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고리 샤파레비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고리 샤파레비치는 우크라이나 지토미르 출신의 러시아 수학자이자 정치 평론가이다. 그는 대수적 수론, 대수 기하학, 산술 대수 기하학 분야에 기여했으며, 샤파레비치-바일 정리, 가해 갈루아 군에 대한 샤파레비치 정리 등을 발표했다. 또한, 그는 소련의 정치 체제를 비판하고 사회주의를 비판하는 저서를 출판했으며, 반유대주의적인 내용으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주요 저서로는 《정수론》, 《사회주의 현상》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련의 인권 운동가 - 옐레나 본네르
    옐레나 본네르는 소련과 러시아의 인권 운동가이자 반체제 인사로, 핵물리학자 안드레이 사하로프의 아내로서, 프라하의 봄을 계기로 인권 운동에 투신하여 모스크바 헬싱키 그룹 창립 멤버로 활동하고, 사하로프 사후에도 인권 운동을 지속하며 푸틴 정권 비판 등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 소련의 인권 운동가 -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
    즈비아드 감사후르디아는 조지아의 반체제 운동가이자 초대 대통령으로, 소련의 인권 탄압에 저항하며 조지아 민족주의 운동을 이끌었고, 독립 선언 후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쿠데타로 축출, 내전 중 사망하여 그의 죽음에 대한 논란이 있다.
  • 지토미르 출신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는 우크라이나 출신의 피아니스트로, 겐리흐 네이가우스에게 사사받고 1945년 소련 음악 콩쿠르에서 우승했으며, 베토벤 등 폭넓은 레퍼토리를 소화하며 중량감 있고 따뜻한 연주로 호평받았다.
  • 지토미르 출신 - 블라디미르 코롤렌코
    블라디미르 코롤렌코는 러시아 제국 시대 우크라이나 출신의 작가이자 사회 운동가로, 억압받는 민중의 삶을 묘사한 작품과 사회 정의 실현을 위한 헌신적인 활동으로 알려져 있다.
  • 우크라이나계 소련인 -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는 소련의 마지막 지도자로서 페레스트로이카와 글라스노스트 정책을 추진하여 냉전 종식과 소련 붕괴에 영향을 미쳤으며, 199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지만 그의 역할에 대한 논쟁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우크라이나계 소련인 -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니콜라이 포드고르니는 우크라이나 출신으로 소련 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흐루쇼프 시대 우크라이나 공산당 제1서기를 거쳐 소련 지도부에 진입했으나, 브레즈네프와의 권력 투쟁에서 밀려 해임된 후 사망했으며, 소련 내 자유주의적 인물로 평가받는다.
이고리 샤파레비치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이고리 로스티슬라보비치 샤파레비치
원어 이름러시아어: И́горь Ростисла́вович Шафаре́вич
우크라이나어: І́гор Ростисла́вович Шафаре́вич
출생1923년 6월 3일
출생지소비에트 연방 (오늘날 우크라이나) 지토미르
사망2017년 2월 19일
사망지러시아, 모스크바
국적러시아, 우크라이나
학문 분야
분야수학
직장모스크바 대학교
모교모스크바 대학교
스테클로프 수학연구소
박사 지도교수보리스 델로네
주요 제자이고리 돌가체프
유리 마닌
보리스 모이셰존
수렌 유리예비치 아라켈로프
알렉세이 코스트리킨
알렉세이 파르신
유리 드로즈드
예브게니 골로드
주요 업적샤파레비치-베유 정리
테이트-샤파레비치 군
골로드-샤파레비치 정리
샤파레비치의 가해 갈루아 군에 대한 정리
그로텐디크-오그-샤파레비치 공식
네롱-오그-샤파레비치 판별법
수상
수상레오나르트 오일러 금메달 (2017년)

2. 생애

1923년 6월 3일 우크라이나 지토미르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로티슬라프 스테파노비치 샤파레비치(Ростисла́в Степа́нович Шафаре́вичru)는 국립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해석역학을 가르치는 교수였고, 어머니 율리야 야코블레브나 바실리예바(Ю́лия Я́ковлевна Васи́льеваru)는 피아니스트였다.

