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일 조선인 북송사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재일 조선인 북송 사업은 1959년부터 1984년까지 일본에 거주하던 조선인들을 북한으로 이주시킨 사업이다. 북한은 이 사업을 '귀국 사업'으로,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는 '귀국 운동'으로 불렀으며, 대한민국에서는 '북송 사업'으로 칭하며 반대했다. 이 사업은 재일 조선인의 열악한 생활 환경, 북한의 노동력 확보 및 체제 선전, 일본 정부의 재일 조선인 문제 해결, 그리고 냉전 시대의 이념 대립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총 93,340명이 북한으로 이주했으나, 북한 내 차별과 억압, 그리고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을 낳았으며, 현재까지도 그 후유증이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재일 한국인 사건 - 시나노강 학살 사건
1922년 7월 일본 시나노강 나카쓰 발전소 건설 현장에서 수십 명의 한국인 노동자가 열악한 환경과 저임금 속에서 공사 현장 감독에 의해 살해당하고 시신이 유기된 사건으로, 재일 한국인 권익 보호 운동과 노동 운동에 영향을 주었으며 일제강점기 강제 징용의 비극적인 현실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는다. - 재일 한국인 사건 - 조선학교폐쇄령
조선학교폐쇄령은 1948년 연합군 최고사령부의 지시로 일본 내 조선학교의 교육 활동 중단과 폐쇄를 명령한 사건으로, 재일 조선인들의 반대 운동과 재일본조선인연맹 해산, 대한민국 정부의 지원 중단 등의 결과를 낳았으며 이후 조선학교는 재건되었으나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은 1989년 평양에서 177개국 22,000여 명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국제 행사로, "반제국주의 연대, 평화와 우정을 위하여"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었으나, 북한 경제에 타격을 주고 남북 관계 악화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 천리마 운동
천리마 운동은 한국 전쟁 후 김일성의 주도로 북한에서 전개된 사회주의 경제 건설 운동으로, 전설 속 천리마처럼 빠른 경제 재건과 발전을 목표로 노동자들의 생산 의욕을 고취했으나, 과도한 목표와 비효율성 문제도 나타났다.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은 1945년 평양에서 창당되어 김일성이 북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위원장으로 추대된 후 여러 정당과의 통합을 거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으며, 주체사상을 유일 지도 이념으로 하여 북한 사회의 모든 분야에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 조선신보
조선신보는 조총련 중앙의 기관지로, 재일 조선인 사회 소식과 북한 입장을 대변하는 기사를 다루며 김정남 암살 사건 등 국제 이슈에 대해 북한 시각을 반영하고 대한민국과 미국 언론 보도를 비판하는 논조를 보인다.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 | |
---|---|
개요 | |
사업 명칭 | 재일 조선인 귀환 사업 (在日朝鮮人帰還事業) |
다른 명칭 | 북송 사업 (北送事業) 귀국 사업 (帰国事業) |
주요 내용 | 1959년부터 1984년까지 일본에서 북한으로 재일 조선인과 그 가족을 이주시킨 사업 |
배경 | |
사업 제안 | 조선적십자회 |
제안 시기 | 1959년 |
사업 근거 | 재일 조선인의 생활고 пропаганда |
기타 배경 | 당시 일본의 정치적 상황 (반공주의)과 북한의 경제적 지원 약속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 |
연혁 | |
사업 시작 | 1959년 12월 |
사업 중단 | 1984년 |
주요 사건 | 1959년 8월 13일 인도의 뉴델리에서 일본적십자사와 조선적십자회 간에 협정 체결 1959년 12월 14일 제1차 귀국선 소련 선박 크릴리온 호가 니가타 항에서 출발 |
참가 주체 | |
주요 참여 기관 | 일본적십자사 조선적십자회 대한민국 적십자사 (초기 지원) |
관련 국가 | 일본 북한 대한민국 |
규모 | |
총 귀환자 수 | 약 93,340명 |
