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절대 갈루아 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절대 갈루아 군은 체 K의 분해 가능 폐포 Ksep의 K에 대한 갈루아 군으로 정의되며, K 위에서 항등인 Ksep의 자기 동형 사상들로 구성된 군이다. 절대 갈루아 군은 노이키르히-우치다 정리를 통해 대수적 수체의 구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모든 사영 프로유한군은 의사 대수적으로 닫힌 체의 절대 갈루아 군으로 실현될 수 있다. 절대 갈루아 군의 예시로는 대수적으로 닫힌 체의 자명군, 실수체의 위수 2 순환군, 유한체의 프로유한 완비화 등이 있으며, 유리수체의 절대 갈루아 군 구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루아 이론 - 갈루아 군
    갈루아 군은 체의 확대에 대한 자기 동형군으로, 갈루아 이론의 기본 정리에 따라 체론과 군론을 연결하며, 사유한군 구조를 가지고 갈루아 코호몰로지와 관련된다.
  • 갈루아 이론 - 프로베니우스 사상
    표수가 소수 p인 가환환 R에서 프로베니우스 사상은 r을 r^p로 보내는 환 준동형으로, 환의 표수가 p인 환의 범주에 대한 항등 함자에서 자체로의 자연 변환을 나타내며, 체 K가 표수가 0이거나 양의 표수를 갖고 프로베니우스 사상이 자기 동형 사상인 경우 완전체라고 한다.
  • 대수적 수론 - 아이디얼
    아이디얼은 유사환에서 환의 원소와의 곱셈에 대해 닫혀 있는 부분군으로, 왼쪽, 오른쪽, 양쪽 아이디얼로 나뉘며 가환환에서는 세 개념이 일치하고, 환 준동형사상의 핵으로 나타나 잉여환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며, 아이디얼 수 개념에서 유래하여 추상대수학의 주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 대수적 수론 - 밀너 환
    밀너 환은 체 위의 가역원군으로 정의되는 등급환으로, 각 등급 성분인 밀너 K군은 대수적 K-이론, 고차 류체론, 갈루아 코호몰로지, 에탈 코호몰로지, 이차 형식 등 여러 수학 분야와 연결되는 심오한 추측들과 연관된다.
절대 갈루아 군

2. 정의

임의의 K에 대해, 그 분해 가능 폐포 Ksep는 K의 갈루아 확대를 이룬다. K가 완전체일 때, Ksep는 대수적 폐포 \bar K와 같다. 이는 예를 들어 표수가 0인 체나 유한체에 대하여 성립한다. K의 '''절대 갈루아 군'''은 그 갈루아 군 Gal(Ksep/K) (즉, K 위에서 항등인 Ksep자기 동형 사상들이 함수의 합성에 따라 이루는 )으로 정의된다.

K의 절대 갈루아 군은 Ksep의 선택에 의존하지만, 동형 아래 유일하다. 구체적으로, L/K와 σ(L)/σ(K)가 분해 가능 폐포이며, σ∈Isom(L/K, σ(L)/σ(K))가 그 사이의 K-대수 동형일 때, Gal(σ(L)/σ(K)) = σ∘Gal(L/K)∘σ-1이다.

3. 성질

K의 절대 갈루아 군은 분해 가능 폐포 K^{\operatorname{sep}}의 선택에 의존하지만, 동형 아래 유일하다. 구체적으로, L/K\sigma(L)/\sigma(K)가 분해 가능 폐포이고, \sigma\in\operatorname{Isom}(L/K,\sigma(L)/\sigma(K))가 그 사이의 K-대수 동형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operatorname{Gal}(\sigma(L)/\sigma(K))=\sigma\circ\operatorname{Gal}(L/K)\circ\sigma^{-1}

3. 1. 노이키르히-우치다 정리

'''노이키르히-우치다 정리'''(Neukirch–Uchida theorem영어)에 따르면, 임의의 두 대수적 수체 K_1, K_2 및 절대 갈루아 군 사이의 위상군 동형 사상

:\phi\colon\operatorname{Gal}(\bar K_1/K_1)\xrightarrow\cong\operatorname{Gal}(\bar K_2/K_2)

에 대하여,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유일한 체 동형 사상 \sigma\colon\bar K_1\xrightarrow\cong\bar K_2가 존재한다.