샤파레비치는 어린 시절부터 수학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다. 그는 수학을 혼자 공부했으며, 1938년에는 불과 15세의 나이로 모스크바 대학교에 특별 입학하는 영예를 안았다. 대학에서는 보리스 델로네, 알렉산드르 쿠로시, 이즈라일 겔판트와 같은 저명한 수학자들로부터 가르침을 받았고, 1940년에 17세의 어린 나이로 대학을 졸업했다.

1944년부터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수학 강의를 시작했으며, 1946년에는 스테클로프 수학연구소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러나 1949년에 스테클로프 연구소에서 해고되었고, 1953년에 다시 복직했다.

1972년부터는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을 비롯한 소비에트 연방의 반체제 인사들과 활발히 교류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1975년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다시 해고당하는 어려움을 겪었다.

1980년에는 소비에트 연방의 정치 체제를 비판하는 내용을 담은 책 《세계사적 현상으로의 사회주의》(Социализм как явление мировой историиru)를 출판했다.

1982년에는 에세이 〈러시아 혐오〉(Русофобияru)를 발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2002년에는 《삼천 년의 수수께끼: 유대인과 현대 러시아의 숨은 역사》(Трёхтысячелетняя загадка. История еврейства и перспективы современной Россииru)라는 책을 출간했다. 이 책에서 샤파레비치는 20세기 러시아에서 소수의 유대인 지식인 계층이 공산주의 등을 통해 러시아의 전통 문화를 파괴했다고 주장했다. 이 책의 내용은 반유대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미국 과학 아카데미는 1992년에 샤파레비치에게 회원 자진 탈퇴를 권고했다.[27] (미국 과학 아카데미는 회원을 강제로 탈퇴시킬 권한은 없다.) 하지만 샤파레비치는 이를 거부했다.

3. 수학적 업적

이고리 샤파레비치는 대수적 수론, 대수기하학, 산술 대수기하학 등 현대 수학의 여러 핵심 분야에 걸쳐 근본적인 기여를 남긴 수학자이다. 그의 연구는 갈루아 이론, 수체의 구조, 대수 곡면의 분류, 타원 곡선의 산술 등 다양한 주제를 아우른다.

샤파레비치는 샤파레비치-바일 정리, 골로드-샤파레비치 정리, 가해 갈루아 군에 대한 샤파레비치 정리 등 자신의 이름이 붙은 여러 중요한 정리를 증명하거나 개념을 도입했다. 특히 타원 곡선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테이트-샤파레비치 군의 도입과, 이후 게르트 팔팅스에 의해 증명된 샤파레비치 추측의 제시는 그의 깊이 있는 통찰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이다.

그는 모스크바에서 대수기하학 세미나를 이끌며 스키마 이론과 같은 새로운 이론을 소련 수학계에 소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유리 마닌, 알렉세이 파르신, 빅토르 콜리바긴 등 많은 뛰어난 후학을 양성했다. 또한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 왕립 학회 등 해외 유수 학술 기관의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레온하르트 오일러 금메달을 수상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2][3] 그의 업적은 각 세부 분야에서 더 자세히 다루어진다.

3. 1. 대수적 수론

어린 시절부터 샤파레비치는 대수적 수론, 대수기하학, 산술 대수기하학 등 여러 수학 분야에서 중요한 기여를 했다. 특히 대수적 수론 분야에서는 샤파레비치-바일 정리를 통해 아벨 군유한군 중심 확장에 해당하는 갈루아 군의 경우로 가환 상호 법칙 사상을 확장했다.

샤파레비치는 힐베르트 페어링에 대한 완전하고 독립적인 공식을 처음으로 제시했으며, 이는 수론에서 명시적 공식 연구라는 중요한 분야를 열었다. 또한, 모든 유한 가해군유리수 체의 갈루아 군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보이는 가해 갈루아 군에 대한 샤파레비치 정리도 그의 주요 업적 중 하나이다 (비록 약간의 불완전성은 남아있다). 수체의 비분기 확대 탑에 관한 골로드-샤파레비치 정리 역시 중요한 발견이다.

