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정은 1934년부터 1936년까지 중국 공산당 홍군이 중국 국민당의 공격을 피해 대규모로 이동한 사건을 말한다. 국민당의 포위 공격으로 장시 소비에트구를 포기하고 탈출한 홍군은 험난한 여정을 거쳐 산시성 옌안에 정착했다. 이 과정에서 마오쩌둥의 지도력이 확립되었으며, 공산당은 농민의 지지를 얻고 항일 투쟁의 기반을 마련했다. 장정은 중국 공산당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혁명의 신화로 여겨지지만, 이동 거리와 전투 묘사 등 역사적 사실에 대한 논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4년 분쟁 - 오스트리아 내전
    오스트리아 내전은 1934년 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말기에 돌푸스 정권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맞선 사회민주당의 무장봉기로 발발하여 정부군의 승리로 끝나고 사회민주당은 패배했으며, 오스트리아 정치사에 깊은 영향을 남겼다.
  • 1934년 분쟁 - 아비시니아 위기
    아비시니아 위기는 1930년대 중반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침략을 둘러싼 국제적 갈등으로,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와의 조약에도 불구하고 국경 분쟁을 빌미로 침략을 감행하여 국제 연맹의 권위를 실추시키고 제2차 세계 대전 발발의 원인이 되었다.
  • 1935년 분쟁 -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1935년부터 1936년까지 파시스트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를 침공, 점령하여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제국을 선포한 전쟁으로, 국제 연맹의 한계를 드러내고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조가 되었다.
  • 1935년 분쟁 - 화북분리공작
    화북분리공작은 1930년대 일본 제국이 화북 지역을 중국 국민정부로부터 분리하려 시도했으나 실패하여 중일 전쟁의 원인이 된 정치적, 외교적 공작이다.
  • 1934년 중국 - 중화공화국
    1933년 푸젠 사변으로 국민혁명군 제19로군이 장제스의 중화민국 국민정부에 대항하여 푸젠성에서 수립한 중화공화국은 리지선을 의장으로 반장제스를 기치로 내걸었으나, 중국 공산당과의 협력 실패와 국민당 정부의 군사적 압박으로 53일 만에 붕괴되었다.
  • 1934년 중국 - 신생활운동
    신생활운동은 1930년대 장제스가 중국 사회의 도덕적 타락 극복과 국가 재건을 목표로 유교적 가치, 기독교, 국가주의, 권위주의를 결합하여 추진한 사회 개혁 운동이다.
장정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장정
로마자 표기: Chángzhēng
한자 (간체): 长征
한자 (번체): 長征
병음: Chángzhēng
민난어: Tiông-ting
광둥어 (예일): Chèuhng-jīng
광둥어 (광저우): Coeng4-zing1
광둥어 (자오칭): Coeng4-zing1
교전
분쟁중국 국민당-공산당 내전
시기1934년 10월 16일 ~ 1935년 10월 19일 (1년 3일)
장소화남, 화서, 중국 서북 지역
결과공산주의자들이 국민당 군대와 연합한 군벌을 회피함
관련 템플릿Campaignbox Chinese Civil War
교전 세력
교전국 1국민당 중국
국민혁명군
연합 군벌
교전국 2중국 홍군
지휘관 및 지도자
지휘관 1장제스
쉬에웨
바이충시
지휘관 2마오쩌둥
주더
저우언라이
펑더화이
린뱌오
덩샤오핑
오토 브라운
병력 규모
병력 1300,000명 이상
병력 2제1방면군
69,000명 (1934년 10월)
7,000명 (1935년 10월)

2. 배경

1920년대부터 중국 국민당과 중국 공산당은 이념적 갈등과 무력 충돌을 겪었다. 1927년 장제스가 공산주의자들을 공격하면서 양측의 협력 관계는 깨졌고, 난창 봉기 등 도시 봉기가 실패하면서 많은 공산당 지지자들이 농촌으로 이동하여 마오쩌둥이 조직한 장시 소비에트와 같은 근거지를 마련했다.[3] 1930년까지 붉은 군대는 장시성푸젠성에 중화 소비에트 공화국을 세웠다.

장시 소비에트 설립 후, 당 내에서 마오쩌둥의 지위는 하락했다. 1930년, 마오쩌둥은 국민당 첩자와 반볼셰비키를 제거한다는 명목 하에 숙청을 단행하여 약 7만 명이 사망하고 붉은 군대의 규모가 4만 명에서 1만 명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저우언라이는 초기에는 마오쩌둥의 숙청을 지지했으나, 1931년 12월 장시성에 도착한 후에는 그의 캠페인이 무의미하며 고문을 광범위하게 사용한다고 비판했다. 1932년 저우언라이의 노력으로 마오쩌둥의 사상 탄압은 중단되었지만, 마오쩌둥은 소비에트 정부에서 명목상의 지도자로 격하되었다.[4]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 정부는 공산당 세력을 궤멸시키기 위해 여러 차례 포위 토벌 작전을 전개했다. 1931년 6월의 제3차 토벌전에는 30만 대군이 동원되었으나, 쑨롄중 휘하 제26군 총참모장 자오보성 이하 2만 명이 홍군에 투항하는 등 국민당의 패배로 끝났다. 1932년 7월의 제4차 토벌전에는 100만 대군이 동원되었지만, 중공군은 광둥군을 격파하고 국민혁명군 3개 사단을 괴멸시키는 데 성공했다.[48]

장제스는 제1차 - 제4차 토벌전의 실패 원인을 분석하여, 1933년 봄의 제5차 포위 공격에서는 토치카와 경제 봉쇄를 이용한 전술을 사용했다. 이 전술은 효과를 발휘하여 1934년 초부터 135만 명의 중앙군, 광둥군, 호남군이 투입되자 홍군은 버티지 못하고 장시 소비에트구를 포기하고 장정을 시작했다.[48]

