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차 대각성 운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차 대각성 운동은 18세기 유럽과 북미에서 일어난 개신교 부흥 운동이다. 유럽 대륙에서는 경건주의의 영향으로 종교적 열정을 강조하며, 중부 유럽의 니콜라우스 친젠도르프와 모라비아 교도들이 부흥을 이끌었다. 영국에서는 존 웨슬리, 찰스 웨슬리, 조지 휫필드를 중심으로 감리교 운동이 시작되었고, 웨일스와 스코틀랜드에서도 복음주의 부흥이 일어났다. 북미에서는 조나단 에드워즈, 조지 휫필드의 설교를 통해 신앙심이 고조되었으며, 기존 교회와의 분열을 초래했지만, 다양한 개신교 교파 간의 연합을 촉진했다. 대각성 운동은 여성, 흑인 노예에게 영향을 미쳤으며, 복음주의 교육 기관 설립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개신교 - 카미자르
    카미자르는 1702년부터 1710년까지 프랑스 세벤 지역에서 종교적 자유를 잃고 가톨릭으로 개종을 강요받은 위그노 농민들이 예언자들의 지도 아래 게릴라 전술로 왕실 군대에 저항한 봉기를 의미한다.
  • 18세기 개신교 - 경건주의
    경건주의는 17~18세기 개신교 내에서 일어난 신앙 운동으로, 개인의 신앙과 실천을 강조하며 루터교 정통주의에 대한 반성으로 시작되어 유럽 각 지역으로 확산되었고 다양한 종교 운동과 과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기독교사 - 솔로몬 스토다드
    솔로몬 스토다드는 하버드 대학교를 졸업하고 역사상 최초의 미국 사서로 임명되었으며, 뉴잉글랜드에서 영향력 있는 종교 지도자로서 하프웨이 언약을 제창하고 저술 활동을 했다.
  • 미국의 기독교사 - 조너선 에드워즈 (신학자)
    조너선 에드워즈는 18세기 미국의 회중교회 목사이자 신학자로, 대각성운동을 주도하며 칼뱅주의 신학을 발전시키고 미국 종교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노예제 옹호와 노예 소유 사실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 13개 식민지의 역사 - 버지니아 권리 장전
    버지니아 권리 장전은 1776년 버지니아에서 채택된 문서로, 개인의 권리를 옹호하고 정부의 권한을 제한하며, 미국 독립 선언문과 미국 권리 장전에 영향을 미쳤다.
  • 13개 식민지의 역사 - 보스턴 차 사건
    보스턴 차 사건은 1773년 영국 동인도 회사의 차 수입에 반대하여 보스턴 시민들이 차 상자를 바다에 버린 사건으로, 미국 독립 전쟁의 도화선이 되었다.
제1차 대각성 운동
개요
조나단 에드워즈의 설교
조나단 에드워즈의 설교
주요 인물조지 휘트필드
조나단 에드워즈
길버트 테넌트
새뮤얼 데이븐포트
제임스 데이븐포트
조나단 파슨스
슈발리에 테넌트
사무엘 블레어
새뮤얼 핀리
더비의 엘리자베스 샘슨
데이비드 브레이너드
로랜드 힐
발생 시기1730년대 - 1740년대
영향 지역영국
미국 식민지
특징
주요 특징열정적인 설교와 개인적인 구원 경험 강조
배경
배경계몽주의의 확산과 기존 교회의 형식주의에 대한 반발
영향
영향새로운 교파의 등장
선교 활동의 활성화
교육 기관 설립 증가
노예 제도에 대한 인식 변화
미국 독립 혁명에 간접적 영향
논쟁
논쟁설교 방식에 대한 비판
사회적 혼란 야기 우려
감정주의적 신앙에 대한 반발
추가 정보
관련 사건조지 휘트필드의 설교 여행
조나단 에드워즈의 "신앙 감정론" 출판

2. 유럽 대륙의 경건주의

역사가 시드니 E. 알스트롬은 대각성 운동을 경건주의를 만들어낸 "거대한 국제적 개신교 격변"의 일부로 보았으며, 이는 유럽 대륙의 루터교와 개혁 교회에서 일어났다.[1] 경건주의는 일반적으로 경건주의가 강했던 지역에서 발생했다.

