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 상륙 작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사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을 돕기 위해 유엔군이 실행한 양동 작전이다. 낙동강 전선 돌파 공격을 앞두고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이 주요 목표였다. 772명의 학도의용군으로 구성된 독립 제1유격대대는 장사리 해안에 상륙하여 국도 제7호선을 봉쇄했지만, 태풍으로 인해 LST 문산호가 좌초되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작전 결과, 139명이 전사하고 92명이 부상당했으며, 39명은 철수 과정에서 생사가 불분명하다. 1997년 LST 문산호가 발견되었고, 이후 기념 공원과 기념관이 건립되어 작전을 기리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덕군의 역사 - 영덕-강구 전투
영덕-강구 전투는 1950년 7월 한국전쟁 중 국군 제3사단이 영덕과 강구에서 북한군 제5사단의 남진을 막기 위해 미군의 화력 지원을 받으며 지연전을 펼친 전투로, 낙동강 전선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영덕군의 역사 - 장사동-독석동 철수 작전
장사동-독석동 철수 작전은 1950년 12월 중공군 공세로 고립된 한국군 제3사단이 김석원 사단장 지휘 아래 기만 작전과 포병 지원을 통해 병력, 장비, 민간인을 해상으로 철수시켜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포항 방어선에 투입될 수 있게 한 작전이다. - 한국 전쟁의 군사작전 - 폭풍 작전
김일성이 주도하고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아 준비된 폭풍 작전은 한국 전쟁 발발 당시 조선인민군의 남침 계획이었으나, 유엔군의 참전으로 실패했다. - 한국 전쟁의 군사작전 - 흥남 철수 작전
흥남 철수 작전은 1950년 12월 한국 전쟁 중 중공군 개입으로 불리해진 전황 속에서 대한민국 국군과 유엔군이 흥남항에서 해상으로 철수한 작전으로, 10만 명의 피난민과 함께 철수하여 인도주의적 의미를 더했으며, 특히 메러디스 빅토리호의 대규모 구조 작전과 함께 '크리스마스의 기적'이라고도 불리는 성공적인 작전으로 평가된다.
장사 상륙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전투 개요 | |
전투 명칭 | 장사리 전투 |
다른 명칭 | 장사 상륙 작전, 작전명령 174호 |
관련 전쟁 | 한국 전쟁 |
날짜 | 1950년 9월 15일 - 1950년 9월 19일 |
위치 | 경상북도 영덕군 장사리 |
결과 | 대한민국 승리 |
상세 결과 | 많은 사상자 발생에도 작전 목표 달성, 낙동강 방어선 돌파에 기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대한민국, UN}} |
교전국 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이명흠 |
지휘관 2 | 김무정 |
병력 규모 | |
병력 1 | 독립 제1유격대대: 772명 (추정) |
병력 2 | 제2군단: 알 수 없음 |
사상자 규모 | |
사상자 1 | 139명 전사 (추정) |
사상자 2 | 120~130명 전사 (추정) |
영어 정보 (추가 정보) | |
전투 명칭 (영어) | Battle of Jangsari |
장소 (영어) | Jangsari, Yeongdeok County, North Gyeongsang Province, South Korea |
부대 1 | Independent 1st Guerrilla Battalion |
부대 2 | Subordinate units, KPA II Corps |
2. 작전 배경
1950년 9월, 유엔군은 인천 상륙 작전 이후 부산 교두보를 따라 전면적인 공세를 펼치는 중요한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부산 교두보는 대한민국 남동쪽 끝에 있는 지역을 둘러싼 225km의 방어선이었다.
주요 목표는 보급로를 차단하여 부산 교두보 주변의 조선인민군의 작전을 게릴라 전술로 방해하는 것이었고[4], 부차적인 목표는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을 위해 조선인민군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이었다.
인천 상륙 작전에 맞추어 9월 15일부터 시작하는 유엔군의 낙동강 전선 돌파 공격을 위해 북한군의 보급로 차단을 통한 후방 교란이 공식적인 주목적이었으며,[15][16] 간접적으로나마 인천 상륙 작전을 위한 북한군의 주의 분산을 위한 목적도 있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현재까지 작전의 주목적이 인천 상륙 작전을 위한 기만 작전으로 알려졌지만 작전명령서에 나온 공식적인 주목적은 인천 상륙 작전 이후 행해지는 낙동강 방어선에서의 총반격을 위한 후방 교란 작전이었다.[22][23]
부수적으로 같은 9월 15일에 실행된 인천 상륙 작전을 위해 북한군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효과도 있었을 것으로 평가된다.
