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전현희는 치과의사 출신 변호사이자 정치인이다.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하고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변호사로 활동했으며, 고려대학교에서 의료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고,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강남구 을 지역구에서 당선되어 재선 의원이 되었다. 이후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24년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 중구·성동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여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충렬초등학교 (경남) 동문 - 김호곤
대한민국의 축구 선수이자 지도자인 김호곤은 국가대표 선수로 1978년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부산 아이파크와 울산 현대 감독을 거쳐 2012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2004년 아테네 올림픽 8강 진출, 대한축구협회 부회장 및 기술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 충렬초등학교 (경남) 동문 - 고재욱
고재욱은 1970년대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 선수로 활약하고 K리그 감독을 역임하며, 선수 시절 월드컵 예선에 참여했으나 부상으로 은퇴 후 K리그에서 복수 팀 우승을 이끈 최초의 감독이자 외국인 감독 최초 우승 기록을 세웠다. - 데레사여자고등학교 동문 - 배재정
배재정은 부산일보 기자 출신으로 통합민주당 특임위원을 거쳐 제19대 국회의원을 지냈으며, 문재인 정부에서 국무총리비서실장 및 대통령비서실 정무비서관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 언론인이다. - 데레사여자고등학교 동문 - 박순애 (교수)
박순애는 대한민국의 행정학자로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 한국행정학회장, 유엔 공공행정전문가위원회 위원을 역임하고 윤석열 정부에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지냈으나, 과거 음주운전 전력 등으로 논란이 되어 사임했다. - 동수영중학교 동문 - 우지 (가수)
우지는 세븐틴의 멤버로서 데뷔하여 그룹의 음악적 중심축으로 활동하는 가수 겸 프로듀서이며, 솔로 아티스트로서도 활동하고 있다. - 동수영중학교 동문 - 최지우
최지우는 1994년 MBC 공채 탤런트로 데뷔하여 드라마,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한류 스타로 자리매김한 대한민국의 배우이다.
전현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전현희 |
한자 | 全賢姬 |
로마자 표기 | Jeon Hyeon-hui |
출생일 | 1964년 11월 4일 |
출생지 | 대한민국 경상남도 통영시 |
거주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송파구 신천동 |
종교 | 천주교(세례명: 캐롤린) |
배우자 | 김헌범 |
자녀 | 1녀 |
학력 | |
대학교 |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
대학원 |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의료법학과 석사 |
경력 | |
주요 경력 | 제18·20·22대 국회의원 제7대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
국회 정보 | |
소속 위원회 | 법제사법위원회 |
의원 선수 | 3 |
의원 대수 | 18·20·22 |
정당 | 더불어민주당 |
지역구 | (18) 서울 강남구 을(20) 서울 중구·성동구 갑(22) |
국회의원 정보 | |
지역구 (20대)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
임기 시작 (20대) | 2016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20대) | 2020년 5월 29일 |
지역구 (18대) | 비례대표 |
임기 시작 (18대) | 2008년 5월 30일 |
임기 종료 (18대) | 2012년 5월 29일 |
국민권익위원회 정보 | |
직책 |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
임기 시작 | 2020년 6월 29일 |
임기 종료 | 2023년 6월 27일 |
대통령 | 문재인, 윤석열 |
국무총리 | 정세균, 김부겸, 한덕수 |
소속 정당 | |
정당 | 대통합민주신당 (과거) 통합민주당 (과거) 민주당 (과거) 민주통합당 (과거) 민주당 (과거) 새정치민주연합 (과거) 더불어민주당 (과거) 무소속 (2020년~2023년) 더불어민주당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전현희 공식 사이트 전현희 블로그 전현희 페이스북 전현희 트위터 |
상징 | 해바라기 |
2. 학력
- 충렬국민학교 졸업 (1977년)
- 동수영중학교 졸업 (1980년)
- 데레사여자고등학교 졸업 (1983년)
- 서울대학교 치의학 학사 (1990년)
- 고려대학교 대학원 의료법학 석사 (2003년)[1]
- 서울대학교 치의학 박사[7]
3. 생애
경상남도 통영시 출신으로, 부산 데레사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에 진학했다.[24] 1990년 치대를 졸업하고 치과의사로 활동하다가 1993년부터 사법시험을 준비, 1996년 대한민국 최초로 치과의사로서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고려대학교 법학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다.[7]
