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전자기 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자기 펄스는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는 전자기 에너지의 급증을 의미한다. 에너지 전달 방식, 주파수 범위, 펄스 파형에 따라 구분되며, 전기장, 자기장, 전자기파, 전기 전도 등의 형태로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다. EMP는 자연 현상, 인위적 활동, 군사적 공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번개, 스위칭 회로, 핵폭발 등이 그 예시이다. EMP는 전자 기기를 손상시키거나 데이터를 파괴할 수 있으며, 전자기적합성 연구를 통해 제어하고, EMP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그 영향을 시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전 - 전자전기
    전자전기는 전자 공격, 전자 방호, 전자전 지원을 통해 적의 레이더 및 통신을 교란하고 아군 장비를 보호하며 정보 수집을 수행하는 항공기 또는 전자 장비이다.
  • 전자전 - 타이탄 레인
    타이탄 레인은 중국 정부 지원을 받는 것으로 추정되는 해커들이 미국 정부 기관 및 기업을 대상으로 비기밀 정보를 탈취한 사이버 공격 사건으로,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국가 간 불신을 야기했다.
  • 핵무기 - NORSAR
    NORSAR는 노르웨이 셸러에 위치한 지진 연구 및 데이터 센터이며, 기초 지진학 연구, 소프트웨어 개발, 석유 산업 컨설팅 등의 활동을 수행하며, 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을 위한 노르웨이 국가 데이터 센터 역할을 수행한다.
  • 핵무기 - 맨해튼 계획
    맨해튼 계획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영국, 캐나다가 연합하여 핵무기 개발을 위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진행한 프로젝트이다.
전자기 펄스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전자기 펄스
로마자 표기Jeonjagi peolseu
영어 명칭Electromagnetic pulse (EMP)
일본어 명칭電磁パルス (Denji parusu)
정의
정의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는 고강도 전자기 에너지의 폭발
발생 원인핵폭발
태양 플레어
강력한 번개
특수하게 설계된 장치
유형핵 전자기 펄스 (NEMP)
번개 전자기 펄스 (LEMP)
고출력 마이크로파 (HPM)
효과
주요 영향전자 장비 손상 및 파괴
전력망 마비
통신 시스템 중단
데이터 손실
영향 범위발생 원인과 강도에 따라 지역적 또는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취약 시스템전력망
통신 시스템
컴퓨터 및 데이터 센터
의료 장비
교통 시스템
군사 장비
핵 전자기 펄스 (NEMP)
특징핵폭발에 의해 생성되는 강력한 전자기 펄스
발생 과정핵폭발 시 감마선이 대기 중의 전자를 이탈시켜 발생
주요 영향광범위하고 심각한 전자 장비 손상 및 파괴
군사적 의미적의 전자 장비를 무력화하는 데 사용 가능
번개 전자기 펄스 (LEMP)
특징번개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기 펄스
발생 과정번개 방전 시 강한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
주요 영향특정 지역의 전자 장비 손상, 전력망 사고 유발
고출력 마이크로파 (HPM)
특징인공적으로 생성된 고출력 마이크로파
발생 과정특수 장치를 이용하여 생성
주요 영향특정 목표 전자 장비 손상 및 기능 장애
군사적 의미적의 전자 장비를 무력화하는 데 사용 가능
대책 및 보호
전자기 펄스 방호차폐 시설 건설
서지 보호 장치 설치
장비의 내성 강화
국가적 대응전자기 펄스 공격에 대한 대비책 마련 및 훈련
역사적 사례
초기 관측핵무기 실험 중 전자기 펄스 효과 관측
실제 사용 사례전자기 펄스를 이용한 무기 개발 시도
군사 훈련 및 시뮬레이션에서 활용
추가 정보
관련 용어전자기 간섭 (EMI)
전자기 호환성 (EMC)
연구 및 개발전자기 펄스 발생 메커니즘 및 방호 기술 연구 지속