2. 1. 경건주의의 특징

시드니 E. 알스트롬은 대각성 운동을 경건주의를 만들어낸 "거대한 국제적 개신교 격변"의 일부로 보았다.[1] 경건주의는 영적으로 건조하다고 여겨지는 과도하게 지적인 개신교 스콜라 철학에 대한 반작용으로 진심 어린 종교적 믿음을 강조했다. 특히, 경건주의자들은 종교적 경험과 애정에 집중하며 개신교 교회들 사이의 전통적인 교리적 분열에 대한 중요성을 덜 두었다.[2]

2. 2. 니콜라우스 친젠도르프와 모라비아 형제단

시드니 E. 알스트롬에 따르면 대각성 운동은 유럽 대륙의 루터교와 개혁 교회에서 일어난 경건주의를 만들어낸 "거대한 국제적 개신교 격변"의 일부였다.[1] 경건주의는 영적으로 건조하다고 여겨지는 개신교 스콜라 철학에 대한 반작용으로 진심 어린 종교적 믿음을 강조했다.[2]

중부 유럽에서 대각성 운동의 가장 중요한 지도자는 니콜라우스 친젠도르프였다. 그는 할레 대학교에서 경건주의 지도자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 밑에서 공부한 작센의 귀족이었다.[3] 1722년, 친젠도르프는 모라비아 교도 구성원들을 자신의 영지에 초대하여 함께 살며 예배하도록 했고, 헤른후트에 공동체를 설립했다. 이 공동체는 독일 루터교인, 개혁 기독교인, 재세례파를 포함한 다른 개신교인들의 피난처가 되었다. 교회는 성장하기 시작했고, 모라비아 교도 협회가 잉글랜드에도 설립되어 복음주의 부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4]

3. 영국의 복음주의 부흥 운동

18세기 초, 뉴잉글랜드를 중심으로 한 초기 미국 이민 사회는 종교와 사회의 결합이 매우 강했다. 청교도들은 만인 제사장과 성경 지상주의 사상에 따라 일반 신도들에게도 높은 수준의 성경 이해를 요구했고, 이는 목사들의 설교를 통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설교는 지루하고 청중을 열광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청교도 사회에서는 회심이 중요하게 여겨졌는데, 이는 사회 공동체에 인정받는 것과 같았다.

시간이 흐르면서 세대 교체와 타 문화권 이민자들의 증가로 청교도 사회에 균열이 생기기 시작했다. 신앙심의 정도와 회심에 대한 이견이 발생했고, 기존 청교도들은 자녀들의 회심에 대한 불안감을 느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속에서 대각성 운동이라 불리는 일련의 움직임이 발생했다.

3. 1. 존 웨슬리, 찰스 웨슬리, 조지 휫필드

찰스 웨슬리 형제, 그리고 조지 휫필드는 영국 복음주의 부흥 운동의 주요 지도자였다.[2] 이들은 옥스퍼드 대학교의 "홀리 클럽" 회원이었다. 이들은 방법론적인 경건함과 엄격한 금욕주의 때문에 "감리교인"이라고 불렸으며, 감리교 운동의 창시자가 되었다.

조지 휫필드는 찰스 웨슬리의 영향으로 독일 경건주의자 아우구스트 헤르만 프랑케와 스코틀랜드 신학자 헨리 스코걸의 저서를 읽고 새로운 거듭남을 추구했다. 휫필드는 1735년 사순절 동안 개심을 경험했다.

3. 2. 야외 설교와 평신도 설교자

조지 휫필드는 브리스톨 근처의 킹스우드 광산 지역에서 야외 설교를 시작했다.[3] 야외 설교는 웨일스,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에서는 흔했지만, 영국에서는 들어본 적이 없었다.[3] 휫필드의 야외 설교는 일주일 안에 10,000명의 군중을 모았고, 5월에는 50,000명의 런던 군중에게 설교를 할 정도로 많은 사람들을 모았다.

존 웨슬리는 처음에 야외 설교에 대해 불안해했지만, "온 세상이 나의 교구"라고 주장하며 마음을 바꾸었다.[3] 1739년 4월 2일, 웨슬리는 브리스톨 근처에서 약 3,000명의 사람들에게 설교했다.[3] 그때부터 그는 집회를 모을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설교를 계속하면서 그 운동에 추종자를 모집했다.

웨슬리와 휫필드는 증가하는 전도 및 목회적 책임을 감당하기 위해 평신도 설교자 및 지도자를 임명했다.[4] 감리교 설교자들은 특히 잉글랜드의 기존 교회에 의해 "소외된" 사람들을 전도하는 데 집중했다. 웨슬리와 그의 조수 설교자들은 새로운 개종자들을 감리교 협회로 조직했다.[4]

3. 3. 웨일스와 스코틀랜드의 복음주의 부흥

하웰 해리스cy와 다니엘 롤랜드cy의 설교는 웨일스에서 웨일스 감리교 부흥cy을 촉발했다. 스코틀랜드에서는 에베네저 어스킨gd, 윌리엄 맥컬로크gd, 제임스 로브gd와 같은 목사들이 복음주의 부흥을 이끌었다.

4. 북미의 대각성 운동

필라델피아의 제2장로교회는 신파 길버트 테넌트가 목사로 있었으며, 구파와 신파 장로교도 간의 분열 이후 1750년에서 1753년 사이에 건설되었다.


