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안옹주 (선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안옹주는 조선 선조와 인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난 옹주이다. 1603년 박동량의 아들 박미와 혼인하여 금양위에 봉해졌으며, 아들 박세교를 두었다. 남편 사망 후 효종이 아들 박세교를 군수로 임명하여 봉양하도록 했으며, 1660년 71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시아버지 묘 아래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90년 출생 - 코시모 2세 데 메디치
    코시모 2세 데 메디치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후원자로 알려진 토스카나 대공국의 대공이었으나 병약하여 모후와 왕비의 영향력 아래 통치하며 대공국 쇠퇴를 초래했고 마리아 마달레나 디 오스트리아와의 사이에서 페르디난도 2세를 낳았다.
  • 1590년 출생 - 송응성
    송응성은 명나라 말기의 학자이자 관료로, 『천공개물』이라는 기술 백과사전을 저술했으며, 기와 형의 개념을 중심으로 한 우주론 논문을 통해 철학적 견해를 제시했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광해군
    광해군은 조선 제15대 국왕으로, 임진왜란 중 세자로 책봉되어 전란 수습에 기여하고 즉위 후 대북파를 등용, 일본과 기유약조를 맺고 후금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했으나 인조반정으로 폐위되었으며, 대동법 시행, 『동의보감』 편찬 등의 업적과 폐모살제 등의 논란으로 역사적 평가가 엇갈린다.
  • 조선 선조의 자녀 - 흥안군 (1598년)
    흥안군 이제는 선조의 열번째 서자이자 활달한 성격의 왕자였으나, 이괄의 난에 연루되어 국청 없이 처형되었고, 위성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나 작위와 시호는 철회되었으며, 묘소는 사라졌지만 흥안대로라는 지명으로 남아있다.
  • 1660년 사망 - 폴 스카롱
    폴 스카롱은 1610년 파리에서 태어나 희극, 뷔를레스크 시, 소설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하며 17세기 프랑스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이다.
  • 1660년 사망 - 오라녜 공비 프린세스 로열 메리
    오라녜 공비 프린세스 로열 메리는 잉글랜드 국왕 찰스 1세의 장녀로, 네덜란드 오라녜 공 빌럼 2세와 결혼하여 잉글랜드 내전 시기에 망명 생활을 했으며, 영국 왕실 최초의 프린세스 로열 칭호를 받고 아들 빌럼 3세를 낳았으며, 천연두로 사망했다.
정안옹주 (선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선조의 옹주
배우자금양군(錦陽君) 박미
자녀1남
아버지선조
어머니인빈 김씨
출생일1590년
사망일1660년 8월 23일 (음력)
가족 관계
자녀박세교

2. 생애

1603년(선조 36년) 14세에 박미와 혼인하였다. 박미는 박동량의 아들로, 금양위(錦陽尉)에 봉해졌다.[1] 정안옹주는 박미와의 사이에서 아들 박세교를 두었다. 1645년(인조 23년) 박미가 사망하자 가세가 기울었는데, 효종이 박세교를 특별히 군수로 임명하여 정안옹주를 봉양하게 하였다. 1660년(현종 1년) 정안옹주는 71세로 세상을 떠나 안산 마유면에 장사 지냈다. 현재 묘소는 경기도 시흥시 군자동에 있는 시아버지 박동량의 묘 아래에 있다.

3. 가족 관계

정안옹주는 선조와 인빈 김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원종의 여동생이자 인조의 고모이다. 시아버지는 박동량이고 남편은 박미이다. 슬하에 아들 박세교와 며느리 전의 이씨를 두었으며, 손자 박태두는 금은군에 봉해졌다. 그 외 손자, 손녀로 박태만, 박태성, 박태화, 박태한, 박태길, 박태발, 박애양, 박송례, 박송임, 박계임이 있다.

3. 1. 친정 전주 이씨(全州 李氏)

3. 2. 시가 반남 박씨(潘南 朴氏)

반남 박씨 박동량선조의 비 의인왕후의 사촌동생이다. 남편 박미는 금양군에 봉해졌으며, 아들 박세교는 강화부경력(江華府經歷)을 지냈다. 박세교의 후손들은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군수(郡守), 좌랑(佐郞) 등 다양한 관직을 역임하였다.

관계이름비고
시아버지박동량금계군 증 좌의정 충익공, 의인왕후의 사촌동생
시어머니여흥 민씨예조좌랑 민선(禮曹佐郞 閔善)의 딸, 정경부인
부마(남편)박미금양군
아들박세교강화부경력
며느리전의 이씨종친부전부(宗親府典簿) 이석기(李碩基)의 딸
손녀박애양
손자박태두금은군
손녀박송례
손자박태만홍문관교리
손자박태성군수
손녀박송임
손자박태화
손자박태한좌랑
손녀박계임
손자박태길
손자박태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