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리마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리마 운동은 1950년대 후반 북한에서 시작된 대중 동원 운동으로, 한국 전쟁으로 파괴된 경제를 재건하고 사회주의 공업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김일성은 1956년 12월, 강선 제강소를 방문하여 더 많은 강재 생산을 지시한 것을 시작으로, 노동자들의 생산성을 높이고 경제 발전을 가속화하고자 천리마 운동을 전개했다. 이 운동은 '천리마 정신'을 강조하며, 단기간 내에 목표를 달성하도록 독려했고, 1950년대 말 북한 경제의 성장을 이끌었다. 천리마 운동은 이후에도 여러 차례 재개되었으며, 북한 체제 내에서 중요한 상징으로 여겨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
    제13차 세계청년학생축전은 1989년 평양에서 177개국 22,000여 명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국제 행사로, "반제국주의 연대, 평화와 우정을 위하여"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었으나, 북한 경제에 타격을 주고 남북 관계 악화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
    재일 조선인 북송사업은 1959년부터 1984년까지 북한의 김일성 정권, 일본 정부, 조총련의 이해관계로 9만 명이 넘는 재일 조선인과 그 가족들이 북한으로 이주한 사건이다.
천리마 운동
기본 정보
만수대 언덕에 있는 천리마 동상은 신화적인 천리마의 속도로 한국 사회의 발전을 상징한다.
만수대 언덕에 있는 천리마 동상은 신화적인 천리마의 속도로 한국 사회의 발전을 상징한다.
개요
명칭천리마 운동
로마자 표기Cheollima undong
한자 표기千里馬運動
유형사회주의 운동
국가북한
시작 연도1957년
종료 연도1961년
배경
목표전후 경제 재건과 사회주의 건설 가속화
이념주체사상
내용
주요 내용생산량 증대
기술 혁신
근로 의욕 고취
슬로건천리마 정신
방식대중 동원 및 경쟁
영향
긍정적 영향산업 생산량 증가
사회 기반 시설 확충
부정적 영향과도한 목표 설정으로 인한 부작용
자원 낭비
형식주의
같이 보기
관련 항목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역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제사
주체사상

2. 역사적 배경

한국 전쟁 이후 국토가 황폐화되고 경제가 어려워진 상황에서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들의 원조마저 감소하자, 북한은 자력갱생을 위한 천리마 운동을 추진하게 되었다.[5] 이는 북한 경제 발전의 주요 배경이 되었다.

2. 1. 시작 시점

1958년부터 천리마운동이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후 북한은 이 운동이 중국의 대약진운동을 모방했다는 인상을 주지 않기 위해 1956년부터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23]

2. 2. 천리마 운동 제기

1950년6.25 전쟁으로 북한 경제는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특히 공업 부문의 피해가 컸으며,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들의 원조 감소는 경제 회복에 어려움을 더했다.[5] 전쟁 직후 북한은 8천 7백 개의 공장기업소가 파괴되었고, 공업생산은 1949년의 64% 수준으로 감소했다.[5] 1954년부터 1956년까지 사회주의 국가들이 북한에 제공한 원조액은 북한 전체 예산의 23%에 달했지만, 1958년에는 4.5%까지 축소되었다.[5]

이러한 상황에서 김일성은 주민들의 노동력을 최대한 동원하여 사회주의 공업 국가를 건설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3] 1956년 12월, 김일성은 조선로동당 회의에서 "더 많이 생산하고, 절약하고, 5개년 계획을 앞당겨 완수하자!"라고 말하며, 경제 생산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을 촉구했다.[6] 그는 북한 노동자들이 한국 전쟁의 폐허를 극복하고 단기간에 더 나은 삶과 번영하는 국가를 건설하도록 독려하기 위해 천리마 운동을 제창했다.[4]

천리마 운동이라는 용어는 중국 신화에 나오는, 하루에 천 리(약 500km)를 달릴 수 있다고 알려진 전설적인 말에서 유래했다.[3] 김일성은 1956년 12월에 처음으로 '천리마'라는 용어를 사용했으며,[5] 이는 1957년부터 시작된 5개년 계획 직전이었다.[10] 북한은 이 기간 동안 국내 산업의 사회주의적 변혁을 완수하고, 산업과 농업을 완전히 국유화하며, 모든 시민에게 식량, 의류, 주택을 제공하는 데 있어 자급자족을 이루고자 했다.[10]

천리마 운동의 첫 성공 사례는 1957년에 나타났다. 김일성은 강동군(평양 근처)의 한 공장 노동자들에게 6만 톤의 생산 능력에도 불구하고 1만 톤의 강철을 추가로 생산할 것을 요청했다. 놀랍게도 이 공장은 12만 톤을 생산하여 생산 능력을 6만 톤이나 초과했다.[8] 이러한 성과는 천리마 운동의 시발점으로 여겨진다.[8] 목표 생산량을 초과 달성한 노동자들에게는 '천리마 기수'라는 칭호가 주어졌으며,[9] 이는 다른 노동자들의 생산 의욕을 고취했다.

