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호 (정치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병호는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출신의 북한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서기, 당 군수공업부장, 당 정치국원 등을 역임했다. 그는 북한의 핵무기 및 미사일 개발에 깊이 관여했으며, 2014년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했다. 공화국 영웅 칭호를 2회, 노력 영웅 칭호를 받았으며 김일성 훈장 등을 수여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사에 관한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군인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전병호 (정치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한글 | 전병호 |
한자 | 全炳浩 |
로마자 표기 | Jeon Byeong-ho |
출생일 | 1926년 3월 20일 |
출생지 | 무산군, 함경북도, 북한 |
사망일 | 2014년 7월 7일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소속 | 조선인민군 |
정당 | 조선로동당 |
복무 기간 | 알 수 없음 |
계급 | 대장 |
경력 | |
주요 직책 | 인민군 무장장비관 명예관장 핵・미사일 개발 담당 간부 |
기타 | |
참고 | 북한의 국가장의위원회 위원 |
2. 경력
1926년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강계군에서 태어났다. 1945년 10월 적위대에 입대하였으며, 대학을 졸업한 후 금속공학 주물기사 자격을 받았다. 26호공장 부기사장, 국가계획위원회 부장, 강계뜨락또르공장 기사장을 거쳐, 당중앙위원회 부부장과 부장, 제2경제위원회 부위원장, 1부위원장 겸 당책임비서, 위원장, 당중앙위원회 비서 겸 부장을 지냈다.[10] 그리고 2009년 9월부터 내각 정치국 국장과 당책임비서를 지냈다.
2010년 9월에 열린 조선로동당 제3차 대표자회에서 당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에 선임되었다. 2011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에서 물러나면서 정계에서 은퇴했다. 은퇴 후 조선인민군 무장장비관 명예관장을 지냈다.[10] 2003년 9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2. 1. 주요 활동
전병호는 일제강점기 평안북도 (현: 자강도) 출생으로[9], 조선로동당 서기, 당 군수공업부장, 당 정치국원을 역임했다.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에 깊이 관여했다.[9] 2003년 9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2014년 7월 7일, 급성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 향년 88세[9]3. 사망 및 장례
2014년 7월 7일, 전병호는 급성 심근경색으로 8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의 장례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장례위원장을 맡아 국가 장례로 진행되었다.[6]
김정은이 위원장을 맡은 전병호의 장례 위원회는 다음과 같은 인물들로 구성되었다.[7]
- 김정은
- 김영남
- 박봉주
- 황병서
- 리영길
- 현영철
- 김기남
- 최태복
- 최룡해
- 박도춘
- 양형섭
- 강석주
- 리용무
- 오극렬
- 김원홍
- 김양건
- 김평해
- 곽범기
- 오수용
- 최부일
- 로두철
- 조연준
- 리일환
- 김만성
- 한광복
- 오일정
- 안정수
- 김정임
- 김정협
- 한광상
- 홍인범
- 김경옥
- 리재일
- 최휘
- 전일춘
- 정명학
- 김희택
- 강관일
- 홍영칠
- 홍승무
- 장창하
- 림춘성
- 변인선
- 서홍찬
- 박용식
- 렴철성
- 조경철
- 윤동현
- 강표영
- 김형룡
- 김형식
- 리병철
- 김춘삼
- 김영철
- 오금철
- 박정천
- 김정관
- 노광철
- 동용일
- 리창한
- 리영주
- 리규만
- 정영학
- 김태구
- 림운국
- 김수학
- 박관복
- 윤병권
- 안지용
- 주동철
- 최재복
- 김수길
- 태종수
- 박태성
- 리만건
- 전승훈
- 박용호
- 박태덕
- 김춘섭
- 박정남
- 리상원
- 강양모
- 림경만
- 조춘룡
- 주규창
- 최춘식
- 리제선
- 유진
- 리성학
3. 1. 장례위원회 구성
전병호는 2014년 7월 7일 급성 심근 경색으로 8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김정은이 참석한 국가 장례로 치러졌다.[6] 장례위원회는 김정은을 위원장으로 하여, 김영남, 박봉주, 황병서, 리영길, 현영철 등 당, 정, 군 고위 인사들이 참여했다.[7]4. 상훈
전병호는 공화국 영웅 칭호를 2회,노력 영웅 칭호를 받았다.[8] 김일성 훈장 3회,국기훈장 1급 9회 등 다수의 훈장 및 표창을 수여받았다.[8] 그의 장식품을 전시한 액자가 장례식 동안 그의 관대 앞에 놓였다.[8]
참조
[1]
웹사이트
ko:전병호(남성)
http://nkinfo.unikor[...]
Ministry of Unification
2019-03-03
[2]
웹사이트
Chief architect of North Korea's nuclear programme dies
https://www.theguard[...]
2014-07-09
[3]
웹사이트
Jon Pyong-ho
http://nkleadershipw[...]
2011-12-20
[4]
뉴스
National Funeral Committee Formed
http://www.kcna.co.j[...]
2011-12-19
[5]
웹사이트
Cho'n Pyo'ng-ho (Jon Pyong Ho)
http://nkleadershipw[...]
2011-12-20
[6]
뉴스
State Funeral of Jon Pyong Ho Held
http://www.kcna.co.j[...]
2014-07-13
[7]
웹사이트
Jon Pyong Ho (1926–2014)
https://nkleadership[...]
2018-08-31
[8]
웹사이트
北, '핵개발 주역' 전병호 애국열사릉 안치
https://news.sbs.co.[...]
2023-01-10
[9]
뉴스
北朝鮮の全秉浩元書記が死去 核・ミサイル開発担当幹部
https://web.archive.[...]
47NEWS
2014-07-09
[10]
웹인용
당대표자회, 40년대 해방전후 차세대 기수 전면 등장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11-10-04
[11]
웹인용
北 전병호 무장장비관 명예관장, 7일 사망
http://www.tongilnew[...]
통일뉴스
2021-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