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5보병사단은 미국 육군의 보병 사단으로,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대테러 전쟁 등 다양한 분쟁에 참전했다. 1941년 하와이에서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 과달카날, 루손 등지에서 전투를 치렀으며, 한국 전쟁에서 부산 교두보 방어에 기여하고 두 차례의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베트남 전쟁에서는 구찌 기지 캠프를 중심으로 활동했고, 냉전 이후에는 경보병사단으로 개편되어 신속 전개 능력을 강화했다. 현재는 하와이에 주둔하며, 2개의 보병 여단 전투단, 1개의 사단 포병대, 1개의 전투 항공 여단, 1개의 지원 여단으로 구성되어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의 이익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101공수사단 제101공수사단은 미국 육군의 공수사단으로, 뛰어난 전투력과 다양한 참전 경력을 바탕으로 미 육군의 신속대응군 역할을 수행하며, 현재는 유럽에 배치되어 NATO 동부 전선을 강화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1기병사단 (미국) 제1기병사단은 1921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등 여러 분쟁에 참전했고, 헬리콥터 공중 기동 사단으로 재편성된 후 현재는 기갑, 전투 항공 여단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해외 주둔 및 훈련에 참여한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2보병사단 (미국) 제2보병사단은 1917년 창설되어 주요 전투에 참전한 미 육군의 보병사단으로,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고 있고, 냉전 시대 주요 사건 연루 및 21세기 미군 재편성 과정을 거치며 대한민국과 미국 워싱턴 주에 부대가 분산 배치되어 독특한 조직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사단 - 제7보병사단 (미국) 제7보병사단 (미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창설되어 여러 전쟁과 임무 수행을 거쳐 현재는 워싱턴주에 주둔하며 예하 부대를 감독한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보병사단 - 제2보병사단 (미국) 제2보병사단은 1917년 창설되어 주요 전투에 참전한 미 육군의 보병사단으로, 현재 대한민국에 주둔하며 한반도 안보에 기여하고 있고, 냉전 시대 주요 사건 연루 및 21세기 미군 재편성 과정을 거치며 대한민국과 미국 워싱턴 주에 부대가 분산 배치되어 독특한 조직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미국의 보병사단 - 제24보병사단 (미국) 제24보병사단은 미국 육군의 사단으로,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걸프 전쟁 등 주요 전쟁에 참전했으며, 하와이 사단으로 창설되어 재편성 후 한국 전쟁에 가장 먼저 파병되었고, 걸프 전쟁에서도 활약했으나 해체와 재창설을 거쳐 2006년 최종 해체되었다.
제25보병사단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25보병사단의 어깨 소매 휘장; 전체 모양은 사단의 하와이 기원을 나타내는 타로 잎을 나타낸다.
J. 로턴 콜린스 장군, 1942–1943년 윌리엄 B. 킨 중장, 1948–1951년 새뮤얼 탱커슬리 윌리엄스 중장, 1952–1953년 조너선 O. 시먼 중장, 1960년 프레더릭 C. 웨이앤드 장군, 1964–1967년 제임스 T. 힐 장군, 1997–1999년 윌리엄 E. 워드 중장, 1999–2000년 로버트 L. 캐슬런 중장, 2008–2009년
1950년6월 25일, 조선인민군이 38선을 넘어 대한민국을 침공하면서 한국 전쟁이 시작되었다.[4] 유엔의 명령에 따라, 제25보병사단은 1950년 7월 5일부터 18일 사이에 일본에서 한국으로 이동하여 미국 제8군에 합류했다.[4]윌리엄 B. 킨 소장이 지휘하던 이 사단은 부산으로 향하는 조선인민군의 진격을 막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하여, 최초로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4]
제25보병사단 제64야전포병대대 포병들이 1950년 8월 27일 대한민국의성 근처에서 조선인민군 진지를 향해 105mm 곡사포를 발사하고 있다.