2. 일반적인 특성

전자기 펄스는 짧은 순간 동안 발생하는 전자기 에너지의 급증 현상이다. 지속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다양한 주파수 대역에 걸쳐 에너지가 방출된다. 이러한 펄스는 에너지 전달 방식, 주파수 범위 (또는 스펙트럼), 펄스 파형(모양, 지속 시간, 진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파수 스펙트럼과 펄스 파형은 푸리에 변환을 통해 서로 연관되어 있다. 푸리에 변환은 구성 파형이 관찰된 주파수 스펙트럼에 어떻게 합쳐지는지를 설명하는 수학적 도구이다.

핵폭발 시 발생하는 강력한 감마선, 베타선, 알파선 등의 입자선은 고층 대기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광범위한 광전효과와 전리 작용을 일으킨다. 이 과정에서 광전자, 오제 전자, 이온이 다량으로 생성된다. 생성된 전자는 전자 확산을 일으키고, 지자기에 의해 회전 운동을 하며 싱크로트론 방사제동 복사를 통해 넓은 대역의 전자기파를 방출한다. 일부 전자는 지표에 도달하여 써지 전류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이는 저에너지 우주선에 의한 대기 샤워와 유사한 원리이다.

전자기 펄스의 영향 범위와 강도는 고도에 따라 달라진다. 저고도 핵폭발은 강한 펄스를 발생시키지만 범위가 제한되는 반면, 고고도 핵폭발은 넓은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만 강도는 약해진다.

전자기 펄스는 케이블이나 안테나에 고에너지 써지 전류를 유발하여 연결된 전자 기기에 과도한 전류를 흐르게 한다. 이로 인해 반도체전자 회로가 손상되거나 일시적인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군사용 전자 장비는 이러한 피해를 막기 위해 금속 박막 등으로 차폐하거나, 진공관을 사용하는 등의 방호 조치를 취하기도 한다. 특히 폭격기나 핵미사일은 자신이 발사한 핵폭탄이나 다른 핵폭탄에 의해 파괴되지 않도록 방호 조치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콘덴서 등을 이용하면 핵폭발 없이도 전자기 펄스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한 EMP 폭탄은 적의 전자 장비를 무력화시키는 비살상 무기로 고안되었으나, 21세기 초 기술로는 핵폭발에 의한 것보다 훨씬 작은 규모의 펄스만 발생시킬 수 있어 유효 반경이 제한적이다.

2. 1. 에너지의 종류

전자기 펄스(EMP) 에너지는 전기장, 자기장, 전자기파, 전기 전도의 네 가지 형태로 전달된다. 맥스웰 방정식에 따르면, 전기에너지 펄스는 항상 자기에너지 펄스를 동반하며, 일반적인 펄스에서는 이 중 한 가지 형태가 우세하다. 비선형 맥스웰 방정식은 전기장 및 자기장 성분에 불연속성이 있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자기 유사 전자기 충격파 해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5]

일반적으로 자기장과 전기장은 단거리에서 작용하지만, 전자기파는 장거리에서도 작용한다. 태양 자기 플레어와 같이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2. 2. 주파수 범위

전자기 에너지의 펄스는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주파수부터 어떤 상한값까지의 많은 주파수를 포함한다. 전자기 펄스(EMP)로 정의된 범위는 비전리 방사선(적외선, 가시광선, 자외선) 및 전리 방사선(X선 및 감마선) 범위를 구성하는 가장 높은 주파수를 제외하고, "직류(DC)에서 낮(daylight)"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번개나 스파크와 같이 광학적인 흔적을 남길 수 있는 EMP 현상도 있지만, 이는 공기를 통한 전류 흐름의 부작용이며 EMP 자체의 일부는 아니다.

2. 3. 펄스 파형

펄스의 파형은 순간적인 진폭(전기장의 세기 또는 전류)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설명한다. 실제 펄스는 매우 복잡한 경향이 있으므로 단순화된 모델이 종종 사용된다. 이러한 모델은 일반적으로 다이어그램이나 수학 방정식으로 설명된다.