2. 1. 중국 공산당의 창당과 초기 활동

1921년 코민테른의 지원을 받아 천두슈에 의해 중국 공산당이 창당되었다. 중국 공산당은 혁명적인 공화주의자 쑨원이 창당한 민족주의 정당인 중국 국민당과 초기에 협력했다. 그러나 쑨원이 1925년 3월 갑작스럽게 사망한 후, 국민당 내 권력 투쟁으로 인해 당의 권위가 장제스에게로 이동되었고, 그의 북벌 군대는 지역 군벌로부터 중국의 광대한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빼앗고 1927년 4월 난징에 통일 정부를 수립하는 데 성공했다. 왕징웨이와 같은 다른 민족주의 지도자들과는 달리, 장제스는 중국 공산당과의 지속적인 협력에 반대했다. 중국을 통일하고 불평등 조약을 종식시키기 위한 초기 협력 기간은 1927년 4월 장제스가 공산주의자들을 공격하면서 깨졌다. 난창 봉기, 우한, 광저우에서 일어난 실패한 도시 봉기와 상하이 및 기타 도시에서 중국 공산당의 탄압은 많은 당 지지자들을 마오쩌둥이 조직한 장시 소비에트와 같은 농촌 거점으로 몰아넣었다. 1928년까지 탈영병과 국민당 군대 부대의 탈주병들이 공산주의 농촌 소비에트의 농민들에 의해 보충되어 중국 공농 홍군(중국 노동자·농민 붉은 군대)을 형성했다. 중국 공산당과 국민당 사이의 이념적 대립은 곧 중국 내전의 첫 번째 단계로 발전했다.

2. 2. 국민당의 포위 공격과 공산당의 위기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 정부는 공산당 세력을 궤멸시키기 위해 여러 차례에 걸쳐 대규모 포위 토벌 작전을 전개했다. 특히 1933년부터 시작된 제5차 포위 토벌 작전은 공산당에게 큰 위협이 되었다.[6] 국민당군은 독일 군사 고문 한스 폰 젝트의 조언을 받아 토치카를 활용한 봉쇄 전술을 펼쳤고,[48] 공산당은 심각한 물자 부족과 병력 손실을 겪었다.

1930년 12월부터 1932년 7월까지 진행된 제1차 - 제4차 토벌전에서 국민혁명군은 병력을 조금씩 투입했고, 홍군 측은 산악 지대에서 게릴라전을 펼쳤기 때문에 이를 격파했다.

  • 국민혁명군의 제1차 토벌전은 루디핑 지휘 아래 4개 사단 약 10만 명의 병력으로 진행되었으나 2개 사단이 전멸하고 1개 사단장이 포로로 잡히는 참패를 겪었다.
  • 제2차 토벌전은 1931년 4월 국민혁명군 정치부장 허잉친을 총사령관으로 하여 진행되었지만 1개 사단장이 전사하고 1개 사단장이 포로로 잡히는 패배를 겪었다.[47]
  • 제3차 토벌전은 1931년 6월 중순 30만 대군이 동원되어 난창에 사령부를 두고 장제스가 직접 독전했으나 좌익의 천밍수 휘하 제5로군의 붕괴, 더불어 쑨롄중 휘하 제26군 총참모장 자오보성 이하 2만 명이 홍군에 투항하는 패배로 끝났다.
  • 제4차 토벌전은 1932년 7월, 15개 사단 100만 대군이 동원되어 시작되었지만 중공군은 동로의 제1, 제5 양 군단과 서로의 제3 군단을 합쳐, 처음에 장시성 남부에 진출하여 천지탕 휘하의 광둥군을 격파한 후 즉시 북상하여 국민혁명군 3개 사단을 괴멸시켰다.[48]


루이진의 중앙 소비에트 지구에서는 홍군의 방어가 성공했지만, 지방의 소비에트 지구도 국민혁명군의 공격에 노출되었다. 1932년 9월에는 후베이성, 허난성, 안후이성에 걸쳐 있는 어위안 소비에트 지구가 함락되었고, 장궈타오가 지도하는 홍4방면군(총지휘관 쉬샹첸)은 쓰촨성으로의 후퇴를 면치 못했다.[49]

장제스는 제1차 - 제4차 실패가 병력 분산, 익숙하지 않은 게릴라전에 대응하지 못한 점, 더 나아가 홍군의 장비가 빈약하여 군대로서의 능력 자체가 낮다고 얕본 것에 있다고 판단했다. 1933년 봄의 제5차 포위 공격에서는 토치카군과 경제 봉쇄를 이용한 군사 3할, 정치 7할의 전술을 전개하여 그해 여름부터 효과를 나타냈고, 1934년 초부터 투입된 중앙군, 광동군, 호남군 135만 명에 홍군은 버티지 못하고, 같은 해 11월부터 장시 소비에트구를 포기하고 '장정'을 시작했다.[48]

국민혁명군의 포위망에 대해, 당시 공산당의 실질적 최고 지도자였던 친방셴은 코민테른에서 파견된 군사 고문오토 브라운 (중국명: 리더)의 제안을 맹신하고 참호전을 펼쳤다.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마오쩌둥 등은 압도적으로 우세한 포위군에 대해 참호전을 전개하는 것은 너무나 무모하다고 반대했지만, 당 중앙의 결정은 뒤집히지 않았고, 여기서 중국 역사상 처음으로 중국인끼리의 근대적 참호전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병력·장비 모두 압도적으로 불리한 홍군은 순차적으로 방어선을 후퇴시켰고, 마침내 방어선은 수도 루이진의 북변까지 후퇴했다. 1934년 4월의 광창 함락 시에는 1만 명 이상의 병력을 잃는 대패를 겪었고, 루이진 함락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3. 장정의 경과

1934년 중국 공산당은 중국국민당과의 전투에서 계속 패배했고, 장시성 소비에트를 포기하고 새로운 근거지를 찾아 대규모 이동, 즉 장정을 시작했다. 국민당의 포위망이 강화되자, 공산당 지도부는 장시성 소비에트를 포기하고 새로운 근거지를 찾아 대규모 이동을 결정했다.[48]

1934년 10월 16일, 8만 명의 홍군(중국 공산당 군) 제1 방면군이 장시성 서금 소비에트(공산당 점령지역)를 탈출하여 장정을 시작했다. 이들은 군수품과 물자를 등에 지고 산시성 (섬서성)을 향해 이동했다.[2]

장제스는 70만여 명의 대군으로 소비에트 주위에 철조망과 시멘트 요새를 설치하여 포위망을 구축했다. 국민당군의 압박으로 소비에트 지역은 물자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공산당은 결국 근거지를 포기하고 탈출을 시도했다.[2]

