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관방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관방송은 공공 장소에서 음성을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으로, 초기에는 메가폰을 사용하다가 20세기 초 확성기, 앰프 기술의 발달로 발전했다. 현재는 소규모 시스템부터 대규모 콘서트, 공항, 철도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규모로 사용되며, 아날로그, 디지털 제어 방식, 네트워크 시스템 등 여러 기술 방식을 통해 구성된다. 대한민국에서는 화재 안전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음향 피드백(하울링)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공 영역 - 군무원
군무원은 국방 업무의 효율적 수행을 위해 전문성을 가진 인력을 선발하여 임용하는 제도로, 장교, 부사관, 병과 함께 국방 인력 체계를 구성하며, 일반군무원, 기술군무원 등으로 구분된다. - 공공 영역 - 공공 참여
공공 참여는 공동체 가입, 의견 제시, 사회 현상 관여 등을 포괄하는 용어로서, 정보 제공부터 권한 위임까지 다양한 수준으로 분류되며, 공공의 신뢰 회복과 책임성 강화를 위한 수단으로 활용된다. - 연설 - 프레젠테이션
프레젠테이션은 정보를 전달하고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발표 방식으로, 대한민국에서는 표준 용어로 사용되며, 시각 자료 활용과 함께 기업,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의사소통 방식이다. - 연설 - I Have a Dream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의 "나는 꿈이 있다" 연설은 1963년 워싱턴 대행진에서 인종차별 철폐와 평등을 염원하며 행해졌으며, 시민권 운동의 전환점이 되어 사회에 큰 영향을 끼쳤고, 현재까지도 인종 평등의 상징으로 기념된다.
전관방송 | |
---|---|
음향 시스템 | |
종류 | 확성기 시스템 음성 경보 시스템 인터콤 텔레컨퍼런스 시스템 |
역사 및 기술 | |
작동 원리 | 음향 신호의 증폭 및 배포 |
주요 구성 요소 | 마이크 믹싱 콘솔 앰프 라우드스피커 |
적용 분야 | 공공 장소 교통 시설 강당 경기장 콘서트 홀 방송 스튜디오 녹음 스튜디오 |
추가 정보 | |
관련 용어 | 음향 강화 시스템 SR 시스템 |
2. 역사
전관 방송 시스템의 역사는 소리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한다.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19세기까지는 전기 확성기와 증폭기가 없었기 때문에 메가폰을 사용하여 목소리를 전달했다.[3] 1910년 자동 전기 회사(Automatic Electric Company)는 자동 발성 장치(Automatic Enunciator)라는 스피커를 개발하여 호텔, 병원, 공장 등에서 공지사항을 전달하는 데 사용했다.[3]
마그나복스(Magnavox)의 피터 젠슨(Peter Jensen)과 에드윈 프리드햄(Edwin Pridham)은 1915년에 코일 스피커를 개발하여 음향 피드백 현상을 경험했고, 샌프란시스코 시청 앞 광장에서 대규모 시연을 통해 성능을 입증했다.[9] 1919년에는 3단 25와트 앰프를 사용한 시스템이 개발되어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전 미국 대통령과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연설에 사용되었다.[11][12]
1920년대 초, 마르코니 회사(Marconi)는 대중 연설 전담 부서를 설립하고 확성기와 증폭기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1925년 조지 5세는 대영 제국 전시회에서 마르코니 시스템을 사용하여 연설했고,[14] 1929년 칼샷 스핏에서 열린 슈나이더 트로피 경주에는 대형 PA 시스템이 사용되었다.[14] 1927년 이후에는 음악가들 사이에서 휴대용 AC 전원 PA 시스템이 인기를 얻었다.[14]
1960년대에는 전기 증폭 메가폰이 기존의 원뿔형 메가폰을 대체했다. 소형 휴대용 배터리식 전기 메가폰은 소방관, 구조 요원, 경찰, 시위자 등이 사용하며, 대형 전기 메가폰은 케이블로 연결된 마이크를 통해 사람이 나팔관에 가려지지 않고 말할 수 있게 한다.[9]
