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용 콘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용 콘솔은 특정 게임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비디오 게임 시스템을 의미한다. 초기 가정용 비디오 게임 시스템은 대부분 전용 콘솔이었으며, 1970년대 중반 롬 카트리지 기반 시스템과 1990년대 중반 CD 기반 콘솔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1990년대 후반 레트로 게임 열풍으로 여러 전용 콘솔이 다시 등장했고, 2010년대 후반에는 주요 콘솔 제조사들이 자사 게임을 내장한 전용 콘솔을 출시했다. 전용 콘솔은 아케이드 게임, 휴대용 전자 게임, 휴대용 TV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한국에서는 1980년대 초에 유행했으나 이후 쇠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디오 게임 유통 - 레이저디스크
    레이저디스크는 1978년 MCA와 필립스가 공동 개발한 아날로그 광학 비디오 매체로, VHS보다 뛰어난 화질과 음질, 랜덤 액세스 기능을 제공했으나, DVD의 등장, 고가, 녹화 기능 부재로 시장에서 사라졌지만, 고화질 영상과 재생 제어 기능으로 비디오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있고 아케이드 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었다.
  • 비디오 게임 유통 - 배틀 패스
    배틀 패스는 비디오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게임 플레이나 챌린지를 통해 티어를 완료하고 캐릭터 외형, 감정 표현 등 다양한 보상을 얻을 수 있는 기간 제한적인 보상 시스템으로, 게임 수익 증진에 기여하며 도타 2에서 시작되어 포트나이트의 성공 이후 확산되었다.
  • 전용 콘솔 - 플레이스테이션 클래식
    플레이스테이션 클래식은 소니에서 출시한 오리지널 플레이스테이션의 소형화 버전으로, 20개의 게임이 사전 설치되어 있으며, HDMI 케이블, USB 케이블, 컨트롤러 2개가 포함되어 출시되었으나, 게임 라인업, 컨트롤러 부족, 높은 가격 등으로 비판받았다.
  • 전용 콘솔 - 패미클론
    패미클론은 닌텐도의 패밀리 컴퓨터 또는 닌텐도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모방한 비인가 복제품으로, 저렴한 가격과 다양한 형태로 인기를 끌었지만 품질, 저작권, 호환성 등의 논란이 있다.
전용 콘솔
개요
유형비디오 게임 콘솔
다른 이름전용 게임기
특징
주요 기능특정 게임만 실행 가능
설계 목적단일 게임 또는 제한된 수의 게임 실행
역사
배경1970년대 후반 ~ 1980년대 초반, 아케이드 게임의 가정용 버전 인기
가정용 콘솔 하드웨어 성능 제한으로 아케이드 게임 완벽 재현 불가
개발 동기아케이드 게임의 핵심 경험을 가정에서 저렴하게 제공
특정 게임에 최적화된 하드웨어 및 컨트롤러 제공
예시아타리의 가정용 퐁 콘솔
콜레코의 텔스타
미츠비시의 TV 게임
장점 및 단점
장점저렴한 가격
사용 편의성
특정 게임에 최적화된 경험
단점제한된 게임 선택
하드웨어 확장성 부족
기술 발전으로 인한 빠른 устаревание ( устаревание: 러시아어, 영어로 obsolescence, 한국어로 '구식화')
현대적 맥락
역할 변화현대 비디오 게임 콘솔의 등장으로 틈새 시장으로 축소
일부 복고풍 게임 콘솔, 플러그 앤 플레이 형태로 재출시
예시아타리 플래시백
닌텐도 클래식 미니
같이 보기
관련 항목비디오 게임 콘솔
홈 비디오 게임 콘솔
휴대용 게임기

2. 역사

초기 가정용 비디오 게임 시스템은 대부분 과 같은 특정 게임 전용 콘솔이었다. 이들은 CPU와 소프트웨어 대신 고정 배선 제어 하드웨어로 게임을 구동했다.

1970년대 중반 페어차일드 채널 F아타리 2600의 등장으로 롬 카트리지 교체 방식 콘솔이 2세대의 주류가 되었다. 전용 콘솔은 콜레코의 미니 아케이드 시리즈 등으로 명맥을 유지했으나 비중은 줄었다.