당시 마오쩌둥은 소련의 압력으로 지도권을 상실한 상태였고, 모험주의 노선의 지도부가 국민당군에 정규전으로 대응한 것이 패전의 원인이었다. 초기에는 장기적인 목적지가 확정되지 않았고, 생존을 위해 국민당군을 피하는 것이 우선이었다. 이후, 소련의 지원을 받기 유리한 산시성 (섬서성)을 최종 목적지로 결정했다.[2]

홍군은 포위망이 약한 서남쪽을 돌파하여 국민당군과 군벌 군대를 피해 서쪽으로 이동했다. 처음에는 중화기, 문서 등 많은 짐으로 기동성이 약해 피해가 컸지만, 짐을 버리는 과정에서 중요 역사 기록문서들이 상실되기도 했다.[2]

1935년 1월, 준의 회의를 통해 마오쩌둥의 노선이 채택되고 당 지도권을 장악하면서, 홍군은 게릴라전을 통해 기동성을 확보했다. 이후 사천성 북부의 제4방면군과의 합류를 시도했지만, 국민당군의 추격과 더위, 식량 부족 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농민들을 신병으로 충원하고, 군벌 및 소수민족과의 타협을 통해 위기를 극복했다.[2]

1935년 10월, 368일의 행군 끝에 제4방면군과 합류했고, 제2방면군도 11개 성, 18개 산맥을 넘어 감숙성에서 제1방면군과 합류했다.[2] 마오쩌둥 등이 이끄는 제1방면군은 옌안에 도착하여 자리를 잡았지만, 당초 출발 인원 중 7천 명만이 살아남았다. 이는 장제스의 공산당 섬멸 의지가 강했음을 보여준다.[2]

장궈타오가 이끄는 제4방면군은 장제스의 집중 공격으로 큰 피해를 입었다. 중국 공산당은 상하이에서 창립된 이후 15년 동안 이룩했던 성과를 잃었지만, 홍군은 이념과 전략을 확고히 하고 농민들에게 이념을 알리는 계기로 삼아 항일전선을 통해 토대를 강화했다.[2]

장정 당시의 마오쩌둥(옌안에서)


공산당 지도부는 장시성루이진에서 산시성옌안까지 이동하며 병력이 크게 줄었지만, 장제스 정부가 항일을 위해 공산당과 타협하면서 상황이 종식되었다. 준의 회의를 통해 마오쩌둥의 지도권이 확립되었고, 현 공산당 정권은 장정을 현대 중국 형성의 역사적 전환점으로 여긴다.[2]

장제스는 이전의 실패를 통해 병력 분산, 게릴라전에 대한 대응 부족 등을 깨닫고, 1933년 봄 제5차 포위 공격에서 토치카군과 경제 봉쇄를 이용한 전술을 전개하여 1934년 초부터 효과를 보았다. 그러나 135만 명의 국민당군에 홍군은 버티지 못하고 1934년 11월부터 장정을 시작했다.[48]

당시 공산당 지도자 친방셴은 코민테른 군사 고문 오토 브라운의 제안을 맹신하고 참호전을 펼쳤다.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마오쩌둥 등은 반대했지만, 당 중앙의 결정은 뒤집히지 않았다. 친방셴은 국민당과의 최종 결전을 주장하며, 소련의 육전을 모범으로 삼은 브라운의 의견을 따랐다.[48]

그러나 홍군은 병력과 장비 부족으로 방어선을 후퇴했고, 1934년 4월 광창 함락 시에는 1만 명 이상의 병력을 잃는 대패를 겪으며 루이진 함락이 불가피해졌다.[48]

3. 1. 탈출과 초기 경로

1934년 10월 16일, 중국 남부 장시성 서금 소비에트(공산당 점령지역, 해방구)에서 8만 명의 중국 홍군(중국 공산당 군) 제1 방면군이 군수품과 온갖 물자를 등에 지고 탈출하기 시작했다.[2] 장제스가 1년 전부터 70만여 명의 대군으로 소비에트 주위에 철조망과 시멘트 요새를 설치하여 물샐틈 없는 포위망을 쳤기 때문이다. 중국국민당군의 압박으로 소비에트 지역은 생활 필수품과 의약품 등의 부족으로 고통받았고, 지배영역과 병력이 감소되자, 공산당 지도부는 장시성푸젠성 일대의 근거지를 버리고 탈출을 시도했다.[2]

당시 제1방면군에는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등 홍군의 지도자급 인사들이 많았는데, 저우언라이와 함께 지도력을 양분하던 마오쩌둥은 소련의 압력으로 지도권을 상실한 상태였다. 모험주의 노선의 지도부가 상대적으로 매우 강했던 국민당군에 게릴라전이 아닌 정규전으로 대응한 것이 패전의 원인이었다.[2] 장기적인 목적지는 확정되지 않았고, 생존을 위해 압력이 약한 곳을 노려 탈출하였으며, 강력한 국민당군을 피하는 것이 일차적 목표였다.[2]

최종 목적지로 중국 서북부의 오지인 산시성에 새로운 근거지를 마련하기로 결정하기까지는 많은 투쟁과 홍군 내부의 이견 극복이 필요했다.[2] 소련으로부터 지원을 받는 데 유리하다는 것도 최종 목적지가 된 이유 중 하나였다. 포위망이 가장 약한 서남쪽을 돌파한 홍군은 국민당군과 각 지역의 적대적인 군벌 군대를 뿌리치면서 서쪽으로 나아갔다.[2] 가족 대부분과 병들거나 부상 입은 2만 명을 포함한 2만 8000명의 홍군은 뒤에 남겨졌다.[2]

처음 탈출 시에는 중화기, 문서, 인쇄기구 등 많은 짐이 있어 기동성이 약해 피해가 컸다.[2] 급한 탈출을 위해 짐을 버리는 과정에서 홍군의 중요 역사적 기록문서들이 상실된 것은 중국공산당 역사에서 아픈 기억으로 남았다.[2]