샤파레비치와 그의 학파는 대수 곡면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1960년경 모스크바에서 대수 곡면의 분류에 관한 유명한 세미나를 시작하여 유리 기하학의 현대적 접근법을 제시했으며, 구소련 학계에 스키마 이론을 조기에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타원 곡선의 산술에 대한 연구는 존 테이트와는 독자적으로, 수체 상의 타원 곡선과 관련된 군인 테이트-샤파레비치 군(보통 그의 성 첫 글자인 키릴 문자 'Ш'를 따 '샤(Sha)'라고 불림)의 도입으로 이어졌다.

그는 그로텐디크-오그-샤파레비치 공식과 네론-오그-샤파레비치 판정법에도 기여했다. 또한, 그의 제자였던 일리아 피아테츠키-샤피로와 함께 K3 곡면에 대한 토렐리 정리의 변형을 증명했다.

샤파레비치는 고정된 차원과 특정 소수 집합에서 나쁜 환원을 갖는 수체 위의 아벨 다양체 집합이 유한함을 주장하는 샤파레비치 추측을 제시했다. 이 추측은 이후 게르트 팔팅스가 모델 추측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함께 증명되었다.

샤파레비치는 많은 뛰어난 수학자들을 제자로 두었다.

제자 이름
유리 마닌
알렉세이 파르신
이고르 돌가체프
예브게니 골로드
알렉세이 코스트리킨
수렌 아라켈로프
G. V. 벨리
빅토르 아브라시킨
안드레이 토도로프
안드레이 N. 튜린
빅토르 콜리바긴



그는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아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수학, 물리학 및 지구 과학부의 회원이었으며, 1960년에는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 1981년에는 왕립 학회의 외국인 회원이 되었다.[3] 2017년에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레온하르트 오일러 금메달을 수상했다.

3. 2. 대수기하학 및 산술 대수기하학

샤파레비치는 어린 시절부터 수학의 여러 분야, 특히 대수적 수론, 대수기하학, 산술 대수기하학에서 중요한 기여를 했다. 대수적 수론 분야에서는 샤파레비치-바일 정리를 통해 가환 상호 법칙 사상을 아벨 군유한군 중심 확대로 확장하는 갈루아 군의 경우까지 다루었다.

그는 힐베르트 기호에 대한 완전하고 독립적인 공식을 처음으로 제시했으며, 이는 수론에서 명시적 공식 연구의 중요한 흐름을 열었다. 또한, 모든 유한 가해군유리수 체의 갈루아 군으로 실현될 수 있음을 보이는 가해 갈루아 군에 대한 샤파레비치 정리도 유명한 업적 중 하나이다 (일부 미완성 부분 존재). 수체의 비분기 확대 탑에 관한 골로드-샤파레비치 정리 역시 중요한 발전이다.

샤파레비치와 그의 학파는 대수 곡면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1960년경 모스크바에서 대수 곡면의 분류에 관한 유명한 세미나를 시작하여 유리 기하학의 현대적 접근 방식을 제시했으며, 소련 학계에 스키마 이론을 조기에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타원 곡선의 산술 연구는 존 테이트와 독립적으로 테이트-샤파레비치 군(종종 '샤'(키릴 문자: Ш)로 표기)이라는 중요한 군을 수체 위에 도입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그는 그로텐디크-오그-샤파레비치 공식과 네론-오그-샤파레비치 판정법에도 기여했다. 또한, 그의 전 제자인 일리아 피아테츠키-샤피로와 함께 K3 곡면에 대한 토렐리 정리의 변형을 증명했다.

샤파레비치는 고정된 차원과 특정 소수 집합에서 나쁜 환원을 갖는 수체 위의 아벨 다양체 집합이 유한하다는 샤파레비치 추측을 제시했다. 이 추측은 이후 게르트 팔팅스가 모델 추측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함께 증명되었다.