패미컴 이후에도 롬 카트리지 시대가 이어졌지만, 1990년대 중후반 플레이스테이션 등 CD 기반 콘솔이 등장하며 시장 판도가 바뀌었고, 전용 콘솔의 입지는 더욱 좁아졌다.

2. 1. 초기 전용 콘솔 (1세대)

초창기 가정용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대부분은 특정 게임 전용으로 설계된 전용 콘솔이었다. 가장 널리 알려진 예시는 ''''과 이를 모방한 수많은 게임기들이다.[1] 이후 등장한 대부분의 콘솔과 달리, 이 초기 시스템들은 CPU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컴퓨터 방식이 아니라, 게임 로직 자체가 하드웨어 회로로 구현된 고정 배선 제어(hardwired) 방식을 사용했다.[1][2]

비디오 게임 콘솔의 첫 번째 세대에 속하는 이 전용 콘솔들은 대부분 하나 또는 소수의 내장된 게임만을 즐길 수 있었으며, 일반적으로 콘솔 본체에 달린 스위치를 조작하여 게임을 선택했다.[3] 드물게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 카트리지에는 게임 프로그램이 들어있지 않았다. 대신 카트리지는 콘솔 내부의 특정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화면에 게임이 나타나도록 하는 단순한 역할을 했다.[3] 이러한 방식의 대표적인 예로는 마그나복스 오디세이, 콜레코 텔스타 아케이드, 필립스 텔레-게임 ES 2201 등이 있다.[3]

1970년대 중반, 롬 카트리지를 사용하여 다양한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페어차일드 채널 F아타리 2600과 같은 시스템이 등장하면서 비디오 게임 콘솔의 두 번째 세대가 시작되었고, 전용 콘솔은 점차 주류에서 밀려나게 되었다.[1][2] 하지만 콜레코의 미니 아케이드 시리즈와 같은 일부 독립형 시스템들은 1983년 비디오 게임 위기 이전까지 가정용 비디오 게임 시장에서 명맥을 유지했다.[2]

2. 2. 롬 카트리지 기반 콘솔의 등장 (2세대)

1970년대 중반, 페어차일드 채널 F가 등장하면서 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가정용 비디오 게임 시스템이 나타났다. 이후 아타리 2600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이러한 롬 카트리지 기반 콘솔은 비디오 게임 콘솔의 2세대를 이끄는 주역이 되었다. 물론 이 시기에도 콜레코가 만든 미니 아케이드 시리즈처럼 게임이 내장된 전용 콘솔(독립형 시스템)이 계속 판매되었지만, 1983년 비디오 게임 시장 붕괴가 일어나기 전까지 가정용 비디오 게임 콘솔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대적으로 작았다.

2. 3. CD 기반 콘솔의 등장과 전용 콘솔의 쇠퇴

초기 가정용 비디오 게임 시스템의 대부분은 전용 콘솔이었으며, 가장 인기 있었던 것은 ''''과 수많은 모방작들이었다. 이들 시스템은 후대의 콘솔과 달리 CPU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컴퓨터 방식이 아니라, 고정 배선 제어 방식으로 게임 로직이 내장된 형태였다.

1970년대 중반 페어차일드 채널 F를 시작으로 교체 가능한 롬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시스템이 등장했고, 특히 아타리 2600의 성공으로 2세대 비디오 게임 콘솔 시장에서 주류가 되었다. 이 시기 콜레코의 미니 아케이드 시리즈와 같은 독립형 전용 콘솔은 1983년 비디오 게임 시장 붕괴 전까지 명맥을 유지했으나 점차 비중이 줄어들었다. 패미컴 이후 롬 카트리지 기반 콘솔이 시장을 주도했지만, 1990년대 중후반 플레이스테이션과 같은 CD 기반 콘솔이 등장하면서 다시 한번 시장 판도가 바뀌었다. 이러한 CD 기반 콘솔의 부상은 롬 카트리지 기반 콘솔의 시대를 저물게 했고, 이미 시장에서 입지가 좁아진 전용 콘솔의 쇠퇴를 더욱 가속화했다.