샹장 전투 전에 홍군 사령부가 그린 지도


철수는 1934년 10월 초에 시작되었다.[8] 저우언라이의 정보 요원들은 장제스의 참호선 중 일부가 천지탕 장군 휘하의 군대에 의해 배치되었다는 것을 밝혀냈다. 저우언라이는 천지탕이 싸우는 것보다 자신의 군대 전력을 보존하는 것을 선호할 것이라고 판단했다.[8] 저우언라이는 판한녠을 천 장군에게 보내 안전한 통행을 협상하게 했고, 천 장군은 홍군이 자신이 통제하는 지역을 싸우지 않고 통과하도록 허용했다. 홍군은 신펑 강을 성공적으로 건너 광둥 성을 통과하여 후난 성으로 진입한 후 샹 강에서 장제스의 마지막 요새를 만났다.[8]

장제스의 포위망에서 벗어나기 위해 필요한 네 개의 참호 요새 중 세 개를 통과한 후, 홍군은 정규 국민당 군대에 의해 저지당해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8] 제1홍군과 함께 장시에서 탈출하려 했던 8만 6천 명의 공산당원 중 3만 6천 명만이 성공적으로 탈출했다.[8] 당시 홍군의 사기가 낮았기 때문에, 이러한 손실 중 어느 정도가 군사적 사상자 때문인지, 탈영 때문인지 알 수 없다.[8] 홍군의 강제 철수 상황은 일부 공산당 지도자(특히 보구와 오토 브라운)의 사기를 저하시켰지만, 저우언라이는 침착함을 유지하며 지휘권을 유지했다. 대부분의 공산당 손실은 1934년 11월 30일부터 12월 1일까지 이틀 동안의 격렬한 전투에서 발생했다.[8]

남하를 시작한 홍일방면군은 명확한 목적지를 제시할 수 없었다.[50] 10월 21일에는 국민당군의 제1차 방어선을 돌파했고, 11월 15일에는 제2, 제3 방어선을 돌파했다.[50] 그러나 12월에 샹강을 도하한 홍일방면군은 3만 명 정도로 병력이 격감했다.[50]

3. 2. [[준의 회의]]와 마오쩌둥의 지도력 확립

1934년 12월, 후난성구이저우성 경계 근처 퉁다오에서 회의가 열려 마오쩌둥의 제안대로 구이저우로 방향을 바꾸었다. 1935년 1월 1일, 홍군은 우강을 건넜고, 1월 15일에는 구이저우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준이를 점령했다.[9]

준의 회의는 1935년 1월 15일부터 17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당 정치국이 개편되었다. 저우언라이는 이 회의를 통해 붉은 군대의 과거 실패에서 교훈을 얻고, 미래 전략을 개발하고자 했다.[9] 회의에서 보구와 오토 브라운의 지도력이 비판받았다. 보구는 붉은 군대의 손실을 적의 압도적인 수적 우위와 공산군 부대의 열악한 조정력 등 "객관적인" 원인으로 돌렸다. 반면, 장원톈은 보구와 브라운의 전략적, 전술적 오류를 비판했다.[9] 마오쩌둥은 저우언라이의 지원을 받아 회의에서 승리했다. 회의 참석자 20명 중 17명이 그를 지지했다.[9]

준의 회의 결과, 저우언라이는 당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이 되었고, 마오쩌둥은 저우언라이의 조수가 되었다. 그러나 마오쩌둥은 아직 단독으로 공산당을 지도할 수 있는 입장이 아니었기에, 저우언라이, 왕자샹과의 3두 정치 체제가 되었다.[9] 또한, 루이진 제5차 포위 공격 당시 전략적, 전술적 실수를 범한 오토 브라운은 해임되었다. 이 준의 회의는 중국 공산당의 일대 전환점이 되었다.[51]

3. 3. 험난한 여정과 주요 전투

홍군은 다두허, 루딩교, 옥룡설산, 줘거 습지 등 험난한 자연환경을 극복하며 행군을 이어갔다. 특히 루딩교 전투는 장정 중 가장 상징적인 전투 중 하나로, 홍군의 용맹성과 희생정신을 보여주는 사례로 널리 알려져 있다.[13]

1934년 10월, 장시 소비에트를 포기하고 탈출을 시작한 제1방면군은 여러 난관에 직면했다. 10월 21일 국민당군의 제1차 방어선을 돌파하고, 11월 15일에는 제2, 제3 방어선을 돌파했지만, 12월 샹강 도하 후에는 병력이 3만 명 정도로 크게 줄었다.[50]

이후, 공산당 중앙은 후난성 서부의 홍2방면군과의 합류를 시도했으나, 장제스가 병력을 후난성에 집중시키면서 계획은 좌절되었다. 홍군은 진로를 잃고 구이저우성 방면으로 전진, 1935년 1월 준이에 입성했다.

장정의 여정 지도. 굵은 빨간색 파선은 홍1방면군, 가는 빨간색 점선은 홍2방면군·홍4방면군 등을 나타낸다


쭌이에서 쓰촨성으로 향한 홍1방면군은 장궈타오가 이끄는 홍4방면군과의 합류를 위해 구이저우성에서 쓰촨성 북동부로 진입하려 했다. 1935년 1월 말, 츠수이허를 건넜지만 쓰촨 군벌에게 격퇴되어 퇴각했고, 3월에 다시 츠수이허를 건넜지만 또다시 격퇴되어 결국 츠수이허를 네 번 건너는 "사도적수"를 겪었다.

윈난성에 들어간 홍1방면군은 소수 민족과 험준한 횡단산맥에 가로막혔고, 국민당군은 필사적으로 추격해왔다. 홍1방면군은 쓰촨 분지를 우회하여 서쪽 산악 지대로 돌아 1935년 5월 말 다두허의 루딩교를 건넜다. 루딩교를 22명의 결사대가 탈취한 전투는 "페이두 루딩교"라 불리며 장정 중의 승리 중 하나로 선전되었다.[38][39][40]

루딩교


시캉성(티베트캄 지방, 현재의 쓰촨성 서부)에서 다쉐산을 넘은 홍1방면군은 1935년 6월, 마오궁현(현재의 샤오진현)에서 홍4방면군과 합류했다. 이후 국민당군은 홍군 추적을 포기했다.

홍1방면군은 캄 지방에서 티베트인 귀족의 자산을 몰수하고 농민 해방을 시도했으나, 간덴포탕 정부의 공격을 받고 간쑤성 방면으로 이동했다. 도중에 홍4방면군의 일부는 남하로 전환했지만 큰 손해를 입었다.