2. 1. 초기 시스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19세기까지는 전기 확성기와 증폭기가 없었기 때문에, 메가폰을 사용하여 목소리를 전달했다.[3] 1910년, 자동 전기 회사(Automatic Electric Company)는 ''자동 발성 장치''(Automatic Enunciator)라는 스피커를 개발했다. 이 회사의 사장 조셉 해리스(Joseph Harris)는 호텔, 병원, 공장 등에서 공지사항을 전달하는 데 이 장치가 유용할 것이라고 홍보했다.[3] 1910년 6월, 자동 전기 회사 건물에서 기자들을 대상으로 시연회가 열렸고, 건물 곳곳에 설치된 스피커로 목소리가 전달되었다.[4]1912년 8월, 미국 요트 및 파워 보트 클럽 협회가 시카고에서 개최한 수상 카니발에서 72개의 스피커가 설치되어 경주 보고, 설명, 연설, 음악 제공 등에 사용되었다.[6] 1913년에는 시카고 코미스키 파크 야구 경기장에 설치되어 공지 및 음악 제공에 활용되었고, 찰스 A. 코미스키는 "우리 공원에서는 확성기 사용 시대는 지났다"라고 언급했다. 자동 발성 장치 회사는 1926년에 해산되었다.[5]

마그나복스(Magnavox)의 피터 젠슨(Peter Jensen)과 에드윈 프리드햄(Edwin Pridham)은 1915년에 약 2.54cm 음성 코일, 약 7.62cm 주름진 다이어프램, 약 86.36cm 크기에 약 55.88cm 개구부를 가진 혼을 갖춘 코일 스피커를 개발했다.[9] 그들은 탄소 마이크를 사용한 실험에서 최초의 음향 피드백 사례 중 하나를 경험했다.[9] 이후 샌프란시스코 시청 앞 광장에서 약 10만 명이 모인 가운데 대규모 시연을 통해 자신들의 시스템 성능을 입증했다.[9]
1919년, 젠슨과 프리드햄이 개발한 시스템은 3단 25와트 앰프를 사용했다.[9] 이 시스템은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 전 미국 대통령이 시카고, 그랜트 공원에서 연설할 때 사용되었으며, 우드로 윌슨 대통령이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에서 5만 명의 청중에게 연설할 때 처음으로 사용되었다.[11][12] 윌슨의 연설은 국제 연맹 설립을 홍보하기 위한 전국 순회의 일환으로, 1919년 9월 9일 시티 스타디움에서 개최되었다.[13] 이후 몇 년 동안 워렌 G. 하딩과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도 비슷한 시스템을 사용했다.[9]
2. 2. 1920년대 이후
1920년대 초, 마르코니 회사(Marconi)는 대중 연설 전담 부서를 설립하고 확성기와 증폭기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1925년 조지 5세는 대영 제국 전시회에서 마르코니 시스템을 사용하여 9만 명에게 연설했다.[14] 1929년 칼샷 스핏에서 열린 슈나이더 트로피 경주에는 200개의 혼으로 구성된 대형 PA 시스템이 사용되었다.[14] 1927년 이후, 일반 벽면 소켓에 꽂을 수 있는 더 작고 휴대 가능한 AC 전원 PA 시스템이 음악가들 사이에서 빠르게 인기를 얻었다.[14] 레온 맥컬리프 (밥 윌스와 협연)는 1935년까지도 탄소 마이크와 휴대용 PA를 사용했다.[14]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중반까지 소형 휴대용 PA 시스템과 기타 콤보 앰프는 상당히 유사했다. 이러한 초기 앰프는 단일 볼륨 조절 장치와 하나 또는 두 개의 입력 잭, 필드 코일 스피커, 얇은 나무 캐비닛을 가지고 있었고, 놀랍게도 톤 조절 장치나 켜기/끄기 스위치조차 없었다.[14]2. 3. 전기 메가폰
1960년대에는 스피커, 앰프 및 접힌 혼을 사용하는 전기 증폭 메가폰이 기존의 원뿔형 메가폰을 대체했다. 소형 휴대용 배터리식 전기 메가폰은 소방관, 구조 요원, 경찰, 시위자 및 야외 청중에게 연설하는 사람들이 사용한다. 많은 소형 휴대용 모델의 경우 마이크가 장치 뒷면에 장착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입 앞에 메가폰을 들고 트리거를 눌러 앰프와 스피커를 켠다. 더 큰 전기 메가폰에는 케이블로 연결된 마이크가 있어, 사람이 나팔관에 얼굴이 가려지지 않고 말할 수 있게 한다.[9]
3. 구성 요소 및 기술 방식
전관 방송(PA, Public Address) 시스템은 마이크, 음원 재생 장치 등의 입력 소스, 앰프, 제어 및 모니터링 장비, 라우드스피커 등으로 구성된다.[16]