:\sigma(K_1)=K_2

:\phi(g)=\sigma\circ g\circ\sigma^{-1}\qquad\forall g\in\operatorname{Gal}(\bar K_1/K_1)

이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begin{matrix}

K_1 & \hookrightarrow & \bar{K_1} & \xrightarrow[\cong]g & \bar{K_1} \\

{\scriptstyle\sigma|_{K_1}}\downarrow & & \downarrow{\scriptstyle\sigma} & & \downarrow{\scriptstyle\sigma} \\

K_2 & \hookrightarrow & \bar{K_2} & \xrightarrow[\phi(g)]{\cong} & \bar{K_2}

\end{matrix}



특히, 임의의 두 대수적 수체 K_1, K_2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

  • \operatorname{Gal}(\bar{K_1}/K_1)\cong\operatorname{Gal}(\bar{K_2}/K_2)
  • K_1\cong K_2

노이키르히-우치다 정리는 대수적 수체의 절대 갈루아 군의 모든 동형사상이 체 자기 동형사상에서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특히 수체의 두 절대 갈루아 군은 기저 체가 동형사상일 때에만 동형사상이다.

3. 2. 역문제

모든 사유한군은 어떤 갈루아 확대갈루아 군과 동형이지만,[27] 모든 사유한군이 어떤 절대 갈루아 군과 동형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아르틴-슈라이어 정리에 따르면, 유한 절대 갈루아 군은 자명군이거나 2차 순환군이다.

모든 사영 사유한군은 어떤 유사 대수적으로 닫힌 체의 절대 갈루아 군과 동형이다. 이 결과는 알렉산데르 루보츠키(אלכסנדר לובוצקיhe)와 라우 판덴드리스(Lou van den Driesnl)가 증명하였다.[27]

4. 예

유한체의 절대 갈루아 군은 프로유한 정수 군과 동형이다.[1]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hat{\mathbf{Z}} = \varprojlim \mathbf{Z}/n\mathbf{Z}.

여기서 프로베니우스 자기동형사상 Fr은 ''GK''의 정규(위상적) 생성자이며, Fr(''x'') = ''xq'' (여기서 ''x''는 ''K''alg의 원소, ''q''는 ''K''의 원소 개수)로 정의된다.

p-진수 '''Q'''''p''의 유한 확장 ''K''에 대해, ''p'' ≠ 2인 경우 그 절대 갈루아 군은 [''K'':'''Q'''''p''] + 3개의 원소에 의해 생성되며, 생성자와 관계에 대한 명시적인 설명이 존재한다. 이는 우베 얀센과 카이 윙버그의 결과이다.[6][7] ''p'' = 2인 경우에도 일부 결과가 알려져 있지만, '''Q'''2의 구조는 알려져 있지 않다.[8]

절대 갈루아 군이 결정된 또 다른 경우는 대수적 수 체의 가장 큰 전체 실수 부분체이다.[9]

4. 1. 대수적으로 닫힌 체

대수적으로 닫힌 체의 절대 갈루아 군은 자명군이다.[1]

4. 2. 실수체

실수체의 절대 갈루아 군은 2차 순환군이며, 항등 함수와 복소켤레로 이루어진다.[1] 이는 복소수체 '''C'''가 실수체 '''R'''의 분리 가능한 폐포이고 ['''C''':'''R'''] = 2이기 때문이다.

4. 3. 유한체

유한체 \mathbb F_q의 절대 갈루아 군은 정수환의 사유한 완비화와 동형이다.[28]

:\operatorname{Gal}(\bar{\mathbb F_q}/\mathbb F_q)\cong\hat\mathbb Z=\varprojlim_n\mathbb Z/n\mathbb Z\cong\prod_p\mathbb Z_p

또한, 프로베니우스 사상

:\operatorname{Frob}_{\mathbb F_q}\in\operatorname{Gal}(\bar{\mathbb F_q}/\mathbb F_q)

:\operatorname{Frob}_{\mathbb F_q}\colon x\mapsto x^q

은 그 위상 생성원(topological generator영어)을 이룬다. 즉, 이를 생성원으로 하는 순환군은 절대 갈루아 군의 조밀 부분군이다.[1]

4. 4. 유리수체와 샤파레비치 추측

유리수체의 절대 갈루아 군 \operatorname{Gal}(\bar\mathbb Q/\mathbb Q)의 구조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예를 들어, 유리수체의 최대 아벨 확대 \mathbb Q^{\operatorname{ab}}=\mathbb Q(\mu)의 절대 갈루아 군 \operatorname{Gal}(\bar{\mathbb Q}/\mathbb Q^{\operatorname{ab}})이 가산 계수 자유 사유한군인지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를 '''샤파레비치 추측'''(Shafarevich's conjecture영어)이라고 하며, 이고리 샤파레비치가 추측하였다.[29] 만약 샤파레비치 추측이 참이라면, \mathbb Q^{\operatorname{ab}}의 임의의 유한 확대의 절대 갈루아 군 역시 자유 사유한군이다.