제1차 대각성 운동은 개신교 교회 내의 갈등을 심화시켜 "신파"(부흥 운동 지지)와 "구파"(부흥 운동 반대) 사이의 분열을 일으켰다. 구파는 종교적 열정과 순회 설교자가 교회의 질서를 해친다고 보았고, 형식적 예배와 정규 교육을 받은 목사를 선호하며 부흥 운동가들을 비난했다. 신파는 구파가 영혼 구원보다 사회적 지위에 더 관심이 많다고 비판하며, 일부 구파 목사의 회심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고 교구 경계를 무시하는 순회 목사를 지지했다.[1]

뉴잉글랜드 회중교회는 98개의 분열을 겪었고, 코네티컷에서는 세금 부과 목적의 "공식" 그룹을 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 뉴잉글랜드 교회는 신파, 구파, 중립파가 각각 3분의 1씩 차지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각성 운동은 교회 분리주의를 일으켜 엄격한 회중주의자들에 의해 약 100개의 분리주의 교회가 조직되었다. 이들은 반쪽 언약과 세이브룩 플랫폼에 반대했고, 코네티컷에서 박해받았다.[1]

침례교는 제1차 대각성 운동으로 가장 큰 성장을 이루었다. 18세기 후반 크게 성장하여 1804년 뉴잉글랜드에 300개 이상의 침례교회가 있었는데, 이는 신자 침례를 믿게 된 이전 신파 회중교도들의 유입이 주된 원인이었다.[1]

장로교에서는 "구파"와 "신파" 사이에 구파-신파 논쟁이 일어났다. 논쟁의 핵심은 부흥 운동의 위치, 특히 "교리적 정통성과 그리스도에 대한 경험적 지식 사이의 관계"였다. 신파는 개인적 종교 경험 없는 교리 고수는 무의미하다고 믿었다. 이는 테넌트의 1739년 설교 "개종하지 않은 목사의 위험"에 잘 나타나 있다. 화이트필드의 순회는 부흥 운동 성장에 기여했지만, 논쟁을 심화시켰다. 1741년 필라델피아 노회에서 구파는 신파를 추방했고, 신파는 뉴욕 노회로 재조직되었다.[1]

1737년 예일 대학교 출신 회중교회 목사이자 신학자 조나단 에드워즈가 1734년부터 뉴잉글랜드에서 나타난 신앙심 고양 현상을 런던에 보고한 것이(『진실한 보고』) 하나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에드워즈는 매사추세츠주 노샘프턴에서 일어난 일이 주변 마을로 퍼져나갔다고 보고했다.

1741년 에드워즈는 『분노하신 하나님의 손 안에 있는 죄인』 설교로 큰 부흥을 일으켰다. 영국 감리교 전도자 조지 화이트필드는 1739년 뉴잉글랜드를 방문하여 식민지 전체를 순회하며 설교했고, 이후에도 여러 번 미국을 방문하여 에드워즈와 함께 제1차 대각성 운동의 주역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설교는 몸짓과 쉬운 말을 사용했고, 매우 감정적이었다. 새로운 설교 스타일은 종교 열정을 되살렸고, 참가자들은 열정적으로 종교에 참여했다. 부흥 찬성파는 "뉴 라이트", 반대파는 "올드 라이트"로 불렸다. 이 분열은 두 신학적 흐름을 낳았고, 회심 운동의 영향으로 사람들은 집에서 성경을 공부하며 종교적 개인주의 경향을 보였다.

제1차 대각성 운동은 개인적 죄와 구원의 필요성을 납득시키는 강력한 설교에서 비롯되었고, 사람들을 "자신만의 방식으로 하나님을 경험하도록" 이끌었다. 뉴잉글랜드 중심의 초기 이민자, 특히 청교도 사회에서는 종교와 사회의 결합이 중요했다.

만인 제사장과 성경 지상주의 사상에 따라 일반 신도에게도 신학적 성경 이해가 권장되어 주일 예배가 중요했다. 1629년 매사추세츠 만 식민지에서는 1636년 하버드 대학교 설립이 결정되었는데, 이는 목사 양성 기관(목사가 아니더라도 성경 이해를 위한 기초 교양을 배우는 곳) 역할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목사는 성경 내용을 가르치고 설교하는 존재로 필요했고, 주일 예배는 대중에게 고도의 성경 이해를 지도하는 지성이 요구되는 자리였지만, 설교는 지루하고 열광시킬 요소가 없었다.

이 식민지 사회에서 회심은 중요했다. 가톨릭 등 전통 기독교는 세례(유아 세례)로 입교를 간주했지만, 청교도는 형식으로 간주하고[14] 성인의 세례, 회심을 중요하게 여겼다. 회심 인정은 교회 대표자들 앞에서 보고(신앙 고백)하고 판단받는 형식이었다. 종교와 결합된 사회에서 회심 인정은 사회(공동체) 인정과 같았고, 식민지 사회에서 회심 인정은 절실한 문제였다.