2003년 혈액제제로 에이즈에 집단 감염된 환자 가족들을 설득해 10년 만에 승소했다. 2005년 1심 소송이 시작됐고, 2011년 대법원에서 승소했다.[1]
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통합민주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초선 국회의원이 되었다.[2] 2012년 제19대 총선에서는 서울 강남구 을 지역구에 민주통합당 예비후보로 신청하였으나 정동영 전 의원에게 밀려 공천을 받지 못했다. 다른 지역구 공천을 제안받았으나 강남(을) 지역구를 지키기 위해 포기했다. 20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서울 강남(을) 후보로 전략공천 1호로 선정되었다.[3]
2014년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로 남편을 잃었다. 2016년 4월 13일 제20대 총선에서 야당 후보로는 14대 총선 홍사덕 의원 이후 24년 만에 강남구 을 지역구에 당선되면서 재선 의원이 되었다. 당 정책위원회 카풀-택시 TF 위원장을 맡아 200회가 넘는 택시업계 대표 방문 끝에 합의를 이끌어냈다.[4]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는 낙선하였으며, 2020년 6월부터 2023년 6월까지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5][6] 2024년 4월 제22대 총선에서 서울 중구·성동구 갑에 출마·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23]
3. 1. 변호사 활동
1996년 제38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여 사법연수원 28기를 수료하고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 치과의사 출신으로, 의료 관련 분야에서 전문성을 발휘했다.연도 | 내용 |
---|---|
1999년 | 외교통상부 한국-칠레 FTA 자문변호사, 대한의료법학회 상임이사, 대한치과의사협회 고문변호사 |
1999년~2002년 | 한꿈통상법연구회 회장 |
2000년~2001년 | 여성연합미디어센터 운영위원 |
2000년 5월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법의학과 외래부교수 |
2001년 | 피부과의사회, 대한피부과학회, 대한투석전문의협회 고문변호사, 가톨릭대학교 의료경영대학원 외래교수,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위원회, 여성복지위원회 위원 |
2001년 6월~2003년 6월 |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기금운용심의회 위원 |
2001년 7월~2005년 8월 | 보건복지부 중앙의료심사조정위원회 위원 |
2001년 10월 | 대한가정의학회, 대한개원의협의회 법률고문 |
2001년 12월~2007년 | 대한의사협회 자문변호사 |
2002년 | 대외법률연구소 이사장, 대한안과의사협회 고문변호사 |
2002년~2005년 | 서울지방변호사회 권익복지위원회 위원,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외래교수, 한국구강보건의료원 이사 |
2003년 | 동아일보 National Agenda 위원회 위원, 녹색소비자연대 상임위원 |
2003년~2004년 | 대한변호사협회 여성위원회 위원 |
2003년~2005년 | 산업자원부 통상고문 변호사, 무역위원회 정책평가위원회 위원 |
2003년 3월 | 농림부 농업통상정책협의회 위원 |
2003년 12월~2007년 |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무위원회 위원 |
2004년~2005년 |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보호실무전문가위원 |
2004년~2006년 | 서울시공익사업선정위원회 위원 |
2004년 3월 | 서울특별시 건설기술심의위원회 위원 |
2004년 6월~2006년 6월 | 대한소아과학회 고문변호사 |
2004년 8월~2006년 7월 | 식품위생심의위원회 위원 |
2004년 11월 | 보건복지부 제왕절개분만감소대책위원회 위원 |
2005년 | 녹색시민권리센터 소장 |
2005년~2006년 |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시장경제연구소 객원연구원 |
2005년~2007년 | 농협중앙회 고문변호사 |
2006년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이사 |
2007년 6월 | 서울특별시 구로구청 건축위원회 위원 |
2000년대 초반에는 AIDS에 감염된 혈우병 치료제 피해자들과 그 가족들을 설득하여 제약회사들을 상대로 무료 변론 소송을 시작했다. 2011년 대법원은 피해자들에게 승소 판결을 내렸다.[1] 특히 2003년경 혈우병 치료제 약해사건으로 HIV에 감염된 환자들의 변호를 맡았다.[11]
3. 2. 정치 활동
경상남도 통영시 출신으로, 부산 데레사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치과대학을 졸업했다.[24] 1996년 대한민국 최초로 치과의사로서 사법시험에 합격했다. 2003년 혈액제제로 에이즈에 집단 감염된 환자 가족들을 설득해 10년 만에 승소 판결을 이끌어냈다.[1]2008년 제18대 총선에서 통합민주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초선 국회의원이 되었다.[2] 19대 총선에서는 서울 강남구 을 지역구에 민주통합당 예비후보로 신청하였으나 정동영 전 의원에게 밀려 공천을 받지 못했다. 대신 다른 지역구 공천을 제안받았으나 강남(을) 지역구를 지키기 위해 포기했다.
