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주 양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주 양씨는 탐라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양을나를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양을나는 고을나, 부을나와 함께 한라산 삼성혈에서 솟아났으며, 일본에서 온 사자와 세 공주를 아내로 맞이하여 제주도에 정착했다. 제주 양씨는 유격공파와 성주공파로 나뉘며, 남원 양씨, 나주 양씨, 충주 양씨 등으로 분관되었다.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 14명, 무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했다. 2015년 인구는 142,211명이며, 제주특별자치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남서부 지역에 인구 비율이 높다. 양고부 세 성씨의 순서에 대한 기록은 고서에 따라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제주 양씨 - 양창수 (법조인)
    양창수는 1952년 제주에서 태어난 법조인이자 법학자로, 서울대 법대 교수로서 민법 연구에 기여하고 대법관으로 사회적 약자 보호에 힘썼으나, 검찰수사심의위원회 위원장 시절 공정성 논란으로 사퇴했다.
  • 제주 양씨 - 양귀자
    양귀자는 1978년 등단하여 사회적 약자, 도시 소외 계층을 다룬 작품과 『나는 소망한다 내게 금지된 것을』, 『모순』 등의 대중적 작품으로 성공한 대한민국의 소설가이며, 유주현 문학상, 이상문학상, 현대문학상 등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다.
제주 양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문 이름제주 양씨
종류씨족
국가조선
영지제주특별자치도
시조양을나
중시조양순(梁洵)
저명한 인물양팽손
양산보
양유성
양응정
양산숙
양한묵
양기탁
양주동
양회경
양회수
양재봉
양달승
양정규
양영식
양영태
양삼승
양동관
양승숙
양형일
양회문
양창수
양종수
양향자
양석조
양학선
양미경
양방언
양소영
양용은

2. 기원

탐라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세 신인(神人) 중 한 명인 '''양을나'''(良乙那)를 시조로 한다. 《고려사(高麗史)》 고기(古記)에는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7]

고려사』 지리지에 인용된 『고기(고기한국어)』의 기록을 보면 태고에 제주도한라산 북쪽 산록 모흥혈에서 고을나, 양을나, 부을나 세 신인이 솟아났다. 세 신인은 사냥을 하며 살았는데, 어느 날 제주도 동해안에 일본에서 흘러온 나무 상자가 표착했다. 나무 상자에는 세 명의 일본 국왕의 딸, , , 오곡의 씨앗이 들어 있었다. 양을나, 고을나, 부을나 세 신인은 각각 일본 국왕의 딸과 결혼하여 농업을 영위하고 가축을 길렀으며 자손이 번성했다.

3. 역사

탐라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세 신인(神人) 중 한 명인 '''양을나'''(良乙那)가 시조이다. 《고려사(高麗史)》의 고기(古記)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전해진다.[7]

탐라개국군왕(耽羅開國郡王) 양을나(良乙那)의 후손인 양탕(良宕)은 559년(진흥왕 20년) 신라에 사신으로 가서 양(梁)씨를 하사받았다고 한다.

중시조 양순(梁洵)은 682년(신문왕 2년) 신라에 들어가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낸 후 한라군(漢拏君)에 봉해졌다고 한다.

고려사』 지리지에 인용된 『고기(古記)』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태고에 제주도 한라산 북쪽 산록 모흥혈에서 고을나, 양을나, 부을나 세 신인이 솟아났다. 이들은 사냥을 하며 살았는데, 어느 날 제주도 동해안에 일본에서 온 나무 상자가 떠내려왔다. 상자 안에는 세 명의 일본 국왕의 딸, , , 오곡의 씨앗이 들어 있었다. 세 신인은 각각 일본 국왕의 딸과 결혼하여 농업을 하고 가축을 기르며 자손을 번성시켰다. 제주고씨, 제주 양씨, 제주 부씨는 이 세 신인의 후손으로 여겨진다.

고려사》 권57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남원 양씨, 충주 양씨 등 조선의 양씨는 모두 제주 양씨에서 분적되었다.

4. 본관

삼국유사》 해동안홍기(海東安弘記)에 구한(九韓)을 열거하였는데 탁라(乇羅)가 네 번째에 있다. 476년 백제 문주왕 때 탐라국(耽羅國) 사자(使者)에게 은솔(恩率)이란 벼슬을 주었다.[8] 백제가 망한 후, 661년(문무왕 원년) 탐라 국주(耽羅國主) 좌평(佐平) 도동음률(徒冬音律)이 신라에 항복하였다. 1105년(고려 숙종 10년) 탁라를 탐라군(耽羅郡)으로 개칭하였다.[8] 1416년(조선 태종 16년) 제주목이 설치되어 전라도에 속했다. 1946년 제주도로 승격하였고,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로 승격되었다.

5. 분파

제주 양씨는 크게 유격공파(遊擊公派)와 성주공파(星主公派)로 나뉜다. 유격공파는 양보숭(梁保崇)을 파조로 하고, 성주공파는 양구미(梁龜美)를 파조로 한다.