가장 단순한 PA 시스템은 마이크, 앰프, 라우드스피커로 구성되며, 학교 강당, 교회, 커피숍 등 소규모 장소에서 사용된다. 출력은 보통 50~200와트 정도이다.[16] 레스토랑, 상점, 초등학교, 사무실 등에는 확장된 소규모 PA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으며, CD 플레이어, 라디오 등을 연결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16] 투어 버스나 스쿨버스에는 12볼트 배터리 시스템을 설치하여 가이드나 운전자가 승객에게 방송할 수 있다. 휴대용 시스템은 배터리나 전원 콘센트로 작동하며, 소규모 회의나 도보 투어 등에 사용된다.[16]
대형 PA 시스템은 여러 건물, 대학, 사무실, 산업 단지, 운동 경기장 등 넓은 장소에 사용되며, 비상시 경고 시스템으로도 활용된다.[16]
일반적인 PA 시스템 입력에는 마이크 (음성, 노래), 악기, 녹음된 음원 재생 장치 등이 있다. 비공연 환경에서는 미리 녹음된 메시지를 재생할 수 있다. 입력은 프리앰프와 신호 라우터를 통해 특정 구역으로 전달되고, 프리앰프된 신호는 앰프에서 50V, 70V, 100V 등으로 증폭된다.[16] 제어 장비는 앰프와 스피커 라인 결함을 감시하고, 구역을 분리한다. 라우드스피커는 전기 신호를 소리로 변환한다.[16]
3. 1. 하이 임피던스 스피커
일반적으로 PA 시스템에서는 장거리 전송 손실을 줄이기 위해 가정용 스피커보다 높은 500Ω~2kΩ 이상의 임피던스를 갖는 고임피던스 스피커를 사용한다. 방송용 스피커 내부에는 앰프에서 출력한 100V, 70V 신호를 낮추어서 스피커 유닛에 공급해 주는 스텝 다운 트랜스포머가 있다.[1]3. 2. 아날로그 방식
하이 임피던스 스피커를 사용한 방식으로, 라인 셀렉터 등의 제어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회로를 사용해 처리하는 방송 시스템이다. 선로의 길이나 상태에 따라 노이즈 발생 요인이 높지만, 디지털 방식에 비해 안정성과 시설 예산 대비 성능이 크기 때문에 소형 빌딩의 안내 방송이나 비상 방송으로 사용된다.[14]3. 3. 디지털 제어 방식
제어 신호는 아날로그나 비교적 단순한 RS232, RS485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고, DSP를 탑재하여 디지털 방식으로 오디오 신호를 믹싱 또는 라우팅 할 수 있지만, 스피커 결선에 있어서는 기존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스피커 케이블의 길이나 상태에 따라 노이즈 발생 요인이 높다. 아날로그 방식에 비해 안정성은 낮은 편이나 설치와 사용이 간편해서 대형 빌딩이나 학교의 방송 시스템으로 사용한다.3. 4. 네트워크 시스템 (PA over IP)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와 오디오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므로 음성 신호의 노이즈 발생 요인이 없고, 주로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원화 방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방송을 진행할 때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접근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의 Hi-Fi 오디오 시스템과 방송 시스템을 통합할 수 있어 트랜스포머에 의한 왜곡(디스토션) 등 음질 손상이 적다. 그러나 안정성은 가장 낮은 방식으로, 네트워크 망에 장애가 발생하면 방송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18]최근에는 아날로그 방식의 안정성과 네트워크 방식의 확장성과 편리성을 결합한 방송 장비도 많이 출시되고 있다. 스피커나 앰프 기기는 아날로그 장비를 사용하지만, 디지털 믹서 등을 이용해 네트워크 기술을 접목하여 아날로그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도 한다.[18]
장단점 비교 | |||
---|---|---|---|
아날로그 | 디지털 | 네트워크 | |
안정성 | 높음(계전기 등 비교적 단순한 회로 때문) | 비교적 높음 | 낮음(네트워크 망에 장애 발생시 사용 불가) |