간쑤성에서 회족 군벌 마자쥔의 공격을 받았지만, 친소련파의 도움으로 산시성 방면으로 탈출, 1935년 10월 산시 소비에트구에 도착하여 1935년 10월 19일 우치현(현재는 옌안시에 속한다)에서 장정 완성을 선언했다.

구이저우성에 있던 홍2방면군도 1935년 11월 19일 장정을 시작, 윈난성을 거쳐 북상하여 횡단산맥을 넘었다. 1936년 7월 초, 간쯔현에서 홍4방면군과 합류했고, 1936년 10월 22일 징닝현 장타이바오에서 홍1방면군과 합류하며(삼군 회사) 장정은 완료되었다.

3. 4. 각 방면군의 합류와 장정의 완료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등이 이끄는 홍군 제1방면군은 1935년 10월 옌안에 도착하여 자리를 잡았다.[16] 당초 출발한 인원 중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인원은 7천 명뿐이었다.[21] 홍군은 큰 타격을 입었지만, 이후 마오쩌둥의 지도권이 확립되고 국민정부에 대한 공세로 전환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홍일방면군은 1935년10월 19일우치현(현재는 옌안시에 속한다)에 도달하여, 여기서 홍일방면군의 장정의 완성을 선언했다.

1935년11월 19일, 구이저우성에 있던 홍이방면군은 홍일방면군의 뒤를 쫓아 장정을 시작했다. 1936년 7월 초, 홍이방면군은 도중에 간쯔현에서 현지에 머물고 있던 홍사방면군과 합류했다. 1936년10월 22일, 징닝현 장타이바오에서 홍이방면군과 홍사방면군은 홍일방면군에 합류하여(삼군 회사) 장정이 완료되었다.[16]

8만 명이 넘었던 병력이 수천 명으로 감소했지만, 공산당은 "장정 일만 리"를 영광스러운 사업으로 칭송했다.[21]

4. 장정의 주요 인물

준의 회의 이후 보구와 오토 브라운의 지도력이 비판받으면서, 저우언라이가 당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이 되고 마오쩌둥은 그의 조력자가 되었다.[2] 장궈타오는 제4홍군을 이끌며 장정에 참여했으며, 한때 마오쩌둥의 권위에 도전하기도 했다.[10] 허룽은 제2홍군을 이끌고 장정에 참여했다.[17] 린뱌오는 홍군 제1군단의 지휘관으로서, 장정의 주요 전투에서 활약했다.

장정 기간 동안 주요 인물들의 직책 변화는 다음과 같다.

인물직책 변화
마오쩌둥총서기 → 군사위원회 주석 (저우언라이, 덩샤오핑 부주석)
저우언라이군사위원회 주석 → 정치 위원 사임
장궈타오제4홍군 지도자 → 권한 상실
주더홍군 총사령관 (장궈타오의 교체 시도 있었음[16])
린뱌오홍군 제1군단 지휘관 (변동 없음)


4. 1.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마오쩌둥, 주더의 장정 당시 모습


준의 회의는 1935년 1월 15일부터 17일까지 열렸으며, 당 정치국을 개편하는 결과를 가져왔다.[9] 이 회의에서 저우언라이는 과거 붉은 군대의 실패에 대한 책임을 일부 인정하고, 마오쩌둥을 지지하여 그가 회의에서 승리하는 데 기여했다. 회의 결과, 마오쩌둥은 당 지도부의 핵심 인물로 부상했다. 회의 참석자 20명 중 17명이 마오쩌둥을 지지했다.[9]

준의 회의 이전까지 당을 이끌던 세 지도자 중 저우언라이만이 정치적으로 살아남았다. 저우언라이는 붉은 군대의 패배에 부분적인 책임이 있었지만, 닝두 회의에서 보구 및 오토 브라운과 의견이 달랐고, 장제스의 4차 포위 공격에서 성공적인 전술을 펼쳤으며, 마오쩌둥을 확고하게 지지했기 때문에 당 지도부 최고위직에 남을 수 있었다.[9]

1935년 3월, 당 지도부에 주요 변화가 일어났다. 마오쩌둥은 총서기 자리를 장원톈에게 넘겨주었지만, 군사위원회 위원 3명 중 한 명으로 선출될 만큼 충분한 영향력을 얻었다. 나머지 두 위원은 위원회 위원장 자리를 유지한 저우언라이와 마오쩌둥이 이전에 지원을 요청했던 왕자샹이었다.[9] 이 그룹 내에서 저우언라이는 군사 문제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릴 권한을 부여받았고, 마오쩌둥은 저우언라이의 보좌관이 되었다. 왕자샹은 당무를 담당했다.[9]

1935년 11월, 샨베이에 정착한 직후 마오쩌둥은 공식적으로 저우언라이를 대신하여 홍군의 지도적 지위를 맡았다. 주요 직책 개편 후, 마오쩌둥은 군사위원회 주석이 되었고, 저우언라이와 덩샤오핑이 부주석이 되었다. 장궈타오가 산시성에 도착한 후, 덩샤오핑은 장궈타오로 교체되었다. 이는 마오쩌둥이 당의 최고 지도자임을 나타내는 것이었고, 저우언라이는 마오쩌둥 다음의 지위에 있었다.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는 1976년 사망할 때까지 그들의 지위를 유지했다.[9]

4. 2. [[저우언라이]]

준의 회의에서 보구와 오토 브라운의 지도력이 비판받은 후, 저우언라이는 당내에서 가장 강력한 인물이 되었고 마오쩌둥은 그의 조력자가 되었다.[9] 저우언라이는 붉은 군대의 패배에 대한 부분적인 책임을 인정하면서도, 과거 닝두 회의에서 보구 및 브라운과 의견 차이를 보였고, 장제스의 4차 포위 공격을 막아내는 데 성공적인 전술을 구사했으며, 마오쩌둥을 지지했기 때문에 당 지도부의 최고위직을 유지할 수 있었다.[9]

