을 나타낸다(단위: 밀리시버트(mSv)).

이온화 방사선에 대한 연간 평균 인체 노출량 (단위: 밀리시버트(mSv)/년)
방사원전 세계[69]미국[70]일본[71]비고
공기 흡입1.262.280.40대부분 실내 축적에 의한 라돈에서 기인.
음식, 물 섭취0.290.280.40(칼륨-40, 탄소-14 등)
육지 지구 방사선0.480.210.40토양, 건물 자재에서 기인.
우주 방사선0.390.330.30고도에 따름.
부분 총계 (자연 방사선)2.403.101.50인구 상당수가 10–20 mSv에 노출됨
의료0.603.002.30전 세계 수치에서 방사선 치료는 제외됨.
미국 수치는 대부분 CT 스캔, 핵의학임.
소비자 물품0.13담배, 비행기 여행, 건물 자재 등.
대기 핵실험0.0050.011963년 최고 0.11 mSv. 그 이후로 감소 중. 관련 지역 주변에 있을 경우 더 높음
직업상 노출0.0050.0050.01노동자에 대한 전 세계 평균은 0.7 mSv. 대부분 광산의 라돈에 기인함.[69]
미국의 경우 의료 및 항공 노동자들에게 영향을 미침.[70]
체르노빌 사고0.0020.011986년 최고 0.04 mSv. 그 이후로 감소 중. 관련 지역 주변에 있을 경우 더 높음
핵연료 순환0.00020.001주변 지역에서 최대 0.02 mSv. 직업상 노출은 제외
기타0.003산업, 안전, 의료, 교육, 연구
부분 총계 (인공 방사선)0.613.142.33
전체3.016.243.83밀리시버트/년



다음은 여러 기관에서 발표한 평균 연간 피폭량 추정치를 나타낸 표이다.

평균 연간 피폭량 발표치 (추정치) (밀리시버트)
방사선UNSCEAR[52][53]일본 문부과학성[54]프린스턴 대학교[55]비고
기원분류세계
평균
주요 범위일본미국
자연대기1.260.2-10.0a0.402.29주로 라돈, (a)실내 라돈 가스 축적에 의존
내부0.290.2-1.0b0.40.16경구 섭취, (b)식생활에 의존, 미국의 수치는 체성분에 의한 것(칼륨-40, 탄소-14 등)
대지0.480.3-1.0c0.400.19(c)대지 조성이나 건축 재료에 의존
우주0.390.3-1.0d0.30.31(d)고도 및 위도에 의존
소계2.401.0-13.01.502.95
인공의료0.600.03-2.02.303.00의료 선진국에서 높은 수치를 보임
방사성 낙진0.0070 - 1+0.01-1963년에 최대, 이후 감소, 1986년에 최고. 아직도 실험장 주변이나 사고 주변 지역에서는 높은 수치를 보임. 미국의 값은 기타에 포함.
기타0.00520-200.0010.25직업 피폭 등.평균 직업 피폭은 0.7mSv, 광산 노동자의 피폭은 높음, 원전 주변 주민은 0.02mSv
소계0.60-수십2.3113.25
합계3.001.0-수십3.816.20
*수치는 2011년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 이전의 것


