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의 사회적 모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애의 사회적 모델은 장애를 개인의 의학적 문제로 보는 대신, 사회적 장벽과 차별이 장애를 유발한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1970년대부터 장애인 권리 운동에서 시작되어, 1983년 마이크 올리버에 의해 '장애의 사회적 모델'이라는 용어로 구체화되었다. 이 모델은 사회적 평등을 강조하며, 태도 개선, 사회적 지원, 정보 접근성, 물리적 환경 개선 등을 통해 사회가 변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장애의 사회적 모델은 문화적 분석 도구로도 사용되며, 장애 정체성과 경제적 측면, 법과 공공 정책, 기술, 사회적 구성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비판도 존재하지만, 장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며 장애인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접근성 - 보호 작업장
보호 작업장은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취업 기회와 기술 습득을 제공하여 자립을 지원하는 시설이지만, 낮은 수익성과 열악한 근로 조건, 사회 통합 부족 등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국가별 운영 현황 및 논쟁점이 존재한다. - 접근성 - 흰지팡이
흰지팡이는 시각 장애인이 보행을 돕고 시각 장애를 상징하는 도구로, 20세기 초 상징으로 등장하여 1931년 프랑스 보급 운동 이후 널리 쓰이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고 각국 법규에 관련 규정이 존재하며 한국에서는 도로교통법에 따라 휴대하도록 규정된다. - 사회 구성주의 - 토마스 루크만
토마스 루크만은 슬로베니아 출신 독일 사회학자로, 알프레드 슈츠의 영향을 받아 현상학적 사회학을 발전시켰으며, 피터 L. 버거와 함께 사회학 고전으로 평가받는 《사회적 실재의 구성》을 저술하고, 현대 사회 종교의 사사화 현상을 분석한 《보이지 않는 종교》를 발표하는 등 지식사회학, 종교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 공헌했다. - 사회 구성주의 - 프레이밍
프레이밍은 정보 제시 방식이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커뮤니케이션, 심리학, 사회학, 정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된다. - 의료사회학 - 건강 형평성
건강 형평성은 사회경제적 요인, 인종, 성별, 지역 등에 의해 발생하는 건강 상태의 불공정한 차이로, 의료 접근성 향상, 사회경제적 불평등 완화, 건강 교육 강화, 차별 해소 등 다각적인 노력과 정책적 개입을 통해 해소해야 한다. - 의료사회학 -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
건강과 질병의 사회학은 건강과 질병을 사회적 맥락에서 분석하고, 건강 불평등과 의료 서비스 접근성 문제를 탐구하며,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인식과 관리 방식의 변천 과정을 살피는 학문이다.
장애의 사회적 모델 | |
---|---|
사회 모델 정보 | |
유형 | 장애학 이론 |
주요 원리 | 사회적 억압과 배리어 제거 |
반대 | 개인 모델 |
관련 주제 | 장애 권리 운동 장애 차별 접근성 보편적 디자인 사회적 포용 정상성 자기 옹호 |
일본어 정보 (참고) | |
일본어 명칭 | 障害の社会モデル (Shōgai no shakai moderu, 쇼가이 노 샤카이 모데루) |
설명 | 장애를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구조의 문제로 보는 관점 |
2. 역사
장애의 사회적 모델은 장애인 권리 운동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다. 1970년경, 북아메리카의 여러 단체들은 장애를 의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억압, 시민적·정치적 권리, 접근성과 같은 문제로 보기 시작했다.[8]
1975년, 영국의 UPIAS(Union of the Physically Impaired Against Segregation)는 "신체적 장애인을 무능하게 만드는 것은 사회이다. 장애는 우리가 불필요하게 격리되고 사회의 완전한 참여에서 배제되는 방식으로 인해 우리의 장애에 덧씌워지는 것이다."라고 주장하며, 장애의 사회적 해석 또는 사회적 정의를 제시했다.[9][10][11][12]
2. 1. 장애인 권리 운동
1970년대 이전부터 장애와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고려가 시작되었다. 영국의 정치인이자 장애인 권리 운동가인 알프 모리스는 1969년에 장애인과 그 가족, 친구들에게 가해지는 "심각하고 불필요한 사회적 핸디캡"을 없애고 싶다고 언급했다.[7] 그는 시청, 카운티 홀, 미술관, 도서관, 대학교뿐만 아니라 펍, 레스토랑, 극장, 영화관 등 오락 시설에서 장애인이 배제되는 현실을 지적했다.[7]1970년경, 북아메리카의 사회학자, 장애인, 장애에 초점을 맞춘 정치 조직 등은 장애를 의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사회적 억압, 시민적·정치적 권리, 접근성 등의 문제로 보기 시작했다.[8]