2. 4. 전용 콘솔의 부활

199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반에 레트로 게임 열풍이 불면서 여러 종류의 전용 콘솔이 다시 등장했으며, 중국, 대만, 홍콩 같은 곳에서 Brick Game과 같은 휴대용 전용 콘솔들이 나타나 지금까지도 현역으로 활동한다.

2001년 토이맥스(Toymax) (이후 자크스 퍼시픽(Jakk's Pacific)으로 변경)에서 액티비전 TV 게임을 출시하면서, 향수를 자극하는 복고 게이머들을 중심으로 전용 콘솔에 대한 관심이 되살아났다.[2] 2002년에는 ''아타리 10-in-1'' 시스템이 출시되면서 아타리 부활에 대한 추측이 나오기도 했다.[3]

같은 해, 브라질 세가 유통업체 텍토이(Tectoy)는 수많은 게임이 내장된 마스터 시스템을 재출시했다. 엄밀히 말하면, 이들은 카트리지 기반 게임도 지원하기 때문에 전용 콘솔이라고 할 수는 없다. 2006년 기준으로 새로운 공식 카트리지는 판매되지 않았다. 텍토이는 또한 LCD 화면과 여러 게임이 내장된 메가 드라이브 휴대용 버전을 출시했지만, 카트리지 포트가 없고 대신 SD 카드 슬롯이 있다.

2004년에는 아타리 7800 가정용 콘솔의 소형화된 버전이 20개의 내장 게임과 카트리지 미지원 상태로 출시되었는데, 이는 아타리 플래시백이었다.[3] 이 전용 콘솔은 실제로 NES 하드웨어의 클론을 기반으로 하지만 아타리 소프트웨어를 실행한다. 새로운 버전인 아타리 플래시백 2는 실제 아타리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하며, 현대 아타리 2600 프로그래머가 개발한 몇몇 새로운 내장 게임과 오래된 인기 게임을 포함하고 있다.[4] 이 새로운 콘솔에는 카트리지 슬롯이 없지만, 이를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는 여러 온라인 튜토리얼이 존재한다.[5][6]

2010년대 후반에는 닌텐도, 코나미, 소니, 세가, SNK가 자사의 역사적인 비디오 게임 콘솔용으로 이전에 출시되었던 게임이 내장된 전용 콘솔을 출시했다. 이러한 전용 콘솔의 예로는 NES 클래식 에디션, 슈퍼 NES 클래식 에디션, 플레이스테이션 클래식, 네오 지오 미니, 터보그래픽스-16 미니, 세가 제네시스 미니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역사적인 콘솔의 소형화된 복제품이다.

3. 전용 콘솔의 유형

전용 콘솔은 특정 게임이나 제한된 수의 게임만을 실행하도록 설계된 게임기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오락실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 아케이드 게임 기기, 휴대하며 즐기는 휴대용 전자 게임, 그리고 TV에 직접 연결하는 휴대용 TV 게임 등이 있다.

3. 1. 아케이드 게임

핀볼 머신과 같은 초기의 비디오가 아닌 전자 게임에서 발전한 아케이드 게임은 일반적으로 동전으로 작동하거나 개인이 소유하는 형태를 띤다. 이러한 아케이드 게임기는 대부분 단 하나의 게임 또는 내장된 소수의 게임만을 실행하도록 만들어졌으며, 롬 카트리지 같은 외부 입력을 허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물론, 댄스 댄스 레볼루션 X나 하프라이프 2: 서바이버와 같은 최신 아케이드 게임 중 일부는 메모리 카드USB 스틱 형태의 외부 입력을 받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주로 게임 진행 상황을 저장하거나 수정된 레벨 데이터를 불러오는 데 사용될 뿐, 기기 자체가 새로운 게임을 구동하도록 허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전용 아케이드 콘솔은 보통 세워진 형태의 캐비닛 안에 비디오 화면, 조작을 위한 제어 데크(또는 더 복잡한 형태의 제어 장치), 그리고 게임을 실행하는 컴퓨터나 콘솔 본체가 내장된 구조를 가진다.