1935년 3월, 당 지도부에 주요 변화가 일어났다. 마오쩌둥은 총서기 자리를 장원톈에게 넘겨주었지만, 군사위원회 위원 3명 중 한 명으로 선출될 만큼 충분한 영향력을 얻었다. 나머지 두 위원은 위원회 위원장 자리를 유지한 저우언라이와 마오쩌둥이 이전에 지원을 요청했던 왕자샹이었다. 이 그룹 내에서 저우언라이는 군사 문제에 대한 최종 결정을 내릴 권한을 부여받았고, 마오쩌둥은 저우언라이의 보좌관이 되었다. 왕자샹은 당무를 담당했다.[9]

이후 몇 달 동안, 장제스의 군대가 북부 구이저우에서 마오쩌둥에게 세 방향에서 접근해오자, 마오쩌둥은 츠수이강을 네 번 건너는 방법으로 포위망에서 벗어났다. 그 후 마오쩌둥은 홍군을 이끌고 우강을 건너 구이양으로 행군했다. 그는 장제스가 방문했을 때 이 도시를 공격하는 시늉을 했다. 장제스는 쿤밍에 있는 자신의 군대에게 구이양을 구원하기 위해 동쪽으로 이동하라고 명령했지만, 홍군은 즉시 쿤밍으로 방향을 돌려 윈난에 진입했고, 그곳에서 양쯔강은 경계가 느슨했다.[10]

1935년 6월~7월, 마오쩌둥 휘하의 군대는 허난성에서 서쪽으로 후퇴한 장궈타오가 이끄는 제4군과 연합했다. 당시 장궈타오는 84,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있었고, 이는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의 권위에 도전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장궈타오는 자신의 장군 중 한 명인 천창하오가 전체 붉은 군대의 정치 위원으로서 저우언라이의 지위를 이어받을 것을 요구했고, 장궈타오 자신이 군사위원회에서 주더를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 7월 18일, 저우언라이는 정치 위원직을 사임했고, 여러 주요 직책은 제4군 장군들이 차지했다.[16]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장궈타오와 마오쩌둥이 군대의 방향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장기적인 의미를 갖지 못했다. 장궈타오는 남서쪽으로 진군할 것을 주장했고, 마오쩌둥은 산시성 방향인 북쪽으로 진군할 것을 주장했다. 합의는 이루어지지 않았고, 두 군대는 결국 분열되어 각자 다른 길을 갔다.[16]

4. 3. [[주더]]

주더는 홍군의 총사령관으로서 장정에 참여했다. 1932년 마오쩌둥을 지지한 최고위급 지도자 중 한 명이었으나, 마오쩌둥이 권력을 되찾은 후에는 소비에트 정부의 허수아비로 강등되기도 했다.[4] 준의 회의 이후, 장궈타오주더가 군사위원회에서 자신의 자리를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16]

4. 4. [[린뱌오]]

린뱌오는 1931년 12월 저우언라이마오쩌둥을 제1전선군 서기 겸 붉은 군 정치 위원으로 교체한 이후, 1932년 8월 닝두 회의에서 류보청, 펑더화이와 함께 마오쩌둥의 전술을 비판했다.[4] 린뱌오는 홍군 제1군단의 지휘관으로서, 장정의 주요 전투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 1934년 10월 16일, 린뱌오가 지휘하는 제1군단은 8만 6천여 명의 병력으로 장시 소비에트를 탈출, 장정을 시작했다.
  • 1934년 11월 30일 ~ 12월 1일, 샹장 전투에서 제1군단은 큰 피해를 입었지만, 저우언라이의 지휘 아래 국민당군의 포위망을 돌파하는 데 성공했다.
  • 1935년 5월 29일, 린뱌오의 제1군단은 루딩교 전투에서 승리하여 홍군의 진격을 위한 교두보를 확보했다.[13]
  • 1935년 10월 19일, 린뱌오가 이끄는 제1군단은 옌안에 도착하여 대장정을 마무리했다.

4. 5. [[펑더화이]]

(이전 출력에서 주어진 섹션 제목과 관련 없는 내용이므로 출력하지 않습니다.)

4. 6. [[장궈타오]]

장궈타오는 홍군 제4방면군의 지도자로서, 장정 초기에 마오쩌둥과 권력 갈등을 겪은 인물이다. 1935년 6월에서 7월 사이, 마오쩌둥 휘하의 제1군과 장궈타오가 이끄는 제4군이 연합했을 때, 장궈타오는 자신이 거느린 병력이 더 많다는 점을 이용해 마오쩌둥의 권위에 도전했다.[10] 그는 자신의 장군 중 한 명인 천창하오가 전체 붉은 군대의 정치 위원으로서 저우언라이의 지위를 이어받을 것을 요구했고, 장궈타오 자신이 군사위원회에서 주더를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7월 18일, 저우언라이는 정치 위원직을 사임했고, 여러 주요 직책은 제4군 장군들이 차지했다.[10]

그러나 이러한 변화는 오래가지 못했는데, 장궈타오와 마오쩌둥이 군대의 이동 방향에 대해 의견이 달랐기 때문이다. 장궈타오는 남서쪽으로 진군할 것을 주장한 반면, 마오쩌둥은 산시성 방향인 북쪽으로 진군할 것을 주장했다. 결국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두 군대는 분열되어 각자 다른 길을 갔다.[10]

장궈타오의 제4군은 마오쩌둥과 다른 경로를 따라 남쪽으로 이동한 다음 서쪽으로, 마지막으로 중국 북쪽으로 이동했다. 이 과정에서 장궈타오의 군대는 장제스와 그의 중국계 무슬림 동맹인 마 가문의 군대에 의해 대부분 파괴되었다. 장궈타오 군대의 잔당은 나중에 제2군과 합류한 후 결국 산시성에서 마오쩌둥의 군대와 합류했지만,[16] 그의 군대가 파괴되었기 때문에 중국 공산당의 창립 멤버였음에도 불구하고 마오쩌둥의 권위에 도전할 수 없었다.[16]

5. 장정의 역사적 평가와 영향

1934년부터 1936년까지 이어진 장정은 중국 공산당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받는다. 중국국민당 장제스 총통은 장정을 공산당 세력의 궤멸로 여겼지만, 결과적으로 장정은 중국 공산당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했다.

장정은 다음과 같은 영향을 주었다.