1975년, 영국의 단체 UPIAS(Union of the Physically Impaired Against Segregation)는 "신체적 장애인을 무능하게 만드는 것은 사회이다. 장애는 우리가 불필요하게 격리되고 사회의 완전한 참여에서 배제되는 방식으로 인해 우리의 장애에 덧씌워지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9][10][11] 이것은 장애의 사회적 해석 또는 사회적 정의로 알려지게 되었다.[12]
2. 2. 마이크 올리버
1983년, 장애인 학자 마이크 올리버는 UPIAS의 "장애의 사회적 정의"를 따라 '장애의 사회적 모델'이라는 문구를 만들었다.[13] 올리버는 사회적 모델과 개인적 모델(의학적 모델 포함)의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췄다.[14] 그의 1990년 저서인 ''장애의 정치학''[15]은 이 모델을 널리 알리는 데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 책에는 장애의 사회적 모델에 대한 내용이 단 세 페이지에 걸쳐 실려 있다.[8]2. 3. 개념의 확장
"사회적 모델"은 학습 장애, 지적 장애 또는 정서적, 정신 건강 또는 행동 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포함하여 모든 장애인을 포괄하기 위해 오스트레일리아(호주), 영국, 미국 및 기타 국가의 학자들과 활동가들에 의해 확장 및 발전되었다.[16][17]3. 구성과 사용
장애의 사회적 모델이 가장 중시하는 기초적 측면은 평등이다. 평등을 위한 투쟁은 다른 사회적 소외집단들의 투쟁과 비교되곤 한다. 장애 권리 운동가들은 "우리 없이 우리 이야기하기 없다"라는 구호를 사용한다.[81]
1970년대 이전부터 장애와 사회의 상호작용에 대한 고려가 시작되었다. 영국의 정치인이자 장애인 권리 운동가인 알프 모리스는 1969년에 다음과 같이 썼다.[7]
My Bill was no sooner published than I was being asked what kind of improvements I had in mind for the chronically sick and disabled. I replied that it seemed best to start with the problems of access. I explained that I wanted to remove the ''grave and unnecessary social handicap'' imposed on disabled people, and on their families and friends, which excluded them not only from town halls and county halls, art galleries, libraries and many universities, but also from pubs, restaurants, theatres, cinemas and other places of entertainment. I explained that my friends and I were concerned to stop society treating disabled people as if they were a different species.|나의 법안이 발표되자마자, 나는 만성 질환자와 장애인을 위해 어떤 종류의 개선을 염두에 두고 있는지 질문을 받았다. 나는 접근성 문제부터 시작하는 것이 가장 좋다고 대답했다. 나는 장애인과 그 가족, 친구들에게 부과된, 시청, 카운티 홀, 미술관, 도서관, 많은 대학교뿐만 아니라 술집, 식당, 극장, 영화관 및 기타 오락 시설에서도 그들을 배제하는 '심각하고 불필요한 사회적 핸디캡'을 제거하고 싶다고 설명했다. 나는 내 친구들과 나는 사회가 장애인을 마치 다른 종족인 것처럼 대하는 것을 막는 데 관심이 있다고 설명했다.영어
장애의 사회적 모델의 역사는 장애인 권리 운동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다. 1970년경, 북아메리카의 사회학자, 장애인, 장애 관련 정치 조직 등은 장애를 의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억압, 시민적·정치적 권리, 접근성과 같은 문제로 보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장애를 사회적 구성으로 보는 개념을 낳았다.[8]
1975년, 영국의 UPIAS(Union of the Physically Impaired Against Segregation)[9]는 "신체적 장애인을 무능하게 만드는 것은 사회이다. 장애는 불필요한 격리와 사회 참여 배제로 인해 덧씌워지는 것이다."라고 주장했다.[10][11] 이것은 장애의 사회적 해석 또는 사회적 정의로 알려지게 되었다.[12]
3. 1. 사회적 변화의 요구
장애의 사회적 모델은 사회가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지에 관심을 둔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태도''': 특정 정신적/행동적 특성에 대한 더욱 관용적인 태도를 가지며, 장애인의 삶의 가치를 낮잡아 보지 않아야 한다.
