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주특별자치도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의 시내버스는 1952년 운행을 시작하여, 2017년 노선 체계 개편을 통해 급행버스, 관광지순환버스 등을 도입하고 시외버스에서 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 2000년대에는 민영 버스 회사 부도와 공영 버스 도입이 이루어졌으며, 현재는 다양한 운행 업체가 시내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요금 체계는 노선에 따라 다르며, 환승 제도를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제주특별자치도의 시외버스
    제주특별자치도의 시외버스는 1920년대 합승 운송으로 시작해 노선 확장과 서비스 개선을 거쳐 2017년 대중교통 체계 개편으로 시내버스와 통합되었으며, 현재 600번 공항 리무진을 포함한 노선이 운영되고 구간별 차등 요금제가 적용 중이다.
  • 서귀포시 - 기당미술관
    기당미술관은 강구범씨의 소장품 기탁으로 1987년 개관한 개인 소장품 기반의 미술관으로, 변시지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야외전시장 등을 갖추고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운영된다.
  • 서귀포시 - 감귤박물관
    감귤박물관은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하며, 감귤의 가치와 역사를 알리고 보존하는 것을 목표로 2005년 개관하여 감귤 산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시설과 행사를 운영한다.
  • 제주시 -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
    2009년 2월 택시기사 박 모 씨가 보육교사 이 모 씨를 성폭행하려다 살해하고 시신을 유기한 제주 보육교사 살인 사건은 미흡한 초동 수사로 미제 사건이 되었으나, 2016년 재수사로 박 씨가 기소되었지만 최종적으로 무죄가 확정되었다.
  • 제주시 - 제주오라종합경기장 야구장
    제주오라종합경기장 야구장은 1983년 전국체육대회를 위해 대우건설이 제주도에 기부 채납한 야구장으로, 넓은 규모와 잔디 언덕 관람석이 특징이며, 과거 프로 야구 경기와 전지훈련 장소로 활용되었고, 현재는 퓨처스 리그 및 아마추어 야구 경기가 주로 열린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시내버스
지역별 버스 교통 정보
지역제주특별자치도
구분시내버스
관리 기관제주특별자치도청
교통항공국 대중교통과
서비스 지역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
노선 수206
(2018년 1월 기준)
인가 대수857대
(2024년 3월 기준)
선불 카드마이비, 캐시비, 원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레일플러스우리은행, 농협, 세븐일레븐, 롯데마트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T형과 MT형은 사용가능이고 M형은 사용불가능이다.,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 현대T형과 MT형은 사용가능이고 M형은 사용불가능이다.
사이트제주버스정보

2. 역사

1952년 관덕정과 도청을 잇는 시내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5][6] 1962년에는 조흥자동차 주주 한재옥 등이 트럭을 개조한 버스 5대로 한일여객운송 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제주시 도로가 아스팔트로 포장되면서 한일여객은 제주 시내버스 노선 운행 인가를 받았다.[7] 1970년에는 두 번째 시내버스 회사인 대화여객이 좌석제 시내버스 면허를 취득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제주도내 시내버스 회사들은 난립하게 되었고, 좌석버스 도입이 이루어졌다.[9] 1983년에는 삼영교통이 100번 공항버스 노선 운행을 시작했고,[8] 1985년에는 남일여객, 제주여객, 금남여객, 극동여객, 대화여객, 한일여객 등에 좌석버스 인가가 이루어졌다.[9] 1996년 12월에는 제주시내 좌석버스 노선이 시외 북부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영 버스 회사들의 부도가 이어졌다. 2001년 11월 한일여객을 시작으로, 2004년 3월 20일 서귀포교통, 2005년 6월 15일 남국교통, 2005년 7월 18일 대화여객이 차례로 부도를 맞으며 운수사업 면허가 취소되었다.[10]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제주시서귀포시는 각각 직영 공영버스를 도입하였다. 2003년 9월 20일 제주시 공영버스가, 2004년 3월 10일 서귀포 시영버스가 운행을 시작했다. 2006년 1월 10일에는 서귀포 동서교통이 운행을 개시했다.