음질 | 선로 상태에 따라 전기적인 잡음에 취약 | DSP처리 과정에서 디지털 샘플링 시 음질 손상됨, 선로 상태에 따라 전기적인 잡음에 취약 | 디지털 샘플링과 압축을 통해 음질 손상되나, 전기적인 잡음에는 매우 강함. |
접근성 | 리모트앰프(원격마이크)에 의한 건물 내 국지적 방송 | 리모트앰프(원격마이크)에 의한 건물 내 국지적 방송 | 스마트폰·PC·마이크·IP단말 등 다양한 형태로의 방송 접근이 허용됨 |
오디오 전송 방식 | 아날로그 | 아날로그 또는 AES3 | 네트워크 |
통신 메커니즘 | ON/OFF 릴레이 접점 방식 | 접점 및 19,200bps 정도의 시리얼 통신 병행 사용 | 유·무선 TCP/IP 통신 및 시리얼 통신, 접점 입출력식 등 다양한 접근 허용 |
''PA over IP''는 중앙 증폭기 대신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건물이나 캠퍼스 전체, 또는 인터넷을 포함한 IP 네트워크가 연결된 모든 위치에 음성 신호를 분배하는 PA 페이징 및 인터컴 시스템을 의미한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증폭기 및 인터컴 장치가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전송 측에서는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이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 입력 또는 저장된 오디오 녹음에서 오디오를 사용하여 로컬 영역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스트림을 전송한다. 수신 측에서는 특수 인터컴 모듈(때로는 IP 스피커라고도 함)이 이러한 네트워크 전송을 수신하고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이들은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IP 주소로 주소를 지정할 수 있는 작고 특수한 네트워크 장치이다.[18]
3. 5. 무선 이동 통신 (WMT) PA 시스템
'''무선 이동 통신(WMT) PA 시스템'''은 건물, 캠퍼스 또는 기타 위치에 오디오 신호를 분배하기 위해 중앙 집중식 증폭기 대신 GSM 네트워크와 같은 무선 이동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는 PA 페이징 및 인터콤 시스템이다. GSM 모바일 네트워크는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전송 측에서는 PSTN 전화, 휴대폰, VOIP 전화 또는 GSM 기반 모바일 SIM 카드에 오디오 통화를 걸 수 있는 기타 통신 장치로 통신할 수 있다. 수신 측에서는 GSM 트랜시버가 이러한 네트워크 전송을 수신하고 전력 증폭기 및 스피커를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를 재생산한다. 이 시스템은 영국 랭커셔 출신의 스티븐 로버트 피어슨이 개척했으며, 제어 기능도 통합된 시스템에 대한 특허를 받았다.[18] WMT(GSM) 네트워크를 사용하면 WMT 연결이 있는 전 세계 어디에서든 라이브 방송을 할 수 있다. 특허는 2G, 3G, 4G 등 모든 형태의 WMT를 포괄한다. Remvox Ltd(Remote Voice experience)라는 영국 회사가 이 기술을 기반으로 제품을 개발 및 제조할 수 있도록 라이선스를 받았다.3. 6. 장단점 비교
장단점 비교 | |||
---|---|---|---|
아날로그 | 디지털 | 네트워크 | |
안정성 | 높음(계전기 등 비교적 단순한 회로 때문) | 비교적 높음 | 낮음(네트워크 망에 장애 발생 시 사용 불가) |
음질 | 선로 상태에 따라 전기적인 잡음에 취약 | DSP 처리 과정에서 디지털 샘플링 시 음질 손상됨, 선로 상태에 따라 전기적인 잡음에 취약 | 디지털 샘플링과 압축을 통해 음질 손상되나, 전기적인 잡음에는 매우 강함. |
접근성 | 리모트 앰프(원격 마이크)에 의한 건물 내 국지적 방송 | 리모트 앰프(원격 마이크)에 의한 건물 내 국지적 방송 | 스마트폰·PC·마이크·IP 단말 등 다양한 형태로의 방송 접근이 허용됨 |
오디오 전송 방식 | 아날로그 | 아날로그 또는 AES3 | 네트워크 |
통신 메커니즘 | ON/OFF 릴레이 접점 방식 | 접점 및 19.2Kbps 정도의 시리얼 통신 병행 사용 | 유·무선 TCP/IP 통신 및 시리얼 통신, 접점 입출력식 등 다양한 접근 허용 |
4. 시스템 종류
시스템의 규모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PA 시스템이 사용된다.