- '''사회적 지원''': 자원, 지원, 적극적 우대조치 등을 통해 장애인이 겪는 장벽에 대처하고 동등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자폐인에게 직장 문화에 대해 설명해주는 사람을 제공하는 것이 있다.
- '''정보''': 적절한 형식(예: 점자)과 수준(예: 쉬운 말 쓰기)을 사용하고, 정보를 공유해야 한다. 예를 들어, 타인은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일 법한 일에 대한 추가적인 해설을 제공해야 한다.
- '''물리적 구조''': 엘리베이터나 경사 우회로 등을 설치해야 한다.
- '''유연근무제''': 일주기 수면 리듬장애 당사자들을 위해 유연근무제를 실시해야 한다.[82]
4. 문화적 분석 도구
장애의 사회적 모델은 문학, 라디오, 자선 이미지, 영화 등 장애에 대한 문화적 표현을 분석하는 핵심적인 도구가 되었다. 사회적 모델은 예를 들어, 기존의 이미지가 장애인의 억압을 어떻게 강화하는지 보여줌으로써 장애인에 대한 고정관념과 원형에 도전하는 핵심적인 개념 분석이 되었다. 주요 이론가로는 폴 다크 (영화), 로이스 키스[18] (문학), 레너드 데이비스 (농문화), 제니 실리[19] (연극), 메리-팻 오말리[20] (라디오) 등이 있다.
5. 정체성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 영국의 장애인들에게 장애의 사회적 모델은 정체성의 지배적인 특징이 되었다.[26] 장애의 사회적 모델에 따르면, 장애 정체성은 "손상의 존재, 차별주의 경험, 그리고 장애인으로서의 자기 동일시"에 의해 만들어진다.[23]
장애의 사회적 모델은 개인을 변화시키거나 "고치려" 하거나 "치료하려는" 시도가 차별적이고 편견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태도는 의료 모델과 주관적인 가치 체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이러한 태도에 노출되는 사람들의 자존감과 사회적 포용에 해를 끼칠 수 있다. 어떤 공동체는 독특한 문화나 능력 세트를 옹호하면서 "치료"에 적극적으로 저항해 왔다. 농인 공동체에서는 수화를 가치 있게 여기며, 일부 부모는 농아 유아에게 인공 와우 이식을 하는 것에 동의하지 않는다.[27] 자폐인은 자신에게 중요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다고 말하는 행동이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 억제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대신, 그들은 신경다양성의 수용과 다른 요구와 목표에 대한 적응을 주장한다.[28] 정신 질환을 진단받은 일부 사람들은 자신들이 단지 다르며 반드시 순응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29]
"신경다양성"이라는 용어는 장애의 사회적 모델의 맥락에서 다양한 정신-장애 권리 옹호자들에 의해 사용되어 왔다.[30] 원래 자폐증과 관련된 이 용어는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발달 언어 장애, 난독증, 쓰기 장애, 실행증, 계산 장애, 명칭 실어증, 지적 장애, 뚜렛 증후군과 같은 다른 신경발달 조건 또는 신경다양성에 적용되어 왔으며,[31][32] 조현증,[30][33] 양극성 장애,[34] 및 분열정동 장애, 반사회적 인격 장애,[35] 해리성 장애, 강박 장애와 같은 일부 정신 건강 상태에도 적용된다.[36][37]
6. 경제적 측면
사회적 모델은 경제적 자립과 관련이 있으며, 사람들은 자신의 필요를 충족할 자원 부족으로 인해 장애를 갖게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8] 예를 들어, 장애인은 사회에 완전히 참여하기 위해 지원 서비스가 필요할 수 있으며, 사회가 그러한 지원 서비스에 대한 접근을 차단하면, 예를 들어 정부 긴축 조치라는 명분으로 장애를 갖게 될 수 있다.