18세기에 세대 교체, 타 문화권 이민자들의 인구 증가로 청교도 사회에 균열이 생겼다. 신앙심 정도가 일정하지 않고, 지나치게 엄격한 종교관을 따라가지 못해 신앙심 증명에 대한 이견이 발생했다. 기존 청교도들은 자녀들의 회심 인정에 대한 불안,[15] 새로운 세대는 내면 문제인 회심(신성 체험)이 외부에서 판단, 인정될 수 있을지에 대한 불안이 있었다. 목사들은 신자들의 신앙 냉담함에 고민이 있었다.

이러한 사회 정세 속에서 대각성 운동이 발생했다.

4. 1. 초기 부흥

18세기 초, 13개 식민지는 종교적으로 다양했다. 뉴잉글랜드 식민지에서는 회중 교회가 국교였지만, 종교적으로 관용적인 중부 식민지에서는 퀘이커, 네덜란드 개혁 교회, 성공회, 장로교, 루터교, 회중 교회, 침례교가 모두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했다. 남부 식민지에서는 성공회가 공식적으로 세워졌지만, 상당수의 침례교, 퀘이커, 장로교 신자들이 있었다.[1] 동시에 교회 회원 수는 인구 증가에 따라가지 못해 낮았으며, 계몽주의 합리주의의 영향으로 많은 사람들이 무신론, 이신론, 유니테리언주의, 보편주의로 향했다.[2] 뉴잉글랜드의 교회들은 "경험적 신앙이 소수의 사람들에게만 현실이었던 고루하고 일상적인 형식주의"에 빠졌다.[3]

이러한 경향에 대응하여, 뉴잉글랜드 청교도주의, 스코틀랜드-아일랜드 장로교, 유럽 경건주의의 영향을 받은 목사들은 종교와 경건의 부흥을 촉구하기 시작했다. 1710년대와 1720년대에 뉴잉글랜드 회중 교회에서 부흥이 더 자주 일어났다.[4] 이러한 초기 부흥은 인쇄 매체의 보급 부족으로 인해 지역적인 행사에 머물렀다. 1727년 지진으로 촉발된 부흥이 널리 알려지게 된 최초의 부흥이었다. 부흥이 더 널리 홍보되면서 단순한 지역 행사가 아닌 지역적이고 대서양 횡단적인 행사로 변모했다.[5]

4. 2. 중부 식민지의 복음주의 세력

윌리엄 테넌트를 중심으로 중부 식민지의 장로교회에 복음주의 세력이 형성되었다. 테넌트는 로그 칼리지라는 신학교를 설립하여 새뮤얼 블레어를 포함하여 20명 가까운 장로교 부흥 운동가를 목회자로 양성했다. 길버트 테넌트는 뉴저지의 한 교회에서 목회하던 중 네덜란드 개혁 교회 목사 테오도루스 야코부스 프렐링후이젠과 알게 되었다. 역사학자 시드니 올스트롬은 프렐링후이젠을 "대각성 운동의 아버지라고는 할 수 없지만 중요한 선구자"라고 묘사했다. 프렐링후이젠은 개인적 회심과 거룩한 삶을 강조한 경건주의자였다. 그가 라리탄 밸리에서 이끈 부흥은 중부 식민지에서 일어난 대각성 운동의 "선구자"였다. 프렐링후이젠의 영향으로 테넌트는 확실한 회심 경험과 구원의 확신이 기독교인의 핵심이라고 믿게 되었다. 1729년까지 테넌트는 뉴브런즈윅과 스태튼아일랜드의 장로교회에서 부흥의 조짐을 보였다. 동시에 길버트의 형제인 윌리엄과 존은 뉴저지 프리홀드에서 부흥을 이끌었다.

4. 3. 조나단 에드워즈와 노샘프턴 부흥

조나단 에드워즈는 매사추세츠주 노샘프턴 부흥을 이끈 회중교회 목사였다.[13] 1734년 가을, 에드워즈는 오직 믿음으로 의롭게 됨에 대한 설교를 통해 큰 반향을 일으켰다. 평신도, 특히 젊은이들 사이에서 종교적 헌신이 증가했다.[13] 에드워즈는 보스턴의 벤자민 콜먼 목사에게 편지를 보내 "마을이 사랑과 기쁨과 고통으로 가득한 적이 없었다"고 전했다.[14] 이 부흥은 매사추세츠 서부와 코네티컷 중부의 25개 지역으로 확산되었으나, 1737년에 쇠퇴하기 시작했다.[15]

에드워즈는 알미니우스주의 신학이 인기를 얻는 상황에서도 전통적인 칼뱅주의 교리를 고수했다. 그는 개종을 기독교의 영적 죽음에서 기쁨으로 이동하는 경험으로 이해했다. 그는 하나님이 개인을 거듭나게 하는 단일 시점이 있다고 믿었다.

