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성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성호는 일제강점기 만주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고 광복 후 대한민국 국군 창설에 기여한 인물이다. 1896년 함경북도 경성군에서 출생하여 만주로 망명, 철혈광복단, 북로군정서 등에서 활동하며 청산리 전투에 참여했다. 1927년 한국독립당 동만 교민 대표를 맡았으며, 이후 한국혁명위원회 등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지속했다. 광복 후에는 대한국군준비위원회 부위원장, 대한무관학교 부교장, 한국광복군 국내지대 참모장을 역임하고 육군사관학교를 졸업, 소령으로 임관하여 제12연대장을 지냈다. 한국 전쟁에 참전, 유격대 총사령부 참모장으로 활동하다가 전사했으며, 준장으로 추서되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건국포장과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흥무관학교 동문 - 나석주
    나석주는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동양척식주식회사 등 일제의 식민지 수탈 기관 파괴를 위해 폭탄 투척 후 자결했으며,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 신흥무관학교 동문 - 장홍염
    장홍염은 광주 학생 운동 참여와 한국광복군 활동으로 항일운동에 헌신하고 해방 후 한국민주당에서 제헌 및 제2대 국회의원을 지낸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이다.
  • 북로군정서 - 김좌진
    김좌진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파하고 한국독립당 회장을 역임했으며,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수훈받았다.
  • 북로군정서 - 이범석
    이범석은 조선 왕족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군인, 정치인으로, 청산리 대첩에서의 활약과 대한민국 건국 참여, 초대 국무총리 역임 등 뚜렷한 업적을 남겼으나, 과장된 서술 및 정치적 행보에 대한 논란으로 평가가 엇갈린다.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김마리아 (광복군)
    김마리아는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고려혁명군 정치공작대원으로 항일 투쟁에 참여하고 한국 광복군 대원 교육에 기여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여러 정당의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군인 - 아서 록
    아서 록은 미국의 벤처 투자자이자 기업가로서 페어차일드 반도체, 인텔, 애플 등 실리콘밸리 주요 기술 기업의 성장에 기여하고 데이비스 & 록과 같은 벤처 캐피털 회사를 설립하여 투자했으며 인텔 초대 회장 역임, 교육 기부 활동, '록의 법칙' 등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
전성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전성호
한자 표기全盛鎬
아명철주
출생1896년 9월 10일
출생지조선 함경북도 경성
사망1950년 9월 25일
사망지대한민국 경상북도 영덕
묘소국립서울현충원 장군 제1묘역 33호
본관정선(旌善)
가족 정보
전재일
평주 박씨 부인
배우자수안 김씨 부인
자녀전해종(차남)
친인척유지수(며느리)
김영하(손녀사위)
류동술(사돈)
유동헌(사돈)
유동열(사돈)
유미영(사돈)
유정순(사돈)
전덕원(5촌 종숙부)
전경찬(6촌 남동생)
경력
소속동북항일의용군
대한민국 육군
군사 경력소장(중국군)
준장(한국 육군)
정당무소속
주요 보직미군정청 통위부 차장 예하 보좌관 직무대리
임기1948년 7월 1일 ~ 1948년 7월 8일
사령관존 리드 하지 미군정청 군정사령관
수상안재홍 미군정청 민정장관
차관송호성 미군정청 통위부 차장
지휘육군 제1사단 제12연대장
근무육군 제1사단
군 복무대한민국 육군
복무 기간1919년 8월 ~ 1950년 9월 25일
최종 계급 (사후 추서)대한민국 육군 준장
학력
학력대한민국 육군보병학교
기타 정보
종교유교(성리학) → 개신교(장로회)
서훈1980년 대한민국 건국포장 추서
1990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2. 독립운동 활동

1910년 만주로 망명하여 독립운동에 투신하였다. 1916년 철혈광복단에 가입, 서일을 따라 독립운동을 전개하였고, 1919년 3·1 운동 당시에는 군자금 보충을 위하여 용정(龍井)은행을 습격하기도 했다. 북로군정서 사관연성소를 졸업하고, 흥업단 연무소에서 군사훈련 및 작전을 지도하였다. 1920년 청산리 전투에 참가하였다.

1927년 3부통합 대표회의에 동만 교민대표로 김동진과 함께 참석하였다. 1928년 민족유일당 재만책진회 군무위원으로서 이청천, 김좌진, 황학수, 박창식 등과 함께 독립운동을 하였다. 한국독립당 동만 교민 대표, 한국혁명위원회 조직, 1928년 연변자치촉진회 부회장을 지내다 일본 헌병에 체포되어 청진형무소에서 3년간 복역했다. 출옥 후 다시 만주로 건너가 만주 사변 이후 동북구국의용군 고급참모를 역임했다.[1] 1935년에는 중국 의용군사령관 왕더린(王德林|왕덕림중국어)과 제휴하고, 지청천 부대와 연락하면서 대일 항쟁을 전개하였다.