사회적 모델은 또한 장애인이 다른 사람들과 동등한 권리, 동등하게 적합한 시설 및 기회를 갖는다면 사회에 기여하고 경제적 가치를 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과소평가하는 문제와 같은 다른 문제들을 다룬다. 기업들이 자사 인력에 장애를 수용하려는 경제 연구는 그들이 경쟁사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낸다는 것을 시사한다.[39]
2001년 가을, 영국 국립 통계청은 노동 가능 연령 인구의 약 5분의 1이 장애인으로, 이는 약 710만 명의 장애인에 해당하며, 약 2,980만 명의 비장애인과 비교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 분석은 또한 장애인이 노동 시장에 참여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는데, 예를 들어 노동 시장에 진입할 때 장애 수당 감소는 취업에 가치가 없게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세 가지 접근 방식이 제안되었다. "장애인 세금 공제와 같은 세금 및 복지 시스템을 통한 취업 인센티브, 장애인을 위한 뉴딜과 같은 사람들이 다시 일하도록 돕기, 차별 금지 정책을 통해 직장 내 차별에 대처하기. 이를 뒷받침하는 것은 1995년 장애 차별 금지법(DDA)과 장애인 권리 위원회이다."[40]
캐나다와 미국은 사회 보장 급여가 시민들에게 취업을 찾고 유지할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노동을 통해 얻은 금액을 초과해서는 안 된다는 전제하에 운영되어 왔다. 이는 장애인 시민들 사이에서 광범위한 빈곤으로 이어졌다. 1950년대에는 장애 연금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형태의 직접적인 경제적 지원을 포함했지만, 보상은 낮았다. 1970년대 이후, 두 정부는 실업률이 지속적으로 높기 때문에 실업 장애인 시민을 과잉 노동력으로 간주하고 고용을 늘리려는 시도를 최소화하여 '인센티브' 원칙으로 인해 장애인을 빈곤 수준의 소득으로 유지했다. 빈곤은 장애인이 직면하는 가장 쇠약하게 만드는 상황으로, 사회에 참여하는 데 필요한 적절한 의료, 기술 및 기타 지원을 받을 수 없게 만든다.[41]
7. 법과 공공 정책
영국의 1995년 장애인 차별 금지법은 장애를 의학적 모델로 정의하지만, 고용주와 서비스 제공자가 정책, 관행 또는 시설의 물리적 측면에 "합리적인 조정"을 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사회적 모델을 따른다.[42] 이러한 조정을 통해 고용주와 서비스 제공자는 사회적 모델에 따라 장애를 유발하는 장벽을 제거한다. 2006년 수정안은 지방 당국 및 기타 기관에 장애 평등을 적극적으로 증진하도록 요구했으며, 이는 2006년 12월 장애 평등 의무 형성을 통해 시행되었다.[43] 2010년 평등법은 1995년 장애인 차별 금지법을 다른 관련 차별 금지 법률과 통합하고, 간접 차별까지 차별 금지 범위를 확대했다.[44] 예를 들어, 장애인의 간병인이 차별받는 경우도 불법이다. 2010년 10월부터 고용주는 채용 면접에서 합리적인 조정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질병이나 장애에 대한 질문을 하거나 추천인이 언급하도록 요구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채용 제안 후에는 이러한 질문이 허용된다.[45]
미국에서는 1990년 미국 장애인법(ADA)이 다양한 환경에서 장애를 기반으로 한 차별을 금지하는 광범위한 시민권 법률이다.[46] 이 법은 세계 최초로 장애인 차별을 금지하는 시민권 법률이었으며, 1964년 민권법을 모델로 하여 인종, 종교, 성별, 국적 등 다른 특성에 따른 차별을 금지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장애인에 대한 차별로부터 보호를 제공한다. 이 법은 대중교통, 상업 건물 및 공공 편의 시설이 장애인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요구한다.
8. 기술
지난 수십 년 동안 기술은 통신과 컴퓨터 사용의 증가를 촉진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및 통신을 변화시켰다. 이 디지털 혁명은 사람들이 일하고, 배우고,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변화시켰으며, 이러한 기본적인 인간 활동을 기술 플랫폼으로 옮겨 놓았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은 일종의 장애를 경험한다. 예를 들어 인지 장애, 손 떨림 또는 시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신체적으로 보이지 않더라도 "기술적 장애"가 없는 사람들이 접근하는 방식으로는 기술에 완전히 접근하는 것을 금지하는 일종의 장애를 가지고 있다.
