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정의 (후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의는 후한 말, 위나라 초의 인물로, 문장이 뛰어나고 조조의 총애를 받았으나 조비와의 갈등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조조는 딸 청하공주를 정의에게 시집보내려 했으나, 조비의 반대로 무산되었고, 이후 정의는 조식을 태자로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조비에게 처형당했다. 진수가 《삼국지》에서 정의의 전기를 쓰지 않은 일화가 전해지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20년 사망 - 조조
    후한 말기의 정치가이자 군사가, 시인이었던 조조는 뛰어난 능력으로 위나라의 기반을 다졌으나, 잔혹한 행위와 권력욕으로 인해 후대 평가에서 논쟁적인 인물이다.
  • 220년 사망 - 하후돈
    하후돈은 후한 말기부터 삼국시대 위나라의 장군으로, 조조의 사촌이자 그의 거병 때부터 종군하여 많은 공을 세웠으며, 연주 전투에서 왼쪽 눈을 잃어 "애꾸눈 하후"라는 별명을 얻었고, 군사적 능력과 청렴한 성품으로 조조의 신임을 받아 사후 조조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 애꾸눈이 - 고든 브라운
    고든 브라운은 스코틀랜드 출신의 정치인으로, 영국 의회 하원 의원, 재무장관을 거쳐 총리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유엔 교육 담당 특사로 활동한다.
  • 애꾸눈이 - 기타 잇키
    기타 잇키는 일본 제국 헌법의 천황제를 비판하고 군사혁명을 통한 국가 개조를 주장한 사상가이자 혁명가로, 그의 사상은 2·26 사건에 영향을 미쳤으며, 진보적인 면모와 극단적인 민족주의적 경향을 동시에 지녔다는 평가를 받으며 2·26사건 연루 혐의로 사형당했다.
  • 조위의 정치인 - 정무
    정무는 중국 삼국시대 인물로, 정사 삼국지에는 정욱의 아들로 조비를 섬겼다는 기록만 있고, 삼국지연의에서는 하후무의 참군으로 촉한의 제1차 북벌 때 조운을 상대로 계책을 내는 비중 있는 조연으로 묘사되지만, 관흥과 장포의 지원으로 실패하고 남안으로 퇴각한 후 더 이상 등장하지 않는다.
  • 조위의 정치인 - 하후무
    하후무는 위나라의 무장으로 하후돈의 아들이며 조조의 사위였고, 조비의 총애를 받아 안서장군에 임명되어 관중을 방어했으나 군사적 재능은 부족하다는 평을 받았으며, 제갈량의 북벌 당시 탄핵을 받았지만 복귀하여 진동장군에 이르렀다.
정의 (후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정의
로마자 표기Jeong Ui
자(字)정례 (Jeongnye)
생애
출생지패군
사망일220년 경
사망 원인사형
아버지정충
형제정역 (형)
경력
서조연알 수 없음
우자간연알 수 없음
소속
국가후한
직업정치인, 문신
적수조비

2. 생애

정의(丁儀)는 패(沛)국 출신으로, 현재의 안휘성 수계현 일대에 있었다. 그의 아버지 정충(丁沖)은 196년부터 220년까지 헌제를 장악한 군벌 조조의 행정부에서 사예교위(司隸校尉)를 역임했다.

정의는 문재가 뛰어나 조조에게서 그 재능을 인정받았다.[3]

2. 1. 조조의 총애와 조비와의 갈등

건안칠자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문장이 아름다웠고[3] 아버지 정충(丁沖)이 조조와 매우 친했다. 조조는 장녀 청하공주를 정의에게 시집보내려 하였으나, 삼남 조비가 “여자는 얼굴을 보는데 정의는 애꾸눈이니 청하공주가 상심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하후돈아들 하후무가 더 낫습니다.”라고 하였다. 이윽고 조조가 정의를 서조연(西曹掾)[4]으로 삼아 여러 대화를 한 후에야 “정의는 훌륭한 선비이니 만약 장님이었다 해도 내 사위가 되었어야 했다. 내 아들이 그르쳤구나!”라고 후회함과 동시에 정의의 재주와 활달함을 칭찬하였다.