5. 1. 분관

6. 항렬표

항렬은 족보에서 이름자를 통일시켜 가문의 계통과 세대(世代)를 분명하게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글자이다.[5] 항렬자를 쓰는 방법으로는 이름의 앞 자나 뒷 자에 공통으로 한 글자를 정하여 쓰는 돌림자를 쓰는 방법과, 오행상생법(五行相生法)에 따른 글자를 변(邊)이나 부(部)에 돌려 쓰는 방법이 있다.

6. 1. 유격공파

○세손252627282930313233
행렬자[5]선(善)
호(鎬)
종(鍾)
현(鉉)
하(河)
해(海)
홍(洪)
호(浩)
근(根)
주(柱)
섭(燮)
희(熙)
기(起)
균(均)
기(基)
윤(鈗)
진(鎭)
종(鍾)
연(淵)
수(洙)
식(湜)
인(寅)
동(東)
용(容)
렬(烈)


  • 유격공 보숭계 학포파


○세손2122232425262728
행렬자[5]영(永)상(相)묵(默)재(在)회(會)승(承)동(東)렬(烈)


6. 2. 유격공 보숭계 학포파

○세손2122232425262728
행렬자[5]영(永)상(相)묵(默)재(在)회(會)승(承)동(東)렬(烈)


7. 인물

는 제거되어야 하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

제주 양씨는 고려 시대부터 조선 시대, 그리고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을 배출했다.

8. 과거 급제자

제주 양씨는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14명, 무과 급제자 20명을 배출하였다.

문과



무과



생원시



진사시


9. 집성촌

제주 양씨의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제주특별자치도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남서부 일대에 제주 양씨 인구 비율이 높다.[6] 특히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옛 남제주군)에는 5,040명(총 인구의 3.87%),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옛 북제주군)에는 17,311명(총 인구의 4.35%)이 거주하고 있다.[5]

9. 1. 북한

평안북도 영변군 일대에 거주한다.

10. 인구

2000년에는 133,355명, 2015년에는 142,211명이었다. 2015년 통계에 따르면 제주특별자치도,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남서부 일대에 총 인구 대비 비율이 높다.[6] 특히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7,311명, 총 인구의 4.35%, 옛 북제주군) 애월읍 상가리[5], 서귀포시 (5,040명, 총 인구의 3.87%, 옛 남제주군) 남원읍 신례리에 많이 분포한다.

11. 양고부 서열 논란

탐라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세 신인(神人) 중 한 명인 양을나(良乙那)를 시조로 하는 제주 양씨는, 제주 고씨, 제주 부씨와 함께 삼성(三姓)으로 불린다. 이들 삼성의 순서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논란이 있어왔다.[7]

삼국유사(1281년), 고려사(1451년), 세종실록지리지(1454년, 단종 2년), 동국통감(1484년), 《탐라기년》에는 양고부(良高夫) 순으로 쓰여 있지만, 영주지와 탐라지는 '고양부' 순서로 기록하고 있다.

1484년(성종 15년)에 간행된 동국통감은 長曰良(장왈양)이라 하고 長爲良說(장위양설)이 굳어졌다. 1654년(효종 4년) 이원진(李元鎭) 목사(牧使)도 삼성혈조(三姓穴條)에 양고부(良高夫)라고 썼고, 1703년(숙종 29년) 이형상(李衡祥) 목사(牧使) 역시 삼성사(三姓祠) 상량문(上樑門)에 양고부(良高夫)로 썼다. 이때 사우(祠宇)를 완성하고 삼신인(三神人)의 위패(位牌) 순위를 정함에 있어서 삼성신인 강생(三姓神人 降生)의 사적 문헌과 국사를 널리 상고(詳考)한 끝에 양을나(良乙那)를 제1위에 모시고 고을나(高乙那)를 제2위에, 부을나(夫乙那)를 제3위로 결정한 후 제문(祭文)을 지어 위패(位牌)를 모시고 제사를 올렸다.

《영조실록》에 의하면 영조 5년(1771)에 고한준(高漢俊) 등이 주상(主上)께 주청하는 상소문에도 양고부(良高夫)로 썼다. 또한 이병도(李丙燾) 저(著) 《한국사》, 김태능(金泰能) 저 《제주도사논고》, 국사대사전, 한국사대사전, 현용준(玄容駿) 저 「제주도신기」에도 양고부(良高夫)로 기록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2
[2] 뉴스 양을라(良乙那) http://encykorea.aks[...] 2022-04-22
[3] 뉴스 부을나(夫乙那) http://encykorea.aks[...] 2022-04-22
[4] 웹사이트 (36)남원 양씨(南原梁氏)-218,546명 http://www.newsfc.co[...] 2014-08-26
[5] 웹사이트 양씨(梁氏) 본관(本貫) 제주(濟州)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6] 웹사이트 본관분포 https://sgis.kostat.[...] 2023-02-24
[7] 문서 『고려사』 권57, 지제11, 지리(地理)2 https://terms.naver.[...]
[8] 문서 세종실록 151권, 지리지 전라도 제주목 http://sillok.hist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