샤파레비치의 제자로는 유리 마닌, 알렉세이 파르신, 이고르 돌가체프, 예브게니 골로드, 알렉세이 코스트리킨, 수렌 아라켈로프, G. V. 벨리, 빅토르 아브라시킨, 안드레이 토도로프, 안드레이 N. 튜린, 빅토르 콜리바긴 등이 있다.

그는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 수학, 물리학 및 지구 과학부의 회원이 되었고, 1960년에는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2] 1981년에는 왕립 학회 외국인 회원(ForMemRS)이 되었다.[3] 2017년에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레온하르트 오일러 금메달을 수상했다.

3. 3. 기타 업적

어린 시절부터 샤파레비치는 대수적 수론, 대수기하학, 산술 대수기하학을 포함한 여러 수학 분야에 근본적인 기여를 했다. 특히 대수적 수론에서 샤파레비치-바일 정리는 가환 상호 법칙 사상을 갈루아 군의 경우로 확장하는데, 이는 아벨 군유한군의 중심 확대이다.

샤파레비치는 힐베르트 페어링에 대한 완전히 자립적인 공식을 제공한 최초의 수학자였으며, 이는 수론에서 명시적 공식 연구의 중요한 분기를 시작했다. 또 다른 유명한 결과는 모든 유한 가해군유리수의 갈루아 군으로 실현하는 가해 갈루아 군에 대한 샤파레비치 정리이다. (이 결과는 약간 불완전하다는 평가도 있다.)

또한 수체의 비분기 확대의 탑에 관한 골로드-샤파레비치 정리를 발표했다.

샤파레비치와 그의 학파는 곡면의 대수 기하학 연구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1960년경 유리 기하학의 처리를 업데이트한 유명한 모스크바 대수 곡면의 분류에 관한 세미나를 시작했으며, 소련 학파에서 대수 기하학에 대한 스키마 이론 접근법을 초기에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타원 곡선의 산술에 대한 그의 연구는 존 테이트와는 별개로, 타원 곡선과 관련된 군인 테이트-샤파레비치 군 (보통 '샤'라고 불리며, 그의 성의 첫 번째 키릴 문자인 Ш|샤ru로 표시)을 수체에 도입하게 했다.

그는 그로텐디크-오그-샤파레비치 공식과 네론-오그-샤파레비치 판정법에도 기여했다.

그는 전 제자 일리아 피아테츠키-샤피로와 함께 K3 곡면에 대한 토렐리 정리의 변형을 증명했다.

그는 샤파레비치 추측을 공식화했는데, 이는 고정된 차원과 나쁜 환원의 지정된 소수의 집합을 갖는 수체 위의 아벨 다양체의 집합의 유한성을 주장하는 내용이다. 이 추측은 게르트 팔팅스가 모델 추측을 증명하는 과정에서 함께 증명되었다.

샤파레비치의 주요 제자들은 다음과 같다.

이름
유리 마닌
알렉세이 파르신
이고르 돌가체프
예브게니 골로드
알렉세이 코스트리킨
수렌 아라켈로프
G. V. 벨리
빅토르 아브라시킨
안드레이 토도로프
안드레이 N. 튜린
빅토르 콜리바긴



샤파레비치는 여러 학술 단체의 회원으로 활동했다. 다음은 그의 주요 학회 회원 이력이다.

학회부서선출 연도
세르비아 과학 예술 아카데미수학, 물리학 및 지구 과학부
독일 과학 아카데미 레오폴디나1960년[2]
왕립 학회외국인 회원1981년[3]



2017년, 샤파레비치는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로부터 레온하르트 오일러 금메달을 수상했다.

4. 정치 및 사회 활동

1972년부터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을 비롯한 소비에트 연방 반체제 인사들과 교류하며 정치적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이러한 활동으로 인해 1975년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해고되었다. 그의 반체제 활동과 사회주의 비판은 이후 저서 ''사회주의 현상''(Социализм как явление мировой историиru, 1980년 출판)으로 이어졌다.

