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14사단 (일본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4사단은 1905년 러일 전쟁 증원 부대로 창설된 일본 제국 육군의 보병 사단이다. 러일 전쟁 종결 후 재편성을 거쳐 시베리아 개입에 참여했으며, 만주사변과 중일 전쟁에도 투입되었다. 태평양 전쟁 중에는 팔라우 제도에서 미군과 격전을 치렀으며, 펠렐리우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종전 당시에는 바벨다오브 섬에 주둔했다. 사단은 보병 제27여단과 제28여단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여단은 2개의 보병 연대로 편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베리아 전쟁 - 시베리아 개입
    시베리아 개입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러시아 내전 시기에 연합국이 전쟁 물자 보호, 체코슬로바키아 군단 지원, 반볼셰비키 세력 지원 등을 목적으로 시베리아 지역에 군대를 파견한 군사 작전으로, 여러 국가가 참여했으며 특히 일본은 장기간 주둔하며 복잡한 상황을 야기하여 일본의 국내 정치와 대외 정책에 영향을 미쳤다.
  • 시베리아 전쟁 - 니콜라옙스크 사건
    1920년 러시아 내전 중 니콜라옙스크에서 적군 빨치산이 일본군과 거류민을 공격하여 대규모 학살과 파괴가 발생했으며, 이는 일본의 시베리아 출병과 북사할린 점령의 구실이 되었고, 사건의 진상과 책임 소재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이 있다.
  • 1905년 설립된 단체 - 대한적십자사
    대한적십자사는 1905년 대한제국 칙령으로 설립되어 일제강점기 폐지 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지원으로 재건, 1949년 재조직되었으며, 재난구호, 혈액사업, 사회봉사, 국제협력, 남북 적십자 회담 등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대한민국의 인도주의 단체이다.
  • 1905년 설립된 단체 - 국제 역도 연맹
    국제 역도 연맹은 역도 종목을 관장하는 국제 기구로, 주요 대회를 주관하지만 도핑 및 부패 스캔들로 국제 올림픽 위원회로부터 제재를 받아 개혁을 통해 올림픽 종목 존속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제14사단 (일본군)
제14사단 (일본군)
제14사단 마크
제14사단 마크
정보
이름제14사단
원어이름第14師団 (다이쥬욘시단)
활동 기간1905년 2월 ~ 1945년
국가일본 제국
소속일본 제국 육군
병과보병전
종류전투부대
규모사단

2. 역사

1905년 러일 전쟁을 계기로 후쿠오카현 고쿠라시에서 창설된 제14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까지 존속한 일본 제국 육군의 주요 사단 중 하나였다.[1]

1907년 사단 사령부를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로 옮기고 재편성을 거쳤다.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는 연합국시베리아 개입에 따라 시베리아에 파견되어 블라디보스토크 파견군의 지휘를 받았다. 1920년에는 니콜라옙스크에서 발생한 대규모 학살 및 테러 사건으로 보병 제2연대 제3대대가 전멸하기도 했다.[1]

1927년 남만주 관동주에 배치되어 5·3 참변 이후 1929년 귀환하였다.[1]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이 발발하자 관동군으로 전속되었고, 만주사변에서 북만주로 넘어가 장성전투에 참가하였다.[1] 1937년 화베이 전선에 배치되어 뤼순커우 작전, 바오딩, 산시성, 쉬저우 전투에 참전하였다.[1]

1939년 전선에서 물러나 1940년 만주 치치하얼시로 이동하여 삼각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1] 1941년 할힌골 전투(할하강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였고, 태평양 전쟁 발발 후 팔라우 제도에 배치되어 미군과 격전을 벌였다. 펠렐리우 전투앙가우르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으며, 제14사단 사령부는 바벨다오브섬에 주둔하다가 종전을 맞이했다.[1]

2. 1. 창설과 러일 전쟁 (1905년)

1905년 7월 6일, 러일 전쟁의 증원 부대로 후쿠오카현 고쿠라시에서 제14사단이 창설되었다. 초대 사단장은 다쓰야 미쓰하루 중장이었다. 부대는 오사카부 (보병 제53연대), 가가와현 젠쓰지시 (보병 제54연대), 히로시마현(보병 제55연대), 구마모토현(제56연대)에서 징집된 장병들로 편성되었다. 8월에 노기 마레스케가 이끄는 제3군에 배속되었으나, 전투에 참여하기에는 늦어 랴오둥 반도남만주철도 일대를 순찰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듬해 제10사단과 교대하고 효고현 히메지로 귀환하였다.