2. 1. 작전 목적
인천 상륙 작전에 맞추어 9월 15일부터 시작하는 유엔군의 낙동강 전선 돌파 공격을 위해 북한군의 보급로 차단을 통한 후방 교란이 공식적인 주목적이었으며,[15][16] 간접적으로나마 인천 상륙 작전을 위한 북한군의 주의 분산을 위한 목적도 있었다고 평가되기도 한다.현재까지 작전의 주목적이 인천 상륙 작전을 위한 기만 작전으로 알려졌지만 작전명령서에 나온 공식적인 주목적은 인천 상륙 작전 이후 행해지는 낙동강 방어선에서의 총반격을 위한 후방 교란 작전이었다.[22][23]
부수적으로 같은 9월 15일에 실행된 인천 상륙 작전을 위해 북한군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효과도 있었을 것으로 평가된다. 1950년 9월, 유엔군은 인천 상륙 작전 이후 부산 교두보를 따라 전면적인 공세를 펼치는 중요한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부산 교두보는 대한민국 남동쪽 끝에 있는 지역을 둘러싼 140 mi의 방어선이었다.
주요 목표는 보급로를 차단하여 부산 교두보 주변의 조선인민군의 작전을 게릴라 전술로 방해하는 것이었고,[4] 부차적인 목표는 인천 상륙 작전의 성공을 위해 조선인민군의 주의를 분산시키는 것이었다.
3. 작전 과정
9월 14일 부산항을 출발한 이후, 9월 15일 06:00에 상륙작전이 개시되었다.[17] 학도병 및 이들을 지휘하는 육군 장교들로 구성된 총 772명의 독립 제1유격대대가 LST 문산호를 타고 장사리 해안에 상륙하여 국도 제7호선을 봉쇄하고 조선인민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데 성공하고 철수하였다.
이 상륙작전은 인천 상륙 작전의 양동작전으로 실시되어 양동작전으로서는 성공하였다. 원래는 제8군의 임무였으나, 유엔군의 상륙지점 교란을 위해 인민군 복장을 입고 특수 작전을 해야 하는 사정상 북한군과 외모가 비슷한 남한 출신 학생들인 학도병에게 작전명 174를 맡긴 것이다.
부대는 3일간의 물자만 보급받아 9월 14일 2시에 장사리 해안에 상륙하여 교란할 때 다쓰고 철수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때마침 불어온 태풍 케지아로 인해 LST 문산호가 좌초되는 바람에 작전 계획은 뒤틀려버렸다. 발이 묶인 제1독립유격대대는 물자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7번 국도 차단 임무를 계속 수행하였다.
인천 상륙 작전이 성공한 뒤, 9월 19일에 유엔군 정찰기에 포착되었고, 해안선을 따라 항행하던 미국 제7함대 태스크 포스 77 소속 헬레나/USS Helena (CA-75)영어가 이끄는 포격임무대의 엄호를 받으며, LST 조치원호를 타고 철수하였다.
39명 정도가 마지막 철수 과정을 엄호하면서 남겨졌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들의 생사는 알 수 없다.
작전의 결과로 독립 제1유격대대의 139명이 전사하고 92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독립 제1유격대대 휴식을 취하고 인원을 보충받은 정비한 뒤, 전선에 복귀하였다.
LST 문산호는 좌초된 채로 버려졌고, 시간이 지나 1997년 3월 6일에 발견되어 인양되었다.[17]
3. 1. 상륙
9월 14일 부산항을 출발한 LST 문산호는 9월 15일 06:00에 장사리 해안에 상륙을 개시하였다.[17] 상륙 부대는 독립 제1유격대대로, 육군 장교들과 학도병 772명으로 구성되었다.[17] 이들은 국도 제7호선을 봉쇄하고 조선인민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임무를 맡았다.[17]이 작전은 인천 상륙 작전의 양동작전으로, 제8군의 임무였으나 유엔군의 상륙지점 교란을 위해 인민군 복장을 입고 특수 작전을 해야 했다.[17] 이 때문에 북한군과 외모가 비슷한 남한 출신 학도병들이 작전명 174를 맡게 되었다.[17]
당초 부대는 3일간의 물자만 보급받고 9월 14일 2시에 장사리 해안에 상륙하여 교란 작전을 펼치고 철수할 예정이었다.[17] 그러나 태풍 케지아로 인해 LST 문산호가 좌초되면서 작전 계획이 변경되었다.[17] 제1독립유격대대는 물자 부족 상황에서도 7번 국도 차단 임무를 계속 수행하였다.[17]
인천 상륙 작전 성공 후, 9월 19일 유엔군 정찰기에 의해 이들이 포착되었고, 미국 제7함대 태스크 포스 77 소속 헬레나/USS Helena (CA-75)영어가 이끄는 포격임무대의 엄호를 받으며 LST 조치원호를 타고 철수하였다.[17]
마지막 철수 과정을 엄호하던 39명 정도의 생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17]
작전 결과, 독립 제1유격대대는 139명이 전사하고 92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17] 독립 제1유격대대는 휴식과 인원 보충 후 전선에 복귀하였다.[17]
LST 문산호는 좌초된 채 버려졌다가 1997년 3월 6일에 발견되어 인양되었다.[17]
