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1955년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주당 (1955년 대한민국)은 1955년 9월 18일, 이승만 정권에 반대하는 세력들이 결집하여 창당되었다. 신익희를 대표최고위원으로 시작하여 조병옥, 장면으로 이어지는 지도부 아래, 1956년 부통령 선거에서 장면이 당선되며 이승만 정권에 대한 견제 세력으로 성장했다. 1958년 총선에서 제1야당으로 부상했으나, 1960년 4·19 혁명 이후, 제2공화국에서 집권당이 되었지만, 구파와 신파 간의 갈등으로 분열을 겪었다.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해산되었으며, 이후 재건과 통합 과정을 거쳐 민중당으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제3대 민의원의 원내정당 - 자유당 (대한민국)
자유당은 이승만 대통령이 재선을 위해 1951년 창당하여 이승만 정부의 여당으로 활동하다 4.19 혁명 후 해산, 1963년 재창당되었으나 1970년 신민당에 흡수 합당된 반공주의, 친미주의, 반일주의를 표방한 정당이다. - 대한민국 제4대 민의원의 원내정당 - 자유당 (대한민국)
자유당은 이승만 대통령이 재선을 위해 1951년 창당하여 이승만 정부의 여당으로 활동하다 4.19 혁명 후 해산, 1963년 재창당되었으나 1970년 신민당에 흡수 합당된 반공주의, 친미주의, 반일주의를 표방한 정당이다. - 1964년 해산된 정당 - 국민의당 (1963년)
1963년 창당된 국민의당은 야권 통합을 목표로 민주당, 신정당, 민우당 및 무소속계가 참여했으나, 대통령 후보 추대 문제와 선거 부진, 당내 갈등으로 1964년 민주당에 흡수 합당되었다. - 1964년 해산된 정당 - 독일 국가당 (1950년)
독일 국가당은 1950년 서독에서 창당된 우익 정당으로, 나치당 출신 지도부와 네오 나치즘 성향을 보였으나 낮은 득표율과 쾰른 시나고그 하켄크로이츠 사건 등으로 이미지가 악화되어 1964년 해산되고 독일 국가민주당으로 이어진다.
민주당 (1955년 대한민국)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당 명칭 | 민주당 (民主黨) |
로마자 표기 | Minjudang |
약칭 | DP |
창당일 | 1955년 9월 18일 |
해산일 | 1963년 |
본부 | 서울 |
전신 | 민주국민당 |
후신 | 민중당 |
이념 | |
정치 성향 | 중도우파 |
주요 인물 | |
당수 | 윤보선 |
역사 | |
1961년 해산 | 5.16 군사정변으로 성립된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의해 해산 명령을 받음 |
1965년 해산 | 신당 결당으로 해산 |
의석수 | |
민의원 (1960년) | 175/233 |
참의원 (1960년) | 31/58 |
2. 역사
1955년 9월 19일 민주당 발당대회는 곽상훈 민의원 부의장을 임시의장으로 선출하고 정강·정책을 채택한 뒤 지도부 선출을 중앙위원회에 일임했다.[5] 9월 20일, 민주당 제1차 중앙위원회는 신익희 전 민의원의장을 대표최고위원으로 선출하였다.[5]
1956년 3월 28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대통령 후보에 신익희 대표, 부통령 후보에 장면 최고위원을 선출하였다.[5] 그러나 5월 5일 신익희 후보가 선거 유세 중 열차 안에서 갑작스럽게 사망했다.[5]
1956년 7월 18일 민주당 중앙위는 신익희 대표최고위원 서거로 조병옥 최고위원을 대표로 선출하였다.[5]
1956년 9월 28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대표를 전당대회에서 선출하도록 당헌을 개정한 뒤 조병옥 대표를 대표로 재선출하였다.[5]
1957년 10월 18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정책요강을 채택하고 조병옥 대표를 대표로 재선출하였다.