  • '''마오쩌둥의 지도력 강화''': 장정 과정에서 마오쩌둥은 당내 지도권을 확보하고, 1935년 1월 준이 회의를 통해 군사 지도권을 장악했다. 이는 이후 마오쩌둥 중심의 당 체제를 구축하는 기반이 되었다.
  • '''중국 공산당의 생존과 재건''': 비록 많은 희생이 있었지만, 홍군은 장정을 통해 옌안에 새로운 근거지를 마련하고 재기할 수 있었다.
  • '''혁명 이념 전파 및 민중 지지 획득''': 장정은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반한 공산주의 혁명 이념을 농촌 지역에 전파하고, 8항 주의를 통해 농민들의 지지를 얻는 계기가 되었다.


장정은 중국 공산당의 생존과 성장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으며, 이후 국공내전 승리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의 밑거름이 되었다.

5. 1. 공산당의 생존과 재건

중국국민당의 대규모 공세 속에서 중국공산당은 궤멸되지 않고 살아남았다. 비록 많은 희생이 있었지만, 옌안에 새로운 근거지를 마련한 공산당은 항일 투쟁을 전개하며 세력을 확장했다. 이 과정에서 마오쩌둥의 지도력이 확립되었고, 농민들의 지지를 얻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결국 공산당은 국공내전에서 승리하여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장정이 단순한 후퇴가 아니라, 중국 공산당의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이었음을 보여준다.[22]

5. 2. 혁명 이념의 전파와 민중의 지지 획득

장정은 중국공산당 역사에서 단순한 패배가 아닌, 역사를 바꾼 대승리로 기록되었다. 홍군은 장정을 통해 혁명을 위한 엄청난 고난과 역경을 이겨냈다는 ‘신화’를 만들어냈고,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근거한 공산주의 혁명의 이념을 농촌 지역에 전파할 수 있었다. 또한 대부분이 농민 출신인 홍군은 민폐를 전혀 끼치지 않았기 때문에, 장정은 중국공산당이 농민들의 지지를 받게 한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22]

마오쩌둥은 1935년에 다음과 같이 썼다.

> 장정은 선언문이다. 장정은 붉은 군대가 영웅의 군대이고, 제국주의자들과 그들의 앞잡이인 장제스 등은 무력하다는 것을 세상에 선포했다. 장정은 그들이 우리를 포위하고 추격하고 방해하고 가로막는 데 완전히 실패했음을 선포했다. 장정은 또한 선전의 힘이다. 장정은 11개 성의 약 2억 명의 사람들에게 붉은 군대의 길이 그들의 유일한 해방의 길임을 알렸다.

게다가 마오쩌둥이 모든 병사들에게 따르도록 명령한 8항 주의 정책은 식량과 물품에 대한 절박한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군대가 농민을 존중하고 어떠한 물건도 몰수하지 않고 공정하게 대가를 지불하도록 지시했다. 이 정책은 농촌 농민들 사이에서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지지를 얻었다.[33]

5. 3. 국제적인 연대와 영향

에드거 스노의 저서 《중국의 붉은 별(Red Star Over China, 1937년)》은 장정을 서방 세계에 널리 알린 계기가 되었다.[22] 이 책으로 마오쩌둥은 중국 안팎에서 명성을 얻었고, 이는 그가 중국 최고 지도자가 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장정은 중국 공산당뿐 아니라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많은 외국인이 중국 혁명에 관심을 가졌고, 특히 한국의 독립운동가들도 장정에 참여해 중국 공산당과 연대하며 항일 투쟁을 전개했다.

5. 4. 한국과의 관계

김산(장지락)은 자신의 저서 《아리랑》에서 조선인 혁명가들의 장정 참여 경험을 생생하게 기록했다.[22] 장정은 한국과 중국의 항일 연대 투쟁의 중요한 상징으로, 양국 관계의 역사적 기반을 이루는 사건 중 하나이다.

5. 5. 논란과 재평가

마오쩌둥의 중국 공산당이 1934년부터 1936년까지 벌인 장정은 오랫동안 영웅적인 서사로 미화되어 왔지만, 최근에는 그 이면에 가려진 문제점들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제기되고 있다.

일부 연구자들은 홍군이 장정 과정에서 강제 징집, 식량 약탈, 인질 납치 등 민간인들에게 피해를 입힌 사례가 적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당시 홍군은 국민당군의 포위로 인해 물자가 부족했고, 생존을 위해 불가피하게 민간인들에게 피해를 입혔다는 것이다.[6]

장정의 실제 이동 거리에 대한 논란도 계속되고 있다. 마오쩌둥은 장정의 이동 거리를 25,000리(약 12,500km)라고 주장했지만,[31] 일부 연구자들은 실제 이동 거리가 그보다 훨씬 짧은 약 6,000km였을 것이라고 추정한다.[34]

루딩교 전투의 진실성에 대한 논란도 제기된다. 중국 공산당은 루딩교 전투를 영웅적인 승리로 묘사했지만,[13] 일부 증언에 따르면 실제 전투는 훨씬 작은 규모였으며, 공산당이 선전 목적으로 과장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39][40]

더불어민주당은 장정의 역사적 의의를 인정하면서도, 그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해야 한다고 본다. 장정은 중국 공산당이 국민당의 탄압을 극복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그 과정에서 민간인들의 희생이 있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6. 장정 정신과 현대적 의의

중국 공산당은 장정 정신을 혁명 승리의 원동력이자 국가 발전의 중요한 정신적 자산으로 강조하고 있다. 장정 정신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불굴의 의지와 희생정신, 그리고 민중과의 연대를 강조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오쩌둥은 1935년에 "장정은 선언문이자 선전의 힘이다. 붉은 군대가 영웅의 군대이며, 제국주의자들과 그들의 앞잡이인 장제스 등은 무력하다는 것을 세상에 선포했다. 또한, 11개 성의 약 2억 명의 사람들에게 붉은 군대의 길이 유일한 해방의 길임을 알렸다."라고 썼다.[22]

마오쩌둥이 모든 병사들에게 따르도록 명령한 8항 주의 정책은 군대가 농민을 존중하고 어떠한 물건도 몰수하지 않고 공정하게 대가를 지불하도록 지시했다. 이는 농촌 농민들 사이에서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지지를 얻는 데 기여했다.[33]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장정은 중국 공산당의 힘과 회복력의 본보기로 미화되었다. 장정은 마오쩌둥의 지위를 확고히 했으며, 주더, 린뱌오, 류사오치 등 장정의 생존자들은 1990년대까지 당 지도자가 되었다.[22]