사단은 부산 교두보 돌파 작전에 참여했으며, 미 제8군은 인천 상륙 작전으로 남쪽에서 진격하는 미국 제7보병사단 병력과 수원 남쪽에서 연락을 취하며 조선인민군에 대한 공세를 시작했다. 9월 23일, 사단은 제9군단에 배속되었다. 유엔군은 서울을 지나 10월 1일 38선을 넘어 북한으로 진격했고, 10월 19일 대한민국 육군제1보병사단과 미 제1기병사단이 평양을 점령했다.
유엔군의 진격은 계속되었지만, 중국인민지원군이 북한 측에 참전하여 예상치 못한 강한 저항에 직면했다. 10월 말 중국군의 첫 공격 이후, 유엔군은 11월 24일에 공세를 재개했지만, 11월 25일부터 시작된 중국인민지원군의 제2차 공세에 의해 저지되었다. 사단은 1950년 11월 30일 청천강 남쪽 둑에 방어선을 구축하라는 명령을 받았으나, 이 방어선은 붕괴되었고, 미 제8군은 38선 인근의 임진강까지 완전 철수를 해야 했다.
1951년 1월 25일, 새로운 공세가 시작되어 인천과 김포국제공항을 탈환했고, 사단은 리퍼 작전에 참여하여 중국인민지원군을 한강 너머로 몰아냈다. 1951년 초 운명과 파일드라이버 작전의 성공으로 철의 삼각지대 일부를 확보하여 유엔의 협상력을 강화했다. 1951년 여름, 유엔과 북한, 중국의 지도자들이 협상 테이블에 앉으면서, 사단의 활동은 순찰 및 방어 작전으로 둔화되어 저항선을 유지했고, 이러한 활동은 1952년 겨울까지 계속되었다.
1953년 1월, 사단은 제9군단에서 제1군단으로 전속되었고, 5월 5일에 서울 접근로를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5월 23일, 판문점에서 휴전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자, 중국인민지원군의 대규모 공격이 네바다 컴플렉스를 강타했지만, 사단은 그 자리를 지켰다. 공격의 주력은 배속된 터키 여단과 제14보병연대가 흡수했다. 1953년 5월부터 7월까지 서울을 지속적인 공격으로부터 성공적으로 방어함으로써, 사단은 두 번째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7월, 사단은 캠프 케이시로 이동하여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 조인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한국 전쟁 중 14명의 사단 병사들이 명예 훈장을 받았다.
연대
명예 훈장 수여자
제14보병연대
던 F. 포터, 어니스트 E. 웨스트, 브라이언트 E. 워맥
제24보병연대
코넬리우스 H. 찰턴, 윌리엄 톰슨
제35보병연대
윌리엄 R. 제셀린, 빌리 G. 카넬, 도널드 R. 모이어
제27보병연대
존 W. 콜리어, 레지날드 B. 데시데리오, 베니토 마르티네스, 루이스 L. 밀렛, 제롬 A. 수돗
1941년10월 1일, 제25보병사단은 하와이 주둔 미 육군 하와이 사단을 모체로 스콜필드 막사에서 창설되었다.[2][3] 사단은 제27보병연대와 제35보병연대, 그리고 하와이 주 방위군의 제298보병연대로 구성되었다. 1941년12월 7일진주만 공격 이후, 제25보병사단은 호놀룰루와 에와 포인트 방어를 위해 해안 방어 위치로 이동했다.
미 육군 병사들이 1943년 1월 과달카날에 대한 제25보병사단의 공세를 지원하기 위해 마타니카우 강으로 보급품을 밀어넣고 있다.
집중적인 훈련을 받은 후, 제25사단은 1942년11월 25일과달카날의 헨더슨 비행장 근처에 상륙하여 해병대를 지원했다. 1942년12월 17일 테나루 강 근처에 처음 상륙하여 1943년1월 10일 전투에 돌입, 코쿰보나 점령과 오스틴 산 포위전 축소에 참여했다. 제14군단 통제 하의 사단 병력은 제147보병연대를 지원하고 케이프 에스페란스로 진격했으며, 1943년2월 5일 케이프 근처에서 아메리컬 사단 병력과의 합류로 조직적인 적의 저항은 종식되었다.