케이티 엘리스와 마이크 켄트는 저서 ''장애와 뉴미디어''에서 "기술은 종종 해방의 원천으로 제시되지만, 웹 2.0과 관련된 개발은 항상 그렇지는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한다.[47] 그들은 웹 2.0의 기술 발전이 사회적 이데올로기와 낙인에 묶여 있어 "일상적으로 장애인을 무능하게 만든다"고 말한다.[47]
그렉 고긴과 크리스토퍼 뉴웰은 저서 ''디지털 장애: 뉴미디어에서 장애의 사회적 구성''에서 뉴미디어와 장애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이해를 요구한다.[48] 그들은 통신에서 보조 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개발을 추적하여 장애의 기술 과학을 제공하며, 이를 통해 장애인이 정책 입안자, 기업, 프로그래머 및 장애인 스스로에 의해 뉴미디어의 사용자, 소비자, 시청자 또는 청취자로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한 글로벌 관점을 제시한다.
9. 장애의 사회적 구성
장애의 사회적 구성은 특정 공동체, 집단 또는 인구에 대한 사회의 믿음이 당대 사회에 내재된 권력 구조에 근거한다는 패러다임에서 비롯된다.[24] 장애에 대한 개념은 사회적 태도에서 비롯되며, 이는 종종 당대 사회에 누가 자격이 있고 자격이 없는지, 그리고 생산적으로 여겨지는지에 연결된다.[24] 사회적 기대는 사회가 장애인과 건강한 사람으로 간주하는 것에 대한 사회적 구성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종종 과학적 발견보다는 관찰이나 가치 판단에 더 많이 기반하여 편견을 영속시킬 수 있다.[24]
예를 들어, 중세 시대에는 사람의 도덕적 행동이 장애를 규정했다. 장애는 신성한 처벌이나 도덕적 실패의 부작용이었다. 신체적으로나 생물학적으로 다른 것만으로는 장애인으로 간주되기에 충분하지 않았다. 계몽 시대에 이르러서야 사회는 장애의 정의를 생물학과 더 관련되도록 변경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서유럽 사람들이 건강하다고 여겼던 것이 건강의 새로운 생물학적 정의를 결정했다.[49]
9. 1. 2000년 패럴림픽
올림픽이 전체 행사 기간 동안 생중계로 방송되었던 반면, 패럴림픽은 최초 방송 전까지 동일한 생중계 방송을 할 만큼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 올림픽과 패럴림픽을 분리함으로써, 즉,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덜 가치 있다는 것을 나타냄으로써 장애는 사회적으로 구성된다.[50]10. 응용
장애의 사회적 모델을 적용하면 목표와 치료 계획을 변경할 수 있다. 장애의 의학적 모델에서는 목표가 아동의 전형적인 능력 습득 및 손상 감소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사회적 모델에서는 아동이 기능 수준과 관계없이 생일 파티나 사교 행사 등 지역 사회의 일상생활에 참여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51]
10. 1. 교육
장애 교육은 구성원들이 좋은 삶이 무엇인지 질문하고, 교육을 재고하며, 신체적, 정신적 상태를 다양한 능력의 일부로 보고, 서로 다른 재능이 다르게 분포되어 있으며, 모든 재능을 인정해야 한다고 이해하는 도덕적 공동체의 개념을 회복하려는 시도라고 제안되어 왔다. 이 시스템에서는 모든 학생이 특별한 경우로 구분되는 대신 교육 네트워크에 포함되며, 모든 인간이 개별적인 요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게 될 것이다.[52]10. 2. 유니버설 디자인
사회적 모델에서는 아동이 기능 수준에 관계없이 생일 파티 및 기타 사교 행사 참석과 같은 지역 사회의 정상적인 삶에 포함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51] 이렇게 함으로써, 다른 능력을 가진 사람들과 신경다양성을 가진 사람들과 관련된 새로운 규범을 만들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다양성이 사회에 가치 있고 바람직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도록 한다.[24] 또한, 이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맥락에서 장애인을 지원할 수 있는 설계된 공간과 보조 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포용적인 공간을 만들어 장애를 정상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3]11. 한계
마이크 올리버는 장애의 사회적 모델이 모든 장애를 설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대신, 사회가 장애를 바라보는 시선을 바꾸는 시작점이 되기를 바랐다.[83] 이 모델은 모든 장애인의 상황과 경험을 설명할 수 있는 마법의 주문이라기보다는 장애인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 도구로 간주되며 이용되고 있다.[83]
주된 비판은 장애의 사회적 모델이 장애의 역할을 낮춰 보이게 한다는 점이다.[83] 다른 비판으로는 장애인 간의 나이, 인종, 성별 등에서 오는 차이점을 뭉개버리고 그들을 몰개성한 개인들의 집합으로 간주한다는 점이 있다.[83]
참조
[1]
논문
The Cartesian melodrama in nursing
2002-10-01
[2]
서적
Disability and Society
Routledge
[3]
논문
Universal Design and disability: an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
2014-06-01
[4]
웹사이트
Defining Impairment within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https://disability-s[...]