국적별 귀환자 수 (추정) | 조선적: 약 87,000명 일본 국적: 약 6,000명 (재일 조선인의 배우자 또는 가족) |
귀환자 구성 | 남성 여성 어린이 |
논란 및 비판 | |
주요 쟁점 | 귀환자들의 북한 내에서의 생활 인권 문제 пропаганда 이용 |
비판 의견 | 귀환자들의 자유 의사에 의한 선택이었는지에 대한 의문 북한의 пропаганда 수단으로 이용되었다는 비판 귀환자들의 열악한 생활 환경과 인권 침해 문제 제기 |
결과 및 영향 | |
사회적 영향 | 재일 조선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침 일본과 북한 관계에 영향 |
정치적 영향 | 냉전 시대 пропаганда전의 일환으로 해석 일본 내 반공주의 강화에 기여 |
기타 영향 | 재일 조선인의 정체성 문제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논쟁을 불러일으킴 |
관련 정보 | |
관련 인물 | 김일성 기시 노부스케 |
관련 단체 | 조총련 민단 |
관련 사건 | 오무라 수용소 사건 |
참고 자료 | 재일 조선인 북송 사업 관련 서적 및 연구 논문 당시 관련 보도 자료 |
2. 명칭
북한에서는 이 사업을 '귀국 사업'이라고 부르며,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총련)는 '귀국 운동' 또는 '귀환 운동'이라고 칭한다.[74] 대한민국에서는 '북송 사업'이라고 부르며, 재일본대한민국민단(민단)은 이 사업에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74]
1959년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일본 외상이 기자회견에서 재일 조선인의 북조선 송환이 곧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하면서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이 표면화되기 시작하였다. 이 문제는 한일회담을 결렬시킴으로써 자신의 존재와 지위를 국제적으로 인정시키고 노동력 부족을 메우려는 북측의 정책과, 60만 재일교포에 대한 정책적 차별 대우 및 해외 추방을 바라던 일본 정부의 이해가 일치한 데서 생겨났다.[74] 그러나 일본 정부는 이것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거주지 선택의 자유 원칙에 입각한 인도적 견지에서 취해진 조치라고 주장하면서 동년 2월 13일 각의(閣議)에서 공식 정책으로 결정하고, 국제 적십자 위원회에 대해 귀환 희망 재일조선인들의 개인 심사에 관여해 줄 것을 요청하여 적십자를 개입시켜 일본의 정치적 책임을 회피하려고 하였다.[74]
3. 배경
당시 이승만 정부는 일본의 결정이 어디까지나 귀환을 획책하려는 정치적 문제임을 지적하고, 일본·미국 및 유엔 내외에서 공식 외교 활동을 전개하는 한편 재일교포 귀환 반대 전국 위원회 등에 대한 민간 외교를 적극 추진하여 적십자의 개입을 방지하려 하였다. 이러한 대한민국의 노력이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어 적십자는 인도주의 원칙은 인정하면서도 당사자 간의 문제로 취급, 엄정 중립의 입장을 취하게 되자, 일본 정부는 동년 3월 25일 북측과의 직접 협상 의사를 밝히게 되어, 4월 13일 일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간에 제1차 회담이 제네바의 국제 적십자 위원회 본부에서 열리게 되었다. 이 회담은 대한민국의 주권을 무시하고 대한민국 국적을 가진 사람을 북으로 송환하려는 불법적인 것이라는 대한민국의 비난과 다각적인 외교 노력에도 불구하고, 2개월 반에 걸친 전후 12차의 협상 끝에 동년 6월 18일 일본 적십자사의 개별 신청을 토대로 송환 희망자 명단을 작성한다는 데 합의를 보아 '재일조선인 송환협정안'이 작성되었다.[74]
동 협정안의 조인 문제는 국적의 정식 승인 후로 하자는 일본 측과 무조건 즉시 조인을 주장하는 북측 의견이 대립되어 시일을 끌었으나, 불관여·불개입을 거듭 표명해 오던 적십자가 종전의 태도를 바꾸어 일본에 대표를 파견하면서 동년 8월 13일 인도 콜카타에서 교포 귀환을 위한 일·북적협정이 정식으로 조인되었다.[74]
북한에서는 '''귀국 사업'''(귀국사업)이라고 부르며,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선총련)이 추진한 운동이라는 측면에서는 '''귀국 운동'''(귀국운동) 또는 '''귀환 운동'''(귀환운동)이라고 불린다. 대한민국(이하 한국) 계열의 재일 한국인 단체인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의 입장에서는 '''북송 사업'''(북송사업)이라고 불린다.