2015년 11월 2일에는 서귀포시 혁신도시 순환버스(140번)가 운행을 시작했다. 2017년 8월 26일에는 대대적인 노선 체계 개편이 이루어졌다. 600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시외버스에서 시내버스로 전환되었으며, 급행버스와 관광지순환버스가 신설되었다. 버스 대수는 530대에서 797대로 크게 증차되었다. 제주시 공영버스와 서귀포 시영버스는 더 이상 시내 지역을 운행하지 않고 읍면지선버스를 운행하게 되었다. 또한, 제주시 심야버스를 운행하는 관광지순환버스(주)가 시내버스 운행에 새롭게 참여하게 되었다.

2. 1. 시내버스 운행 시작 (1950년대 ~ 1970년대)

1952년 관덕정과 도청을 잇는 시내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5][6] 1962년에는 조흥자동차 주주 한재옥 등이 트럭을 개조한 버스 5대로 한일여객운송 주식회사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제주시 도로가 아스팔트로 포장되면서 한일여객은 제주 시내버스 노선 운행 인가를 받았다.[7] 1970년에는 두 번째 시내버스 회사인 대화여객이 좌석제 시내버스 면허를 취득하였다.

2. 2. 시내버스 회사 난립과 좌석버스 도입 (1980년대 ~ 1990년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제주도내 시내버스 회사들은 난립하게 되었고, 좌석버스 도입이 이루어졌다.[9] 1983년에는 삼영교통이 100번 공항버스 노선 운행을 시작했고,[8] 1985년에는 남일여객, 제주여객, 금남여객, 극동여객, 대화여객, 한일여객 등에 좌석버스 인가가 이루어졌다.[9] 1996년 12월에는 제주시내 좌석버스 노선이 시외 북부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2. 3. 민영 버스 회사의 부도와 공영 버스 도입 (2000년대)

1952년 관덕정과 도청을 잇는 시내버스가 운행을 시작했다.[5][6] 1962년에는 조흥자동차 주주 한재옥 등이 트럭을 개조한 버스 5대로 한일여객운송 주식회사를 설립, 제주시 도로 아스팔트 포장 이후 제주 시내버스 노선 운행 인가를 받았다.[7] 1970년에는 두 번째 시내버스 회사인 대화여객이 좌석제 시내버스 면허를 취득했다. 1983년에는 삼영교통이 100번 노선(공항버스) 운행을 개시했으며,[8] 1985년에는 남일여객, 제주여객, 금남여객, 극동여객, 대화여객, 한일여객 등에 좌석버스 인가가 이루어졌다.[9]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민영 버스 회사들의 부도가 이어졌다. 2001년 11월 한일여객을 시작으로, 2004년 3월 20일 서귀포교통, 2005년 6월 15일 남국교통, 2005년 7월 18일 대화여객이 차례로 부도를 맞으며 운수사업 면허가 취소되었다.[10]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제주시서귀포시는 각각 직영 공영버스를 도입하였다. 2003년 9월 20일 제주시 공영버스가, 2004년 3월 10일 서귀포 시영버스가 운행을 시작했다. 2006년 1월 10일에는 서귀포 동서교통이 운행을 개시했다.

2. 4. 노선 체계 개편 및 서비스 개선 (2010년대 ~ 현재)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제주특별자치도의 시내버스는 노선 체계 개편 및 서비스 개선을 통해 대대적인 변화를 맞이했다. 2015년 11월 2일에는 서귀포시 혁신도시 순환버스(140번)가 운행을 시작했다. 2017년 8월 26일에는 대대적인 노선 체계 개편이 이루어졌다. 600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시외버스에서 시내버스로 전환되었으며, 급행버스와 관광지순환버스가 신설되었다. 버스 대수는 530대에서 797대로 크게 증차되었다. 제주시 공영버스와 서귀포 시영버스는 더 이상 시내 지역을 운행하지 않고 읍면지선버스를 운행하게 되었다. 또한, 제주시 심야버스를 운행하는 관광지순환버스(주)가 시내버스 운행에 새롭게 참여하게 되었다.

3. 요금 체계

2017년 8월 26일 버스 노선 개편과 함께 요금 체계 또한 개편되었으며, 노선 구분에 따른 기본 요금은 아래와 같다.

