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평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정평천은 용인시를 흐르는 하천으로, 과거 삼남대로가 지나던 풍덕천동 일대를 관통한다. 정몽주가 이방원에게 피살된 후 고향으로 이장되는 과정에서 명정이 떨어진 곳에 묘를 쓰면서 풍덕천, 혹은 풍덕래라는 지명이 유래되었다는 설화가 전해진다. 현재는 택지 개발로 인해 옛 자연 마을의 흔적은 거의 사라졌지만, 토월초등학교와 토월공원 등에서 옛 지명을 엿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강의 지류 - 공릉천
공릉천은 경기도 파주시, 고양시, 양주시를 흐르는 한강의 지류로, 여러 하천이 합류한다. - 한강의 지류 - 탄천
탄천은 경기도 용인에서 시작해 서울을 지나 한강으로 흘러가는 약 32.66km 길이의 하천으로, 백제 시대 군사 훈련장, 조선 시대 숯 생산지였다는 설이 있으며, 현재는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주변 아파트 단지 및 스포츠 시설을 갖춘 도시 하천이다. - 용인시의 지리 -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는 경기도 수원시, 용인시에 걸쳐 개발되었으며, 광교산 남쪽 원천리천 일대에서 이름을 따왔고, 높은 녹지율과 편리한 교통, 다양한 교육 및 첨단 시설을 갖춘 신도시이다. - 용인시의 지리 - 탄천
탄천은 경기도 용인에서 시작해 서울을 지나 한강으로 흘러가는 약 32.66km 길이의 하천으로, 백제 시대 군사 훈련장, 조선 시대 숯 생산지였다는 설이 있으며, 현재는 자전거 도로와 산책로, 주변 아파트 단지 및 스포츠 시설을 갖춘 도시 하천이다. - 한강 권역 - 중랑천
중랑천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를 흐르는 하천으로, 총 연장 37km, 유역 면적 288km2이며, 과거에는 여러 이름으로 불리다가 일제강점기에 중랑천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현재는 시민들의 여가 공간으로 활용된다. - 한강 권역 - 소양강
소양강은 강원도 춘천시와 그 주변 지역을 흐르는 강으로, 소양강댐 건설로 인해 경제, 사회, 환경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며 지역 주민의 삶과 생태계, 관광 자원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정평천 | |
---|---|
개요 | |
지리 유형 | 강 |
소속 | 한강 수계 |
발원지 | 형제봉 |
발원지 위치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신봉동 |
하구 | 탄천 합류부 |
하구 위치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죽전동 |
길이 | 5.15 |
유역 면적 | 7.03 |
이름 | |
한글 | 풍덕천 |
한자 | 豊德川 |
로마자 표기 | Pungdeokcheon |
매큔-라이샤워 표기 | P'ungdŏkch'ŏn |
2. 역사
원래 정평천 북서쪽 주변에는 해발 150m 내외의 신방지봉, 안산, 장구백이 등의 야산이 있고, 이 야산의 계곡에서 여러 하천이 발원하였다. 그리고 남동쪽은 저평한 평지로 정자들·무지니들·벌발들·새말들·안산넘어들·작은분숫골 등의 들판이 있었으나 현재는 택지개발로 옛 자취가 없어졌다.
정평천이 흐르는 풍덕천동(豐德川)은 과거 삼남대로에 속했으며 옛 수지면의 중심지였다. 원래 정평천 주변에는 풍덕내·문정·죽절·방축골·정자들·토월·새말·정평 등의 자연 마을이 있었으나 수지지구 택지 개발 사업에 의해서 풍덕내(豐德來)의 옛 자취는 흔적도 없어졌다. 그나마 임진산성(壬辰山城) 주위로 물의 범람을 막기 위해 방축이 세워진 방축골 일대에 토월초등학교 토월정자(吐月亭子)가 있어 옛 지명의 일단을 유추해 볼 수 있으며, 토월공원에는 수령 10~100년 된 느티나무 군이 있어 옛 흔적을 찾아 볼 수 있다.
2. 1. 정몽주와 관련된 명칭 유래
포은 정몽주 선생이 선죽교에서 이방원이 보낸 자객 조영규에게 피살된 뒤 경기도 풍덕군(현 개풍군 일부)에 일시 매장되었다가 고향인 경상북도 영천으로 천묘하는 과정에서 여러 설화가 전해진다.[2] 1411년 정몽주의 면례 행렬이 옛 수지읍 풍덕리에 이르렀을 때, 명정이 바람에 날려 떨어진 자리가 명당이라 하여 그곳에 무덤을 썼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2] 면례 행렬이 있었던 수지읍 풍덕리는 죽절(竹節)로도 불렸으며, 이후 '풍덕천(豐德川)'이라는 지명은 음운변화를 일으켜 '죽전(竹田)'으로 불리게 되었다.[2]기록에는 삼남대로(三南大路)인 죽절(竹節)에 홀연히 명정이 하늘로 높이 날아가 이곳에 포은 정몽주의 면례 행렬이 처음 왔던 곳이라 하여 풍덕래(豐德來) 또는 이장하는 도중 명정이 날아오른 곳에서 풍덕(豐德), 풍덕천(豐德川)으로 표기되어 있다.[2] 지금의 묘소 자리는 모현읍 능원리 문수산 하단이라 하며, 명정이 날아오른 풍덕천(豐德川) 지역은 뒷날 죽절(竹節)이라 이름하였다.[2]
남쪽으로 길을 떠나고자 하면 포은의 상여가 움직이지 않아 할 수 없이 명정이 떨어진 곳으로 가자는 뜻이라 하여 그쪽으로 발길을 돌리자 상여가 움직였고 그래서 죽절(竹節)에 장사를 지냈다고 한다.[2] “풍덕에서 오신다”라고 하여 풍덕래(豐德來)라고 한 것을 1914년 지명 표기 작업을 할 때 ‘올 래(來)’자를 ‘내 천(川)’자로 음운변화가 일어나 풍덕천(豐德川)이라 하였다고 한다.[2] 하지만 풍덕천이 물이 깊어 명주 한 필이 다 들어갔는데 임진왜란 때 왜적이 풍덩풍덩 빠져죽어 풍덩 내(川)라고 하던 것이 풍덕이 되었다는 구전이 존재한다.[2]
3. 현재
참조
[1]
간행물
한국하천일람
http://www.river.go.[...]
2014-12-31
[2]
웹사이트
디지털용인문화대전 풍덕천
http://yongin.grand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