2. 3. 천리마 운동 전개

1957년 제1차 5개년 계획이 시작되자 속도전 운동이 전개되었으며, 많은 과학자들이 전국 각지의 공장에 파견되어 기술 지원을 했다. 과학자들은 공장 직원들과 함께 문제점을 해결하며 많은 어려움을 극복했다.

김일성은 압연강재를 1만 톤만 더 생산하면 나라가 허리를 펼 수 있다며 강선제강소 노동자들에게 생산량 증대를 호소했다. 이에 노동자들은 연 6만 톤 생산 능력을 가진 용광로에서 연 9만 톤을 생산하겠다고 결의했다.

천리마를 탄 기세로 열심히 일한 강선 노동자들은 기존 생산 능력의 2배에 달하는 12만 톤의 압연강재를 생산했다. 이들은 8시간 일하고 2시간을 정비하며 최대한 시간을 더 써가며 압연강재를 생산하여 효과를 보았다고 밝혔다.

황해제철련합기업소에서는 연산 40만 톤의 용광로를 단 1년 만에 기술 혁신 끝에 완공하여 김일성의 칭찬을 받았다. 또한 단 한 대의 트랙터트럭을 가지고 부품을 해체하여 자체적으로 생산한 부품만으로 35일 만에 트랙터를 생산하고, 40여 일 만에 화물 트럭을 만드는 데 성공하여 김일성으로부터 극찬을 받았다.

승리자동차련합기업소금성뜨락또르공장의 사례를 반면교사 삼아 철저한 정비 끝에 성과를 보여주자, 김일성은 더욱 극찬하며 세심하게 평가했다.

천리마운동의 개시와 함께 전국적으로 기존 생산 기록들은 연이어 깨졌고, 새로운 기술 혁신과 성취가 계속해서 나타났다. 천리마운동의 첫 해인 1957년, 북한의 공업은 한 해 동안 44% 성장했고 농업은 대풍작을 이루었다.

김책제철련합기업소의 노동자들은 19만 톤의 연산 능력을 가진 용광로에서 27만 톤의 용선을 생산하는 기적을 창조했다.

평양 일대에서는 대규모 주택 단지를 건설하면서 주택 1채당 14분 만에 건설되는 기적이 일어나기도 했는데, 북한은 이를 '평양속도'라고 불렀다. 이는 최근 북한에서 려명거리 등 새로운 거리들이 급속도로 건설되면서 다시 등장하고 있는 용어이다.[3]

3. 주요 특징

천리마 운동은 북한 최초의 대중 동원 운동으로, 중국 신화에 나오는 하늘을 나는 말 '천리마'에서 유래했다. 천리마는 하루에 천 리(약 400km)를 달릴 수 있다고 전해지며, 김일성은 이 천리마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노동자들에게 한국 전쟁의 피해를 극복하고 더 나은 삶과 번영하는 국가를 건설하려는 의욕을 불어넣고자 했다.[3][4]

김일성은 1956년 12월 조선로동당 회의에서 "더 많이 생산하고, 절약하고, 5개년 계획을 앞당겨 완수하자!"라는 구호를 제시하며 천리마 운동을 처음 소개했다.[6] 이 운동은 1957-61년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북한 산업의 사회주의적 변혁, 산업과 농업의 국유화, 식량, 의류, 주택 생산의 자급자족을 목표로 추진되었다.[10]

'천리마 기수'라는 칭호는 목표 생산량을 초과 달성한 노동자들에게 주어졌으며,[9] 이는 노동자들의 경쟁심을 자극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북한 정부는 노동자들이 화장실을 자주 사용하지 않도록 '국을 먹지 말자'라는 구호를 제시하기도 했다.[9] '천리마 정신으로 앞으로 달려나가자'라는 구호는 노동자들의 동기 부여에 사용되었고,[8] 그 결과 북한은 5개년 계획 기간 동안 연간 36.6%의 산업 성장을 기록했다.[10]