이후 주둔 임무가 7월 21일에 종료되었고, 선두 병력이 문다, 뉴조지아에 상륙했다. 제25보병사단은 1943년8월 15일부터 9월 15일까지 벨라 라벨라 점령에 참여했다. 다른 병력은 뉴조지아에 상륙하여 지에타를 점령하고, 바이로코 항구를 점령하여 섬을 확보했다. 병력은 1943년9월 24일 아룬델 섬, 10월 6일 빌라 공항이 있는 콜롬방가라 섬을 정리했다. 뉴조지아에서의 조직적인 저항은 8월 25일에 종식되었고, 사단은 휴식과 훈련을 위해 뉴질랜드로 이동했으며, 마지막 병력은 12월 5일에 도착했다. 제25사단은 1944년2월 3일부터 3월 14일까지 뉴칼레도니아로 이동하여 훈련을 계속했다.
1945년1월 11일, 사단은 루손의 산 파비안 지역에 상륙하여 필리핀 해방을 위한 전투에 돌입했다. 루손 중앙 평원을 가로질러 진격하여 1월 17일 비날로난에서 적과 마주쳤다. 제25사단은 우밍간, 루파오, 산 호세를 점령하고 루손에서 일본군의 장갑차 대부분을 파괴했다. 2월 21일, 사단은 제32보병사단과 함께 카라발로 산맥에서 작전을 시작했으며, 빌라 베르데 트레일 전투에서 싸웠다. 제25사단은 5번 국도를 따라 전투를 벌여 디그디그, 풋란, 카핀탈란을 점령하고, 5월 13일 발레테 고개를 점령했으며, 5월 27일 산타페를 점령하여 카가얀 계곡으로 가는 길을 열었다. 6월 30일까지 사단은 지원을 받을 때까지 소탕 작전을 수행했다. 7월 1일, 사단은 훈련을 위해 타를락으로 이동했고, 9월 20일 일본으로 떠났다.
2. 2. 한국 전쟁
1950년6월 25일, 조선인민군이 38선을 넘어 대한민국을 침공하면서 한국 전쟁이 시작되었다.[4] 유엔의 명령에 따라, 제25보병사단은 1950년 7월 5일부터 18일 사이에 일본에서 한국으로 이동하여 미국 제8군에 합류했다.[4] 당시 윌리엄 B. 킨 소장이 지휘하던 이 사단은 부산으로 향하는 진격을 막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이 작전으로 사단은 최초의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4]
사단은 부산 교두보 돌파 작전에 참여했으며, 미 제8군은 붕괴된 조선인민군의 저항에 맞서 북쪽으로 공세를 시작하여 인천 상륙 작전으로부터 남쪽으로 진격하는 미국 제7보병사단 병력과 연락을 취했다. 조선인민군의 주요 병력들은 이 공격으로 파괴되고 포위되었으며, 연락은 9월 26일 수원 남쪽에서 이루어졌다. 9월 23일, 사단은 새롭게 창설된 미 제9군단에 배속되었다. 유엔 공세는 서울을 지나 10월 1일 북한의 38선을 넘어갔다. 공격은 계속되었고, 평양 점령은 10월 19일 대한민국 육군제1보병사단과 미 제1기병사단이 도시를 점령하면서 끝났다.
진격은 계속되었지만 예상치 못한 강한 저항에 직면했다. 중국인민지원군이 북한 측에 참전하여 10월 말에 첫 공격을 가했다. 유엔군은 11월 24일에 공세를 재개했지만, 11월 25일부터 시작된 중국인민지원군의 제2차 공세에 의해 저지되었다. 사단은 체계적인 철수를 수행해야 했고, 1950년 11월 30일 청천강 남쪽 둑에 방어선을 구축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결국, 이 방어선은 붕괴되었고, 미 제8군은 심각한 사상자를 입은 채 38선 인근의 임진강까지 완전 철수를 명령했다.