북송사업의 연표는 다음과 같다.연도 사건 1946년 12월 26일,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 결정 제139호 일본에서 귀국하는 조선 인민에 관한 건 공포.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수립 선언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건국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 발발.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 휴전. 1955년 2월, 북한의 남일 외무상이 일본에 국교 정상화를 촉구. 5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조선총련) 결성. 7월 15일, 조선총련 주최로 "조선인 귀국 희망자 도쿄 대회" 개최. 전국 귀국 희망자 415명, 그 중 도쿄에 100명이라고 발표. 1956년 2월 27일, 북일 양 적십자가 평양에서 공동 코뮤니케에 조인. 4월 6일, 48명의 재일 조선인이 북한 체류 일본인의 귀환선 고지마마루의 왕복 편승을 요구하며, 일본 적십자사 앞에서 연좌 농성을 벌인다. 4월 30일, 방일 중이던 국제 적십자 위원회 대표가 귀국을 호소하는 재일 조선인을 목격. 다음 날부터 재일 조선인 문제에 관한 정보 수집을 시작한다. 6월 18일, 일본 적십자사에서 연좌 농성을 벌이던 재일 조선인이 영국의 해운 회사 버터필드 앤드 스웨이어 소속 배로 북한으로 건너가는 것을 승낙, 연좌 농성을 해산한다. 6월 20일, 북한이 내각 명령 제53호 일본에서 귀국하는 조선 공민의 생활 안정에 관하여 공포. 7월 5일, 일본 적십자사에서 연좌 농성을 벌이던 재일 조선인이 도쿄를 떠나 미이케로 향한다. 1956년 7월 7일, 한국 정부의 요청으로 버터필드 앤드 스웨이어 사의 호난호가 미이케항에 기항하는 것을 취소한다. 1956년 7월 16일, 적십자 국제 위원회가 일본·북한·한국의 적십자에게 재일 조선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십자 국제 위원회가 기여할 것을 제안. 1956년 12월 6일, 고지마마루 승선을 요구하며 연좌 농성을 했던 사람들 중 20명이 노르웨이 선 하일리 호에 탑승, 문지항, 상하이 경유로 북한으로 귀국한다. 1957년 3월 31일, 고지마마루 승선을 요구하며 연좌 농성을 했던 나머지 28명이 일본 어선에 탑승, 북한의 청진항에 도착한다. 10월, 제19회 적십자 국제 회의가 인도의 뉴델리에서 열린다. 1958년 1월 21일, 조선의 소리가 "북한 민주 법률가 협회가 일본 국제 법률가 연락 협회 회장 나가노 쿠니스케에게 보낸 서한"의 내용을 방송. 3월 18일, 중의원 외무위원회에서 재일 조선인 문제 심의[7] 6월 26일 - 7월 6일, 나가사키현 오무라 입국자 수용소(현·오무라 입국 관리 센터)에서 북한 귀국 희망자가 단식 투쟁을 벌인다. 7월 14 - 15일, 김일성은 소련 대리 대사 V·I·페리센코와 회담. 김일성은 재일 조선인 수용 의사를 밝히고, 소련에 지원을 요청한다. 8월 11일, 가나가와현가와사키시의 조선총련 분회가 김일성 수상(당시)에게 귀국을 간청하는 편지를 보내기로 결정. 집단적인 귀국 운동의 시작으로 자리매김한다. 9월 8일, 김일성이 재일 조선인의 귀국을 환영한다는 취지로 언명. 9월 16일, 남일이 "재일 조선 공민의 귀국 문제와 관련하여"라는 성명을 발표. 10월 16일, 북한의 김일 제1부수상이 귀국 문제와 관련된 담화를 발표. 그 안에서 귀국에 필요한 배를 마련할 것을 명언. 11월 17일, 재일 조선인 귀국 협력회(하토야마 이치로 회장)의 결성 총회가 중의원 제1의원 회관에서 개최. 중앙공론 12월호의 재일 조선인 60만 명의 현재에 "한국의 궁핍이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궁핍하다면, 공화국의 부흥, 건설의 템포 또한 일본 상식으로는 거의 믿을 수 없는 기세인 듯하다"라는 기사가 게재. 1959년 1월, 다무라 시게루가 유라쿠초에서 사진전 새로운 중국과 조선을 열었다. 2월 16일, 북한이 내각 결정 제16호 일본에서 귀국하는 조선 공민의 환영에 즈음하여 결정. 2월 13일, 일본 정부가 재일 조선인의 북한 귀환에 관한 각의 양해를 한다. 4월 10일, 테라오 고로의 38도선의 북이 발매. 5월 28일, 유 한국 대사가 재일 조선인의 귀환 사업을 무력으로 저지하겠다고 신청. 6월 15일, 한국이 귀환 사업에 대한 대항으로 대일 통상 단교를 성명. 8월 13일, 인도의 콜카타에서, 일본 적십자사 카사이 부사장, 조선 적십자회 리일경 부사장 간에 일본 적십자사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적십자회 간의 재일 조선인의 귀환에 관한 협정(콜카타 협정)이 체결된다. 8월 25일, 민단원이 북송에 반대해 일본 적십자사 본사에 난입. 9월 7일, 같은 날짜의 주간 조선총련에 지상의 낙원이라는 말이 게재. 12월 4일, 니가타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으로 한국인 테러 공작원 2명을 체포 12월 5일, 니가타 적십자 센터 개설. 12월 10일, 제1차 귀국단을 실어 나르기 위한 전용 열차가 시나가와역을 출발해 니가타로 향한다. 12월 13일, 조선 적십자회 대표단의 환영 집회 및 연회가 니가타에서 개최. 1959년 12월 14일, 제1차 귀국선이 니가타항을 출항. 1959년 12월 16일, 제1차 귀국선이 청진항에 입항. 1960년 4월, 아사히[9]·마이니치·요미우리·산케이·교도의 특파원이 각 지에 쓴 기사가 북한의 기록·방북 기자단의 보고(신독서사)로 출판. 4월 16일, 북한이 내각 명령 제19호 일본에서 귀국한 기술자 및 기업가의 사업 조건과 생활 활동을 적극 보장함에 대하여 결정. 4월 19일, 한국에서 4·19 혁명. 