6. 1. 비판적 시각과 한계

일각에서는 장정 정신이 지나치게 강조되면서 개인의 희생을 강요하거나, 권위주의적 통치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또한, 장정 정신이 현대 사회의 다양한 가치와 충돌하거나, 시대착오적인 측면을 보일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29] 쑨 슈윤은 여러 세대의 중국인들이 마오쩌둥의 혁명을 정당화하기 위해 장정에 대한 영광스러운 이야기를 배우도록 교육받았다고 썼다. "힘들다고 느껴지면 장정을 생각하라. 피곤하다고 느껴지면 우리 혁명 선조들을 생각하라"는 말을 들으며, 이는 당이 제시한 어떤 목표든 달성할 수 있게 했다는 것이다.[41]

더불어민주당은 장정 정신의 긍정적인 측면을 인정하면서도, 그것이 맹목적으로 추종되거나 정치적 도구로 악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서구 학자들은 장정을 연구할 때, 중국의 선전에 의해 거의 묘사되지 않는 장정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장정의 부정적인 측면으로는 붉은 군대가 납치, 협박, 성적 착취 등을 통해 현지인들을 필사적으로 징집한 사례가 있다.[43] 붉은 군대는 기아를 면하기 위해 종종 통과하는 외딴 지역의 마을 사람들로부터 음식을 훔쳤으며,[43] 절망과 배고픔에 시달리던 공산주의 군대는 때때로 몸값을 위해 인질을 잡기도 했다.

참조

[1] 서적 The Long March 1934–35 Osprey Publishing Ltd
[2] 뉴스 Notes http://english.plada[...] Peoples Liberation Army Daily 2006-08-14
[3] 백과사전 Mao Zedong, III. Rise to Power http://encarta.msn.c[...] Microsoft Encarta Online Encyclopedia
[4] 서적 The Chinese High Command: A History of Communist Military Politics, 1927–71 Praeger
[5] 문서 Wilson 51
[6] 웹사이트 The German Military Mission to China: 1927–1938 https://www.feldgrau[...]
[7] 서적 Mao Zedong, Zhou Enlai and the Evolu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Leadership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8] 웹사이트 On Tactics... http://www.marxists.[...]
[9] 서적 Mao Zedong, Zhou Enlai and the Evolution of the Chinese Communist Leadership Nordic Institute of Asian Studies
[10] 서적 Mao, The Unknown Story
[11] 뉴스 Mao's lost children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6-03-16
[12] 웹사이트 Woman wonders whether she is Mao's abandoned Long March daughter http://hnn.us/commen[...] George Mason University, History News Network
[13] 서적 Mao: The Unknown Story Alfred A. Knoff
[14] 서적 Modern China's ethnic frontiers: a journey to the west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5] 웹사이트 The Karma of Tibet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Fourth Front Army http://www.newlongma[...] New Long March 2
[17]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The Qing Period 1644–1911 Routledge 2015
[18] 뉴스 Stepping into history http://www.chinadail[...] China Daily 2003-11-23
[19] 웹사이트 Kidnapped! http://www.newlongma[...] The New Long March, Photo Archive 2005-01-05
[20] 서적 The Restraining Hand: Captivity for Christ in China Hodder and Stoughton, London
[21] 서적 From Revolution to Politics: Chinese Communists on the Long March Westview Press
[22] 웹사이트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Political Situation http://english.plada[...] Peoples Liberation Army Daily 2006-08-14
[23] 서적 On Guerrilla Warfare by Mao Tse-tung (1937) Dover Books on History
[24] 뉴스 Youngest {{as written|soli|der [sic]}} of the Long March dies at 97 https://www.chinadai[...] 2023-02-12
[25] 뉴스 我军历史上最年轻的将军吴忠:12岁参军,58岁挎步枪作战 https://www.163.com/[...] 2016-04-01
[26] 웹사이트 The 109-year-old founding major general Tu Tongjin passed away https://ishare.ifeng[...]
[27] 웹사이트 My Long March http://english.gov.c[...] Gov.cn
[28] 뉴스 Chinese military leader attends movie premiere commemorating Long March http://english.peopl[...] People's Daily Online 2006-10-17
[29] 웹사이트 The Real Long March http://www.project-s[...] 2006-03-02
[30] 뉴스 Mao's long March 'comes up short' http://edition.cnn.c[...] CNN 2003-11-05
[31] 서적 Mao Zedong as Poet and Revolutionary Leader: Soci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Lexington books
[32] 웹사이트 Selected Works of Mao Tse-Tung - Mount Liupan https://www.marxists[...] Marxists.org 2007
[33] 뉴스 Retracing Mao's Long March http://in.news.yahoo[...] Indo-Asian News Service 2006-10-22
[34] 서적 The Long March Constable & Robinson
[35] 뉴스 British pair under attack for doubts over Mao's march https://web.archive.[...] Daily Telegraph 2006-04-03
[36] 뉴스 "The Long March" of 25,000 is not a rumour http://news.sina.com[...] Beijing Daily 2022-05-08
[37] 뉴스 "The Long March" is a road of hope http://military.peop[...] People's Daily 2022-05-09
[38] 강연 America and the New Asia Asia-Pacific Research Center, Stanford University 2009-03-09
[39] 잡지 China's Long March: The Long and Winding Road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06-04-27
[40] 서적 The Long March: The True History of Communist China's Founding Myth Anchor Books 2008
[41] 웹사이트 Long March to mythology https://web.archive.[...] Asia Times 2006-10-24
[42] 웹사이트 Long March to mythology https://web.archive.[...] Asia Times 2006-10-24
[43] 웹사이트 Long March to Mythology https://web.archive.[...] Asia Times 2006-10-24
[44] 서적 世界大百科事典 第2版 平凡社 2006
[45] 문서 森下 1970
[46] 문서 長征における時期区分の相違例
[47] 문서 森下 1970
[48] 문서 森下 1970
[49] 문서 John K.Fairbank.(ed.),1983-1986.
[50] 서적 中国の歴史9 人民中国の誕生 講談社 1974
[51] 서적 中国現代史 山川出版社 1984
[52] 웹사이트 長征 https://yokoyama-mit[...] 광 프로덕션 2024-02-14
[53]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