1982년에는 에세이 〈러시아 혐오〉(Русофобияru)를 발표했고, 이를 확장하여 2002년 《삼천 년의 수수께끼: 유대인과 현대 러시아의 숨은 역사》(Трёхтысячелетняя загадка. История еврейства и перспективы современной Россииru)를 출판했다. 이 책은 유대인러시아의 전통 문화를 파괴했다는 주장을 담고 있어 반유대주의적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미국 과학 아카데미는 1992년 샤파레비치에게 탈퇴를 권고했으나 그는 이를 거부했다.[27]

소련 붕괴 이후 샤파레비치는 러시아 정치에 직접 참여했다. 1991년 12월 21일, 세르게이 바부린이 이끄는 러시아 범국민 연합의 첫 회의에 참여했으며, 1992년 10월에는 국가 구원 전선 창립 위원회 회원이 되었다. 1993년에는 미하일 아스타피예프의 헌법 민주당 - 국민 자유당 소속으로 국가 두마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또한 그는 민족주의 성향의 잡지 ''나쉬 소브레멘니크''의 편집 위원을 맡았고, 1991년부터 1992년까지 알렉산드르 프로하노프의 ''덴''(Деньru) 편집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덴''은 1993년 러시아 헌정 위기 이후 금지되었다가 ''자브트라''(Завтраru)라는 이름으로 다시 발행되었다. 1994년에는 미하일 아스타피예프가 이끄는 "전러시아 국민 우익 센터"에 합류하는 등 민족주의 및 보수주의 정치 활동을 이어갔다.

4. 1. 반체제 활동과 사회주의 비판

샤파레비치는 1950년대 초 소련 당국과 갈등을 겪었지만, 당시 모스크바 대학교 총장이었던 이반 페트롭스키의 보호를 받을 수 있었다. 그는 러시아의 독자적인 발전 경로를 강조하는 포치벤니체스트보 사상의 영향을 받은 반체제 지식인 그룹에 속했으며, 동방 정교회의 전통을 중요하게 여겼다.

1970년대에 들어 샤파레비치는 안드레이 사하로프가 주도한 인권 위원회에 참여하여 발레리 찰리제, 그리고리 포디야폴스키, 안드레이 트베르도흘레보프 등과 함께 활동했다. 이 활동으로 인해 그는 결국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해고되었으며, 대학 운영에 대한 정치적 간섭에 반대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 시기 샤파레비치는 그의 주요 저서 중 하나인 ''사회주의 현상''(Le Phénomène socialiste프랑스어)을 집필하여 1975년 프랑스에서 처음 출간했고, 1980년에는 영어판(The Socialist Phenomenon영어)[4]미국의 하퍼 앤 로 출판사에서 나왔다. 이 책은 사회주의 체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으로 주목받았으며,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이 1978년 하버드 대학교 연설에서 인용하기도 했다.

''사회주의 현상''에서 샤파레비치는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회주의 사상과 체제를 분석했다. 그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근본적인 특징이 개인주의를 억압하려는 경향에 있다고 주장했다. 책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5]

샤파레비치는 고대 사회(메소포타미아, 이집트 등)의 집단주의적 체제는 이데올로기적 사회주의와는 다르며,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는 카를 야스퍼스가 말한 축의 시대에 개인주의가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반작용으로 나타났다고 보았다. 그는 토머스 모어나 토마소 캄파넬라가 그린 이상 사회의 모습이 실제 잉카 제국의 모습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더 나아가 샤파레비치는 인간의 개별성은 신과의 관계를 통해 형성되며, 사회주의는 본질적으로 허무주의적이고 무의식적인 죽음 충동에 이끌리는 경향이 있다고 주장하며, 인류에게 삶을 추구할 것인지 죽음을 추구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4. 2. 러시아 민족주의와 반유대주의 논란

4. 3. 종교관

샤파레비치는 러시아 정교회를 따랐으며 동방 정교회신플라톤주의적 관점을 수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 이해에 통합했다.[9]