- 소규모 시스템
가장 단순한 형태의 PA 시스템은 마이크, 앰프,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로 구성되며, 50~200와트 출력을 제공한다. 주로 학교 강당, 교회, 커피 하우스 무대와 같은 작은 장소에서 사용된다.[14] 레스토랑, 상점, 초등학교, 사무실 건물 등에는 음원을 연결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확장된 소규모 PA 시스템이 사용될 수 있다. 투어 버스나 스쿨 버스에는 배터리 작동식 12볼트 시스템이 설치되어 가이드나 운전자가 승객에게 안내 방송을 할 수 있다. 휴대용 시스템은 배터리나 전원을 연결하여 소규모 그룹 회의나 도보 투어 가이드 등에 사용된다.[15]
- 대규모 시스템
대규모 PA 시스템은 여러 건물, 대학, 사무실, 산업 단지, 운동 경기장 등 넓은 장소에 설치된 스피커를 통해 방송을 송출한다. 이러한 시스템은 비상시 경고 시스템으로도 활용된다.[17]
- 전화 페이징 시스템
일부 사설 구내 교환기(PBX) 전화 시스템은 전화와 PA 증폭기를 연결하는 페이징 기능을 제공한다. 별도의 페이징 컨트롤러를 트렁크 포트에 연결하여 내선 번호나 국선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 최신 시스템은 페이징 기능이 통합되어 전화 스피커로 방송을 송출한다.[14] 소매업체, 사무실, 학교 등에서는 전화 시스템을 페이징 시스템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14]
- 롱 라인 PA (LLPA) 시스템

롱 라인 공공 방송(LLPA) 시스템은 분산 아키텍처를 가지며, 넓은 지역에 방송을 송출하는 시스템이다.[20] 철도, 경전철, 지하철 등에서 주로 사용되며, DSL 모뎀을 사용하는 PSTN 회선, 광섬유, GSM-R, IP 기반 네트워크 등 저대역폭 통신망을 통해 방송을 송출한다.[20]
철도 시스템은 각 역의 승객 정보 시스템 (PIS) 서버와 연결되어 열차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된 메시지를 재생하거나 음성 합성 기술을 이용해 안내 방송을 한다. 예를 들어, " / the / 23.30 /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 / 나이트 리비에라 슬리퍼 서비스 / from / 런던 패딩턴 / to / 펜잔스 / .... / will depart from platform / one / this train is formed of / 12_carriages /."와 같은 메시지가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어 로컬 증폭 장비에서 재생된다. PA, 라우팅, DVA, 승객 디스플레이, PIS 인터페이스를 묶어 ''고객 정보 시스템(CIS)''이라고 부르며, ''승객 정보 시스템''과 혼용되기도 한다.