직사각형 펄스

직사각형파 펄스
이중 지수 펄스

이중 지수(임계 감쇠) 펄스
감쇠 사인파 펄스

감쇠 정현파(감쇠 진동(부족 감쇠)) 펄스



대부분의 전자기 펄스는 매우 날카로운 선두부를 가지며, 빠르게 최대 레벨에 도달한다. 고전적인 모델은 가파르게 상승하여 빠르게 최고점에 도달한 다음 더 천천히 감쇠하는 이중 지수 곡선이다. 그러나 제어된 스위칭 회로의 펄스는 종종 직사각형 또는 "정방형" 펄스의 형태에 가깝다.

EMP(전자기 펄스) 현상은 일반적으로 주변 환경이나 물질에 해당 신호를 유도한다. 결합은 일반적으로 상대적으로 좁은 주파수 대역에서 가장 강하게 발생하여 특징적인 감쇠 정현파(감쇠 진동)를 생성한다. 시각적으로는 더 오래 지속되는 이중 지수 곡선의 봉투 내에서 성장하고 감쇠하는 고주파 사인파로 표시된다. 감쇠 사인파는 일반적으로 결합 모드의 전달 특성으로 인해 원래 펄스보다 에너지가 훨씬 낮고 주파수 확산이 더 좁다. 실제로 EMP 시험 장비는 종종 고에너지 위협 펄스를 재현하려고 시도하는 대신 이러한 감쇠 사인파를 직접 주입한다.

디지털 시계 회로와 같이 펄스 열에서는 파형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된다. 하나의 완전한 펄스 주기는 이러한 규칙적인 반복 열을 특징짓기에 충분하다.

3. 발생 원인

전자기 펄스(EMP)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에너지가 짧은 시간 동안 펄스 형태로 방출되는 현상이다. 이 에너지는 광대역이지만, 주변 환경에 따라 특정 주파수 대역에서 강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EMP는 크게 자연적 발생, 인위적 발생, 군사적 발생으로 나눌 수 있다.


  • 자연적 발생:
  • 번개 전자기 펄스(LEMP): 번개는 수백만 암페어의 전류와 함께 여러 개의 펄스를 발생시킨다.
  • 정전기 방전(ESD): 두 물체가 접촉하거나 가까워질 때 발생하며, 높은 전압을 특징으로 한다.
  • 운석 EMP: 운석이 우주선과 충돌하거나 대기권에서 폭발할 때 전자기 에너지를 방출한다.[6][7]
  • 코로나 질량 방출(CME): 태양 코로나에서 플라스마와 자기장이 폭발적으로 방출되는 현상으로, 태양 EMP라고도 한다.[8]
  • 인위적 발생:
  • 전기 회로의 스위칭 동작, 전동기, 가솔린 엔진 점화 시스템, 디지털 전자 회로: 전기 회로가 켜지거나 꺼질 때, 회전자의 연결과 차단이 반복될 때, 점화 플러그에 에너지가 공급될 때, 지속적인 스위칭 동작으로 인해 전류 흐름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EMP가 발생한다.
  • 전력선 서지: 수 킬로볼트의 전압이 발생하여 전자 장비를 손상시킬 수 있다.
  • 군사적 발생:
  • 핵 전자기 펄스(NEMP): 핵폭발의 결과로 발생하며, 고고도 핵 EMP(HEMP)는 지구 대기와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으로 2차 펄스를 생성한다.
  • 비핵 전자기 펄스(NNEMP) 무기: 핵폭발 없이 전자기 펄스를 발생시키는 무기이다.


핵폭발 시 강력한 감마선, 베타선, 알파선 등이 고층 대기를 통과하면서 광전효과, 전리 작용을 일으켜 다량의 광전자, 오제 전자, 이온을 생성한다. 생성된 전자는 전자 확산을 일으키고, 지자기에 의해 회전 운동하여 싱크로트론 방사를 하거나, 물질과의 충돌로 제동 복사를 일으켜 넓은 대역의 전자기파를 방출한다. 일부 전자는 지표에 도달하여 서지 전류를 발생시킨다.