20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서울 강남(을) 후보로 전략공천 1호로 선정되었다.[3] 2014년 88올림픽고속도로에서 교통사고로 남편을 잃은 후, 2016년 4월 13일 제20대 총선에서 야당 후보로는 14대 총선 홍사덕 의원 이후 24년 만에 강남구 을 지역구에 당선되면서 재선 의원이 되었다.
당 정책위원회 카풀-택시 TF 위원장으로서 200회가 넘는 택시업계 대표 방문 끝에 양측의 합의를 이끌어냈다.[4]
2020년 제21대 총선에서는 낙선하였으며, 이후 2020년 6월부터 2023년 6월까지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5][6]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된 후, 부패 방지와 시민 권익 보장을 위한 적극적인 공공행정을 강조했다.
2023년 6월 27일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직에서 물러났다. 퇴임 전날 기자회견에서 당분간 휴식을 취하겠다고 밝혔으나, 고향이 바닷가임을 언급하며 "바다의 딸로서 후쿠시마 핵오염수 방류에 대해 어떤 형태로든 단호히 반대하며, 일본 정부는 가능하다면 핵오염수를 고체화하여 인류의 공유 자산인 바다를 오염시키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18]
2022년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의 당선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야당이 되었으나, 문재인 대통령이 임명한 전 위원장은 사임을 표명하지 않고, 2022년 말 SNS를 통해 임기를 마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15][16][17]
임기 중인 2020년 9월에는 추미애 법무부 장관 아들의 병역 중 부정휴가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에 대해 "(검찰을 통괄하는 법무부 장관의) 구체적인 직무와의 관련성이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19] 이 때문에 국민의힘으로부터 위원장인 전 위원장이 같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추 장관을 감싸고 유권해석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다.[20]
2022년 이 건과 연평도 해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에 대한 유권해석 과정에 부정이 있었던 의혹으로 대한민국 감사원의 감사를 받았으나,[20] 전 위원장은 그 감사 방법이 부적절하고 "표적 수사"라고 생각하여 감사원 간부들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및 협박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하였다.[21] 또한, 2021년 6월 정치인 부동산 전수조사 당시 다른 정당에 대해서는 직무회피를 신청하였으나 국민의힘에 대한 조사에는 참여 의사를 밝혀 국민의힘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22]
2024년 제22대 총선에서 임종석 후보를 제치고 더불어민주당 공천을 받아 서울 중구·성동구 갑 지역구에 출마, 당선되어 3선 국회의원이 되었다.[23]
선거 | 년도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제18대 총선 | 2008 | 비례대표 | 민주당 | 4,313,645 | 25.17% | 당선 |
제20대 총선 | 2016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 더불어민주당 | 48,381 | 51.46% | 당선 |
제21대 총선 | 202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 더불어민주당 | 47,157 | 49.4% | 낙선 |
3. 3.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활동
2020년 재선에 실패한 지 한 달 만에 문재인 대통령에 의해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으로 임명되었다.[5][6][9][14]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전현희는 부패와의 싸움과 시민의 시민권 보장이라는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적극적인 공공행정을 요구해 왔다.2022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 윤석열 후보의 당선으로 더불어민주당이 야당이 되었으나, 전현희는 사임을 표명하지 않고, 2022년 말 SNS를 통해 임기를 마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15][16][17]