한 달 반 동안의 계획과 재편성 후, 새로운 공세가 1951년 1월 25일에 시작되어 인천과 김포국제공항을 탈환하는 데 성공했다. 사단은 다음으로 리퍼 작전에 참여하여 중국인민지원군을 한강 너머로 몰아냈다. 성공은 1951년 초 운명과 파일드라이버 작전으로 이어졌다. 이러한 공세는 철의 삼각지대의 일부를 확보하여 유엔의 협상력을 강화했다. 1951년 여름, 네 개국의 지도자들이 협상 테이블에 앉으면서, 사단의 활동은 순찰 및 방어 작전으로 둔화되어 저항선을 유지했다. 이러한 유형의 활동은 1952년 겨울까지 계속되었다.
1953년 1월, 사단은 제9군단에서 제1군단으로 전속되었고, 1953년 5월 5일에 서울 접근로를 방어하는 임무를 맡았다. 5월 23일, 판문점에서 휴전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지자, 중국인민지원군의 대규모 공격이 네바다 컴플렉스를 강타했지만, 사단은 그 자리를 지켰다. 공격의 주력은 배속된 터키 여단과 제14보병연대가 흡수했다. 1953년 5월부터 7월까지 서울을 지속적인 공격으로부터 성공적으로 방어함으로써, 사단은 두 번째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다시 협상가들이 평화를 향해 움직였다. 7월, 사단은 다시 캠프 케이시로 이동하여 1953년 7월 27일 휴전 협정 조인까지 그곳에 머물렀다.
한국 전쟁 중 14명의 사단 병사들이 명예 훈장을 받았다.
연대
명예 훈장 수여자
제14보병연대
던 F. 포터, 어니스트 E. 웨스트, 브라이언트 E. 워맥
제24보병연대
코넬리우스 H. 찰턴, 윌리엄 톰슨
제35보병연대
윌리엄 R. 제셀린, 빌리 G. 카넬, 도널드 R. 모이어
제27보병연대
존 W. 콜리어, 레지날드 B. 데시데리오, 베니토 마르티네스, 루이스 L. 밀렛, 제롬 A. 수돗
사단의 패치는 때때로 "전기 딸기"라고 불린다.
사단은 1954년까지 한국에 주둔했다.[4]
2. 3. 베트남 전쟁
미국 베트남 군사 지원 사령부(MACV)의 요청에 따라, 1963년 초 사단은 100명의 헬리콥터 도어 거너들을 남베트남으로 파견했다.[54] 1965년 8월까지, 제65공병대대 C중대가 깜라인 만 항만 시설 건설을 지원하기 위해 남베트남에 배치되었다. 1965년 중반까지 2,200명의 제25보병사단 병력이 베트남에 투입되었다.
1965년 말, MACV의 요청에 따라 강화된 태스크포스인 제3여단이 하와이에서 남베트남 북서부 지역으로 25일 만에 배치되었다. 블루 라이트 작전은 사막의 방패 작전 이전 군사 역사상 가장 크고 긴 공수 작전이었다. 제3여단은 1965년 12월 24일 베트남에 도착하여 플레익 중부 고원 지대에 배치되었다. 제25보병사단은 1966년 1월부터 1970년 2월까지 아이언 트라이앵글 근처 구찌 기지 캠프에 사령부를 두었다. 1966년 4월부터 1972년까지 동남아시아 작전 지역에서 격렬한 전투를 벌였다. 이 기간 동안 정션 시티 작전과 퍼싱 작전을 포함한 전쟁의 가장 치열한 전투에 참여했다.
제25보병사단 제5(기계화)보병 제1대대 "B" 중대의 병사들이 1966년 4월 8일 구찌 기지 캠프 근처 미쉐린 고무 농장에서 수색 및 파괴 임무 중 베트콩 보급 창고에 불을 지르고 있다.
제1대대, 제69기갑연대, 제25보병사단의 전차가 1966년 3월 12일 사이공 항에서 LST에서 하선한 직후 사이공을 통과하고 있다.