전자기 펄스는 전선, 케이블, 안테나 등에 고에너지 서지 전류를 발생시켜 전자 기기, 반도체, 전자 회로에 손상을 주거나 오작동을 일으킨다. 군사용 전자 장치는 전자기 펄스에 대한 방호 조치가 되어 있기도 하지만, 민간 시설은 취약한 경우가 많다. 특히 한국은 북한의 핵미사일 폭발로 인한 EMP 공격에 대비가 부족한 상황이다.[35]

3. 1. 자연적 발생

번개는 일반적으로 주된 방전 전에 낮은 에너지의 예비 "리더" 방전이 발생하고, 이후 여러 개의 작은 방전이 간격을 두고 이어지는 것이 특징이다.[9][10]

정전기 방전(ESD) 현상은 수 kV의 높은 전압을 특징으로 하지만, 전류는 작아서 때때로 눈에 보이는 스파크를 발생시키기도 한다. 기술적으로 낙뢰는 매우 큰 정전기 방전 현상이지만, ESD는 작고 국부적인 현상으로 취급된다. 반데그라프 발전기에서 받는 충격과 같이 인공적으로 발생시킬 수도 있다.

정전기 방전 현상은 사람에게 불쾌한 충격을 줄 뿐만 아니라 고전압 펄스를 주입하여 전자 회로를 손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전기 방전 현상은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다시 화재나 연료 증기 폭발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항공기를 급유하거나 연료 증기를 공기에 노출시키기 전에, 정전기를 안전하게 방전하기 위해 연료 노즐을 먼저 항공기에 연결한다.

3. 2. 인위적 발생

전기 회로의 스위칭 동작은 전류 흐름에 급격한 변화를 일으키는데, 이는 일종의 전자기 펄스(EMP)이다.

계전기, 솔레노이드, 전동기의 브러시 접점과 같은 유도성 부하는 간단한 전기 공급원에 포함된다. 이러한 부하는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전기 연결을 통해 펄스를 보내고 에너지 펄스를 방출한다. 진폭은 일반적으로 작으며 신호는 "잡음" 또는 "간섭"으로 처리될 수 있다. 회로의 스위칭 오프 또는 "개방"은 흐르는 전류의 급격한 변화를 일으킨다. 이것은 개방 접점에서 전기장의 큰 펄스를 발생시켜 아크와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한하기 위해 설계 기능을 통합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진공관, 트랜지스터, 다이오드와 같은 전자 장치는 매우 빠르게 켜고 끌 수 있으며 유사한 문제를 일으킨다. 일회성 펄스는 솔리드 스테이트 스위치 및 기타 가끔만 사용되는 장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 컴퓨터의 수백만 개의 트랜지스터는 1 GHz 이상의 주파수로 반복적으로 스위칭되어 연속적인 것으로 보이는 간섭을 일으킬 수 있다.

3. 3. 군사적 발생

핵전자기펄스(NEMP, Nuclear Electromagnetic Pulse)는 핵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급격한 전자기 방사선 펄스이다. 이로 인해 급격하게 변하는 전기장과 자기장은 전기/전자 시스템과 결합하여 파괴적인 전류와 전압 서지를 생성할 수 있다.[11] 방출되는 강력한 감마선은 주변 공기를 이온화하여, 공기 원자가 먼저 전자를 잃었다가 다시 얻는 과정에서 2차 EMP를 생성한다. NEMP 무기는 이러한 EMP 효과를 극대화하도록 설계되었으며, 광범위한 지역의 취약한 전자 장비를 파괴할 수 있다.