종류나이카드 (원)현금 (원)
간선·지선어른 (만 19세 이상)11501200
청소년 (만 13세 ~ 18세)850900
어린이 (만 6세 ~ 12세)350400
급행어른 (만 19세 이상)20003000
청소년 (만 13세 ~ 18세)16002400
어린이 (만 6세 ~ 12세)10001500
마을 (동복리)어른 (만 19세 이상)9501000
청소년 (만 13세 ~ 18세)750800
어린이 (만 6세 ~ 12세)350400
마을 (추자/우도)어른 (만 19세 이상)9501000
청소년 (만 13세 ~ 18세)550600
어린이 (만 6세 ~ 12세)350400



급행버스의 경우 20 km 이하의 구간을 이용할 경우 기본 요금만이 부과되며, 20 km를 초과할 경우 40 km까지 매 5 km마다 성인 기준 200원이 추가로 부과된다. 그러므로 40 km 이상의 거리를 이용하는 최대 운임은 현금으로 지불하는 요금과 동일한 3000원이다. 이 추가 요금의 경우 지역별 구간요금제가 아니라 거리비례 요금제이므로 동일한 구간을 이용하더라도 노선의 경유지에 따라 요금이 다르게 부과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주국제공항부터 송당리까지 급행버스를 이용할 때 111번을 이용하면 32.55 km로 2600원이 부과되지만 112번을 이용하면 36.44 km로 2800원이 부과된다.

3. 1. 기본 요금 (2017년 8월 26일 개편 기준)

2017년 8월 26일 버스 노선 개편과 함께 요금 체계 또한 개편되었으며, 노선 구분에 따른 기본 요금은 아래와 같다.

종류나이카드 (원)현금 (원)
간선·지선어른 (만 19세 이상)11501200
청소년 (만 13세 ~ 18세)850900
어린이 (만 6세 ~ 12세)350400
급행어른 (만 19세 이상)20003000
청소년 (만 13세 ~ 18세)16002400
어린이 (만 6세 ~ 12세)10001500
마을 (동복리)어른 (만 19세 이상)9501000
청소년 (만 13세 ~ 18세)750800
어린이 (만 6세 ~ 12세)350400
마을 (추자/우도)어른 (만 19세 이상)9501000
청소년 (만 13세 ~ 18세)550600
어린이 (만 6세 ~ 12세)350400



급행버스의 경우 20km 이하의 구간을 이용할 경우 기본 요금만 부과되며, 20km를 초과할 경우 40km까지 5km마다 성인 기준 200원이 추가로 부과된다. 40km 이상 거리를 이용하는 최대 운임은 현금으로 지불하는 요금과 동일한 3000원이다. 추가 요금은 지역별 구간요금제가 아니라 거리비례 요금제이므로 동일한 구간을 이용하더라도 노선 경유지에 따라 요금이 다르게 부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주국제공항부터 송당리까지 급행버스를 이용할 때 111번을 이용하면 32.55km로 2600원이 부과되지만, 112번을 이용하면 36.44km로 2800원이 부과된다.

3. 2. 급행버스 추가 요금

2017년 8월 26일 버스 노선 개편과 함께 요금 체계가 개편되었다. 급행버스는 20km 이하 구간 이용 시 기본 요금이 부과되며, 20km 초과 시 40km까지 5km마다 성인 기준 200원이 추가된다. 40km 이상 이용 시 최대 운임은 현금 지불 요금과 동일한 3000원이다. 추가 요금은 거리비례 요금제로, 동일 구간이라도 노선 경유지에 따라 요금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주국제공항에서 송당리까지 급행버스 이용 시 111번은 32.55km로 2600원, 112번은 36.44km로 2800원이 부과된다.

종류나이카드 (원)현금 (원)
급행어른 (만 19세 이상)20003000
청소년 (만 13세 ~ 18세)16002400
어린이 (만 6세 ~ 12세)10001500


4. 환승 제도

카드를 이용하여 버스 운임을 지불할 때 하차 이후 40분 이내 최대 2회까지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동일 노선을 이용하는 경우는 환승 할인에서 배제된다. 노선 번호가 같더라도 부번이 다르면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111번과 112번은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다만, 411번과 412번처럼 서로 반대 방향의 동일한 순환 노선을 모두 이용하고자 할 때에는 동일 노선을 이용할 때처럼 환승 할인이 적용되지 않는다.