이승만대통령이 퇴진. 5월 12일, 북한 귀국 방해 목적으로 밀입국한 한국 테러단 24명을 체포 8월, 조선 개방 15주년 경축 방북·북일 협회 사절단이 방북. 8월호의 어머니와 아이에 연재 중인 큐폴라가 있는 거리에 북한으로의 귀환자를 가와구치역에서 배웅하는 광경이 묘사된다. 아동극 영화 바다를 건너는 우정이 제작된다[11]。 1962년 4월 8일, 일본 영화 큐폴라가 있는 거리가 개봉된다. 4월 10일, 세키 키세이가 낙원의 꿈이 깨져서 - 북한의 진상(전모사)을 출판. 10월 3일, 한센병 요양소를 퇴원해 완치 증명이 나온 재일 조선인에 대해 본인의 "나병 기왕증"을 이유로 조선 적십자가 귀환선 출항 당일에 승선을 거부했다 1965년 4월, 박경식 조선인 강제 연행의 기록(미래사)이 간행된다. 4월 29일, 일본 영화 미성년·속 큐폴라가 있는 거리가 개봉된다. 6월, 테라오 고로 조선 문제 입문(신일본출판사)이 출판. 6월 22일, 일본국과 대한민국 간의 기본 관계에 관한 조약 (한일 기본 조약)이 조인된다. 1966년 8월 23일, 일본 정부가 콜카타 협정의 연장을 이번에만 하고, 1년 후에 중단하는 것으로 각의를 이해. 1967년 8월 12일, 일본 적십자사가 귀국 신청의 수리를 마감한다. 8월 25일 - 9월 23일, 북일 양 적십자사에 의한 모스크바 회담. 결렬. 11월 27일 -, 북일 양 적십자사에 의한 콜롬보 회담 개시. 12월 22일, 제155차 귀환선을 마지막으로 중단. 1968년 1월 24일, 콜롬보 회담이 결렬. 2월 29일, 일본 적십자사 니가타 센터가 폐지된다. 3월 31일, 국제 적십자 특별 대표단이 일본에서 철수. 1970년 12월 5일, 모스크바 회담에서 "귀환 미료자의 귀환에 관한 잠정 처치의 합의서" "향후 새롭게 귀환을 희망하는 자의 귀환 방법에 관한 회담 요록"을 합의. 1971년 5월 14일, 귀환 사업이 재개. 1972년 4월 15일, 김일성 환갑 1984년 귀환 사업이 종료.
3. 1. 재일 조선인의 상황
1945년 8.15 광복 이후, 일본에 남아있던 조선인들은 '재일 조선인'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들은 일제강점기에 여러 가지 이유로 일본에 건너온 사람들이거나 그 후손들이었다. 재일 조선인들은 일본 사회에서 차별과 빈곤에 시달리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1950년대 후반 일본 경제 불황으로 인해 생활고가 더욱 심해졌다.[34]
1948년 대한민국이 수립되었지만, 이승만 대통령은 재일 동포의 귀국을 반대하고 수용을 거부하는 모순된 태도를 보였다. 당시 한국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었고, 재일 조선인들을 수용할 여력이 부족하다는 이유에서였다.
1950년경, 재일 조선인 사회에서는 '일본 혁명'보다는 '조선 혁명'에 참여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1955년 5월,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가 결성되면서 재일 조선인들은 일본 공산당에서 이탈하여 김일성의 조선로동당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1] 재일 조선인 사회는 사상적으로 분열되었고, 이 과정에서 재일 조선인의 귀국 운동이 추진되었다.[1]
대한민국 정부와 달리, 북한의 김일성은 재일 동포를 자금과 기술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적극적으로 재일 동포를 통제하려 했다. 조선학교 설립을 지원하며 북한 지지 교육을 시켰고, 재일 동포 사회에서 북한과 조선총련 지지 세력이 늘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일본 정부는 재일 조선인 희망자들을 귀국시키려 했지만, 대한민국 정부는 계속해서 귀국을 반대하는 입장을 취했다. 반면 북한은 재일 동포의 유용성에 주목하여, 이들을 '순차적'으로 수용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북한은 귀국하지 않은 친족을 인질로 삼아 금전이나 기술을 북한으로 보내게 하거나, 남한과 일본에 대한 간첩 활동을 시키는 데 성공했다.[4]
3. 2. 북한의 입장
북한은 한국 전쟁 이후 부족한 노동력을 보충하고, 냉전 시대에 자본주의 국가에서 공산주의 국가로의 집단 이주를 통해 체제의 우월성을 선전하고자 했다. 김일성은 재일 조선인을 북한으로 귀국시켜 이들을 인질로 삼아 60만 재일 조선인을 북한의 정치적 영향력 아래에 두려고 했다.[1]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를 통해 재일 조선인 사회를 장악하고, 귀환 사업을 통해 일본 내 친북 세력을 확대하고자 했다.[23] 조선총련은 북한을 "지상의 낙원"으로 선전하며 재일 조선인들의 귀국을 독려했다.