2. 2. 재편성과 시베리아 개입 (1907년 ~ 1920년)

1907년 9월, 사단 사령부를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로 옮겼다. 보병 제53연대는 제16사단으로, 보병 제54연대는 새로 창설된 오카야마의 제17사단으로, 보병 제55보병연대는 후쿠오카현 구루메시에서 창설된 제18사단으로 전속되었다. 그리고 지바현 사쿠라시의 보병 제2연대, 군마현 다카사카의 보병 제15연대, 새로 창설된 보병 제66연대가 사단의 보병연대가 되었다. 1908년 10월 23일에 재편성을 마쳤다.[1]

1909년에는 보병 제2연대가 넘어왔다. 보병 제28여단 사령부, 기병 제18연대, 야포병 제20연대, 치중병 제14연대가 우쓰노미야로 넘어와 사단에 소속되었다.[1]

1918년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시작된 연합국시베리아 개입에 따라 일본 제국 또한 시베리아에 원정군을 파견하였다. 제14사단은 1919년 12월 4일에 제12사단과 교대하여 1920년 10월까지 블라디보스토크 파견군의 지휘를 받았다. 1920년 6월, 니콜라옙스크에서 볼셰비키-아나키스트 집단과 일리야 박의 조선인 유격대에 의한 대규모 학살과 테러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으로 보병 제2연대 제3대대가 전멸하였다.[1]

2. 3. 만주사변과 중일 전쟁 (1925년 ~ 1940년)

1925년 3월, 보병 제66연대가 해체되고, 마쓰모토의 보병 제50연대가 보병 제28여단으로 전속되었다. 보병 제27여단 사령부는 미토에서 우쓰노미야로, 보병 제28여단 사령부는 우쓰노미야에서 다카사카로 옮겨갔다.[1]

1927년 4월, 남만주 관동주로 배치되어 여순에 사단 사령부를 두고 칭다오, 펑텐, 지난에 예하부대가 주둔하였다. 5·3 참변 이후 1929년 귀환하였다.[1]

1932년 3월 제1차 상하이 사변이 발발하자, 관동군으로 전속되었다. 5월, 만주사변에서 북만주로 넘어가고, 보병 제2연대는 남아서 장성전투에 참가하였다.[1]

1937년 화베이 전선에 배치되었다. 뤼순커우 작전, 바오딩, 산시성, 쉬저우 전투에 참전하였다.[1]

1939년 전선에서 물러나 1940년에 만주 치치하얼로 이동하여, 8월에 삼각사단으로 재편성됨에 따라 보병 제50연대가 제29사단으로 전속되었다. [1]

2. 4. 태평양 전쟁 (1941년 ~ 1945년)

1941년, 할힌골 전투(할하강 남부) 지역으로 이동하였다. 태평양 전쟁 발발 후, 팔라우 제도에 배치되어 미군과 격전을 벌였다. 펠렐리우 전투에서 보병 제2연대와 제3대대, 제15연대가 전멸하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1] 앙가우르 전투에는 보병 제59연대 1개 대대가 참전하였다.[1] 제14사단 사령부는 바벨다오브섬에 주둔하였으며, 미군이 상륙하지 않아 종전 시까지 그곳에 남아 있었다.[1]

3. 부대 편성

제14사단은 시기에 따라 편성이 바뀌었다. 1907년 재편성 이후, 사단 사령부는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로 이동했고, 예하 부대도 변경되었다.[1] 1909년에는 보병 제28여단 사령부, 기병 제18연대, 야포병 제20연대, 치중병 제14연대가 사단에 전속되었다.[1]

3. 1. 초기 편성 (1907년 재편성 이후)

1907년 9월, 사단 사령부는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로 옮겼다. 보병 제53연대는 제16사단으로, 보병 제54연대는 오카야마에서 새로 창설된 제17사단으로, 보병 제55보병연대는 후쿠오카현 구루메시에서 창설된 제18사단으로 각각 전속되었다. 그리고 지바현 사쿠라시의 보병 제2연대, 군마현 다카사키시의 보병 제15연대, 새로 창설된 보병 제66연대가 사단의 보병연대가 되었다. 이듬해 1908년 10월 23일에 재편성을 마쳤다.[1]

1909년에는 보병 제28여단 사령부, 기병 제18연대, 야포병 제20연대, 치중병 제14연대가 우쓰노미야에서 사단으로 전속되었다.[1]

1909년 재편성 당시 제14사단의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1]

부대 종류부대 이름주둔지
보병 제27여단보병 제2연대미토
보병 제27여단보병 제59연대우쓰노미야
보병 제28여단보병 제15연대다카사키
보병 제28여단보병 제50연대마쓰모토
기병기병 제18연대우쓰노미야
야포병야포병 제20연대우쓰노미야
공병공병 제14연대미토
치중병치중병 제14연대우쓰노미야


3. 2. 종전 당시 (1945년)


  • 제14사단 사령부
  • 병기근무부
  • 경리근무부
  • 보병 제2연대
  • * 제1대대
  • * 제2대대
  • * 제3대대
  • * 포병대대
  • ** 95식 야포 4문
  • ** 91식 10cm 유탄포 4문
  • * 공병, 통신, 보급, 위생중대
  • 보병 제15연대
  • * 제1대대
  • * 제2대대
  • * 제3대대
  • * 공병, 통신, 위생중대
  • 보병 제59연대 - 우쓰노미야
  • * 제1대대
  • * 제2대대
  • * 제3대대
  • * 포병중대
  • * 공병, 통신, 보급, 위생중대
  • 직할대
  • 전차대
  • 통신대
  • 야전병원
  • 방역급수부
  • 배속부대
  • * 제23야전비행장설정대
  • * 제57병참지구대 본부
  • * 독립 자동차 제42대대
  • * 제123병참병원
  • * 제23야전방역급수부

4. 주요 참전 전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