1958년 10월 30일 민주당 전당대회는 통합선거법 제정과 참의원 구성을 위해 노력하고, 국가보안법과 지방자치법 개악 저지에 총력을 다할 것을 결의한 뒤, 조병옥 대표를 대표로 재선출하였다.[5]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
조병옥 | 960 | 96.6% | 대표최고위원 | |||||||||||||||||||||||||||||||||||||||||||||||||||||||||||||||||||||||||||||||||||||||||||||||||||||||||||||||||||||||||||||||
장면 | 15 | 1.5% | ||||||||||||||||||||||||||||||||||||||||||||||||||||||||||||||||||||||||||||||||||||||||||||||||||||||||||||||||||||||||||||||||
곽상훈 | 7 | 0.7% | ||||||||||||||||||||||||||||||||||||||||||||||||||||||||||||||||||||||||||||||||||||||||||||||||||||||||||||||||||||||||||||||||
{{lang|ko|백남훈|} | } || 1 || 0.8% ||
이름 | 득표수 | 득표율(%) | 비고 | ||||||||||||||||||||||||||||||||||||||||||||||||||||||||||||||||||||||||||||||||||||||||||||||||||||||||||||||
---|---|---|---|---|---|---|---|---|---|---|---|---|---|---|---|---|---|---|---|---|---|---|---|---|---|---|---|---|---|---|---|---|---|---|---|---|---|---|---|---|---|---|---|---|---|---|---|---|---|---|---|---|---|---|---|---|---|---|---|---|---|---|---|---|---|---|---|---|---|---|---|---|---|---|---|---|---|---|---|---|---|---|---|---|---|---|---|---|---|---|---|---|---|---|---|---|---|---|---|---|---|---|---|---|---|---|---|---|---|---|---|---|---|
조병옥 | 960 | 96.6% | 대표최고위원 | ||||||||||||||||||||||||||||||||||||||||||||||||||||||||||||||||||||||||||||||||||||||||||||||||||||||||||||||
장면 | 15 | 1.5% | |||||||||||||||||||||||||||||||||||||||||||||||||||||||||||||||||||||||||||||||||||||||||||||||||||||||||||||||
곽상훈 | 7 | 0.7% | |||||||||||||||||||||||||||||||||||||||||||||||||||||||||||||||||||||||||||||||||||||||||||||||||||||||||||||||
{{lang|ko|백남훈|} | } || 1 || 0.8% ||
대수 | 역대 대표 | 직함 | 임기 | 비고 |
---|---|---|---|---|
1 | 신익희 | 대표최고위원 | 1955년 9월 20일 ~ 1956년 5월 5일 | 서거 |
임시 | 곽상훈 | 임시대표 | 1956년 5월 6일 ~ 1956년 7월 18일 | 임시 |
2 | 조병옥 | 대표최고위원 | 1956년 7월 18일 ~ 1956년 9월 28일 | |
3 | 1956년 9월 28일 ~ 1957년 10월 18일 | |||
4 | 1957년 10월 18일 ~ 1958년 10월 30일 | |||
5 | 1958년 10월 30일 ~ 1959년 11월 27일 | |||
6 | 장면 | 1959년 11월 27일 ~ 1961년 5월 16일 | 5.16 쿠데타로 정당 해산 |
창당 당시
6. 주요 선거 기록
선거 | 후보 | 득표 | 득표율 | 결과 |
---|---|---|---|---|
1960년 8월 대통령 선거 | 윤보선 | 208 | 82.2% | 당선 |
선거 | 후보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1956년 부통령 선거 | 장면 | 4,012,654 | 46.4% | 당선 |
1960년 3월 부통령 선거 | 1,843,758 | 17.5% | 낙선 |
선거 | 대표 | 득표수 | 득표율 | 의석 | ||
---|---|---|---|---|---|---|
지역구 | 합계 | 증감 | ||||
1958년 총선 | 장면 | 2,914,049 | 34.0% | 79 | 79 | 신규 |
1960년 총선 | 3,786,304 | 41.7% | 175 | 175 | +96 | |
1963년 총선 | 박순천한국어 | 1,264,285 | 13.6% | 8 | 13 | -162 |
실시년도 | 도지사 | 시장 | 읍장 | 면장 | 도의원 | 시의원 | 읍의원 | 면의원 |
---|---|---|---|---|---|---|---|---|
1956년 | 0/10 | 1/30 | 9/544 | 98/437 | 54/416 | 57/990 | 231/16051 | |
1960년 | 6/10 | 12/26 | 23/82 | 297/1359 | 195/485 | 129/420 | 142/1055 | 2510/15376 |
1956년 대선에서 민주당은 대통령 후보 신익희가 선거 유세 중 사망하는 비극을 겪었지만, 부통령 후보 장면이 46.4%의 득표율로 당선되며 이승만 독재에 대한 국민적 저항을 보여주었다. 1960년 대선에서는 조병옥 후보가 사망하며 다시 한번 어려움을 겪었지만, 3·15 부정선거 이후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하야하고, 1960년 총선에서 민의원 175석, 참의원 31석을 확보하며 압승을 거두었다.