1959년에는 '천리마 작업반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는 공산주의적 생활 방식을 지지하고 "만인을 위한 하나, 하나를 위한 만인"이라는 사회주의 이상 아래 일하는 노동자 팀 간의 사회주의 경쟁 시스템이었다.[11] 작업반은 전국 다른 작업반보다 생산 목표를 높게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면 천리마 작업반 칭호와 함께 명예로운 물품을 받았다.[11] 진응원이 시작한 이 운동은 1년 반 만에 178,000명의 회원을 확보하며 큰 지지를 얻었다.[11]

천리마 운동 선전 포스터


그러나 천리마 운동은 단기적인 생산량 증가를 가져왔지만, 품질 저하와 경제 왜곡, 노동력 고갈 등의 문제점을 드러냈다.[10] 1960년대 중반, 북한은 경제 통계 발표를 중단하기도 했다.[12]

3. 1. 청산리 방식과 대안의 사업 체계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사회주의에 걸맞은 대중 지도 방식으로 청산리 방식과 대안의 사업 체계라는 두 개의 축이 제시되었다.[22]

4. 결과 및 영향

천리마 운동 초기에는 긍정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1956년 지표를 10%로 보았을 때, 1960년 국민소득은 21%, 공업 총생산액은 35%, 농업 총생산은 15% 성장했다. 실질임금은 21%, 노동생산성은 14% 증가했다.[10] 농촌의 수리화와 전기화가 기본적으로 완료되었고, 공업 생산액이 36% 늘어 연평균 성장률이 36.6%에 달했다. 1960년 북한의 총생산량에서 공업생산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농업생산규모를 크게 앞질렀다.

그러나 천리마 운동은 장기적으로 한계에 직면했다. 단기적으로 생산량은 증가했지만, 품질 저하를 겪었다. 자원이 다른 필요한 부문을 소홀히 한 채 광범위하게 산업 자금 조달에 투입되면서 경제는 왜곡되었다. 또한, 노동력 고갈 문제도 발생했다.[10] 노동력과 자원이 부족해지면서 경제 생산량은 감소하기 시작했고, 1961년까지 북한은 노동력 고갈에 직면했다.[12] 1960년대 중반, 북한은 경제 통계 발표를 중단했다.[12]

김일성 주도 경제는 변화가 필요했지만, 김일성은 자신의 경제 계획을 변경할 의향이나 능력이 있는 경제학자를 두지 않았다.[10] 북한은 천리마 운동을 비난하거나 실패를 인정하지 않았으며, 김정일도 사망할 때까지 천리마 운동을 칭찬했다.[5]

천리마 운동은 현재 북한 정권에 의해 여전히 지지되고 사용되고 있다. 김정은은 과거 김일성이 했던 것처럼 주요 산업 시설에 현지 지도를 하고 있으며, 북한 노동자들은 KCNA에 의해 "번영하는 국가 건설을 위해 투쟁하려는 의지로 가득 차 있다"고 묘사되었다.[13]

"천리마 속도"라는 용어는 1950년대의 경제 성장을 언급하며, 기대의 신속한 완수를 묘사하는 데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4] 1990년대 후반, 북한은 대규모 에너지 부족과 심각한 기근의 시기에 국가를 강화하기 위해 다시 제2의 천리마 운동을 촉구했다.

5. 제2, 제3의 천리마 운동

제2의 천리마 운동은 1999년부터 북한에서 전개된 대중 운동이다. 1957년부터 1961년까지 진행된 천리마 운동의 정신을 다시 불러일으키기 위해 시작되었다. 김일성 사망 후 1998년 3월, 김정일이 천리마제강련합기업소를 방문했을 때 다시 천리마 운동을 추진할 것을 촉구하면서 시작되었다.

200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일성 생일 100년인 2012년을 앞두고 강성대국 건설을 위해 150일 전투에 돌입하면서 제3차 천리마 운동을 전개하였다. 모든 부문, 모든 단위에서 생산 정상화와 최고 생산년도 수준 돌파를 목표로 하였다.