1968년과 1969년 테트 공세의 테트 공세 동안, 제25보병사단은 포위된 사이공을 방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70년 5월부터 6월까지, 캄보디아에 위치한 적의 은신처 깊숙이 진격하는 연합군의 공격(캄보디아 침공)에 참여하여 수천 톤의 보급품과 수백 개의 무기를 압수했다. 이 작전은 미국 부대에 대한 캄보디아 기반의 노력을 무력화시켰다. 캄보디아에서 남베트남으로 돌아온 후, 사단은 베트남화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1970년 12월 말까지 제25보병사단의 일부는 섐필드 병영으로 재배치를 시작했다. 제2여단은 1971년 5월 초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에 도착했으며, 베트남을 떠나는 사단의 마지막 부대였다. 베트남 전쟁 동안 22개의 명예 훈장이 제25보병사단 장병들에게 수여되었다.
제25보병사단은 베트남 전쟁에서 다음 작전에 참여했다:
참전기간
작전명
1965년 - 1966년
반격전
1966년
반격전, 제2단계
1966년 - 1967년
반격전, 제3단계
1967년 - 1968년
테트 공세
1968년
반격전, 제4단계
1968년
반격전, 제5단계
1968년 - 1969년
반격전, 제6단계
1969년
테트 69/반격전
1969년
1969년 하계-추계
1969년 - 1970년
1970년 동계-춘계
1970년
성역 반격전
1970년 - 1971년
반격전, 제7단계
2. 4. 냉전 이후
1985년, 사단은 일반 보병 사단에서 경보병 사단으로 개편을 시작했다. 이 새로운 경보병 사단의 네 가지 주요 특징은 임무 유연성, 신속한 전개, 100%의 병력으로 전투 준비 태세를 갖추는 것과 태평양 지역 중심이었다. 주요 구성 변경 사항으로는 세 번째 보병 여단의 추가, 추가적인 직사 지원 포병 대대, 그리고 전투 항공 대대를 여단 규모 부대로 확장하는 것이 포함되었다. 대량의 중장비를 상실하면서 제25보병사단은 "경(light)"이라는 명칭을 얻었다. — 재편성은 1986년 10월 1일에 완료되었다.[54] 훈련은 더욱 정교해지고 강도가 높아졌다. 1988년, 사단의 첫 번째 대대들은 아칸소 주 포트 차피 합동 준비 훈련 센터에서 순환 훈련에 참여했다.
걸프 전쟁 당시 제25보병사단은 극소수의 부대만이 참전했는데, 이는 한반도에서의 적대 행위 재발과 같은 태평양 지역의 비상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걸프 전쟁 기간 중, 제4대대 제27보병연대 A, B, C 중대에서 각 1개 소대가 1991년 1월 사우디 아라비아로 파견되었다. 이 "트로픽 라이트닝" 병사들은 지상 작전에서 대체 부대로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사막전 훈련에서의 그들의 능력을 본 제3미국 육군 부사령관은 그들을 육군 전방 사령부의 경비 부대로 활용할 것을 요청했다. 그 역할에서, 울프하운드 소대들은 경계 태세에 돌입하여 2월 26일 쿠웨이트 시티로 제3군(전방)에 배속되어 사령부 지역을 확보하고 도시와 인접한 지뢰 지대에서 잔여 작전을 수행했다. A 중대 소대는 그 전투 이후 다른 울프하운드 소대와 분리되어 1991년 3월 1일 노먼 슈워츠코프(H. Norman Schwarzkopf) 장군과 함께 이라크로 이동하여 휴전 조인식에서 경호를 제공했다. 세 소대는 1991년 3월 20일 사상자 없이 스코필드 병영으로 귀환했다.
1995년, 사단은 육군의 감축 계획의 일환으로 또 다른 개편과 축소를 겪었다. 제1여단과 직할 지원 부대는 활동을 중단하고 워싱턴주 포트 루이스로 이동하여 제25보병사단(경보병)의 별동 여단으로 재활성화되었다.