2023년 6월 27일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직에서 물러났다. 퇴임 전날 기자회견에서 당분간 휴식을 취하겠다고 밝혔으나, 고향이 바닷가임을 언급하며 “바다의 딸로서 후쿠시마 핵오염수 방류에 대해 어떤 형태로든 단호히 반대하며, 일본 정부는 가능하다면 핵오염수를 고체화하여 인류의 공유 자산인 바다를 오염시키는 것을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18]
임기 중인 2020년 9월에는 대한민국 법무부 장관 추미애의 아들의 병역 중 부정휴가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에 대해 “ (검찰을 통괄하는 법무부 장관의)구체적인 직무와의 관련성이 없다”는 유권해석을 내렸다.[19] 국민의힘은 위원장인 전현희가 같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추 장관을 감싸고 유권해석 과정에 부당하게 개입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20]
2022년 이 건과 연평도 해역에서 발생한 수영 중이던 공무원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측의 공격으로 사망한 사건에 대한 유권해석 과정에 부정이 있었던 의혹으로 대한민국 감사원의 감사를 받았다.[20] 전현희는 그 감사 방법이 부적절하고 “표적 수사”라고 생각하여 감사원 간부들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및 협박 혐의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하였다.[21] 2021년 6월 정치인 부동산 전수조사 당시 다른 정당에 대해서는 직무회피를 신청하였으나 국민의힘에 대한 조사에는 참여 의사를 밝혀 국민의힘으로부터 비판을 받았다.[22]
4. 경력
연도 | 내용 |
---|---|
1996년 | 제38회 사법시험 합격(사법연수원 28기 수료) |
1999년 | 외교통상부 한국, 칠레 FTA 자문변호사, 대한의료법학회 상임이사, 대한치과의사협회 고문변호사, 한꿈통상법연구회 회장(~2002년) |
2000년 | 여성연합미디어센터 운영위원(~2001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법의학과 외래부교수 |
2001년 | 피부과의사회, 대한피부과학회, 대한투석전문의협회 고문변호사, 가톨릭대학교 의료경영대학원 외래교수,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환경위원회·여성복지위원회 위원,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증진기금운용심의회 위원(~2003년 6월), 보건복지부 중앙의료심사조정위원회 위원(~2005년 8월), 대한가정의학회, 대한개원의협의회 법률고문, 대한의사협회 자문변호사(~2007년) |
2002년 | 대외법률연구소 이사장, 대한안과의사협회 고문변호사, 서울지방변호사회 권익복지위원회 위원(~2005년), 전남대학교 치과대학 외래교수(~2005년), 한국구강보건의료원 이사(~2005년) |
2003년 | 동아일보 National Agenda 위원회 위원, 녹색소비자연대 상임위원, 대한변호사협회 여성위원회 위원(~2004년), 산업자원부 통상고문 변호사(~2005년), 무역위원회 정책평가위원회 위원(~2005년), 농림부 농업통상정책협의회 위원,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무위원회 위원(~2007년) |
2004년 |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보호실무전문가위원(~2005년), 서울시공익사업선정위원회 위원(~2006년), 서울특별시 건설기술심의위원회 위원, 대한소아과학회 고문변호사(~2006년 6월), 식품위생심의위원회 위원(~2006년 7월), 보건복지부 제왕절개분만감소대책위원회 위원 |
2005년 | 녹색시민권리센터 소장, 미국 조지타운대학교 시장경제연구소 객원연구원(~2006년), 농협중앙회 고문변호사(~2007년) |
2006년 | 대한에이즈예방협회 이사 |
2007년 6월 | 서울특별시 구로구청 건축위원회 위원 |
2008년 4월 9일 | 대한민국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비례대표, 통합민주당, 초선) |
2008년 ~ 2009년 | 민주당 원내부대표 |
2010년 5월 ~ 2011년 5월 | 민주당 원내대변인 |
2016년 4월 13일 |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강남구 을, 더불어민주당, 재선) |
2016년 5월 ~ 2020년 6월 |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강남구 을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16년 6월 ~ 2017년 3월 | 더불어민주당 전국직능대표자회의 총괄본부장 |
2017년 4월 ~ 2017년 5월 | 대한민국 제19대 대통령 선거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중앙선거대책위원회 직능특보단장 |
2018년 11월 ~ 2019년 3월 |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택시-카풀TF 위원장 |
2019년 6월 ~ 2020년 5월 | 한국 4-H본부 자문위원 |
2020년 6월 ~ 2023년 6월 |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