5. 1. 제2의 천리마 운동 (1998년 ~ 2004년)

김정일1998년 성진제강연합기업소(현 천리마제강련합기업소)를 방문하여 '제2의 천리마 대고조'의 선봉에 설 것을 촉구했다.[1] 1999년 신년 공동사설에서는 "김정일의 영도따라 제2의 천리마대진군을 다그쳐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며, 대중 동원을 통해 경제난 극복을 시도했다.[1]

1999년 11월 3일부터 4일까지 평양에서 당·정 고위간부 및 각 분야 모범일꾼 6000여 명이 참가한 '제2의 천리마대진군 선구자대회'를 개최하고, 앞으로 '3대혁명붉은기 쟁취운동' 등 대중 노력동원을 대대적으로 전개해 나갈 것을 촉구했다.[1]

북한은 제2의 천리마대진군에 이어 2001년부터는 '21세기붉은기대진군'이라는 구호를 내걸고 노력혁신과 주민동원을 호소하고 있다.[1]

5. 2. 제3의 천리마 운동 (2009년 ~ 현재)

200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일성 생일 100년인 2012년을 앞두고 강성대국 건설을 위해 150일 전투에 돌입하면서 제3차 천리마 운동을 전개하였다. 모든 부문, 모든 단위에서 생산 정상화와 최고 생산년도 수준 돌파를 목표로 하였다.

5. 2. 1. 150일 전투 제기

2009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일성 생일 100년인 2012년을 앞두고 강성대국 건설의 역사적 분수령을 이루기 위해 150일 전투에 돌입했으며 모든 부문, 모든 단위에서 생산을 정상화하고 최고 생산년도 수준을 돌파하기 위한 투쟁을 힘있게 벌려 대혁신, 대비약을 일으키기 위해서 제3차 천리마 운동을 전개하였다.

5. 2. 2. 150일 전투 전개

신의주 방직 공장 6명의 여공이 50일 만에 1년 생산계획을 달성하고, 정주 기관차 공장은 1천 5백만km 무사고 주행 목표를 돌파하였으며, 천리마제강련합기업소 득장지구탄광연합기업소와 희천발전소 건설장 등에서도 성과를 거두었다.[1] 김정일의 현지 지도에서 2009년에는 경제 분야가 41%, 군사 분야가 27%로 경제 분야 비중이 더 높아졌다.[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희천화력발전소 건설을 비롯한 에너지 생산 시설과 수십만 가구의 살림집 건설 등 방대한 건설 사업을 추진했다.[1]

5. 2. 3. 150일 전투 결과

북한 당국의 주장에 따르면, 150일 전투 결과 공업 생산은 2008년 대비 12% 성장하였으며, 전력 공업은 15%, 기계공업은 계획 대비 13%, 철도 운수는 11.8%, 경공업은 157% 성장하였다.[25]

축산 부문은 전년 대비 15% 성장하였고, 용선 생산은 계획 대비 45% 이상 증산되었다. 전력은 수억KWh를 더 생산하였으며, 석탄은 전년 대비 1.5배 이상 증산되었다. 100일 전투 초반 50일 동안 공업 생산액은 2008년 대비 13% 증산되었다고 밝혔다.[26]

6. 현대적 의의 및 비판

천리마 운동은 단기적으로 생산량을 늘리는 데는 성공했지만, 여러 문제점들을 드러냈다. 품질이 떨어지고, 경제 구조가 왜곡되었으며, 노동자들이 과도하게 혹사당했다.[10] 특정 산업에 자원이 집중되면서 경제 불균형이 심해졌고, 노동력과 자원 부족으로 인해 경제 생산량은 줄어들기 시작했다.[12] 1960년대 중반, 북한은 경제 통계 발표를 중단했다.[12]

김일성은 자신의 경제 계획을 수정할 경제학자를 두지 않았고,[10] 북한은 천리마 운동의 실패를 인정하지 않았다. 김정일조차 사망할 때까지 천리마 운동을 칭찬했다.[5]

6. 1. 북한 체제 내 상징성

천리마 운동은 현재까지도 북한 정권에 의해 지지받고 활용되고 있다. '천리마'라는 용어와 초기 운동의 정신은 오늘날 북한 사회 곳곳에 남아있다. 김정은은 과거 김일성처럼 주요 산업 시설을 현지 지도하며 천리마 운동을 강조하고 있다. 북한 노동자들은 KCNA에 의해 "번영하는 국가 건설을 위해 투쟁하려는 의지로 가득 차 있다"고 묘사된다.[13]

"천리마 속도"라는 용어는 1950년대의 경제 성장을 상징하며, 빠른 목표 달성을 독려하는 데 사용된다.[14] 1990년대 후반, 북한은 대규모 에너지 부족과 심각한 기근 속에서 국가를 강화하기 위해 제2의 천리마 운동을 다시 시작했다.

1960년에는 평양 만수대에 천리마 동상이 건립되었다. 이 동상의 탑신은 360여 종, 2,500개의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46미터이다.