괴팅겐 과학 아카데미에서 상을 받으며 행한 강연에서 샤파레비치는 수학과 종교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제시했다. 그는 비유클리드 기하학의 발견과 같은 수학의 여러 발견들을 언급하며, 순수 수학은 일련의 관례적 정의나 형식주의가 아닌 객관적인 현실을 반영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수학 자체의 발전은 지향적이거나 유기적이지 않다고 주장했다. 통일성과 방향성을 가지기 위해 수학에는 목표가 필요하다. 그것은 실용적인 응용이거나, 발달 방향성의 근원으로서의 신이 될 수 있다. 샤파레비치는 후자를 선택했는데, 순수 수학은 그 자체로는 실용적인 응용에 의해 추진되지 않기 때문이다.[10]

5. 주요 저서

샤파레비치는 수학 분야에서 정수론과 대수기하학 등 여러 중요한 교과서와 연구서를 저술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특히 젱몬 이사코비치 보레비치와 공저한 ''정수론''(Number Theory영어)과 ''대수기하학의 기초''(Basic Algebraic Geometry영어)는 해당 분야의 고전으로 평가받으며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

수학 외에도 그는 사회주의 체제와 역사, 러시아 민족주의 등에 대한 비판적이고 논쟁적인 저술을 남겼다. 그의 가장 널리 알려진 정치 서적 중 하나는 ''사회주의 현상''(The Socialist Phenomenon영어)[4]으로, 1980년 미국에서 출판되었다. 이 책은 서구 지식인 사회에 소개되어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그의 독자적인 분석을 담고 있다.[5][8]

5. 1. 수학 서적


  • О решении уравнений высших степеней (метод Штурма)|고차 방정식의 해법에 관하여 (슈투름 방법)rus (E. S. 골로드와 공저). 모스크바: Гостехиздат, 1954, 24쪽. 독일어 번역: VEB Deutscher Verlag der Wiss., 베를린, 1956.
  • О башне полей классов|유체 탑에 관하여rus. 1964, 16쪽.
  • Теория чисел|정수론rus (Z. I. 보레비치와 공저). 모스크바: 나우카, 1964.
  • * 2판. 모스크바: 나우카, 1972.
  • * 영어 번역: Number Theoryeng. 아카데믹 프레스, 1966. ISBN 978-0-12-117850-5.
  • * 일본어 번역: 整数論|정수론jpn (상/하). 사사키 요시오 역, 요시오카 서점, 교토. ISBN 978-4-8427-0286-5 (상), ISBN 978-4-8427-0287-2 (하).
  • Lectures on minimal models and birational transformations of two-dimensional schemeseng. 뭄바이: 타타 기초 연구소, 1966.
  • Алгебраическая геометрия|대수기하학rus. 모스크바 대학교 출판부, 1968.
  • Дзета-функция|제타 함수rus. 모스크바 대학교 출판부, 1969.
  • Основы алгебраической геометрии|대수기하학의 기초rus. 모스크바: 나우카, 1971.
  • * 영어 번역: Basic Algebraic Geometryeng. 스프링거, 1974. ISBN 978-3-540-08264-4.
  • * 2판. 모스크바: 나우카, 1988.
  • * 3판. 모스크바: Изд-во МЦНМО, 2007, 589쪽. ISBN 978-5-94057-085-1.
  • * 영어 번역 (3판 기반): Basic Algebraic Geometry 1: Varieties in Projective Spaceeng. 스프링거, 2013. ISBN 978-3-642-37955-0.
  • * 영어 번역 (3판 기반): Basic Algebraic Geometry 2: Schemes and Complex Manifoldseng. 스프링거, 2013. ISBN 978-3-642-38009-9.
  • Основные понятия алгебры|대수의 기본 개념rus. 모스크바: ВИНИТИ, 1986. (Соврем. пробл. мат. Фундаментальные направления. Т. 11. Алгебра-1).
  • * 영어 번역: Basic Notions of Algebraeng. 스프링거, 2005. ISBN 978-3-540-26474-3.
  • * 2판. 모스크바, 이젭스크: РХД, 2001. ISBN 5-89806-022-7, ISBN 5-93972-097-8.
  • Collected Mathematical Paperseng. 스프링거, 1989. ISBN 978-3-540-13618-7. (2015년 재판)
  • Noncommutative Rings, Identitieseng (A. I. 코스트리킨과 공저). 스프링거, 1991. ISBN 978-3-642-72899-0.
  • Number Theory: Fundamental Problems, Ideas, and Theorieseng (A. N. 파르신과 공저). 스프링거, 1995. ISBN 0387533842.
  • Algebra and Analysiseng (M. M. 아르슬라노프, A. N. 파르신과 공저). 발터 드 그루이터, 1996. ISBN 311014803X.
  • Discourses on Algebraeng. 스프링거, 2003. ISBN 978-3-540-42253-2.
  • * 일본어 번역: 代数入門|대수학 입문jpn. 카니에 유키히로 역. 일본평론사. ISBN 4535784000.
  • * 일본어 번역: 代数とは何か|대수학이란 무엇인가jpn. 카니에 유키히로 역. 마루젠 출판. ISBN 4621062786.
  • Линейная алгебра и геометрия|선형대수학과 기하학rus (A. O. 레미조프와 공저). Физматлит, 2009, 511쪽. ISBN 978-5-9221-1139-3.
  • * 영어 번역: Linear Algebra and Geometryeng. 스프링거, 2013. ISBN 978-3-642-30993-9.
  • * 2판. Изд-во «Институт компьютерных исследований», 2014, 553쪽. ISBN 978-5-4344-0218-7.
  • Geometries and Groupseng (V. V. 니쿨린과 공저). 스프링거, 1987. ISBN 0387152814.
  • * 일본어 번역: 幾何学と群|기하학과 군jpn. 네가미 세이야 역. 슈프링거·페어라크 도쿄, 1993. ISBN 4431706534.
  • 일본어 번역: スツルムの解法|스투름의 해법jpn. 은림호 역, 상공출판사, 1960.