북한은 귀국 사업을 통해 일본과의 대화 채널을 확보하여 조일 국교 정상화를 추진하고, 동시에 진행되던 한일 기본 조약 체결을 견제하려는 목적도 있었다.[23][24]
김일성은 재일 조선인 귀국을 통해 재일 조선인으로부터 금품을 수탈하는 길을 열었다.[1] 조선총련은 북한으로 귀국 시 반출 가능한 금액을 제한하고, 남은 돈을 조선총련에 기부하게 했다.[1]
북한은 귀국 사업을 "인도적인 사업"으로 포장했지만, 실제로는 정치적 목적을 위한 것이었다.
3. 3. 일본의 입장
일본 정부는 재일 조선인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 불안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북송사업을 추진했다. 1955년 말부터 재일 조선인의 대량 귀국을 검토하기 시작했는데,[25] 그 배경에는 재일 조선인에 대한 생활보호비 부담 증가와 높은 범죄율이 있었다.[25][27] 당시 재일 조선인의 평균 생활보호율은 일본인보다 훨씬 높았으며, 범죄율 또한 일본인의 6배에 달했다.[25][26][27] 또한, 재일 조선인과 일본 좌익 운동의 연계에 대한 우려도 귀환 사업 추진의 한 요인이었다.[25][27]
1959년 1월 30일, 후지야마 아이이치로 일본 외상은 기자회견에서 재일 조선인의 북송이 곧 시작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일본 정부는 이 사업이 국제적으로 공인된 거주지 선택의 자유 원칙에 따른 인도적 조치라고 주장하며, 1959년 2월 13일 각의(閣議)에서 공식 정책으로 결정했다.[74]
일본 공산당, 일본 사회당 등 혁신 정당과 진보 지식인들은 북한 체제를 옹호하며 귀환을 적극적으로 지원했다. 이들은 북한을 "지상의 낙원"으로 선전하며, 재일 조선인들에게 귀국을 촉구했다.[20] 특히, 일본 공산당은 당 기관지인 '아카하타'를 통해 사회주의 사회의 우월성을 강조하며 귀국 사업을 적극적으로 보도했다.[29]
당시 일본 언론도 귀국 사업에 대해 대체로 호의적이었다. 아사히 신문은 "완전 취업, 생활 보장"을 내세운 북한의 매력을 언급하며 귀환 희망자가 늘어난 이유를 설명했고,[34] 보수 계열 신문들도 귀국자들을 위한 북한의 세심한 배려와 귀국한 일본인 아내들의 만족스러운 생활을 보도하며 귀국 사업을 긍정적으로 묘사했다.[35]
그러나 후일, 아사히 신문 서울 지국장이었던 이치카와 하야미 기자는 과거 아사히 신문이 북한에 대해 우호적인 논조의 기사를 썼으며, 귀국 사업에도 가담했다고 인정하며, 당시 기자였다면 귀국 사업을 막을 수 있었을지 자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37]
3. 4. 대한민국의 입장
대한민국 정부는 재일 조선인의 북송을 '북송'이라고 부르며 강하게 반대했다.[31] 1959년 당시 이승만 정부는 한일회담 중단, 이승만 라인에 따른 일본인 어부 억류 지속, 무역 단절 등을 선언하며 귀환 사업에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32] 이로 인해 한일 국교 정상화 교섭은 일시 중단되기도 했다.
또한, 대한민국 정부는 대량의 테러 공작원을 일본에 파견하여 니가타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과 같은 폭파 테러를 획책하기도 했다.[32]
그러나 국제 사회는 거주지 선택의 자유라는 인도주의적 원칙을 존중했기 때문에 대한민국 정부의 이러한 반발을 지지하지 않았다.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북한에 대항하여 대한민국으로의 귀국 사업을 추진하려 했으나, 귀국 및 정착 관련 비용을 일본에 부담할 것을 요구했기 때문에 실현되지 못했다.[33]
4. 진행 과정
1959년 8월 13일, 인도의 콜카타에서 일본 적십자사와 조선 적십자회 간에 '재일 조선인의 귀환에 관한 협정'(콜카타 협정)이 체결되었다.[74] 이에 따라 1959년 12월 14일 첫 귀국선이 일본 니가타현 니가타항을 출발, 12월 16일 북한 청진항에 도착했다. 이후 몇 차례 중단과 재개를 거듭하며 1984년까지 귀환 사업이 계속되었다.
귀환자들은 일본 각지의 3,655곳에 설치된 일본 적십자사 창구(대부분 지방 자치 단체가 창구가 됨)에서 귀국 신청 절차를 밟은 후, 특별 열차를 타고 니가타에 설치된 적십자 센터로 향했다.[38] 구 미군 캠프를 전용한 니가타 적십자 센터는 넓이가 약 9.2ha이며, 숙소와 사무동 외에도 진료소, 매점, 은행 등이 마련되어 귀환자들이 출국까지 4일 동안 머물렀다. 귀환자들은 넓은 강당과 같은 숙소에서 원래 거주하던 도도부현 단위로 모였고[38], 재일 조선인 요리사가 조리한 조선식 요리가 제공되었다.