6. 2. 비판적 시각

천리마 운동은 단기적으로 생산량 증가를 가져왔지만, 품질 저하, 경제 왜곡, 노동력 고갈 등의 문제점을 야기했다.[10] 자원이 특정 산업에 집중 투입되면서 경제 불균형이 심화되었고, 노동력 부족과 자원 한계로 인해 경제 생산량은 감소하기 시작했다.[12] 1960년대 중반, 북한은 경제 통계 발표를 중단했다.[12]

김일성은 자신의 경제 계획을 수정할 경제학자를 두지 않았고,[10] 북한은 천리마 운동의 실패를 인정하지 않았다. 김정일조차 사망할 때까지 천리마 운동을 칭찬했다.[5]

"천리마 속도"라는 용어는 1950년대의 경제 성장을 연상시키며 빠른 성과 달성을 강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14] 1990년대 후반, 북한은 대규모 에너지 부족과 심각한 기근 상황에서 국가를 강화하기 위해 제2의 천리마 운동을 다시 촉구하기도 했다.

7. 천리마 관련 상징물

평양 만수대에 있는 높이 46미터의 천리마 동상은 1961년에 완공되었으며, "하루에 천 리를 달린다는 전설적인 천리마처럼 조선 인민의 영웅적 기상과 불굴의 투쟁 정신을 기리기 위해" 건설되었다. 동상에는 노동당 중앙위원회의 "붉은 글"을 높이 들고 있는 노동자와 벼 이삭을 들고 있는 젊은 여성 농부가 타고 있다.[16]

천리마는 북한에서 트럭, 버스, 트랙터의 브랜드 이름으로 사용되었고,[17][18] 평양 지하철 노선 중 하나는 천리마선이라고 불린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축구 국가대표팀 역시 천리마라는 이름을 사용한다. 날개 달린 말은 1978년부터 발행된 조선 원 지폐에 묘사되었으며, 우표에서도 볼 수 있다.[19] 국가우주개발국(NADA)이 개발한 가장 최근의 궤도 로켓은 천리마 1호라고 불린다.[20]

8. 대중문화 속 천리마

1960년 북한 단편 소설 "해주-하성에서 온 편지"의 주인공은 모범적인 천리마 기수로 묘사된다.[21] "날개 달린 천리마"라는 노래는 천리마 운동에 대한 대중적 지지를 불러일으키기 위해 만들어졌다.

참조

[1] 서적 The Cleanest Race Melville House
[2] 서적 North Korea: A Guide to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s Psychology Press
[3] 서적 Comrades and Strangers: Behind the Closed Doors of North Korea
[4] 서적 Korea: Rice and Steel
[5] 서적 North Korea: A Guide to Economic and Political Developments
[6] 뉴스 Kim Il Sung's special Write-up to Centerary of His Birth KCNA 2012-03-31
[7] 서적 Korea: Rice and Steel
[8] 서적 Comrades and Strangers: Behind the Closed Doors of North Korea
[9] 서적 North Korea: The Paranoid Peninsula
[10] 서적 North Korea Through the Looking Glass
[11] 서적 North Korea: A Strange Socialist Fortress
[12] 서적 North Korea Through the Looking Glass
[13] 뉴스 Workers of the DPRK, Forerunners in Era KCNA 2012-05-01
[14] 뉴스 Kim Jong Un's feats for Army Building KCNA 2012-04-25
[15] 논문 Kim Takes Control: The 'Great Purge' in North Korea, 1956-1960
[16] 웹사이트 Pyongyang's Monuments and Architecture http://www.comtouris[...]
[17] 웹사이트 Made in North Korea http://www.chineseca[...] China Motor Vehicle Documentation
[18] 보고서 FAO/WFP Crop and Food Security Assessment Mission to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ttp://www.fao.org/d[...]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World Food Programme 2014-01-07
[19] 웹사이트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North Korea) http://www.panix.com[...] China Motor Vehicle Documentation
[20] 웹사이트 First Flight of North Korea’s "Chollima-1" SLV Fails, but More Launches and More New SLVs Are Likely https://www.38north.[...] 38 North 2023-06-07
[21]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Contemporary North Korea https://www.worldcat[...] ROUTLEDGE
[22] 서적 석坂 (2019)
[23] 서적 왜 북한은 극우의 나라인가 시그마북스
[24] 웹인용 만리마운동의 전신은 천리마운동 https://615tv.net/15[...] 2017-11-21
[25] 웹인용 강성국가건설의 속도를 내라 - 통일뉴스 http://www.tongilnew[...] 2016-02-09
[26] 웹인용 2010년 北, 강성대국 단초 마련할 수 있나? https://www.dailynk.[...] 2009-12-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