참조

[1] 서적 IAEA Safety Glossary: Terminology Used in Nuclear Safety and Radiation Protection 2007
[2] 서적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http://www.unscear.o[...] United Nations 2012-11-09
[3] 서적 Ionizing radiation exposure of the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http://www.ncrppubli[...]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2012-11-09
[4] 웹사이트 Radiation in environment http://www.kankyo-ho[...]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f Japan 2011-06-29
[5] 웹사이트 Naturally-Occurring Radioactive Materials (NORM) http://www.world-nuc[...] 2014-08-26
[6] 웹사이트 Exposure to radiation from natural sources http://www-ns.iaea.o[...] IAEA 2016-01-04
[7] 서적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United Nations 2012-12-02
[8] 웹사이트 Radon and Cancer: Questions and Answers – National Cancer Institute (USA) http://www.cancer.go[...] 2011-12-06
[9] 논문 The assumption of radon-induced cancer risk
[10] 간행물 Indoor Radon Concentration Data: Its Geographic and Geologic Distribution, an Example from the Capital District, NY http://wpb-radon.com[...] American Association of Radon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2012-11-28
[11] 서적 Occupational, industrial, and environmental toxicology Mosby 2012-11-28
[12] 문서 A Primer on the Detection of Nuclear and Radiological Weapons http://large.stanfor[...] Center for Technology and National Security Policy, National Defense University 2005-05
[13] 웹사이트 Background Radiation & Other Sources of Exposure http://www.units.mia[...] Miami University 2016-09-30
[14] 웹사이트 Radiation Exposure During Commercial Airline Flights http://www.hps.org/p[...] 2011-03-17
[15] 웹사이트 Radiation exposure during commercial airline flights http://www.hps.org/p[...] 2013-01-24
[16] 웹사이트 Radiobiology Research Team https://www.faa.gov/[...] 2022-01-23
[17] 웹사이트 Radioactive Human Body https://sciencedemon[...] 2022-10-12
[18] 웹사이트 Radioactive human body – Harvard University Natural Science Lecture Demonstrations http://sciencedemons[...]
[19] 웹사이트 Carbon 14 http://www.ead.anl.g[...] Argonne National Lab 2011-04-04
[20] 서적 Only A Trillion ACE books
[21] 웹사이트 Annual terrestrial radiation doses in the world http://www.taishitsu[...]
[22] 논문 Population study in the high natural background radiation area in Kerala, India
[23] 웹사이트 Extreme Slime http://www.abc.net.a[...] ABC 2009-03-02
[24] 논문 Mechanism study of adaptive response in high background radiation area of Yangjiang in China
[25] 서적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United Nations 2012-11-11
[26] 논문 Gamma dose rates and distribution of natural radionuclides in sand beaches – Ilha Grande, Southeastern Brazil http://www.sr2.uerj.[...] 2012-12-02
[27] 간행물 Natural Radioactivity in Extreme South of Bahia, Brazil Using Gamma-Ray Spectrometry http://library.sinap[...] Associação Brasileira de Energia Nuclear 2012-12-02
[28] 논문 Human exposure to high natural background radiation: what can it teach us about radiation risks? http://cricket.biol.[...] 2012-12-01
[29] 논문 Very high background radiation areas of Ramsar, Iran: preliminary biological studies http://www.probeinte[...] 2012-11-11
[30] 논문 Cancer Mortality Among People Living in Areas With Various Levels of Natural Background Radiation
[31] 논문 Enhancement of natural background gamma-radiation dose around uranium microparticles in the human body
[32] 논문 Atmospheric δ14C record from Wellington http://cdiac.esd.orn[...] 2007-06-11
[33] 논문 δ14C record from Vermunt http://cdiac.esd.orn[...] 2016-01-04
[34] 웹사이트 Radiocarbon dating http://www1.phys.uu.[...] University of Utrecht 2008-02-19