고고도 전자기펄스(HEMP, High-altitude Electromagnetic Pulse) 무기는 지구 표면 상공에서 폭발하도록 설계된 NEMP 탄두이다. 폭발은 중간 성층권으로 감마선 폭발을 방출하고, 이는 2차 효과로 이온화되며, 그 결과 생성된 고에너지 자유 전자는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일반적으로 저고도의 더 조밀한 공기에서 생성되는 것보다 훨씬 강력한 EMP를 생성한다.

비핵 전자기 펄스(NNEMP)는 핵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무기에서 발생하는 전자기 펄스이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장치로는 대용량 저인덕턴스 축전기를 단일 루프 안테나에 방전하는 방식, 마이크로파 발생기, 그리고 폭발 가압 플럭스 압축 발전기가 있다. 표적에 대한 최적의 결합에 필요한 펄스의 주파수 특성을 달성하기 위해, 펄스 소스와 안테나 사이에 전자기파 파형 성형 회로 또는 마이크로파 발생기를 추가한다. 바이러케이터는 고에너지 펄스의 마이크로파 변환에 특히 적합한 진공관이다.[12]

NNEMP 발생기는 폭탄, 순항 미사일(예: CHAMP 미사일) 및 드론의 탑재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 열적 및 이온화 방사선 효과는 감소하지만 핵무기 배치의 결과는 없다.

NNEMP 무기의 사정거리는 핵 EMP보다 훨씬 짧다. 무기로 사용되는 거의 모든 NNEMP 장치는 초기 에너지원으로 화학 폭약을 필요로 하며, 유사한 무게의 핵 폭약의 백만 분의 일의 에너지만 생성한다. NNEMP 무기의 전자기 펄스는 무기 내부에서 발생해야 하지만, 핵무기는 2차 효과로 EMP를 생성한다. 이러한 사실은 NNEMP 무기의 사정거리를 제한하지만, 더 정밀한 표적 식별을 가능하게 한다. 소형 전자기 폭탄의 효과는 특정 테러 또는 군사 작전에 충분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러한 작전의 예로는 많은 지상 차량과 항공기의 작동에 중요한 전자 제어 시스템의 파괴가 있다.[13]

비핵 전자기 펄스를 생성하기 위한 폭발 가압 플럭스 압축 발전기의 개념은 1951년 소련의 안드레이 사하로프에 의해 처음 고안되었다.[14]

원리적으로는 펄스 형태의 대전류로 발생시킬 수 있지만, 특히 지구의 고층 대기에서 핵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지상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논의된다. 핵폭발의 강력한 감마선이나 베타선, 알파선 등의 입자선이 고층 대기 중을 통과하면, 그 상호 작용에 의해 광범위하게 광전효과와 전리 작용을 나타내고, 광전자, 오제 전자, 이온이 다량으로 생성된다.

전자기 펄스는 케이블·안테나류에 고에너지의 써지 전류를 발생시키고, 그것들에 연결된 전자 기기 등에 흐르는 과도한 전류에 의해 반도체전자 회로에 손상을 주거나, 일시적인 오작동을 발생시킨다.

4. 고도별 EMP

핵폭발에 의한 EMP는 폭발 고도에 따라 다른 특성을 보인다.

폭발 분류고도발생 기구전계 강도도달 범위주파수 범위
고고도40km 초과지자기의 영향50kV/m광범위DC - 수십 MHz
고도2 - 20km공기 밀도의 비대칭성10kV/m중간1MHz 이하
지표0 - 2km지표면/대기의 비대칭성100kV/m국지적1MHz 이하



번개의 경우 주파수는 1MHz 이하이고 전계 강도는 10 - 수백 kV/m 정도이다. 펄스의 상승 시간은 고고도 핵폭발의 3자릿수 정도 느리다.[33]

고고도 전자기펄스(HEMP, High-altitude Electromagnetic Pulse) 무기는 지구 표면 상공에서 폭발하도록 설계된 NEMP 탄두이다. 폭발은 중간 성층권으로 감마선 폭발을 방출하고, 이는 2차 효과로 이온화되며, 그 결과 생성된 고에너지 자유 전자는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여 일반적으로 저고도의 더 조밀한 공기에서 생성되는 것보다 훨씬 강력한 EMP를 생성한다.