4. 1. 소규모 시스템
가장 단순하고 작은 PA 시스템은 마이크, 앰프, 하나 이상의 라우드스피커로 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PA 시스템은 종종 50~200와트의 출력을 제공하며, 학교 강당, 교회, 커피 하우스 무대와 같은 작은 장소에서 자주 사용된다.[14] 소규모 PA 시스템은 레스토랑, 상점, 초등학교 또는 사무실 건물과 같은 건물 전체로 확장될 수 있다. CD 플레이어 또는 라디오와 같은 음원을 PA 시스템에 연결하여 시스템을 통해 음악을 재생할 수도 있다. 투어 버스 또는 스쿨 버스와 같은 차량에는 소규모의 배터리 작동식 12볼트 시스템을 설치하여 투어 가이드 및/또는 운전자가 모든 승객에게 말할 수 있다. 휴대용 시스템은 배터리 전원 또는 전기 벽 소켓에 시스템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정보 세션이나 팀 회의와 같이 소규모 그룹에 연설하는 사람들이 사용할 수도 있다. 배터리 작동 시스템은 도보 투어에서 고객에게 이야기하는 가이드가 사용할 수도 있다.[15]4. 2. 대규모 시스템
대형 PA 시스템은 여러 건물 또는 대학, 사무실, 산업 단지, 운동 경기장과 같은 야외 전체를 커버하는 스피커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대형 PA 시스템은 비상시 경고 시스템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17]
4. 3. 전화 페이징 시스템
일부 사설 구내 교환기(PBX) 전화 시스템은 전화와 PA 증폭기 사이의 연락 역할을 하는 페이징 기능을 사용한다. 다른 시스템에서는 페이징 장비가 전화 시스템에 내장되어 있지 않다. 대신, 시스템에는 전화 시스템의 트렁크 포트에 연결된 별도의 페이징 컨트롤러가 포함되어 있다. 페이징 컨트롤러는 지정된 내선 번호 또는 국선으로 접근할 수 있다. 많은 최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기능이 전화 시스템에 통합되어 시스템이 전화 스피커로 방송을 보낼 수 있다.[14]많은 소매업체와 사무실에서는 기능이 통합되어 있기 때문에 전화 시스템을 페이징 시스템의 유일한 접근 지점으로 사용하기로 선택한다. 많은 학교와 다른 대규모 기관에서는 더 이상 크고 부피가 큰 마이크 PA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학교의 여러 지점에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전화 시스템 페이징으로 전환했다.[14]
4. 4. 롱 라인 PA (LLPA) 시스템
롱 라인 공공 방송(LLPA) 시스템은 분산 아키텍처를 가진 공공 방송 시스템으로, 일반적으로 광범위한 지리적 영역에 걸쳐 방송을 송출한다.[20] 이러한 시스템은 철도, 경전철, 지하철 등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DSL 모뎀을 사용하는 PSTN 회선, 광섬유, GSM-R, IP 기반 네트워크 등 저대역폭 통신망을 통해 하나 이상의 위치에서 네트워크 전체에 방송을 보낼 수 있다.[20]
철도 시스템은 보통 각 역에 승객 정보 시스템 (PIS) 서버와 연결되어 있다. 이 서버는 궤도 측 신호 장비의 센서를 통해 열차 위치를 알려주는 열차 설명자와 연결된다. PIS는 저장된 메시지를 호출하여 로컬 또는 원격 디지털 음성 안내 시스템에서 재생하거나, 음성 합성 기술을 이용해 메시지 조각들을 올바른 순서로 조립한다. 예를 들어, " / the / 23.30 /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 / 나이트 리비에라 슬리퍼 서비스 / from / 런던 패딩턴 / to / 펜잔스 / .... / will depart from platform / one / this train is formed of / 12_carriages /."와 같은 메시지가 IP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되어 로컬 증폭 장비에서 재생된다. PA, 라우팅, DVA, 승객 디스플레이, PIS 인터페이스를 묶어 ''고객 정보 시스템(CIS)''이라고 부르며, ''승객 정보 시스템''과 혼용되기도 한다.
5. 대한민국 관련 규정 및 현황
대한민국에서 전관방송은 화재 발생 시 건물 내 사람들의 안전한 피난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관련 규정을 통해 전관방송 장비의 설치 및 관리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5. 1. 화재안전기준
전관 방송 장비는 화재 시 피난 방송에 사용하기 때문에 설치할 때 화재안전기준을 준수해야 한다.6. 음향 피드백 (하울링)
음향 피드백은 마이크가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를 감지하여 다시 증폭하고, 이 소리가 다시 스피커를 통해 나오는 과정이 반복되면서 발생한다. 이는 종종 크고 날카로운 고음이나 비명 소리로 나타나며, 시스템 볼륨이 너무 높을 때 발생할 수 있다. 피드백은 피드백 루프의 루프 이득이 1보다 클 때만 발생하므로, 볼륨을 충분히 줄여서 멈출 수 있다.