노샘프턴 부흥은 열광주의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지지자들은 이를 성령의 징후로 믿었다. 예배는 더 감정적이 되었고, 일부는 환시와 신비주의적인 경험을 했다. 에드워즈는 이러한 경험들이 하나님의 영광에 대한 더 큰 믿음으로 이어진다면 옹호했다.

에드워즈는 노샘프턴 부흥에 대한 기록인 ''충실한 이야기''를 출판하여 영국의 저명한 복음주의자 존 가이즈와 아이작 와츠를 통해 영국에서 출판되었다. 이는 영국에서 에드워즈의 명성을 높였고, 부흥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충실한 이야기''는 다른 부흥의 모델이 되었다.

조나단 에드워즈가 뉴잉글랜드에서 일어난 일을 기록하여 런던에서 출판한 『진실한 보고』의 표지

4. 4. 조지 휫필드의 순회 설교

조지 화이트필드는 1739년뉴잉글랜드를 재방문하여 1년 동안 식민지 전체를 순회하며 설교했고, 그 후에도 여러 번 미국을 방문하여 민중의 신앙심에 불을 지폈다. 조나단 에드워즈와 함께 제1차 대각성 운동의 주요 주역으로 알려져 있다.

화이트필드로 대표되는 당시의 전도 활동은 신학적 논거에 기반한 고도의 설교를 배제하고, 신학적 소양이 없는 사람도 알기 쉽고 평이한 설교를 했다. 그의 설교는 이전의 설교에 필수적이었던 신학적 엄밀성은 부족했지만, 청중을 "열광"시키고, "자각적인 회심"을 줌으로써 지지를 높였다.

화이트필드는 격정적인 목소리로 청중의 감정을 흔들었다. 또한, 기존의 목사들로부터 비판을 받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설교 장소였던 교회에서 쫓겨나, 광장 등을 주요 설교 장소로 삼았다. 때로는 교회에서의 설교보다 훨씬 많은 청중을 앞에 두고, 광장 전체에 울려 퍼지는 성량으로 설교를 하여 집단적인 회심을 일으켰다.

4. 5. 길버트 테넌트와 제임스 데이븐포트

조지 화이트필드의 요청으로 길버트 테넌트뉴잉글랜드를 순회하며 설교했다.[1] 제임스 데이븐포트는 더욱 논란이 많은 순회 설교자였으며, 광신적인 설교로 인해 추방되기도 했다.[1]

4. 6. 대각성 운동의 확산과 분열

제1차 대각성 운동은 개신교 교회 내의 기존 갈등을 악화시켰으며, "신파"(부흥 운동 지지자)와 "구파"(부흥 운동 반대자) 사이의 분열로 이어졌다. 구파는 종교적 열정과 순회 설교자의 등장을 교회의 질서를 파괴하는 것으로 보고, 형식적인 예배와 정규 교육을 받은 목사를 선호하며 부흥 운동가들을 무지하고, 이단적이며, 사기꾼으로 조롱했다.[1] 반면 신파는 구파가 영혼 구원보다 사회적 지위에 더 관심이 많다고 비난하고, 일부 구파 목사들의 진정한 개종 여부에 의문을 제기하며 교구 경계를 무시하는 순회 목사들을 지지했다.[1]

뉴잉글랜드 회중교회는 98개의 분열을 겪었으며, 이는 코네티컷에서 세금 부과 목적으로 어떤 그룹이 "공식"으로 간주될 것인지에도 영향을 미쳤다.[1] 뉴잉글랜드 교회는 신파, 구파, 그리고 양쪽 입장을 모두 유효하다고 보는 사람들로 각각 약 3분의 1씩 구성된 것으로 추정된다.[1] 대각성 운동은 교회 분리주의 감정을 불러일으켰고, 엄격한 회중주의자들에 의해 약 100개의 분리주의 교회가 지역 전체에 조직되었다.[1] 이들은 반쪽 언약에 반대하며 교회 회원이 되기 위한 개종 증거를 요구했고, 회중 자율성을 침해한다고 여긴 준장로교식 세이브룩 플랫폼에도 반대했다.[1] 분리주의자들은 회중교회 통일성을 위협했기 때문에 박해받았으며, 코네티컷에서는 침례교, 퀘이커, 성공회와 같은 법적 관용을 누리지 못했다.[1]

침례교는 제1차 대각성 운동의 가장 큰 수혜자였다. 부흥 운동 이전에는 소수였지만, 18세기 후반에 크게 성장했다.[1] 1804년까지 뉴잉글랜드에는 300개 이상의 침례교회가 있었는데,[1] 이는 신자 침례와 같은 침례교 교리를 확신하게 된 전 신파 회중교도들의 유입이 주된 원인이었다. 어떤 경우에는 분리주의 교회 전체가 침례교 신념을 받아들이기도 했다.[1]