국제 적십자는 적십자 센터에서 귀국이 자유 의사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는 면접을 실시했고, 그 후에 출국 절차가 진행되었다.[39]
5. 결과
1959년 12월 14일, 첫 귀환선이 일본 니가타현 니가타 항을 출발한 이후 1984년까지 총 93,340명이 북한으로 이주했다.[15] 이 중에는 일본인 배우자와 그 자녀 6,839명도 포함되어 있었다.[15] 귀환자 대부분은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 등 한반도 남부 출신이었기 때문에, 진정한 의미의 귀향이라고 보기 어려웠다.[16][1][17]
북송된 재일 조선인들은 북한 사회에서 최하층 신분인 '적대 계층'으로 분류되거나[40] '동요 계층'으로 차별받으며[41] 감시를 받았다. 이들은 거주 이전, 직업 선택의 자유를 잃었으며, 많은 이들이 강제 수용소로 보내지거나 소식이 끊겼다.[49] '고향 방문 탄원서'에 서명한 일본인 배우자와 그 가족들은 벽지로 추방되거나 '관리소'로 보내졌다.[50]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는 귀국자들에게 반출 가능한 금액을 1인당 4만 엔으로 제한하고, 남은 돈을 조선총련에 기부하게 했다.[1] 이 기부금은 총련 중앙 본부 및 조선학교 건설에 사용되었으며, 일본 정계 공작에도 활용되었다.[1]
북한의 실상이 알려지고 일본의 고도 경제 성장으로 재일 조선인이 생활고를 겪을 이유가 없어지면서 귀환자 수는 급감했다.[52][53] 일부 귀환자들은 탈북하여 일본으로 돌아가거나, 한국 국적을 취득하여 일본에 재입국하기도 했다.
6. 논란과 비판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은 여러 논란과 비판을 받고 있다.
북한은 귀환 사업을 통해 체제 선전과 노동력 확보를 꾀했지만, 귀환자들의 인권을 심각하게 침해했다는 비판을 받는다.[1] 북한은 귀환자들을 출신 성분에 따라 차별하고, 강제 수용소에 보내는 등 가혹하게 대했다.[40][41][49]
일본 정부는 재일 조선인 문제를 해결하려 했지만, 귀환자들의 인권 문제에 대한 책임을 회피했다는 비판을 받는다.[25] 당시 일본 정부는 재일 조선인에 대한 생활 보호비 부담 증가, 높은 범죄율, 좌익 운동과의 연계 등을 우려하여 귀환 사업을 추진했다.[25][27]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조선총련)는 북한을 '지상의 낙원'으로 미화하며 귀환을 선동했지만,[20] 귀환자들의 비참한 현실에 대해서는 침묵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조선총련은 귀국 시 반출 가능한 금액을 제한하고, 남은 돈을 기부하게 하는 등 재일 조선인들의 재산을 수탈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1]
대한민국 정부는 귀환 사업을 "북송"이라 부르며 강력하게 반대했고,[31] 니가타 적십자 센터 폭파 미수 사건 등 테러를 통해 저지하려 했다.[32]
귀환 사업은 냉전 시대 이념 대립의 희생양이었으며, 인도주의적 원칙이 무시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북송된 재일 조선인들과 그 가족들은 여전히 북한에서 차별과 억압 속에 살고 있으며, 이들의 인권 문제는 현재 진행형이다.
귀환자들은 북한에서 '귀포'(귀국 동포)라고 불리며 차별받았고, 잠재적인 반체제 분자나 스파이로 간주되어 사회적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였다.[47] 거주, 취업, 이동의 자유를 빼앗겼으며, 출신 성분에 따라 최하층인 '적대 계층'으로 분류되었다.[40][41]
일본의 언론들은 초기에는 귀환 사업을 긍정적으로 보도했지만,[34][35] 북한의 실상이 알려지면서 비판적인 시각이 늘어났다.
귀환 사업 이후, 귀환자들과 관련된 여러 소송이 제기되었지만, 대부분 시효 만료 등을 이유로 기각되었다.[64][67][68]
귀환 사업은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사후 관리가 부족했다는 비판과 함께, 냉전의 축소판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조선총련이 귀국 운동을 통해 북한 체제 선전에 이용하고, 귀국자들을 인질로 삼았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7. 관련 소송
8. 관련 작품
- 영화 큐폴라가 있는 거리 (1962년): 요시나가 사유리 주연의 이 영화에는 아는 사람의 북한 귀환을 기뻐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어, 당시 일본 사회가 귀국 사업에 대해 대체로 호의적이었음을 보여준다.[1]
- 영화 동해의 노래: 귀환 사업 50주년을 기념하여 북한과 조총련이 공동으로 제작한 영화이다. 2009년 12월부터 북한에서 공개되었으며,[70][71] 재일 조선인이 김일성의 노선 전환 방침(1952년)과 조총련 결성, 민족 교육 발전, 귀국 실현 등을 통해 "애국"을 가슴에 품고 살아가는 과정을 그렸다. 귀국선 출항 장면은 라선 부두에서 촬영되었고, 2만 명의 엑스트라가 동원되었다.[71]
- 논픽션 해협의 아리아: 2007년 1월, 재일 한국인 2세 성악가 전월선이 출판한 자전적 논픽션이다. 북한으로 건너간 이복형제의 삶을 포함하여 자신의 인생을 담았다.