정의도 이 일을 한스럽게 여기고는 동생 정이(丁廙)와 함께 임치후(臨菑侯) 조식과 가까이 지내며 그를 조비 대신 태자로 밀었다. 위진도 회유하려고 하였으나 거절당하였고,[5] 동조연 모개와 서혁(徐奕)은 강직하여 야합하지 않았다.[4] 이에 자주 모함하니 끝내 최염은 죽게 만들고 모개는 관직을 잃었으며 서혁은 위군태수로 좌천되었다.[6] 그러나 결국 태자 자리는 조비가 차지했고, 220년(연강 원년)엔 위나라 위를 이으면서 정의는 우자간연(右刺姦掾)으로 좌천되었다. 목숨에 위협을 느낀 정의는 조비의 가장 친한 친구인 중령군(中領軍) 하후상에게 거듭 머리를 조아리며 구해달라고 빌었다. 하후상이 눈물까지 흘리며 정의를 살려줄 것을 조비에게 청했지만 하옥됐다가 죽었다. 이때 동생 정이와 다른 남자 일족도 모두 죽었다.[7]

2. 2. 후계 다툼과 죽음

정의는 조조와 매우 친했던 아버지 정충(丁沖) 덕분에 조조의 사위가 될 뻔했다. 조조는 장녀 청하공주를 정의에게 시집보내려 하였으나, 조비가 “여자는 얼굴을 보는데 정의는 애꾸눈이니 청하공주가 상심하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하후돈의 아들 하후무가 더 낫습니다.”라고 반대하여 혼담이 무산되었다.[3]女子觀人情|여자는 인정으로 본다중국어 이 일로 정의는 조비를 원망하게 되었고, 동생 정이(丁廙)와 함께 조식을 지지하며 조비 대신 태자가 되도록 힘썼다.[7]

조조는 정의의 재능을 아껴 “정의는 훌륭한 선비이니 만약 장님이었다 해도 내 사위가 되었어야 했다. 내 아들이 그르쳤구나!”라고 후회하며 그의 재주와 활달함을 칭찬했다.[4] 그러나 결국 태자 자리는 조비가 차지했고, 220년(연강) 조비가 위나라 왕위에 오르면서 정의는 우자간연(右刺姦掾)으로 좌천되었다. 목숨에 위협을 느낀 정의는 조비의 친구 하후상에게 거듭 머리를 조아리며 구명을 요청했고, 하후상이 눈물로 호소했지만 정의는 하옥되어 처형되었다. 이때 동생 정이와 다른 남자 일족도 모두 죽었다.[7]

정의의 죽음은 그의 문재(文才)를 아꼈던 많은 사람들에게 안타까움을 남겼다. 진수는 『삼국지』 편찬 과정에서 정의의 자손에게 원고료를 요구했다가 거절당하여 정의의 전기를 쓰지 않았다는 일화가 있지만, 정의 일족의 남자가 모두 조비에게 몰살당했기 때문에 신빙성이 의심된다.

3. 평가

정의는 청렴하고 강직한 성품으로 유명했지만, 그로 인해 많은 정적을 만들었다. 특히 조조와의 갈등은 결국 그의 죽음으로 이어졌다.

진수가 삼국지를 쓰면서 정의의 후손에게 원고료를 요구했다는 일화는 조비에게 정의 일족이 몰살당했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떨어진다고 평가받는다.

3. 1. 진수의 《삼국지》 관련 일화

삼국지의 저자인 진수는 정의의 아들에게 아버지의 열전을 써주는 대가로 1000곡(斛)의 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하자 전기를 쓰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8] 그러나 진수는 233년생이고 정의 일족은 220년에 멸족했으므로 이는 사실이 아니다.

진수가 『삼국지』 편찬 과정에서 정의의 자손에게 원고료를 요구했다가 거절당해 정의의 전기를 쓰지 않았다는 일화는, 정의 일족이 조비에게 몰살당했다는 점에서 신빙성이 떨어진다.

4. 가족 관계

5. 대중문화 속의 정의

삼국지연의에서 정의는 조조의 사후 장례에 참석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조비의 명을 받은 허저에게 체포되어 동생과 함께 처형된다.[1]

참조

[1] 정보
[2] 정보
[3] 서적 삼국지
[4] 서적 삼국지
[5] 서적 삼국지
[6] 서적 자치통감
[7] 서적 삼국지
[8] 서적 진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