장로교회에서는 부흥 운동 반대파인 "구파"와 지지파인 "신파" 사이에 구파-신파 논쟁이 일어났다. 논쟁의 핵심은 미국 장로교에서 부흥 운동의 위치, 특히 "교리적 정통성과 그리스도에 대한 경험적 지식 사이의 관계"였다.[1] 길버트 테넌트와 조나단 디킨슨이 이끈 신파는 개인적인 종교적 경험 없이는 정통 교리에 대한 엄격한 고수도 무의미하다고 믿었다. 이는 테넌트의 1739년 설교 "개종하지 않은 목사의 위험"에 잘 나타나 있다.[1] 화이트필드의 순회는 부흥 운동 성장에 기여했지만, 논쟁을 더욱 심화시켰다. 1741년 5월 필라델피아 노회에서 구파는 신파를 추방했고, 신파는 이후 뉴욕 노회로 재조직되었다.[1]

4. 7. 대각성 운동의 신학

제1차 대각성 운동은 개신교 교회가 부흥을 경험한 첫 번째 사례는 아니었지만, 비교적 획일적인 복음주의적 정체성이 기독교의 구원, 복음 전파, 그리고 회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처음 등장한 사건이었다.[11] 부흥 신학은 한 사람이 기독교 신앙을 받아들이고, 삶을 통해 그 신앙을 표현하는 단계인 구원의 방식에 초점을 맞췄다.

조지 화이트필드, 조나단 에드워즈, 길버트 테넌트, 조나단 디킨슨, 새뮤얼 데이비스와 같은 제1차 대각성 운동의 주요 인물들은 청교도 전통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경건주의적 형태의 칼뱅주의를 설교한 온건한 복음주의자들이었는데, 그들은 종교가 단순히 지적인 활동일 뿐만 아니라 마음으로 느끼고 경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6]

이 온건한 부흥 신학은 죄에 대한 자각, 회심, 위로의 세 단계 과정을 거쳤으며,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졌다.[8]

4. 7. 1. 죄의 자각

부흥사들은 하나님의 거룩함과 도덕법을 강조하여 회심하지 않은 자들에게 죄의 자각을 일으켰다.[14] 조나단 에드워즈의 설교 "진노하신 하나님의 손 안의 죄인들"은 그러한 설교의 대표적인 예시이다.[15]

부흥사들은 원죄무조건적 선택 교리를 설교하며, 죄의 자각을 경험하는 사람들에게 기도, 성경 공부, 교회 출석, 개인적인 도덕적 향상과 같은 은혜의 수단을 적용하도록 권면했다.

4. 7. 2. 회심

부흥주의자들은 중생이 단순히 외적인 신앙 고백이 아니라, 성령의 즉각적이고 초자연적인 역사라고 믿었다.[4] 진정한 회심에는 구원하는 믿음, 회개, 하나님에 대한 사랑이 동반되었으며, 이는 훈련된 목사의 지도하에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지속되는 회심 경험의 모든 측면이었다.[4] 부흥주의자들은 진정한 회심(하나님에 대한 사랑과 죄에 대한 증오로 동기 부여됨)을 거짓 회심(지옥에 대한 두려움으로 동기 부여됨)과 구별했다.[4]

4. 7. 3. 위로

부흥 운동가들은 구원의 확신이 기독교적 성숙함과 성화의 산물이라고 가르쳤다.[3] 개종자들은 자기 성찰과 기독교적 실천을 통해 확신을 추구하도록 권장되었다.[3][4]

5. 대각성 운동의 사회적 영향

대각성 운동은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는데, 특히 여성과 흑인 노예들에게 새로운 기회와 변화를 가져다주었다.

여성들은 대각성 운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종교적인 경험을 공유하며, 글을 쓰는 등 이전에는 제한되었던 활동에 참여하게 되었다.[8] 이들은 남편 선택과 같은 중요한 문제에서도 이전보다 더 독립적인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9] 한나 히튼과 같은 여성은 자서전을 통해 자신의 경험을 기록했으며, 필리스 휘틀리는 최초의 흑인 여성 시인으로서, 자신의 작품을 통해 기독교 신앙을 드러냈다. 사라 오스본은 교사로서, 회고록, 일기, 편지 등을 통해 당시의 영적, 문화적 변화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했다.