상륙 부대는 독립 제1유격대대로, 이명흠 대위가 이끄는 학도병 718명을 포함하여 총 772명으로 추정된다.[17]
9월 15일 오전 5시~6시경, 전투 부대가 ''LST 무산''에서 상륙했다. 해안 전체와 요새의 200고지는 약 150명의 사상자(전사 60명, 부상 90명)를 내고 14시 50분까지 점령되었다.[5] ''LST 무산''은 상륙 과정에서 좌초되었다.[5]
3. 2. 방어
9월 14일 부산항을 출발한 학도의용군과 육군 장교들로 구성된 총 772명의 독립 제1유격대대는 9월 15일 06:00에 LST 문산호를 타고 장사리 해안에 상륙했다. 이들은 국도 제7호선을 봉쇄하고 조선인민군의 보급로를 차단하는 임무를 수행했다. 이 작전은 인천 상륙 작전의 양동작전으로, 제8군의 임무였으나 유엔군의 상륙지점 교란을 위해 인민군 복장을 입고 특수 작전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북한군과 외모가 비슷한 남한 출신 학도병들이 작전명 174를 맡게 되었다.독립 제1유격대대는 3일간의 물자만 보급받고 9월 14일 2시에 장사리 해안에 상륙하여 교란 작전을 펼치고 철수할 예정이었으나, 태풍 케지아로 인해 LST 문산호가 좌초되면서 작전 계획이 변경되었다. 발이 묶인 독립 제1유격대대는 물자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7번 국도 차단 임무를 계속 수행하였다.
인천 상륙 작전이 성공한 뒤인 9월 19일, 독립 제1유격대대는 유엔군 정찰기에 포착되었고, 미국 제7함대 태스크 포스 77 소속 헬레나/USS Helena (CA-75)영어가 이끄는 포격임무대의 엄호를 받으며 LST 조치원호를 타고 철수하였다. 마지막 철수 과정을 엄호하던 39명 정도의 생사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독립 제1유격대대는 이틀 동안 해변과 요새를 방어했지만, 탄약 부족으로 후퇴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이 작전으로 독립 제1유격대대의 139명이 전사하고 92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추정된다. LST 문산호는 좌초된 채 버려졌다가 1997년 3월 6일에 발견되어 인양되었다.[17] 9월 17일에는 북한군 부대의 반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3. 3. 철수
인천 상륙 작전이 성공한 뒤, 9월 19일에 유엔군 정찰기에 포착되었고, 해안선을 따라 항행하던 미국 제7함대 태스크 포스 77 소속 가 이끄는 포격임무대(bombardment Task Force영어)의 엄호를 받으며, LST 조치원호를 타고 철수하였다.[17][17]제2중대 제5소대 39명이 탈출을 엄호했지만, 대부분 사살되거나 포로로 잡혔다.[17]
마지막으로, 생존자 약 600여 명이 대한민국 해군의 ''LST 조치원''에 탑승하여 철수했다.[17]
4. 작전 결과
4. 1. 전과
4. 2. 피해
5. 논란 및 재평가
5. 1. 작전 상륙일
9월 14일이 상륙일로 알려졌지만 최신 기록과 자료에 의하면 9월 15일이 상륙일이다.[19][20]5. 2. 작전 참가 인원
작전에 참가한 독립 제1유격대대는 대부분 학도병으로 구성되었으며, 지휘관인 국군 장교들을 포함한 국군 기간병까지 합쳐 총 800여 명으로 알려져 있다.[21] 그러나 부대원 772명, 전사자 139명 등의 수치는 모두 추정치이다.[21]5. 3. 진보 진영과 보수 진영의 시각차
6. 기념 및 추모
영덕군에 전승공원과 전승기념관이 설립되었다.[18] 1960년부터 동지회는 추모 행사를 가졌다.[8]
1980년 7월 14일, 생존한 독립 제1유격대대는 장사상륙작전참전유격동지회(장사상륙작전참전유격동지회)를 결성했다. 장사 상륙 작전 51주년을 기념하여 동지회는 양평군 경기도의 청운사 승려와 함께 전국 모금 운동을 벌였고, 1991년 9월 14일 기념비를 건립했다.[9]
1997년 3월 6일, 잊혀진 한국 전쟁의 전투가 해병 제1사단 특수수색대 대원들이 장사리 앞바다를 수색하던 중 조수 웅덩이 아래에서 ''문산''을 발견하면서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0]
장사 상륙 작전 기념 공원에는 ''LST 문산''의 2,000톤급 복제 모형이 건설되었다.[11][12][13]
2020년 11월 16일, 기념관이 개관했다.[14]
6. 1. [[더글러스 맥아더]]의 편지
1960년, 더글러스 맥아더는 이명흠 사령관에게 편지를 보냈다.[6][7] (그는 나중에 이름을 이종훈으로 개명했다)이종훈 의장 귀하:
772 자원 동지회의 결성을 알려주는 최근 귀하의 서신을 받고 기뻤습니다. 그들이 인천 상륙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수행한 작전은 훌륭했고 최고의 찬사를 받을 만합니다. 그 구성원들의 용기와 희생은 항상 한국 청소년들에게 빛나는 본보기가 될 것입니다. 회원들에게 저의 가장 따뜻한 인사와 애정을 전해주십시오. 저는 그들을 충성스럽고 헌신적인 전우로 영원히 기억할 것입니다.