유리수체의 최대 아벨 확대 ''K''의 절대 갈루아 군은 자유 부유한 군일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샤파레비치 추측''').[24]

4. 5. 유리 함수체

임의의 대수적으로 닫힌 체 K의 유리 함수체 K(t)의 절대 갈루아 군은 계수 |K|자유 사유한군이며, 따라서 K(t)의 임의의 유한 확대의 절대 갈루아 군 역시 자유 사유한군이다. 이는 아드리앙 두아디(Adrien Douady프랑스어)가 리만 존재 정리를 사용하여 표수 0에 대하여 증명하였다.[31] 일반적인 경우는 데이비드 하베터(David Harbater영어)[32]와 플로리안 포프(Florian Popro)[33]가 증명하였으며, 댄 하란(Dan Haran영어)과 모셰 자르덴(Moshe Jarden영어)이 대수적으로 재증명하였다.[34]

복소수체 위의 유리 함수체의 절대 갈루아 군은 자유 사유한군이다. 이는 리만 존재 정리에 기원을 둔 정리로, 아드리앙 두아디(Adrien Douady프랑스어)에 의해 증명되었다.[15]

보다 일반적으로, 임의의 대수적으로 닫힌 체 ''C''에 대해, 유리 함수체 ''K'' = ''C''(''x'')의 절대 갈루아 군은 자유이며 그 계수는 ''C''의 농도와 같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는 데이비드 하베터(David Harbater영어)와 플로리안 포프(Florian Popro)에 의해 증명되었고, 이후 댄 하란과 모셰 자르덴에 의해 대수적인 방법으로 다른 증명이 주어졌다.[16][17][18]

4. 6. p진 국소체

p진수 \mathbb Q_p의 유한 확대 K의 절대 갈루아 군은 p \ne 2인 경우 위상 유한 표시 사유한군이며, [\mathbb K:\mathbb Q_p]+3개의 위상 생성원 및 2개의 관계에 의한 표시를 갖는다. 이는 우베 얀센(Uwe Jannsende)과 카이 빙베르크(Kay Wingbergde)가 증명하였다.[35][29][30] p=2인 경우는 완전한 묘사가 알려져 있지 않다.[29][30]

5. 대한민국 관점에서의 연구 동향

대한민국에서는 유리수체 및 유한체의 절대 갈루아 군에 대한 연구와 샤파레비치 추측과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이는 정수론, 대수기하학, 암호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참조

[1] 간행물 Szamuely 2009
[2] 간행물 Douady 1964
[3] 간행물 Harbater 1995
[4] 간행물 Pop 1995
[5] 간행물 Haran 2000
[6] 간행물 Jannsen 1982
[7] 간행물 Neukirch 2000
[8] 간행물 Neukirch 2000
[9] 웹사이트 qtr http://math.uci.edu/[...] 2019-09-04
[10] 간행물 Neukirch 2000
[11] 간행물 Mináč & Tân 2016
[12] 간행물 Harpaz & Wittenberg 2023
[13] 간행물 Fried & Jarden 2008
[14] 간행물 Fried & Jarden 2008
[15] 간행물 Douady 1964
[16] 간행물 Harbater 1995
[17] 간행물 Pop 1995
[18] 간행물 Haran 2000
[19] 간행물 Jannsen 1982
[20] 간행물 Neukirch 2000
[21] 간행물 Neukirch 2000
[22] 웹사이트 qtr http://math.uci.edu/[...] 2019-09-04
[23] 학회자료 Braids, Galois groups and some arithmetic functions https://www.mathunio[...] 1990
[24] 간행물 Neukirch 2000
[25] 간행물 Fried & Jarden 2008
[26] 간행물 Fried & Jarden 2008
[27] 서적 Field arithmetic Springer 2008
[28] 인용 Galois Groups and Fundamental Grou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29] 서적 Cohomology of number fields Springer 2000
[30] 서적 Cohomology of number fields Springer 2008
[31] 저널 Détermination d’un groupe de Galois 1964
[32] 서적 Recent developments in the inverse Galois problem https://www2.math.up[...]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1995
[33] 저널 'Étale Galois covers of affine smooth curves. The geometric case of a conjecture of Shafarevich. On Abhyankar’s conjecture' 1995
[34] 저널 The absolute Galois group of C(x) 2000
[35] 저널 Die Struktur der absoluten Galoisgruppe \mathfrak p-adischer Zahlkörper https://epub.uni-reg[...] 1982
[36] 웹인용 qtr http://math.uci.edu/[...] 2019-09-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