1958년 총선에서는 34%의 득표율로 79석을 얻어 제2당이 되었고, 1963년 총선에서는 13.6%의 득표율로 13석을 얻는데 그쳤다.
7. 평가와 유산
민주당은 자유당의 독재에 맞서 4·19 혁명을 통해 이승만 정권을 종식시키고 제2공화국 수립의 기반을 마련하여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는다. 또한 다양한 정치 세력을 포용하여 한국 정치의 다원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2]
그러나 구파와 신파 간의 극심한 갈등으로 인해 정국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고, 1960년 총선에서 압승하여 제2공화국의 여당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윤보선 대통령(구파)과 장면 국무총리(신파) 간의 권력 다툼을 벌였다. 결국 1960년 11월, 구파는 민주당을 탈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하는 등[5] 분열을 겪었으며, 5·16 군사 정변을 막지 못하고 짧은 기간 내에 정권을 상실했다는 비판을 받는다.[2]
7. 1. 긍정적 평가
자유당의 독재에 맞서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했다.[2] 4·19 혁명을 통해 이승만 정권을 종식시키고, 제2공화국 수립의 기반을 마련했다. 민주당은 다양한 정치 세력을 포용하여, 한국 정치의 다원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했다.[2]7. 2. 부정적 평가
민주당은 구파와 신파 간의 극심한 갈등으로 인해 정국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2] 이는 1960년 총선에서 압승하여 제2공화국의 여당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윤보선 대통령(구파)과 장면 국무총리(신파) 간의 권력 다툼으로 이어졌다. 결국 1960년 11월, 구파는 민주당을 탈당하여 신민당을 창당하는 등[5] 분열을 겪었다.또한, 민주당 정권은 5·16 군사 정변을 막지 못하고 짧은 기간 내에 정권을 상실했다는 비판을 받는다.[2] 1961년 5·16 군사 정변으로 민주당 정부는 1년도 채 되지 않아 전복되었고, 이는 민주당의 정치적 역량 부족을 드러내는 사건으로 평가된다.
7. 3. 유산
자유당의 사사오입 개헌 강행을 계기로 창당된 민주당은, 4·19 혁명 이후 제2공화국의 여당이 되었으나, 5·16 군사 정변으로 해산되었다. 이후 재건되었지만, 1963년 총선에서 13석을 얻는 데 그쳤고, 결국 다른 야당들과 통합하여 민중당으로 이어졌다.민주당의 역사적 경험은 이후 한국 민주화 운동의 중요한 자산이 되었다. 현재 더불어민주당은 복잡한 이합집산을 거쳤지만, 민주당의 정신을 계승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그 정통성을 강조하고 있다.[7]
참조
[1]
서적
Elections in Asia and the Pacific : a data handbook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2]
서적
Political parties of Asia and the Pacific
Greenwood Press
1985
[3]
문서
1961年の5・16軍事クーデターによって成立した国家再建最高会議により解散が命じられる。
[4]
문서
新党結党による。
[5]
문서
正式な結成は翌61年2月。
[6]
서적
韓国現代史 大統領たちの栄光と蹉跌
中公新書
[7]
웹사이트
우리의 발자취(私たちの足跡)
https://theminjoo.kr[...]
共に民主党ホームページ
2017-02-10
[8]
문서
選挙運動期間中に脳溢血で急死
[9]
문서
選挙戦さなかに病気治療のため渡米したが、入院先の陸軍病院で客死。
[10]
문서
第5代までは完全小選挙区制
[11]
문서
民議院と参議院の2院制で実施され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