5. 영향

1859년 캐링턴 사건 당시 유럽과 북미 전역의 전신 시스템이 마비되었고, 전신용 철탑에서 불꽃이 튀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34] 20세기 중반에는 가솔린 엔진의 점화 시스템으로 인한 간섭이 일반적인 문제였다. 이는 라디오에 잡음을 발생시키고, 텔레비전 화면에 줄무늬를 표시했다.

크고 강력한 EMP는 피해 장치에 고전류와 고전압을 유도하여 일시적으로 기능을 방해하거나 영구적으로 손상시킬 수 있다. 강력한 EMP는 자기 테이프 및 컴퓨터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자기 물질에 직접 영향을 미쳐 저장된 데이터를 손상시킬 수도 있다.

핵폭발로 발생하는 EMP의 경우, 군사용 전자 장비는 금속 박막 등으로 케이블을 차폐하거나, 과부하가 예상되는 곳에 반도체 대신 진공관을 사용하는 등, EMP에 대한 방호 조치가 되어 있는 것도 있다.

하지만 한국은 북한 핵미사일이 폭발할 때 발생하는 EMP에 대한 대비가 거의 전무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후쿠시마 원전 사태와 같이, 원전 가동에 필수적인 전기 공급이 차단되면, 원전은 스스로 냉각을 못해 자체 폭발하여 대규모 방사능 재앙을 일으킬 수 있는데, 한국의 원전은 북한 핵미사일의 EMP 공격에 아무런 대비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6. 제어

모든 전자파 간섭과 마찬가지로, EMP의 위협은 제어 조치의 대상이다. 이는 위협이 자연적이든 인위적이든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제어 조치는 EMP 영향에 대한 장비의 감수성과, 경화 또는 피해로부터의 보호에 초점을 맞춘다. 무기 이외의 인위적 소스 또한 방출되는 펄스 에너지의 양을 제한하기 위해 제어 조치의 대상이다.

EMP 및 기타 RF 위협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장비의 올바른 작동을 보장하는 분야는 전자기적합성(EMC)으로 알려져 있다.

6. 1. 시험 시뮬레이션

EMP 시뮬레이터 HAGII-C가 보잉 E-4 항공기를 시험하는 모습.


EMPRESS I(해안선을 따라 안테나가 설치됨)와 전경에 정박해 시험을 받는 USS 에스토신.


전자기 펄스(EMP)가 설계된 시스템과 장비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하기 위해 EMP 시뮬레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유도 펄스는 위협 펄스보다 에너지가 훨씬 낮아 생성하기가 더 실용적이지만, 예측 가능성은 떨어진다. 일반적인 시험 기법은 전류 클램프를 역으로 사용하여 시험 대상 장비에 연결된 케이블에 감쇠 사인파 신호의 범위를 주입하는 것이다. 감쇠 사인파 발생기는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유도 신호의 범위를 재현할 수 있다.

때로는 위협 펄스 자체가 반복 가능한 방식으로 시뮬레이션된다. 감쇠 사인파 주입 전에 대상의 반응을 특성화하기 위해 낮은 에너지로 펄스를 재현하거나, 실제 위협 조건을 재현하기 위해 높은 에너지로 재현할 수 있다. 소형 ESD 시뮬레이터는 휴대용일 수 있다. 벤치형 또는 실험실 규모의 시뮬레이터는 생성될 위협의 유형과 수준에 따라 다양한 설계로 제공된다.