Centre for Disability Studies
2012-11-10
[5]
웹사이트
Social model of disability
https://www.scope.or[...]
2022-07-31
[6]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as a Social Problem Solver
https://dsq-sds.org/[...]
2022-07-31
[7]
서적
No Feet to Drag - Report on the Disabled
Sidgwick & Jackson
[8]
논문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thirty years on
2013-10-01
[9]
서적
UPIAS - The Union of the Physically Impaired Against Segregation (1972-1990) : a public record from private files
TBR Imprint
2019-01-01
[10]
웹사이트
THE UNION OF THE PHYSICALLY IMPAIRED AGAINST SEGREGATION and THE DISABILITY ALLIANCE discuss Fundamental Principles of Disability
http://www.leeds.ac.[...]
UPIAS
2010-10-23
[11]
웹사이트
Fundamental Principles of Disability - Comments on the discussion held between the Union and the Disability Alliance on 22nd November, 1975
http://www.leeds.ac.[...]
UPIAS
2010-10-23
[12]
서적
No limits : the disabled people's movement : a radical history
TBR Imprint
[13]
서적
Social work with disabled peopl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2016-11-04
[14]
웹사이트
The individual and social models of disability
http://www.leeds.ac.[...]
leeds.ac.uk
2012-11-10
[15]
서적
The Politics of Disablement
Macmillan Education
1990-01-01
[16]
웹사이트
Disabling Imagery? | Ways of thinking about disability: 'Medical Model' vs 'Social Model' | Learning resources| BFI
http://old.bfi.org.u[...]
2016-01-14
[17]
논문
'Learning Difficulties',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and Impairment: Challenging epistemologies
2001-03-01
[18]
웹사이트
Cured by submission
https://www.theguard[...]
2020-10-05
[19]
웹사이트
Who We Are
https://graeae.org/a[...]
2020-10-05
[20]
논문
Falling between frames: Institutional discourse and disability in radio
2009-02-01
[21]
서적
Nothing about us without us: disability oppression and empower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6-11-04
[22]
웹사이트
EHRC - Examples of reasonable adjustments in the workplace
http://www.equalityh[...]
Equalityhumanrights.com
2012-11-10
[23]
서적
The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Mad Studies
Routledge
[24]
논문
Neurodiversity, epistemic injustice, and the good human life
2022-01-01
[25]
논문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Repossessed
https://disability-s[...]
2023-07-19
[26]
논문
Defending the Social Model
1997-04-01
[27]
논문
Hear Me Out
2019-01-01
[28]
웹사이트
the autistic distinction
http://www.neurodive[...]
2012-11-10
[29]
논문
The need for a new medical model: a challenge for biomedicine
1977-04-08
[30]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Philosophy of Psychiat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1-11-28
[31]
간행물
'We Don't Need to be Cured' Autistics Say
http://www.nationalr[...]
National Review of Medicine
2006-04-30
[32]
논문
Is our legal, health care and social support infrastructure neurodiverse enough? How far are the 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fulfilled for those diagnosed with cognitive disability and learning disability?
2011-01-31
[33]
뉴스
Otherwise Minded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06-01-29
[34]
서적
NeuroDiversity: The Birth of an Idea
https://books.google[...]
Judy Singer
2023-03-22
[35]
논문
The Virtue of Sociopaths: how to appreciate the neurodiversity of sociopathy without becoming a victim
https://www.academia[...]
2015-08-02
[36]
논문
The Myth of the Normal Brain: Embracing Neurodiversity
http://journalofethi[...]
2015-04
[37]
웹사이트
http://www.eastrenfr[...]
2009-04-17
[38]
논문
Independent Living and the Medical Model of Disability
1986-01-01
[39]
뉴스
Disability and business: The new green
http://www.economist[...]
2015-04-26
[40]
논문
Labour market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https://s3.amazonaws[...]
2020-10-05
[41]
서적
The Social Construction of Disability
http://moodle.fhs.cu[...]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21-10-18
[42]
웹사이트
Definition of disability under the Equality Act 2010 - GOV.UK
http://www.direct.go[...]
Direct.gov.uk
2012-11-10
[43]
웹사이트
コアサーバーdotheduty.org
http://www.dotheduty[...]