2024년 4월 10일 |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당선(서울 중구·성동구 갑, 더불어민주당, 3선) |
2024년 5월 ~ | 더불어민주당 서울특별시당 중구·성동구 갑 지역위원회 위원장 |
2024년 8월 ~ |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
2024년 10월 ~ | 더불어민주당 공익제보자 권익보호위원회 위원장 |
4. 1. 의정 활동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제18대 국회의원 (비례대표, 통합민주당→민주당→민주통합당, 초선)
- * 2008년 5월 ~ 2011년: 제18대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위원
- * 2008년: 제18대 국회 가축전염병예방법 특별위원회 위원
- * 2010년 6월 ~ 2011년 5월: 제18대 국회 후반기 운영위원회 위원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제20대 국회의원 (서울 강남구 을, 더불어민주당, 재선)
- * 2016년 6월 ~ 2016년 8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
- * 2016년 6월 ~ 2018년 5월: 제20대 국회 전반기 국토교통위원회 위원
- * 2017년 6월 ~ 2017년 12월: 제20대 국회 헌법개정특별위원회 위원
- * 2017년 6월 ~ 2017년 7월: 제20대 국회 대법관(박정화·조재연)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간사
- * 2018년 7월 ~ 2020년 5월: 제20대 국회 후반기 환경노동위원회 위원
- * 2018년 10월 ~ 2019년 6월: 제20대 국회 에너지특별위원회 간사
- 2024년 5월 30일 ~ : 제22대 국회의원 (서울 중구·성동구 갑, 더불어민주당, 3선)
- * 2024년 6월 ~ : 제22대 국회 전반기 법제사법위원회 위원
선거 | 년도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
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 | 2008 | 비례대표 | 민주당 | 4,313,645 | 25.17% | 당선 |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 | 2016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 더불어민주당 | 48,381 | 51.46% | 당선 |
제21대 국회의원 총선거 | 202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 더불어민주당 | 47,157 | 49.4% | 낙선 |
2008년 제18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 비례대표로 당선되어 초선 의원이 되었다. 당선 후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운영위원회 위원, 국회의원 연구단체 “국민건강복지포럼” 대표위원, 민주당 공동 대변인·대학생정책지원단 단장을 역임하였다.[12] 2016년 제20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서울 강남구 을에 출마, 새누리당 김종훈 후보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하였다.[12] 201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문재인 후보 캠프 직능특보단장, 더불어민주당 5개 정책조정위원장, 택시 카풀 태스크포스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14] 2020년 제21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같은 지역구에 출마하였으나, 미래통합당 박진 후보에게 패배하여 낙선하였다.[14]
2024년 제22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임종석 후보를 제치고 더불어민주당 공천을 받아 서울 중구·성동구 갑 지역구에 출마하게 되었다.[23]
5. 가족
- 배우자: 김헌범(1965년~2014년, 사별)
- 자녀: 1녀
6. 역대 선거 결과
선거 | 년도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결과 | 당선 횟수 |
---|---|---|---|---|---|---|---|
제18대 총선 | 2008 | 비례대표 | 통합민주당 | 4,313,645 | 25.17% | 당선 | 초선 |
제20대 총선 | 2016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 더불어민주당 | 48,381 | 51.46% | 당선 | 재선 |
제21대 총선 | 2020 | 서울특별시 강남구 을 | 더불어민주당 | 47,157 | 46.41% | 낙선 | - |
제22대 총선 | 2024 | 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 갑 | 더불어민주당 | 65,204 | 52.61% | 당선 | 3선 |
참조
[1]
웹사이트
전현희, 혈액제제 AIDS 감염 소송 승소
http://www.pharmnews[...]