[35] 보고서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 UNSCEAR 2000 Report to the General Assembly, with Scientific Annexes https://www.unscear.[...] 2022-09-12
[36] 웹사이트 Resuming Nuclear Testing a Slap in the Face to Survivors https://blog.ucsusa.[...] 2020-05-26
[37] 서적 The 2007 Recommenda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ission on Radiological Protection http://www.icrp.org/[...] 2012-05-17
[38] 웹사이트 OCCUPATIONAL RADIATION PROTECTION: PROTECTING WORKERS AGAINST EXPOSURE TO IONIZING RADIATION http://www-pub.iaea.[...] 2002-08-30
[39] 웹사이트 Health effects of the Chernobyl accident: an overview https://www.who.int/[...] 2013-01-24
[40] 간행물 Fukushima's doses tallied 2012-05-23
[41] 웹사이트 Backgrounder on the Three Mile Island Accident https://www.nrc.gov/[...] 2013-01-24
[42] 웹사이트 Radiological Consequences of the 1957 Windscale Fire http://karws.gso.uri[...] 2013-01-24
[43] 웹사이트 Life Cycle Assessment of Electricity Generation Options {{!}} UNECE https://unece.org/se[...] 2021-11-08
[44] 간행물 Radiological impact of airborne effluents of coal and nuclear plants http://www.ornl.gov/[...] 2012-11-15
[45] 서적 Sources, Effects and Risks of Ionizing Radiation https://archive.org/[...] United Nations 2012-11-16
[46] 간행물 Coal Combustion: Nuclear Resource or Danger? http://www.ornl.gov/[...]
[47] 간행물 Revised Radiation Doses for Typical X-Ray Examinations http://bjr.birjourna[...] 2012-05-18
[48] 서적 Radiation Exposure of the UK Population from Medical and Dental X-ray Examinations http://medicalphysic[...] National Radiological Protection Board 2012-05-18
[49] 웹사이트 Doses from cigarette smoking http://hps.org/publi[...] 2013-01-24
[50] 문서 環境基本法では、「生活環境」という表現で常識的な意味で理解される範囲に加えて「人の生活に密接な関係のある財産ならびに人の生活に密接な関係のある動植物及びその生育環境」をも含めて指している 環境省ホームページ内『「生活環境」の範囲について』 https://www.env.go.j[...]
[51] 웹사이트 大阪府環境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モニタリンについて|環境放射線とは http://www.o-ems.pre[...]
[52] 웹사이트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http://www.unscear.o[...] UNSCEAR 2011-06-29
[53] 웹사이트 UNSCEAR 2008 report http://www.aec.go.jp[...] 放射線医学総合研究所 2011-06-29
[54] 웹사이트 身の回りの放射線 http://www.kankyo-ho[...] 文部科学省 2011-06-29
[55] 웹사이트 Open Source Radiation Safety Training http://web.princeton[...] プリンストン大学 2011-06-29
[56] 서적 放射線概論 通商産業研究社 2005-07-20
[57] 웹사이트 「2008 科学添付資料 Annex B Table 11」 http://www.unscear.o[...] UNSCEAR 2011-10-20
[58] 웹사이트 自然放射線 http://www.fepc.or.j[...] 電気事業連合会 2017-06-30
[59] 웹사이트 原子力教育支援情報提供サイト http://www.atomin.go[...] 文部科学省 2011-06-25
[60] 웹사이트 高度情報科学技術研究機構、「放射線源からの集団実効線量の推定」 https://atomica.jaea[...]
[61] 간행물 Radiological Impact of Airborne Effluents of Coal and Nuclear Plants
[62] 웹사이트 身の回りの放射線 http://www.kankyo-ho[...]
[63] 웹사이트 Radiation Effects Research Foundation http://www.rerf.or.j[...]
[64] 웹사이트 国際医療福祉大学、鈴木元「UNSCERの2008年度レポート」 http://www.nsc.go.jp[...]
[65] 문서 日本アイソトープ協会(1992)
[66] 문서 または環境放射線モニタリング(environmental radiation monitoring)
[67] 문서 米ソなどが実施した核実験に伴う放射性降下物(fallout;フオールアウト)と自然放射線(Natural backgroundradiation)の調査
[68] 웹사이트 昭和32年版 原子力白書(第5章2節 放射能調査), 昭和33〜34年版 原子力白書(第7章1節 概説) http://www.aec.go.jp[...]
[69] 서적 Sources and effects of ionizing radiation http://www.unscear.o[...] United Nations 2012-11-09
[70] 서적 Ionizing radiation exposure of the population of the United States http://www.ncrppubli[...]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2019-06-30
[71] 간행물 Radiation in environment http://www.kankyo-ho[...]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of Japan 2011-06-29
[72] 저널 옥천층군 일대의 지표방사능과 감마선량 평가 (Evaluation of Terrestrial Gamma Radiation and Dose Rate of the Ogcheon Group Area) https://scienceon.ki[...] 20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