환승한 버스 요금이 직전 탑승한 버스 요금보다 적거나 같으면 무료이며, 직전 탑승한 버스 요금보다 크면 차액만 징수한다. 다만 급행버스와 급행버스를 환승할 때에는 일반 버스 요금(성인 1150원, 청소년 850원, 어린이 350원)만 할인된다. 급행버스의 거리비례 추가 요금은 환승과 관계 없이 하차할 때마다 별도로 정산된다.

5. 노선 체계

제주시, 서귀포시, 읍면 등지를 일부 정류소에만 정차하여 빠르게 연결하는 100번대 급행버스가 있다. 200번대 간선버스는 급행버스와 유사하게 운행하거나 완행으로 운행하며, 제주시 시내간선버스는 300번대, 서귀포시 시내간선버스는 500번대로 운행한다. 제주시 시내지선버스는 400번대, 서귀포시 시내지선버스는 600번대, 읍면지선버스는 700번대로 운행한다. 동부 및 서부 지역 관광지를 운행하는 810번, 820번 관광지순환버스도 운행 중이다.

6. 사용 가능 교통카드

CU, GS25(개인브랜드 포함), 7-11에서 티머니, 캐시비를 사용할 수 있다.[11] 한페이는 사용 불가능하며, 레일플러스7-11에서 일부 사용 가능하다.

7. 운행 업체 및 노선

wikitable

운행사운행 노선
극동여객151, 251, 251-1, 252, 253, 254, 255, 270, 43-1, 43-2, 43-3, 300, 301, 325, 411, 412, 425, 426, 431, 432
동진여객131, 132, 181, 231, 232, 281, 345, 346, 347, 434, 435, 436, 437, 451, 452, 453, 454, 471, 472, 473, 475, 477
삼화여객182, 240, 282, 311, 312, 415, 440, 441, 442, 444, 445, 446, 447, 455, 461, 462, 465, 466, 490
제주여객102, 121, 122, 202, 221, 222, 291, 292, 293, 315, 316
삼영교통300, 301, 302, 320, 335, 336, 341, 342, 351, 355, 356, 360, 365, 366, 367, 368, 370, 380
관광지순환버스810, 820, 3001, 3002, 3003, 3004, 3005, 3006, 3007, 3008
금남여객101, 111, 201, 211, 212, 260, 295, 331, 332, 421, 422, 423, 424, 500, 611, 612, 615, 633, 641, 642, 643, 644, 651, 652, 655
서귀포운수500, 510, 520, 531, 532, 621, 623, 624, 625, 630, 635, 645, 5001, 5002, 5003, 5004, 5005, 5006
제주시 공영버스701, 702, 704, 705, 711, 771, 772, 783, 784, 785, 791, 792, 793, 794, 795
서귀포시 공영버스622, 627, 690, 691, 692, 721, 722, 731, 732, 741, 742, 751, 752, 761-2, 880
(수요응답형)703, 743, 744, 761(-1, -3), 781, 782


8. 참고 사항

카카오맵 앱을 통해 실시간 버스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www.jeju.go.k[...]
[2] 문서 우리은행, 농협, 세븐일레븐, 롯데마트 등에서만 제한적으로 충전할 수 있다
[3] 문서 T형과 MT형은 사용가능이고 M형은 사용불가능이다
[4] 문서 T형과 MT형은 사용가능이고 M형은 사용불가능이다
[5] 문서 현재의 제주시청 자리
[6] 문서 수요가 없고 도로사정이 나빠서 운행이 중단됨
[7] 문서 제주부두 ↔ 도청/공항/외도동 노선, 관덕정 ↔ 아라/삼양 노선 5개 노선이다
[8] 문서 공항-신제주-터미널-광양-부두 / 인가대수 : 10대
[9] 문서 함덕-동문-서사로-신제주-하귀리
[10] 문서 이때 제주 시외버스 회사들이 시내버스 사업에 들어갔다
[11] 문서 LOTTE ATM이 있는 일부 지점에 한해 충전만 가능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