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흥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인흥은 이조판서 정순조의 아들로, 대한제국 시기 관료로 활동하며 의병 재판에 참여하여 항쟁을 탄압하는 데 관여했다. 1878년 과거에 급제하여 사법 부문에서 주로 근무했으며, 법부협판, 법부 민사국장 등을 역임했다. 한일 병합 조약 체결 후에는 중추원 찬의를 지냈고, 친일 사회 단체에서도 활동했다. 일제강점기에는 의병장들에게 사형 등 중형을 선고하여 의병 항쟁을 탄압했으며, 2002년과 2008년 친일파 명단에,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법조인 - 김낙헌
김낙헌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의병 재판에 참여하고 조선총독부 판사, 중추원 부찬의를 지낸 인물로, 친일 행적으로 인해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대한제국의 법조인 - 박만서
박만서는 대한제국 시기 법조인으로, 일본에서 법률을 공부한 후 평리원 판사, 경성지방재판소 판사 등을 지냈으나 항일 의병 운동 관련 재판에서 의병에게 중형을 선고하여 비판받았고 친일반민족행위 195인 명단에 포함되었다. - 동래 정씨 - 정진석 (정치인)
정진석은 1960년 충청남도 공주 출생으로 한국일보 기자 출신이며, 16, 17, 18, 20, 21대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이명박 정부에서 대통령 정무수석비서관을 지냈으며, 20대 국회에서 새누리당 원내대표와 국회 부의장을 역임했다. - 동래 정씨 - 정유길
정유길은 조선 중기 문신으로, 중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관직을 거쳐 명종 때 왕의 총애를 받았으며, 윤원형 탄핵에 앞장서 훈구파, 소윤파, 사림파 모두에게 존경받아 좌의정에 이르렀다. - 1852년 출생 - 게오르크 옐리네크
게오르크 옐리네크는 독일의 법학자이자 법철학자로, 국가법인설과 국가의 자기구속설을 주장했으며, 그의 저서 《일반 국가론》과 《인권선언론》은 법학 및 정치학에 큰 영향을 미쳤고, 그의 사상은 일본의 천황기관설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1852년 출생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정인흥 | |
---|---|
기본 정보 | |
![]() | |
본관 | 하동(河東) |
자(字) | 백기(伯起) |
호(號) | 만옹(晩翁) |
생애 | |
출생 | 1463년(계미년) 음력 1월 28일 |
사망 | 1527년(정해년) 음력 11월 2일 |
묘소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 |
가족 | |
아버지 | 정숙(鄭淑) |
어머니 | 정부인 평산 신씨 |
배우자 | 정부인 안동 권씨 |
아들 | 정유침(鄭惟沈) 정유악(鄭惟岳) 정유간(鄭惟簡) |
딸 | 정사룡에게 출가 |
관력 | |
과거 급제 | 문과 급제 |
관직 | 대사헌 |
사후 | |
증직 | 영의정 |
시호 | 문정(文貞) |
기타 | |
저서 | 만옹집(晩翁集) |
2. 생애
이조판서를 지낸 정순조의 아들이다. 1878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다. 1894년 정부 직제 개편 이후 사법 부문 관료로 주로 근무했다. 법무아문의 참의를 거쳐 법부 민사국장, 법률기초위원장 등에 임명되었다.
1896년 법부협판이 되었으며,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반발하는 의병이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자 중주 지방의 의병을 해산시키기 위한 선무사로 파견되었다. 1908년 판사로 임명되어 의병 재판에 참가했다.[2]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직후인 1910년부터 1921년까지 중추원 찬의를 지냈다. 친일 성향의 사회 단체인 대동학회와 공자교회에서도 활동했다.
1896년에는 법부협판이 되었으며,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반발하는 의병이 전국 각지에서 봉기하자 중주 지방의 의병을 해산시키기 위한 선무사로 파견되었다. 1908년 판사로 임명되어 의병 재판에 참가했다.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직후 1910년부터 직제 개편이 이루어진 1921년까지 11년 동안 중추원의 찬의를 지냈다. 친일 성향의 사회 단체인 대동학회와 공자교회에서도 활동했다.
3. 일제강점기 활동 및 친일 행적
3. 1. 의병 재판 관여
정인흥은 대한제국과 통감부 소속 판사로 활동하면서 많은 의병장들에게 사형 등 중형을 선고하여 의병 항쟁을 탄압하는 과정에 관여했다.[2]
그가 판사로서 재판에 참여한 의병 사건은 총 25건으로, 이 중 교수형 또는 사형이 언도된 사례는 다음과 같다.
선고 날짜 | 의병장 이름 | 주활동 지역 |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서훈 내역 |
---|---|---|---|
1908년 10월 3일 | 허위 | 전국 연합 의병 (13도 창의군)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
1908년 11월 7일 | 한창렬 | 경기도 연천 | 건국훈장 애국장 |
1909년 2월 6일 | 김구학, 이완보, 김순옥 | 강원도 통천 | - |
1909년 4월 15일 | 오상원 | 전라남도 함평 | 건국훈장 독립장 |
1909년 4월 16일 | 노인선 | 전라남도 곡성 | 건국훈장 국민장 |
1909년 4월 16일 | 신정우 | 전라남도 곡성 | - |
1909년 5월 20일 | 정재근 | 강원도 인제 | - |
1909년 6월 5일 | 김현국 | 강원도 횡성 | 건국훈장 애국장 |
1909년 6월 5일 | 유지명 | 전라북도 진안 | 건국훈장 국민장 |
1910년 1월 27일 | 김공삼 | 전라북도 고창 | 건국훈장 애국장 |
1910년 2월 15일 | 김영준 | 강원도 평강 | 건국훈장 애국장 |
1910년 2월 15일 | 양상기, 유병기 | 전라남도 나주 | 건국훈장 국민장 |
1910년 2월 22일 | 박도경 | 전라남도 영광 | 건국훈장 국민장 |
1910년 2월 24일 | 이교영 | 강원도 영월 | 건국훈장 독립장 |
1910년 4월 7일 | 김영백 | 전라남도 장성 | 건국훈장 국민장 |
1910년 4월 7일 | 김창섭 | - | - |
1910년 4월 13일 | 양진여 | 전라남도 광주 | 건국훈장 국민장 |
1910년 4월 22일 | 이원오 | 전라남도 광주 | 건국훈장 애국장 |
3. 2. 기타 친일 활동
정인흥은 한일 병합 조약 체결 직후인 1910년부터 1921년까지 11년 동안 중추원 찬의를 지냈다. 그는 친일 성향의 사회 단체인 대동학회와 공자교회에서도 활동했다.4. 사후
2002년 민족정기를 세우는 국회의원모임과 광복회가 공동 발표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선정되었다.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에서 공식 발표한 일제강점기 초기의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도 포함되어 있다.
참조
[1]
웹인용
한국역대인물
http://people.aks.ac[...]
2011-12-20
[2]
뉴스
반민특위 와해 후 첫 정부 발표 친일파 106명 - 의병장 총살 ·3·1운동 때 발포... 그들은 누구?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6-12-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