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중구·성동구 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구·성동구 갑은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20대 총선부터 신설되었다. 성동구 응봉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행당1동, 행당2동, 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을 관할한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홍익표, 전현희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성동구의 정치 - 중구·성동구 을
    중구·성동구 을은 201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중구와 성동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2016년 지상욱, 2020년과 2024년에는 박성준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 성동구의 정치 - 성동구청장 선거
    성동구청장 선거는 1995년부터 2022년까지 8번 실시된 성동구의 구청장 선출 선거로, 민주당 계열의 압승이 많았지만 2006년에는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되기도 했으며, 고재득, 정원오 후보가 각각 3선 구청장을 역임했다.
  • 2016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성동구 을
    중구·성동구 을은 2016년 신설된 국회의원 선거구로, 중구와 성동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2016년 지상욱, 2020년과 2024년에는 박성준 후보가 당선되었다.
  • 2016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증평군·진천군·음성군
    증평군·진천군·음성군 선거구는 2016년 신설되어 20대 총선에서 새누리당 경대수 후보가 당선되었으나, 21대와 22대 총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후보가 연이어 당선되며 정치적 변화를 나타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동작구 을
    동작구 을은 1988년 동작구 갑에서 분리 신설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일부 지역을 관할하며 박실, 유용태, 나경원, 이수진 등 역대 국회의원을 배출했고 2024년 총선에서는 나경원 후보가 당선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선거구 - 종로구 (1988년 선거구)
    1988년 대한민국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종로구는 소선거구제 시행으로 단독 선거구로 치러졌으며, 민주정의당 이종찬 후보가 당선되었다.
중구·성동구 갑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선거구 위치
기본 정보
선거구 이름중구·성동구 갑
선거구 유형단일 선거구
의회국회
지역서울특별시
관할 구역성동구 (일부)
유권자 수180,528 (2024년)
국회의원전현희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선출 의원 수1
지방 의회 선거구성동구 제2선거구
성동구 제3선거구
성동구 제4선거구
이전 선거구성동구 갑 (일부)
성동구 을
선거 정보
선거 연도2016

2. 역사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신설되었다. 유권자 수가 법적 상한선에 못 미쳐 단일 지역구가 되지 못하게 된 중구 지역구에 성동구 갑의 일부 지역이 편입되면서 '중구·성동구 을'이라는 선거구를 이루었고, 성동구 갑 지역구의 나머지 지역이 기존의 성동구 을에 편입되면서 '중구·성동구 갑'이 신설되었다.

2. 1. 선거구 획정 과정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신설되었다. 유권자 수가 법적 상한선에 못 미쳐 단일 지역구가 되지 못하게 된 중구 지역구에 성동구 갑의 일부 지역이 편입되면서 '중구·성동구 을'이라는 선거구를 이루었고, 성동구 갑 지역구의 나머지 지역이 기존의 성동구 을에 편입되면서 '중구·성동구 갑'이 신설되었다.

3. 관할 구역

성동구 응봉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행당1동, 행당2동, 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이 20대 총선부터 중구·성동구 갑 선거구에 해당된다.

3. 1. 성동구

20대 총선부터 성동구 응봉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왕십리도선동, 왕십리2동, 행당1동, 행당2동, 마장동, 사근동, 송정동, 용답동이 중구·성동구 갑 선거구에 해당된다.

4. 역대 국회의원

wikitext


4. 1. 역대 국회의원 목록

wikitable

선거정당의원비고
2016년style="background-color: " |더불어민주당홍익표민주당 대변인 (2013년)[1]
2020년style="background-color: " |더불어민주당
2024년style="background-color: " |더불어민주당전현희


5. 역대 선거 결과

5. 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016년)

대한민국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기존의 성동구 을 선거구 전 지역과 성동구 갑 선거구 일부 지역(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응봉동)을 통합하여 중구·성동구 갑 선거구가 신설되었다.[2]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성동구 을 현역 국회의원인 홍익표를 공천했고, 새누리당에서는 성동구 을에서 18대 국회의원을 지낸 김동성 전 의원을 공천했다. 국민의당에서는 법무부장관 정책보좌관을 지낸 서경선을 전략공천했다.[2]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후보가 50,630표(45.07%)를 얻어 당선되어 재선 국회의원이 되었다.[2] 새누리당 김동성 후보는 44,253표(39.39%)로 2위를 차지했고, 국민의당 서경선 후보는 15,059표(13.40%), 정의당 장지웅 후보는 2,379표(2.11%)를 얻었다.[2]

5. 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2020년)

대한민국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더불어민주당 홍익표 후보가 54.25%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미래통합당 진수희 후보는 40.93%를 득표하였으며, 정의당 정혜연 후보는 4.21%를 득표했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국회의원인 홍익표를 공천했으며 미래통합당에서는 제18대 총선에서 성동구 갑 선거구에서 당선되었던 진수희 전 장관을 공천했다.

5. 3.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2024년)

대한민국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울특별시 중구·성동구 갑 선거구의 더불어민주당 전현희 후보가 52.6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국민의힘 윤희숙 후보는 47.38%를 득표하여 낙선했다.

제21대 국회 임기 도중 홍익표 의원이 서초구 을 선거구 출마를 선언하며 성동구 지역을 떠나게 되면서,[3]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임종석 전 의원이 출마를 고려했으나 공천 과정에서 컷오프되었고,[4] 전현희 전 국민권익위원장이 전략공천되었다.[5] 국민의힘은 경선을 통해 윤희숙 전 의원을 공천했다.[5]

이번 선거는 윤석열 정부의 실정에 대한 국민들의 심판 정서가 강하게 반영된 결과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전현희 후보의 당선은 중도층과 진보층의 결집을 이끌어낸 결과로 분석된다.

참조

[1] 뉴스 ‘귀태 발언’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변인 전격 사퇴 http://news.naver.co[...] 2013-07-12
[2] 웹사이트 <후보 득표현황> 서울(14일 1시30분 현재) https://www.yna.co.k[...] Yonhap 2016-04-14
[3] 웹사이트 홍익표, 서초을 출사표 前 우상호·이해찬과 상의...이재명도 "고맙다" 격려 https://www.ajunews.[...]
[4] 웹사이트 서울 중·성동갑 컷오프 임종석 “당의 결정 수용” https://www.khan.co.[...]
[5] 웹사이트 국힘, 윤희숙·최재형·장성민 포함 13명 공천…김기현-박맹우 경선 https://www.hani.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