최고의 소망을 담아, 진심으로,
더글러스 맥아더
7. 대중 매체
- 2012년 8월 5일,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장사 상륙 작전에 대해 다루었다.
- 2009년, 포항MBC 창사특집으로 다큐멘터리 《잊혀진 상륙작전 작전명 174호》가 제작되어 유튜브에 공개되었다.
- 2014년 6월 25일, OBS에서 다큐멘터리 《잊혀진 상륙작전, 작전명 174호》를 방영하였다.
- 2019년 9월 25일, 워너 브러더스 코리아에서 영화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을 개봉하였다.
참조
[1]
문서
at that time, called Jangsa-dong
[2]
향토문화전자대전
장사리
https://terms.naver.[...]
[3]
문서
He later changed his name to Lee Jong-hoon
[4]
Action Report
Operation 174 from National Archives of Korea
http://theme.archive[...]
[5]
독립 제1유격부대
독립 제1유격부대
https://www.archives[...]
[6]
뉴스
꽃다운 영혼과 뜨거운 구국혼, 당신들을 잊지 않겠습니다
https://www.kbmaeil.[...]
[7]
뉴스
장사상륙작전, 잊혀진 영웅들을 찾다
https://www.korea.kr[...]
[8]
뉴스
盈德上陸戰(영덕상륙전)11周(주) 戰歿將兵慰靈祭(전몰장병위령제)
https://newslibrary.[...]
NAVER
1961-09-13
[9]
뉴스
최초공개 - 장사동상륙작전 중 좌초한 문산호(汶山號) 선장·선원 명단
http://monthly.chosu[...]
[10]
뉴스
영덕앞바다서 좌초 문산함…47년만에 인양
https://www.chosun.c[...]
[11]
웹사이트
문화재방송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http://www.tntv.kr/b[...]
2021-08-25
[12]
웹사이트
문산호 복원, 학도군 기념탑 설치 … '장사상륙작전 기념공원' 조성 착착
https://www.joongang[...]
2021-08-25
[13]
웹사이트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 영덕 바다 위에 떴다
https://www.donga.co[...]
2021-08-25
[14]
웹사이트
장사상륙작전 전승기념관 준공식 개최 {{!}} 뉴스로
https://www.newsro.k[...]
2021-08-25
[15]
작전명령
작전명령 제17호
http://theme.archive[...]
[16]
Youtube
장사리:잊혀진 영웅들” 영화 고증자의 충격 고백!★순삭밀톡 6·25 70주년 스페셜Ⅱ
https://www.youtube.[...]
[17]
뉴스
영덕앞바다서 좌초 문산함…47년만에 인양
https://www.chosun.c[...]
[18]
뉴스
영덕군, 장사상륙작전지 세계적 전승공원 조성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1-06-16
[19]
Youtube
“장사리:잊혀진 영웅들” 영화 고증자의 충격 고백!★순삭밀톡 6·25 70주년 스페셜Ⅱ
https://www.youtube.[...]
[20]
Youtube
비사(秘史), 1950년 9월 장사 상륙작전
https://www.youtube.[...]
[21]
Youtube
작전명령 174호 '장사상륙작전'! 조국을 위해 참전한 소년들의 운명은? | 꼬리에 꼬리를 무는 그날 이야
https://www.youtube.[...]
[22]
작전명령
작전명령 제17호
http://theme.archive[...]
[23]
Youtube
장사리:잊혀진 영웅들” 영화 고증자의 충격 고백!★순삭밀톡 6·25 70주년 스페셜Ⅱ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