흑인 노예들에게 대각성 운동은 영적인 평등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여, 많은 흑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는 계기가 되었다.[10] 복음주의 지도자들은 노예 소유주에게 노예들을 교육하여 문자를 읽고 성경을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선언했고, 이에 따라 많은 아프리카인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12] 조지 휫필드는 비록 노예 제도를 폐지하는 데는 이르지 못했지만, 평등주의적 메시지를 설교하여 많은 아프리카인들에게 영향을 주었다.[10] 새뮤얼 데이비스는 흑인 노예들에게 설교하고, 그들이 교육을 통해 백인과 동등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12]

이러한 변화는 미국 식민지에서 최초의 흑인 회중과 교회가 설립되는 기반이 되었다. 미국 독립 전쟁 이전, 버지니아, 사우스캐롤라이나, 조지아 남부에는 최초의 흑인 침례교회가 설립되었고, 버지니아주 페테르스버그에는 두 개의 흑인 침례교회가 설립되었다.

5. 1. 여성

대각성 운동은 여성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여성에게는 설교하거나 지도자 역할을 맡는 것이 거의 허용되지 않았다.[8] 깊은 종교적 열정은 특히 여성들이 자신의 감정을 분석하고, 다른 여성들과 공유하며, 이에 대해 글을 쓰도록 장려했다. 여성들은 남편 선택과 같이 자신의 결정에 있어서 더욱 독립적이 되었다.[9] 이러한 자기 성찰은 많은 여성들이 일기를 쓰거나 회고록을 쓰도록 이끌었다. 코네티컷주 노스헤이븐의 농부의 아내였던 한나 히튼(1721–1794)의 자서전에는 대각성 운동에서의 그녀의 경험, 기독교의 악마와의 만남, 그녀의 지적 및 영적 성장, 그리고 농장에서의 일상 생활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필리스 휘틀리는 최초로 출판된 흑인 여성 시인으로, 그녀는 미국으로 오기 전 어린 시절에 기독교로 개종했다. 그녀의 작품에는 그녀의 신념이 명확하게 드러나 있었고, "아프리카에서 미국으로 오다"라는 제목의 시에서 이교도 땅에서 기독교를 접하기 위해 식민지로 끌려온 여정을 묘사했다. 휘틀리는 부흥 운동, 특히 조지 화이트필드의 영향을 받아 그가 죽은 후 그에게 헌정하는 시를 썼으며, 그를 "공정한 구원자"라고 칭했다. 사라 오스본은 대각성 운동 시기 여성의 역할에 또 다른 측면을 더한다. 그녀는 로드아일랜드의 교사였으며, 그녀의 저술은 1743년 회고록, 다양한 일기 및 편지, 익명으로 출판된 ''진정한 기독교의 본질, 확실성 및 증거''(1753)를 포함하여 당시의 영적, 문화적 격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5. 2. 흑인 노예

대각성 운동은 흑인 노예들에게 영적인 평등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하여, 많은 흑인들이 기독교로 개종하는 계기가 되었다.[10] 남부 식민지의 복음주의 지도자들은 노예 소유주에게 노예가 된 사람들을 교육하여 문자를 읽고 성경을 읽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선언했다. 그래서 많은 아프리카인들이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12]

조지 휫필드는 평등주의적 메시지를 설교했지만, 이는 식민지의 아프리카인들에게는 영적 평등으로만 해석되었고, 그들은 대부분 노예로 남아 있었다. 그는 노예를 잔혹하게 대하고 교육하지 않는 노예 소유주를 비판했지만, 노예 제도를 폐지할 의향은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휫필드는 많은 아프리카인들 사이에서 영향력을 갖게 되었다.[10]

새뮤얼 데이비스는 프린스턴 대학교의 네 번째 총장이 된 장로교 목사였다.[11] 그는 기독교로 개종한 아프리카인 노예들에게 많은 수의 설교를 한 것으로 유명하다.[12] 데이비스는 1757년에 쓴 편지에서 자신의 여행 중에 만난 노예의 종교적 열정에 대해 언급하면서, "저는 더 이상 그렇게 살지 않기로 결심했습니다."라고 썼다.[13] 데이비스는 흑인들이 적절한 교육을 받으면 백인과 동등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고 믿었고, 노예 소유주들이 노예가 된 사람들이 문자를 읽을 수 있도록 허용하여 성경의 가르침에 더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의 중요성을 장려했다.

부흥 운동의 감정적인 예배는 많은 아프리카인들에게 호소력이 있었고, 아프리카 지도자들은 개종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상당한 수로 부흥 운동에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 인물들은 미국 식민지에서 최초의 흑인 회중과 교회를 설립하는 길을 열었다. 미국 독립 전쟁 이전, 최초의 흑인 침례교회가 버지니아, 사우스캐롤라이나, 조지아 남부에 설립되었고, 버지니아주 페테르스버그에는 두 개의 흑인 침례교회가 설립되었다.