9. 평가
귀환 사업은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시작되었지만, 냉전의 논리와 각국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변질되었다. 북한, 일본, 조선총련 등은 귀환자들에 대한 사후 관리를 소홀히 했으며, 귀환자들의 인권은 심각하게 침해되었다.[72][73] 귀환 사업은 냉전의 축소판이자, 이념 대립이 초래한 비극적인 사건으로 평가된다.
; 사후 관리 부족
사업 시작 당시, 일본에서는 전전·전중에 여러 이유로 일본에 건너간 조선인이 종전 후 고향으로 돌아가는 것을 지원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태도로 여겨졌다. 그러나 귀환 후의 생활 보장이 불분명함에도 사업이 진행되었고, 북한 정부, 조선총련, 일본 정부, 북일 적십자는 귀환자에 대한 사후 관리를 소홀히 했다.[72][73] 귀환 후 일본이나 한국으로의 도항을 희망하는 사람들의 자유가 제한된 점도 문제였다.
; 냉전의 축소판
소련은 재일 조선인의 귀환을 사회주의의 우월성을 과시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북한 정부와 국제 여론에 영향을 주어 귀환 사업을 지원했다. 일본에서도 좌파 세력이 대체로 협조하여 사업 진전을 뒷받침했다.
; 인질화
귀국 운동은 조선총련이 "귀국 실현은 김일성 주석의 은혜"라고 선전하는 등, 북한 체제와 정권의 우위를 과시하는 프로파간다와 밀접하게 결부되었다. 귀국이 실패했다고 일본으로 돌아오는 사람이 나타나는 것을 막기 위해 조선총련은 협박을 통해 총련계 재일 조선인 가족들을 생이별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상황은 "귀환자는 인질"이라고 표현되기도 한다.
10. 귀환 사업으로 이주한 인물
다음은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으로 북한으로 이주한 주요 인물들이다.[47][48][49][50][51][52][53][54][55][56][57][58][59][60][61][62]
- 고영희: 김정일의 부인이자 김정은의 생모이다.
- 김병화: 소설가. 주요 저서로는 '낙원의 꿈이 깨져서'가 있다.
- 이경선: 가수이다.
- 김전삼남
- 김문보
- 고태문
- 나가타 겐지로
- 나가야마 카즈오
- 하야마 지로
11. 귀환 사업을 지지·지원한 인물
12. 귀환 사업에 비판적인 인물
- 야마다 후미아키
참조
[1]
서적
北朝鮮という悪魔
2002
[2]
서적
石高
1997
[3]
뉴스
「北送・人道名目の追放だった」
http://www.mindan.or[...]
民団新聞
2004-05-26
[4]
서적
undefined
2006
[5]
서적
北朝鮮にとって『帰国事業』は何だったのか
2005
[6]
서적
undefined
2007
[7]
의회록
衆院外務委員会
https://kokkai.ndl.g[...]
1958-03-18
[8]
서적
中野重治全集 14巻
[9]
뉴스
北朝鮮帰還三ヵ月の表情 =きょう第十船が出る= 希望者ふえる一方 民団側は“韓国視察”で対抗
http://nippon.zaidan[...]
朝日新聞
1959-12-25
[10]
서적
undefined
2007
[11]
서적
片岡薫シナリオ文学選集2巻
竜渓書舎
1985
[12]
서적
undefined
2003
[13]
웹사이트
かるめぎ85号
http://hrnk.trycomp.[...]
[14]
서적
帰国問題の経過と背景
2005
[15]
서적
帰国問題の経過と背景
2005
[16]
뉴스
북송 재일교포 10만명
https://www.kbs.co.k[...]
KBS
1991-09-03
[17]
서적
undefined
1997
[18]
서적
帰国問題の経過と背景
2005
[19]
서적
北朝鮮にとって『帰国事業』は何だったのか
2005
[20]
서적
帰国問題の経過と背景
2005
[21]
서적
寺尾五郎の北朝鮮論
2005
[22]
서적
ガラパゴス政党 日本共産党の100年
2020
[23]
서적
帰国問題の経過と背景
2005
[24]
서적
北朝鮮にとって『帰国事業』は何だったのか
2005
[25]
웹사이트
戦後日朝関係の初期形成過程の分析 ――在日朝鮮人帰国運動の展開過程を中心に――
https://www.ritsumei[...]