2011-10-05
[2]
웹사이트
전현희 변호사 민주 비례대표 7번 배정 치의 출신 비례대표 국회의원 탄생 '주목'
http://www.dailydent[...]
[3]
웹사이트
[4·15 격전지 ⑪] '별들의 전쟁' 서울 강남을, 전현희 대 박진 중 '별 뱃지' 주인공은?
http://www.polinews.[...]
[4]
웹사이트
Car Pool Agreement
http://mn.kbs.co.kr/[...]
[5]
웹사이트
전현희 권익위원장·김창룡 경찰청장 내정
https://www.yna.co.k[...]
2020-06-26
[6]
웹사이트
전현희 권익위원장 취임 "뼈 깎는 반부패 개혁 노력"
https://www.yna.co.k[...]
2020-06-29
[7]
웹사이트
전현희 :: 네이버 인물검색
https://people.searc[...]
[8]
웹사이트
한국정부가 메타버스·AI활용으로 국민의 권리를 디지털로 일원화 – KOREA WAVE
https://www.afpbb.co[...]
2022-01-05
[9]
웹사이트
이·상엽 씨 부정방지법 홍보대사에
https://jp.yna.co.kr[...]
2022-05-26
[10]
웹사이트
대한민국헌정회
https://www.rokps.or[...]
[11]
웹사이트
전현희 의원 "에이즈 소송 10년...함께 울었다"
http://www.doctorsne[...]
2011-10-05
[12]
웹사이트
전현희, '여당 텃밭' 강남서 김종훈 꺾는 이변 연출
https://www.yna.co.k[...]
2016-04-14
[13]
웹사이트
'전현희 전 의원 남편' 김헌범 판사가 걸어온 길
https://www.edaily.c[...]
2014-04-29
[14]
웹사이트
새 권익위원장에 전현희 전 의원
https://www.akomnews[...]
2020-06-26
[15]
웹
[16]
웹사이트
"윤 대통령 존경하십니까?" 여당, 전현희 면전에서 사퇴 압박
https://www.joongang[...]
2022-07-27
[17]
웹사이트
전현희, 윤사모 퇴진 요구에 “임기는 국민과 약속” 尹 발언으로 응수
https://m.khan.co.kr[...]
2022-12-28
[18]
웹사이트
임기 마치는 전현희 “난 바다의 딸, 핵 오염수 저지”
https://news.kbs.co.[...]
2023-06-26
[19]
웹사이트
전현희 위원장 바뀐 권익위···조국땐 '이해충돌', 秋는 "없다"
https://www.joongang[...]
2020-09-14
[20]
웹사이트
감사원, 전현희 檢수사요청…추미애 아들 의혹 유권해석 관련(종합)
https://www.yna.co.k[...]
2022-10-25
[21]
웹사이트
‘전현희 표적감사’ 의혹 감사원, 공수처 압수수색 받는다
https://www.hani.co.[...]
2023-09-06
[22]
웹사이트
권익위원장, 정의·국민의당 조사엔 거리두기…국민의힘 조사만 참여
https://m.sedaily.co[...]
2021-06-14
[23]
웹사이트
임종석 잔류에 한숨 돌린 민주…홍영표 등 탈당 '잔불' 남아(종합)
https://www.yna.co.k[...]
2024-03-04
[24]
뉴스
이런 의사도 있어요 - 의료전문 변호사 전현희씨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02-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