최상위 수준에서는 고에너지 EMP 시뮬레이터를 통합한 대규모 야외 시험 시설이 여러 국가에서 건설되었다.[18][19] 가장 큰 시설은 선박과 항공기를 포함한 전체 차량의 EMP 감수성을 시험할 수 있다. 이러한 대규모 EMP 시뮬레이터의 거의 대부분은 특수 버전의 마르크스 발생기를 사용했다.[18][19] 예로는 뉴멕시코주 샌디아 국립 연구소에 있는 거대한 목조 구조의 ATLAS-I(TRESTLE로도 알려짐)가 있는데, 한때 세계 최대의 EMP 시뮬레이터였다.[20] 미국이 냉전 후반기에 사용한 이러한 대규모 EMP 시뮬레이터와 전자기 펄스에 대한 더 일반적인 정보에 대한 논문은 현재 뉴멕시코 대학교에 있는 SUMMA 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21][22] 미국 해군 또한 선박용 전자기 펄스 방사 환경 시뮬레이터 I(EMPRESS I)라는 대규모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7. 안전

고강도 전자기 펄스(EMP) 신호는 인체에 위협이 될 수 있으며, 감전된 전기 전도체와의 직접 접촉을 피해야 한다.[23] 매우 높은 전기장 강도는 공기의 절연 파괴를 일으켜 낙뢰와 유사한,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아크 전류가 흐를 수 있지만, 최대 200 kV/m의 전기장 강도는 안전하다고 간주된다.[23]

에드 젠트(Edd Gent)의 연구에 따르면, 대규모 EMP 공격은 지역적인 정전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지만, 전국적인 전력망 마비는 일으키지 않을 것이며, 복구 시간은 다른 대규모 정전과 유사할 것이라고 한다.[24] 미국의 경우, 국방수권법(National Defense Authorization Act)의 일환으로 EMP 공격으로부터 미국에 대한 위협을 평가하기 위한 위원회에 대한 자금 지원을 갱신했다.[25]

요시다 레이지(Yoshida Reiji)의 연구에 따르면, 고고도 EMP 공격이 일본의 전력, 통신 및 운송 시스템을 손상시키거나 파괴하고 은행, 병원 및 원자력 발전소의 기능을 마비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26] 특히, 후쿠시마 원전 사태와 같이, 원전 가동에 필수적인 전기 공급이 차단되면, 원전은 스스로 냉각을 못해서 자체 폭발하여 대규모 방사능 재앙을 일으킬 수 있다. 한국의 원전은 북한 핵미사일의 폭발로 인한 EMP 공격에 아무런 대비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서, 북한 핵미사일이 직접 원전을 파괴하지 않더라도 EMP 공격 효과에 따라 전국의 모든 원전이 냉각제를 공급하지 못하여 자체 폭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35]

8. 대중문화

1981년까지, 전자기 펄스에 대한 다수의 기사가 대중매체에 실리면서 EMP 현상에 대한 지식이 대중문화에 퍼져나갔다.[27][28][29][30] 이후 EMP는 다양한 픽션과 대중문화의 다른 측면에서 사용되었다. 대중매체는 종종 EMP의 영향을 잘못 묘사하여 대중과 전문가들 사이에서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미국에서는 이러한 오해를 바로잡기 위한 공식적인 노력이 이루어졌다.[31][32]

윌리엄 R. 포스트천(William R. Forstchen)의 소설 ''원 세컨드 애프터''와 그 후속작인 ''원 이어 애프터(One Year After)'', ''더 파이널 데이(The Final Day)'', ''파이브 이어스 애프터(Five Years After)''는 미국이 전쟁에서 패하고 EMP 공격으로 "미국을 암흑시대로 되돌리는" 상황에서 존 매더슨(John Matherson)이라는 가상의 인물과 노스캐롤라이나주 블랙 마운틴(Black Mountain)의 그의 공동체의 이야기를 그린다.