3. 2. 휴대용 전자 게임

1970년대 중반, 매텔 전자의 매텔 오토 레이스매텔 일렉트로닉 풋볼과 같은 게임으로 처음 등장한 전용 휴대용 전자 게임은 현대 휴대용 게임기의 전신으로 여겨진다.[1] 이 기기들은 하나의 게임이나 여러 개의 내장 게임만을 플레이할 수 있도록 특화되어 있으며, 화면으로는 주로 간단한 VFD 또는 LCD를 사용했다. 초기 모델 중 일부는 계산기와 유사하게 작은 전구나 LED를 배열하여 글자나 숫자를 표시하기도 했다. 전용 휴대용 게임기는 일반적으로 화면, 여러 개의 조작 버튼, 게임 엔진이 내장된 소형 본체로 구성된다. 닌텐도게임 & 워치 시리즈는 1980년대에 이러한 전용 휴대용 게임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3. 2. 1. 조이패드 게임

전용 콘솔은 낚시 게임을 위해 등장하기도 했는데, 이 경우 기기 자체가 낚싯대와 릴 형태의 특수 컨트롤러가 된다. 다른 전용 콘솔은 사냥, 사격, 심지어 양궁 게임을 위해 광선총과 함께 출시되기도 했다.

3. 2. 2. 게임 시계

1980년대 초에 인기를 얻은 게임 시계는 전자 손목시계의 한 종류로, 시계 화면을 스크린으로 사용하여 내장된 비디오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원래 시간과 분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던 버튼들은 게임 플레이 시 필요에 따라 보조적인 조작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3. 3. 휴대용 TV 게임

휴대용 TV 게임(또는 "플러그 앤 플레이 게임")은 비디오 게임 콘솔게임 컨트롤러와 통합한 형태이다. 199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반에 레트로 게임 열풍이 불면서 여러 종류의 휴대용 TV 게임이 등장했다. 특히 중국, 대만, 홍콩 등지에서는 Brick Game과 같은 휴대용 전용 콘솔이 나타나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현대의 전용 가정용 게임 시스템은 기술 발전에 힘입어 게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전체를 하나의 컨트롤러 안에 담을 수 있게 되었으며, 이 때문에 일반적으로 "플러그 앤 플레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시스템 중 일부는 중국이나 동남아시아에서 생산되는 오래된 게임의 복제품 형태(예: Power Player Super Joy III)이며, 다른 일부는 정식 라이선스를 받은 게임을 포함하여 서구의 주요 상점에서 유통된다. 후자의 예로는 Jakks Pacific의 TV 게임 라인이 유명한데, 여기에는 아케이드 클래식이나 아타리 2600 게임과 같은 빈티지 게임의 재출시뿐만 아니라, 스폰지밥 네모바지처럼 당시 인기 있던 캐릭터를 기반으로 한 게임들도 포함된다. 코나미 역시 Frogger를 비롯한 클래식 아케이드 게임들을 "플러그 앤 플레이" 방식의 전용 시스템으로 출시했다.

한편, Pelican VG Pocket은 백라이트 컬러 LCD를 탑재한 TV 게임을 만들려는 시도였다. 비록 LCD 화면이 있는 전용 콘솔과 휴대용 전자 게임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게임만 내장하고 있어 다소 다른 장치로 분류되지만, Pelican VG Pocket의 등장은 이 두 장치 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들었다.

4. 레트로 게임 열풍과 전용 콘솔

1990년대 중반과 2000년대 초반에 걸쳐 레트로 게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휴대용 TV 게임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전용 콘솔들이 다시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중국, 대만, 홍콩 등지에서는 '브릭 게임(Brick Game)'과 같은 휴대용 전용 콘솔이 인기를 끌며 현재까지도 생산되고 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과거 게임에 대한 향수를 가진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전용 콘솔 시장이 다시 활성화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2001년 토이맥스(이후 자크스 퍼시픽)가 출시한 액티비전 TV 게임은 이러한 흐름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였다.[2] 이후 아타리 관련 복각 제품들이 출시되면서[3] 레트로 게임 팬들의 관심을 끌었다. 이러한 초기 복각판 콘솔들은 이후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으며, 2010년대 후반에는 주요 게임 회사들이 직접 자사의 과거 인기 콘솔을 소형화하여 복각판으로 출시하는 트렌드로 이어졌다.