6. 대각성 운동에 대한 학문적 해석

역사가 존 하워드 스미스는 대각성 운동이 미국의 기독교의 본질적인 특징을 종파주의로 만들었다고 언급했다. 대각성 운동은 많은 개신교 교회를 구교와 신교로 분열시켰지만, 다양한 개신교 교파들 사이에서 교파 간의 연합을 향한 강력한 움직임을 촉발시켰다. 복음주의자들은 새로운 탄생을 "교리나 정치의 세부적인 부분에 대한 의견 불일치를 초월하는 친교의 유대"로 여겼으며, 이로 인해 성공회, 장로교, 회중교회 등이 교파의 경계를 넘어 협력할 수 있었다.[1]

구교와 신교 사이의 분열은 여전히 존재했지만, 신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덜 급진적으로 변했고, 복음주의는 더욱 주류가 되었다.[2] 1758년까지 장로교에서 구파와 신파의 분열은 해소되었고, 두 파벌은 재결합했다. 이는 부분적으로 신파의 성장과 구파의 수적 감소에 기인했다. 1741년에 부흥을 지지하는 측은 약 22명의 목사를 거느렸지만, 이 숫자는 1758년까지 73명으로 증가했다.[3] 대각성 운동의 열기는 사라졌지만, 부흥주의의 수용과 개인적인 회심에 대한 강조는 18세기와 19세기의 장로교에서 반복되는 특징으로 남았다.[4]

대각성 운동은 복음주의 교육 기관의 설립에 영감을 주었다. 1746년, 신파 장로교는 프린스턴 대학교가 될 학교를 설립했다.[3] 1754년, 엘리자르 휠록의 노력으로 다트머스 대학교가 설립되었는데, 이는 원래 아메리카 원주민 소년들을 그들의 민족에게 선교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훈련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5] 처음에는 저항했지만, 예일 대학교는 부흥주의를 받아들이게 되었고, 다음 세기에 걸쳐 미국 복음주의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6]

"대각성 운동"이라는 개념은 역사가 존 버틀러에 의해 모호하고 과장되었다고 비판받았다. 그는 18세기 부흥 운동이 아메리카 식민지의 절반에서만 일어난 지역적인 사건일 뿐이며, 미국 종교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했기 때문에 역사가들이 "대각성 운동"이라는 용어를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7] 역사가들은 대각성 운동이 그 직후에 일어난 미국 독립 혁명에 정치적인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여왔다. 앨런 하이머트는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지만, 대부분의 역사가들은 그 영향이 미미했다고 생각한다.[8]

7. 대각성 운동과 한국 개신교

대각성 운동은 직접적으로 한국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19세기 말 한국에 전래된 개신교 선교사들의 신앙과 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평양 대부흥 운동(1907년)은 대각성 운동의 정신과 유사하게, 개인의 회개와 성령 체험을 강조하며 한국 개신교 부흥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한국 개신교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 격동의 시기를 겪으면서, 대각성 운동의 신앙적 유산을 바탕으로 민족의 고난 극복과 사회 변화에 기여하는 역할을 수행했다. 오늘날 한국 개신교는 대각성 운동의 긍정적인 유산과 함께, 지나친 감정주의, 분열, 기복신앙 등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7. 1. 한국 개신교에 대한 시사점

(내용 없음)

참조

[1] 웹사이트 Slavery and African American Religion https://www.encyclop[...] 2023-05-11
[2] 문서 Great Awakening' is a largely American term for the transatlantic revivals of the eighteenth century. British Christians usually refer to the revivals—collectively and more simply—as 'the evangelical revival.
[3] 서적 John Wesley the Methodist: a plain account of his life and work http://wesley.nnu.ed[...] Methodist Book Concern
[4] 서적 Recovering the Love Feast: Broadening Our Eucharistic Celebrations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1-01
[5] 문서 A short history of Methodism https://archive.org/[...]
[6] 서적 Early Methodists Under Persecution https://openlibrary.[...] Methodist book concern 1916
[7] 논문 Writing the Revival: The Intersections of Methodism and Literature in the Long 18th Century Literature Compass
[8] 문서 On Being Brought From Africa to America. http://www.vcu.edu/e[...] Poems By Phillis Wheatley
[9] 문서 An Elegiac Poem On the Death of that celebrated Divine, and eminent Servant of Jesus Christ, the Reverend and Learned Mr. George Whitefield. http://www.masshist.[...] Massachusetts Historical Society
[10] 간행물 To the Inhabitants of Maryland, Virginia, North and South Carolina
[11] 웹사이트 Presidents of Princeton http://www.princeton[...] 2012-04-08
[12] 웹사이트 Samuel Davies and the Transatlantic Campaign for Slave Literacy in Virginia, http://www.historicp[...] 2012-04-08
[13] 문서 Letters from the Reverend Samuel Davies
[14] 문서 後にアメリカに広がることとなるバプテストのように幼児洗礼を明確に否定する教派も登場する。
[15] 문서 幼児洗礼を全面的に認める教派においてはこのような心配は存在しな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