참조

[1] 간행물 Royal Air Force Common Core and Deployment Skills Aide-Memoire AP 3242B VOL 5, ABBREVIATIONS
[2] 웹사이트 Electromagnetic pulses in history https://www.telegrap[...] 2023-02-12
[3] 웹사이트 DHS Combats Potential Electromagnetic Pulse (EMP) Attack https://www.dhs.gov/[...] 2021-05-03
[4] 논문 An Assessment of Threats to the American Power Grid 2019-05-29
[5] 논문 Self-similar shock wave solutions of the nonlinear Maxwell equations http://iopscience.io[...] 2014
[6] 논문 Electromagnetic pulses generated by meteoroid impacts on spacecraft 2010
[7] 웹사이트 Meteoric Airbursts: General Principles http://qdl.scs-inc.u[...] QDL blog 2014-12-30
[8] 웹사이트 EMPACT America, Inc. – Solar EMP http://www.empactame[...] 2015-11-23
[9] 논문 Measured close lightning leader step electric field derivative waveforms http://www.lightning[...] 2011
[10] 웹사이트 A Basic Primer in Lightning Effects and Protection http://www.weighing-[...] weighing-systems.com 2015-09-08
[11] 뉴스 America's utilities prepare for a nuclear threat to the grid https://www.economis[...] 2017-09-21
[12] 논문 The Electromagnetic Bomb - A Weapon of Electrical Mass Destruction https://apps.dtic.mi[...] 2012-01-12
[13] 뉴스 Aircraft could be brought down by DIY 'E-bombs' https://www.newscien[...] 2009-04-01
[14] 논문 Scientific Collaborations Between Los Alamos and Arzamas-16 Using Explosive-Driven Flux Compression Generators https://sgp.fas.org/[...] 2009-10-24
[15] 웹사이트 What is EMI & RFI? And How Can You Stop Electric & Ignition Interference? https://www.onallcyl[...] 2024-08-09
[16] 간행물 Fundamentals of Electrostatic Discharge Compliance Magazine 2015-06-25
[17] 웹사이트 EMP Data Wipe https://www.newtechr[...] Newtech Recycling 2018-06-12
[18] 논문 Reminiscences of High-Power Electromagnetics https://ece-research[...] 2007-05
[19] 논문 From the Electromagnetic Pulse to High-Power Electromagnetics https://ece-research[...] 1992-06
[20] 웹사이트 The Atlas-I Trestle at Kirtland Air Force Base https://ece-research[...] The University of New Mexico
[21] 웹사이트 SUMMA Foundation – Carl Baum,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Department, University of New Mexico https://ece-research[...]
[22] 웹사이트 SUMMA Foundation – Carl Baum,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Department, University of New Mexico https://ece-research[...] Ece.unm.edu 2013-06-18
[23] 간행물 Protecting Personnel from Electromagnetic Fields https://fas.org/irp/[...] US Department of Defense 2009-08-19
[24] 웹사이트 US Air Force is guarding against electromagnetic pulse attacks. Should we worry? https://www.livescie[...] 2021-05-02
[25] 웹사이트 Can America's Power Grid Survive an Electromagnetic Attack? https://www.bloomber[...] 2021-05-03
[26] 웹사이트 Threat of North Korean EMP attack leaves Japan vulnerable https://www.japantim[...] 2021-05-03
[27] 간행물 EMP: A Sleeping Electronic Dragon Science News 1981-05-09
[28] 간행물 EMP: Defensive Strategies Science News 1981-05-16
[29] 간행물 The Chaos Factor Science 83 1983-01
[30] 뉴스 U.S. Fears One Bomb Could Cripple the Natio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83-06-28
[31] 보고서 The Early-Time (E1) High-Altitude Electromagnetic Pulse (HEMP) and Its Impact on the U.S. Power Grid https://securethegri[...] Metatech Corporation 2010-01
[32] 영상 Hollywood vs. EMP Manitou Motion Picture Company 2009
[33] 서적 防衛用ITのすべて (防衛技術選書―兵器と防衛技術シリーズ) 防衛技術協会 2017-07-15
[34] 간행물 Fundamentals of Electrostatic Discharge Compliance Magazine 2015-05-01
[35] 뉴스 세계적 EMP 석학 "한전 시뮬레이션 헛일" 이투뉴스 2017-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