4. 1. 다양한 복각판 출시

2001년 토이맥스 (이후 자크스 퍼시픽으로 사명 변경)가 액티비전 TV 게임을 출시하면서, 과거 게임에 대한 향수를 가진 게이머들을 중심으로 전용 콘솔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졌다.[2] 2002년에는 ''아타리 10-in-1'' 시스템이 출시되어 아타리의 부활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모았다.[3]

같은 해 2002년, 브라질의 세가 유통사인 텍토이는 여러 게임이 내장된 마스터 시스템을 다시 출시했다. 하지만 이 기기는 카트리지 기반 게임도 지원했기 때문에 엄밀히 말해 전용 콘솔로 분류하기는 어렵다. 2006년 기준으로 새로운 공식 카트리지는 판매되지 않았다. 텍토이는 또한 LCD 화면과 여러 게임이 내장된 메가 드라이브 휴대용 버전을 출시했는데, 이 버전에는 카트리지 포트 대신 SD 카드 슬롯이 있었다.

2004년에는 아타리 7800 가정용 콘솔을 작게 만든 버전인 아타리 플래시백이 출시되었다. 이 기기에는 20개의 게임이 내장되어 있었고 카트리지는 지원하지 않았다.[3] 흥미롭게도 이 콘솔은 실제로는 NES 하드웨어의 복제품을 기반으로 하면서 아타리 게임을 실행했다. 이후 출시된 새로운 버전인 아타리 플래시백 2는 실제 아타리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과거 인기 게임들과 함께 현대 아타리 2600 프로그래머들이 개발한 새로운 내장 게임들도 포함했다.[4] 이 새로운 콘솔에는 카트리지 슬롯이 없었지만, 사용자가 직접 추가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를 위한 방법을 설명하는 여러 온라인 자료들이 존재한다.[5][6]

2010년대 후반에는 닌텐도, 코나미, 소니, 세가, SNK와 같은 주요 게임 회사들이 자사의 과거 인기 비디오 게임 콘솔에 게임을 내장하여 복각판 전용 콘솔을 출시하는 흐름이 나타났다. 이러한 복각판 콘솔의 예로는 NES 클래식 에디션, 슈퍼 NES 클래식 에디션, 플레이스테이션 클래식, 네오 지오 미니, 터보그래픽스-16 미니, 세가 제네시스 미니 등이 있으며, 이들은 일반적으로 과거 콘솔의 디자인을 작게 축소한 형태를 띤다.

4. 2. 주요 콘솔 제조사의 참여

2010년대 후반에는 닌텐도, 코나미, 소니, 세가, SNK와 같은 주요 비디오 게임 콘솔 제조사들이 과거에 자신들이 출시했던 게임들을 내장한 전용 콘솔을 선보였다. 이러한 전용 콘솔의 대표적인 예로는 NES 클래식 에디션, 슈퍼 NES 클래식 에디션, 플레이스테이션 클래식, 네오지오 미니, 터보그래픽스-16 미니, 세가 제네시스 미니 등이 있다. 이들 콘솔은 대부분 과거 인기 있었던 콘솔의 디자인을 본떠 작게 만든 복제품 형태를 띠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onsoles of the '70s http://www.gamesrada[...] 2008-06-17
[2] 뉴스 JAKKS Pacific Reintroduces Activision Tv Games - GameZone https://www.gamezone[...] 2012-05-04
[3] 웹사이트 2004 Holiday Gift Guide Review - Atari Flashback Console (Atari) - Classic Gaming http://classicgaming[...] 2013-12-30
[4] 웹사이트 Atari Flashback 2.0 Exclusive! - Classic Gaming http://classicgaming[...] 2011-05-17
[5] 웹사이트 Modification Tutorial -- Flashback 2 Compendium https://flashback2.c[...] 2018-04-30
[6] 웹사이트 Hacking the Atari Flashback 2 http://www.atarimus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