5. 2. 정치적 서적

샤파레비치는 다양한 정치적 견해를 담은 서적을 출판했다. 그의 주요 정치 관련 저서는 다음과 같다.

원제한국어 번역 제목출판 연도
Социализм как явление мировой истории|소치알리즘 카크 야블레니예 미로보이 이스토리ru사회주의 현상1977
Есть ли у России будущее?|예스트 리 우 로시 부두셰예?ru러시아에 미래는 있는가?1991
Русский народ на переломе тысячелетий. Бег наперегонки со смертью.|루스키 나로드 나 페렐로메 티샤체레티. 베크 나페레곤키 소 스메르튜.ru천년의 전환기에 선 러시아 민족. 죽음과의 경주.2000
Духовные основы российского кризиса XX века.|두호브니예 오스노비 로시스코고 크리지사 XX 베카.ru20세기 러시아 위기의 정신적 기초.2001
Трёхтысячелетняя загадка. История еврейства и перспективы современной России.|트료흐티샤체레트냐야 자가트카. 이스토리야 예브레이스트바 이 페르스펙티비 소브레멘노이 로시.ru삼천 년의 수수께끼. 유대 민족의 역사와 현대 러시아의 전망.2002
Русский народ в битве цивилизаций.|루스키 나로드 프 비트베 치빌리자치.ru문명 간의 전투 속 러시아 민족.2011
Russophobia|러시아 공포증영어러시아 공포증1990



샤파레비치는 1950년대 초 소련 당국과 갈등을 겪었으나, 모스크바 대학교 총장 이반 페트롭스키의 보호를 받았다. 그는 포치벤니체스트보의 영향을 받아 동방 정교회 전통을 옹호하는 반체제 인사 그룹에 속했다.

1970년대에는 안드레이 사하로프인권 조사관 중 한 명으로 활동하며 발레리 찰리제, 그리고리 포디야폴스키, 안드레이 트베르도흘레보프와 함께했다. 이 활동으로 인해 그는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해고되었으며, 대학에 대한 정치적 간섭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그의 가장 유명한 정치 서적 중 하나는 ''사회주의 현상''(The Socialist Phenomenon영어)[4]이다. 이 책은 1975년 프랑스어판으로 처음 출판되었고, 1980년 미국의 하퍼 앤 로에서 영어판이 출간되었다. 알렉산드르 솔제니친은 1978년 하버드 대학교 연설에서 이 책을 인용하기도 했다.