2. 1. 철혈광복단 및 북로군정서 활동

1916년 만주에서 조직된 철혈광복단(鐵血光復團)에 가입하여 서일을 따라 독립운동을 시작했다.[1] 1919년 3·1 운동 당시에는 군자금을 보충하기 위하여 용정(龍井)은행을 습격하기도 했다.[1]

1919년 8월 서일김좌진을 맞아 길림(吉林)에서 북로군정서를 조직하자, 사관연성소를 졸업하였다.[1] 1920년 백두산 서남쪽 무송현(撫松縣)에서 김호(金虎)를 단장으로 하는 흥업단(興業團)이 조직되자, 강승경(姜承卿)과 함께 북로군정서의 파견원으로 이곳 흥업단 연무소(鍊武所)에서 군사훈련 및 작전 등을 지도하였다.[1] 1920년 청산리 전투에 참가하여 큰 공을 세웠다.[1]

2. 2. 독립운동 단체 활동

1927년 길림성(吉林省)에서 3부통합 대표회의가 개최되자 동만 교민대표로 김동진과 함께 참석하였다.[1] 1928년 민족유일당 재만책진회에 참여, 군무위원으로서 이청천(李靑天)·김좌진(金佐鎭)·황학수(黃學秀)·박창식(朴昌植) 등과 함께 독립운동을 이끌었다.[1]

한국독립당 동만 교민 대표를 역임했고, 김좌진, 지청천 등과 한국혁명위원회를 조직했다.[1] 1928년 연변자치촉진회 부회장을 지냈다.[1]

2. 3. 일제에 체포와 만주사변 이후 활동

1928년, 일본 헌병에 체포되어 청진형무소에서 3년간 복역했다. 출옥 후 다시 만주로 건너갔다. 만주 사변 이후 동북구국의용군 고급참모를 역임했다.[1] 1935년에는 중국 의용군사령관 왕더린(王德林|왕덕림중국어)과 제휴하고, 지청천 부대와 연락하면서 대일 항쟁을 전개하였다.

3. 광복 이후 군 경력

전성호는 광복 후 귀국하여 대한민국 육군 창설에 참여하였다. 한국 전쟁 개전 당시 후퇴 중 차량 사고로 중상을 입고 후송되었으며,[7] 유격대 총사령부 참모장으로 근무하다가 장사동 상륙 작전에서 전사했다.[8] 1951년 8월 21일, 준장으로 추서되었다.[8]

3. 1. 대한민국 육군 창설 참여

1945년 11월 1일, 오광선이 조직한 대한국군준비위원회 부위원장을 맡았다.[2] 같은 시기에 대한민국 임시 정부 우파가 창설한 대한무관학교(1946년 1월 말 폐교) 부교장을 역임했다.[3] 12월, 한국광복군 국내지대 참모장이 되었다.[4]

3. 2. 육군 장교 복무

1949년 육군사관학교 제8기 특별 제1반을 졸업하고[5] 소령으로 임관하여 제18연대 부연대장을 역임했다.[1] 1949년 7월 15일, 제12연대장(중령)이 되었다.[6]

4. 한국전쟁 참전과 전사

1950년 6월 한국 전쟁 발발 당시 후퇴 중 차량 사고로 중상을 입고 후송되었다.[7] 이후 유격대 총사령부 참모장으로 복귀하여 장사 상륙 작전에 참전, 북한군과 교전 중 전사했다.[8] 1951년 8월 21일, 육군 준장으로 추서되었다.[8]

5. 사후 추서 및 평가

대한민국 정부는 전성호의 공훈을 기려 1980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1]

5. 1. 대한민국 정부 포상

대한민국 정부는 전성호의 공훈을 기려 1980년 건국포장을 추서하였고,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1]

5. 2. 평가

대한민국 정부는 전성호의 공훈을 기려 1980년 8월 15일 건국포장을, 1990년 3월 1일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1]

참조

[1]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中巻
[2] 웹사이트 軍史第88号 http://www.imhc.mil.[...] 한국国防部軍史編纂研究所 2018-09-13
[3]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4] 웹사이트 남조선국군준비대, 광복군과 합류 결의 http://db.history.go[...] 국史編纂委員会 2015-12-21
[5] 웹사이트 6・25戦争史 第1巻 http://www.imhc.mil.[...] 국방부軍事編纂研究所 2016-11-18
[6]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7] 서적 若き将軍の朝鮮戦争 草思社
[8] 웹사이트 요정출입 단속 http://www.archives.[...] 2019-06-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