2016-01-14
[44]
웹사이트
Home Office
http://www.equalitie[...]
Equalities
2012-11-10
[45]
웹사이트
Previous Issues of The Bottom Line Online
http://www.thebottom[...]
Thebottomlineonline.co.uk
2012-11-10
[46]
웹사이트
AMERICANS WITH DISABILITIES ACT OF 1990, AS AMENDED
http://www.ada.gov/p[...]
2016-01-14
[47]
서적
Disability and new media
Routledge
2010-12-17
[48]
서적
Digital disability: the social construction of disability in new media
Rowman & Littlefield
[49]
서적
The Disability Studies Reader
Routledge 2nd edition
[50]
서적
Digital disability: the social construction of disability in new media
Rowman & Littlefield
[51]
웹사이트
Can Robots Heal an Injured Brain?
https://www.theatlan[...]
2021-10-19
[52]
서적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a Pluralistic Societ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
1993-07
[53]
논문
The Cartesian melodrama in nursing
2002-10-01
[54]
웹사이트
Defining Impairment within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https://disability-s[...]
2012-11-10
[55]
웹사이트
Social model of disability
https://www.scope.or[...]
2022-07-31
[56]
논문
The Development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as a Social Problem Solver
https://dsq-sds.org/[...]
2003
[57]
서적
No Feet to Drag - Report on the Disabled
Sidgwick & Jackson
[58]
논문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thirty years on
2013-10
[59]
서적
UPIAS - The Union of the Physically Impaired Against Segregation (1972-1990) : a public record from private files
TBR Imprint
2019
[60]
웹사이트
THE UNION OF THE PHYSICALLY IMPAIRED AGAINST SEGREGATION and THE DISABILITY ALLIANCE discuss Fundamental Principles of Disability
http://www.leeds.ac.[...]
UPIAS
2010-10-23
[61]
웹사이트
Fundamental Principles of Disability - Comments on the discussion held between the Union and the Disability Alliance on 22nd November, 1975
http://www.leeds.ac.[...]
UPIAS
2010-10-23
[62]
서적
No limits : the disabled people's movement : a radical history
TBR Imprint
[63]
서적
Social work with disabled people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64]
논문
THE INDIVIDUAL AND SOCIAL MODELS OF DISABILITY
http://www.leeds.ac.[...]
leeds.ac.uk
2012-11-10
[65]
서적
The Politics of Disablement
Macmillan Education
1990
[66]
웹사이트
Disabling Imagery? | Ways of thinking about disability: 'Medical Model' vs 'Social Model' | Learning resources| BFI
http://old.bfi.org.u[...]
2016-01-14
[67]
논문
'Learning Difficulties',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and Impairment: Challenging epistemologies
2001-03-01
[68]
서적
Nothing about us without us: disability oppression and empower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69]
웹사이트
EHRC - Examples of reasonable adjustments in the workplace
http://www.equalityh[...]
Equalityhumanrights.com
2012-11-10
[70]
논문
Defending the Social Model
1997-04
[71]
논문
Hear Me Out
2019
[72]
웹사이트
the autistic distinction
http://www.neurodive[...]
2004-08-20
[73]
논문
The need for a new medical model: a challenge for biomedicine
1977-04-08
[74]
서적
The Bloomsbury Companion to Philosophy of Psychiat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9-01-10
[75]
뉴스
'We Don't Need to be Cured' Autistics Say
http://www.nationalr[...]
National Review of Medicine
2006-04-30
[76]
논문
Is our legal, health care and social support infrastructure neurodiverse enough? How far are the 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fulfilled for those diagnosed with cognitive disability and learning disability?
2011-01-31
[77]
논문
The Virtue of Sociopaths: how to appreciate the neurodiversity of sociopathy without becoming a victim
https://www.academia[...]
2015-08-02
[78]
서적
NeuroDiversity: The Birth of an Idea
https://www.google.c[...]
Judy Singer
2016-06-03
[79]
논문
The Myth of the Normal Brain: Embracing Neurodiversity
http://journalofethi[...]
2015-08-05
[80]
웹사이트
http://www.eastrenfr[...]
[81]
서적
Nothing about us without us: disability oppression and empowermen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82]
웹인용
EHRC - Examples of reasonable adjustments in the workplace
http://www.equalityh[...]
Equalityhumanrights.com
2010-10-01
[83]
저널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thirty years on
201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