''사회주의 현상''은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회주의 사례를 분석하며,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의 모든 기본 원칙이 개인주의를 억압하려는 욕구에서 비롯된다고 주장한다. 책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5]



샤파레비치는 고대 사회의 집단주의는 이데올로기적이지 않았던 반면, 사회주의는 축의 시대 이후 등장한 개인주의에 대한 반작용으로서의 이데올로기라고 주장했다. 그는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나 토마소 캄파넬라의 ''태양의 도시''와 같은 이상 사회 구상이 잉카 제국의 실제 모습과 놀라울 정도로 유사하다고 보았다. 또한 그는 인간이 신과의 관계를 통해 인격을 형성하며, 사회주의는 본질적으로 허무주의적이고 무의식적인 죽음 본능에 의해 추동된다고 주장하며, 인류에게 삶과 죽음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소련 붕괴 이후 샤파레비치는 러시아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했다. 1991년 12월 세르게이 바부린이 이끄는 러시아 범국민 연합 창립 회의에 참여했고, 1992년 10월에는 국가 구원 전선 창립 위원이 되었다. 1993년에는 미하일 아스타피예프의 헌법 민주당 - 국민 자유당 소속으로 국가 두마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그는 민족주의 성향의 잡지 ''나쉬 소브레멘니크''와 ''덴''(이후 ''자브트라''로 재창간)의 편집위원을 역임했으며, 1994년에는 미하일 아스타피예프가 이끄는 "전러시아 국민 우익 센터"에 합류했다.

참조

[1] 서적 The Vexing Case of Igor Shafarevich, a Russian Political Thinker https://archive.org/[...]
[2] 웹사이트 List of Members http://www.leopoldin[...] 2017-10-06
[3] 웹사이트 IgorShafarevich https://royalsociety[...] 2015-09-01
[4] 서적 The Socialist Phenomenon Harper & Row
[5] 문서 The Socialist Phenomenon
[6] 문서 The Socialist Phenomenon
[7] 문서 The Socialist Phenomenon
[8] 문서 The Socialist Phenomenon
[9] 문서 The Mathematical Experience
[10] 문서 Ueber einige Tendenzen in der Entwicklung der Mathematik
[11] 서적 Russophobia http://www.dtic.mil/[...] Joint Publications Research Service 1990-03
[12] Citation Abram Tertz and the poetics of crime https://books.google[...]
[13] Webarchive The Communist Past in Post-Communist Russia http://www.eurozine.[...] 2002-05-24
[14] 간행물 Russian Intellectual Anti-Semitism in the Post-Communist Era 2004-03
[15] 서적 Estʹ li u Rossii budushchee? : publit︠s︡istika https://www.worldcat[...] Sov. pisatelʹ 1991
[16] Citation Reinventing Russia: Russian nationalism and the Soviet state, 1953–1991 https://books.google[...] 2000-10-02
[17] 뉴스 "Alleging Bias, Science Group Urges Russian to Qui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7-29
[18] 간행물 AMS Condemns Russophobia http://www.the-scien[...] 1993
[19] 간행물 On Shafarevich And NAS: Tolerance Vs. Indifference' http://www.the-scien[...] 1993
[20] 학술지 Russian Castigates NAS For Making 'Vague Accusations' https://www.the-scie[...]
[21] 웹사이트 The Steklov Legacy http://balticworlds.[...]
[22] 웹사이트 Шовинизм Шафаревича и Ко {{!}} Альтернативы http://www.alternati[...]
[23] 웹사이트 Семён Резник. Кровавый навет в России http://www.vestnik.c[...]
[24] 문서 The Soviet Union: Empire, Nation, and System http://aronkatseneli[...] 2011-07-23
[25] 웹사이트 http://shafarevich.v[...]
[26] 웹사이트 Discourses on algebra https://www.worldcat[...] www.worldcat.org 2019-05-18
[27] 뉴스 "Alleging Bias, Science Group Urges Russian to Quit,"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2-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