立命館大学
2016-07-27
[26]
서적
帰国者のその後
2005
[27]
서적
帰国問題の経過と背景
2005
[28]
서적
帰国問題の経過と背景
2005
[29]
서적
ガラパゴス政党 日本共産党の100年
2020
[30]
웹사이트
RPニュース
[31]
뉴스
undefined
民団新聞
2009-12-09
[32]
서적
検証 日韓会談
1996
[33]
서적
検証 日韓会談
1996
[34]
뉴스
北朝鮮帰還三ヵ月の表情 =きょう第十船が出る= 希望者ふえる一方 民団側は“韓国視察”で対抗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1960-02-26
[35]
웹사이트
朝日を批判する産経や読売も所詮は同じ穴の狢北朝鮮への「帰国」を煽ったメディアの無責任 メディア批評
https://magazine.log[...]
ロジスティクス・ビジネス LOGI-BIZ
[36]
웹사이트
かるめぎ NO.22
https://hrnk.net/kal[...]
北朝鮮帰国者の生命と人権を守る会
1998-07-01
[37]
서적
黒田・市川(2006)
[38]
서적
テッサ.M.スズキ(2007)
[39]
뉴스
[「北」へ渡った妻たち]証言・帰還事業(中)小部屋で最後の意思確認(連載)
読売新聞
1997-11-06
[40]
뉴스
帰国事業で北に渡った在日朝鮮人、最下層に分類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6-08-05
[41]
뉴스
帰還事業50年…日本人妻、途絶える便り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09-12-12
[42]
서적
佐藤久「帰国者のその後」(2005)
[43]
서적
青山『北朝鮮という悪魔』(2002)
[44]
서적
鄭箕海 (1995)
[45]
잡지
教祖金日成の朝鮮
諸君!
1973-01
[46]
서적
佐藤久「帰国者のその後」(2005)
[47]
서적
佐藤久「帰国者のその後」(2005)
[48]
서적
チュチェ思想入門
育鵬社
2021-08-01
[49]
뉴스
재일동포 북송 30년
KBS NEWS
1990-08-14
[50]
서적
青山『北朝鮮という悪魔』(2002)
[51]
뉴스
日本で「北朝鮮政府」を訴える―― 「地上の楽園」に騙された脱北者の闘い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52]
서적
内藤(2001)
[53]
서적
関貴星(1997)
[54]
서적
韓光煕(2001)
[55]
서적
安明哲(1997)
[56]
서적
萩原(2006)
[57]
뉴스
북송 일본인처 15명, 38년 만에 귀향
KBS NEWS
1997-11-08
[58]
뉴스
고향 방문중인 북송일본인처 15명, 북한 찬양 일색
KBS NEWS
1997-11-09
[59]
뉴스
재일동포 일본인처 15명, 모국 찾아
https://imnews.imbc.[...]
MBC뉴스데스크
1997-11-10
[60]
뉴스
북송일본인처 15명, 고향방문전 4주간 합숙-북한찬양교육
KBS NEWS
1997-11-11
[61]
뉴스
북송 일본인처 고향방문단 귀국
KBS NEWS
1997-11-14
[62]
뉴스
金正恩の生母が在日朝鮮人だと明かせない北朝鮮の悩ましい事情
https://www.msn.com/[...]
[63]
뉴스
北朝鮮帰国事業で総連の責任追及 27日口頭弁論 地上の楽園、地獄だった
産経新聞
2001-07-21
[64]
뉴스
北朝鮮帰国事業訴訟:朝鮮総連を訴えた元在日男性、敗訴-上告棄却
毎日新聞
2004-09-22
[65]
뉴스
「地上の楽園とだまされた」脱北者女性が朝鮮総連提訴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08-06-13
[66]
뉴스
産経新聞2008年6月13日
https://megalodon.jp[...]
産経新聞
2008-06-13
[67]
뉴스
北朝鮮帰国事業の訴訟で請求棄却 「権利は消滅」と大阪地裁
https://web.archive.[...]
47NEWS
2009-11-30
[68]
뉴스
北朝鮮帰還事業 裁判 参加者たちの思い|NHK事件記者取材note
https://www3.nhk.or.[...]
NHK
2020-03-25
[69]
뉴스
北朝鮮帰還事業は「継続的不法行為」 日本の管轄権認め審理差し戻し 東京高裁
https://www.sankei.c[...]
産経新聞
2023-10-30
[70]
신문
映画「東海の歌」 朝鮮国内で大反響
http://www1.korea-np[...]
朝鮮新報
2010-02-05
[71]
뉴스
同胞愛の結晶、好評上映中の映画「東海の歌」 監督、出演者、独占インタビュー
http://www1.korea-np[...]
朝鮮新報
2010-02-12
[72]
서적
북朝鮮 悪魔の正体
2002
[73]
서적
북朝鮮 悪魔の正体
2002
[74]
백과사전
재일교포 북송문제
[75]
뉴스
조총련 상대 손배소 탈북여성 ‘구겨진 인생’ 풀스토리
https://www.dailynk.[...]
데일리NK
2008-06-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