음향 기술자들은 피드백 전 이득을 최대화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조치를 취한다.
- 마이크를 스피커에서 멀리 유지한다.
- 지향성 마이크가 스피커를 향하지 않도록 한다.
- 무대 볼륨 레벨을 낮춘다.
- 그래픽 이퀄라이저, 파라메트릭 이퀄라이저, 또는 노치 필터를 사용하여 피드백이 발생하는 주파수에서 이득 레벨을 낮춘다.
2010년대부터 일부 믹싱 콘솔과 이펙터에는 자동 피드백 방지 회로가 탑재되어 있다. 피드백 방지 장치는 원치 않는 피드백의 시작을 감지하고 정밀한 노치 필터를 사용하여 피드백을 유발하는 주파수의 이득을 낮춘다.
일부 자동 피드백 감지기는 사용자가 사운드 체크 중에 의도적으로 이득을 증가시켜 피드백이 발생하기 쉬운 주파수를 "설정"하도록 한다. 이 과정을 "링 아웃" 또는 공간/장소의 "EQ"라고 한다. 그러면 장치는 이러한 주파수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차단할 준비를 한다. 일부 자동 피드백 방지 장치는 사운드 체크에서 발견된 주파수 외에 새로운 주파수를 감지하고 줄일 수 있다.
참조
[1]
간행물
Is it P.A. or SR?
http://mylocalnews.c[...]
Prism Business Media
2003-11-01
[2]
웹사이트
Tannoy definition
http://dictionary.ca[...]
Cambridge Online Dictionary
2015-05-19
[3]
뉴스
Replaces Bell Boy
http://chroniclingam[...]
The (Culbertson, Montana) Searchlight
1910-07-22
[4]
뉴스
Hear Sermon, Enjoy Pipe
The (Ottawa Kansas) Evening Herald
1910-06-25
[5]
서적
Robert D. Fisher Manual of Valuable and Worthless Securities: Volume 6
1938
[6]
간행물
Automatic Telephone and Enunciator Carnival Features
https://books.google[...]
Telephony
1912-08-24
[7]
뉴스
Loud-Speaking Telephone Enunciators in Baseball Grand Stand
Electrical World
1913-08-02
[8]
간행물
Increasing the Revenue Producing Efficiency of a Plant
https://books.google[...]
Telephony
1913-10-11
[9]
웹사이트
The First Outside Broadcast 1915
http://www.historyof[...]
History of PA Charity Trust
2011-11-25
[10]
웹사이트
When the President Spoke at Balboa Stadium
http://www.sandiegoh[...]
The Journal of San Diego History
2011-11-25
[11]
서적
Limited by design: R&D laboratories in the U.S. national innovation system
Columbia University Press
[12]
서적
Woodrow Wilson's Western Tour: Rhetoric, Public Opinion, And the League of Nations
https://books.google[...]
Texas A&M University Press
2015-11-16
[13]
웹사이트
Woodrow Wilson in San Diego 1919
http://homepage.mac.[...]
Recording Technology History Notes
2011-11-25
[14]
웹사이트
Antique Guitar Amps 1928-1934 | Vintage Guitar® magazine
https://www.vintageg[...]
2002-09-05
[15]
문서
2024-08
[16]
웹사이트
Demystifying 100V Line For PAVA Systems
http://www.proaudium[...]
2024-01-29
[17]
웹사이트
UNDERSTANDING BASS MANAGEMENT IN PA SYSTEMS: A Guide for Performers
http://www.cerwinveg[...]
Cerwin Vega
2017-01-08
[18]
웹사이트
How Network Attached Amplifiers and IP Intercoms Work
https://kintronics.c[...]
2015-08-17
[19]
웹사이트
2-Way Radio Wireless PA System Design and Installation
https://www.intercom[...]
2024-06-24
[20]
웹사이트
User Manual for an IP based Long Line PA System
http://www.asl-contr[...]
2017-01-25
[21]
웹사이트
Bands Who Do Their Own Sound. Audio Engineering Music Column
http://www.cleverjoe[...]
2017-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