2. 5. 21세기: 대테러 전쟁
이라크 모술에서 순찰 중인 제25보병사단 저격수
아프가니스탄 칸다하르주 상공 비행 임무 중 제25보병사단 소속 블랙 호크 헬기에서 경계를 서는 리처드 버튼 병장, 2012년 11월 26일
2004년 1월, 제2여단은 이라크에 배치되어 이라크 전쟁에 참전했고, 다음 해 2월에 스코필드 배럭스로 귀환했다.[25] 2004년 3월에는 제3여단이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어 아프가니스탄 전쟁에 참전했다. 최초로 배치된 부대는 제27보병연대 ("울프하운드") 제2대대와 제7야전포병연대 제3대대 B포대였다. 이들은 파키스탄과의 국경에 위치한 파크티카 주에서 작전을 수행했다.[25]
2006년, 제4여단 전투단(공수), 제25보병사단이 알래스카 포트 리처드슨에서 창설되었다.[26] 제4 "스파르탄" 여단은 2006년 10월 작전의 일환으로 첫 번째 전투 배치를 수행하여 총 15개월 동안 복무했다.[29]
2009년, 제1, 2, 3여단은 이라크에 이라크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배치되었고, 제4여단은 아프가니스탄에 항구적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배치되었다.
2010년 12월, 사단 본부 및 본부대대(HHBN)는 이라크 바그다드에 배치되어 이라크 주둔 미군 사단 본부 임무를 수행했다. "태스크 포스 라이트닝"은 이라크 보안군을 지원하고, 반군을 추적하며, 이라크 당국에 이전하기 위한 기지와 장비를 준비했다. 2011년 12월 18일, 사단 본부는 하와이 스코필드 배럭스로 재배치되었다.
2011년 4월, 제3 "브롱코" 여단은 12개월간 아프가니스탄에 재배치되어 난가르하르, 쿠나르, 누리스탄 주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2011년 5월, 제1여단은 칸다하르 주에 배치되어 아프간군과 협력하여 반군 공격을 감소시켰다. 2011년 12월, 제4여단(공수)은 파크티카 및 호스트 주에서 작전을 수행했다. 2012년 10월, 제4 BCT는 제101공수사단 제3여단 전투단에 작전 책임을 넘겼다.[31]
2012년, 제25전투항공여단이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어 공중 강습, 공중 이동, 보급 및 대반군 작전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했다.[32]
육군 전반의 구조 조정에 따라 제25보병사단 예하 부대는 변화와 재편성을 겪었다. 2016년, 제2여단전투단은 스트라이커 장비를 이전하고 보병 여단전투단으로 재편성되었으며, 제1대대, 제14보병연대가 해체되었다. 또한, 제25보병사단 항공여단의 무장 정찰 비행대는 OH-58 카이오와를 아파치로 교체했다.
2022년 5월, 육군 지휘부는 미 육군 알래스카가 제11공수사단으로 재지정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2년 6월, 미 육군 알래스카의 작전 통제 하에 있던 제25보병사단 배지 부대인 제1, 제4여단전투단은 각각 제11공수사단의 제1, 제2여단전투단으로 재지정되었다.
2022년 6월 6일 이전 편제도
2022년 6월 6일 이후 편제도
3. 1. 현재 편성
제25보병사단 조직 2024 (확대하려면 클릭)
'''제25보병사단'''은 2개의 보병 여단 전투단, 사단 포병대, 전투 항공 여단, 사단 지원 여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육군 전반의 구조 조정에 따라 제25보병사단 예하 부대는 변화와 재편성을 겪었다. 2016년, 제2여단전투단은 스트라이커 장비를 이전하고 보병 여단전투단으로 재편성되었으며, 제1대대, 제14보병연대가 해체되었다. 또한, 제25보병사단 항공여단의 무장 정찰 비행대는 OH-58 카이오와를 아파치로 교체했다.
2022년 5월, 육군 지휘부는 미 육군 알래스카가 제11공수사단으로 재지정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2년 6월, 미 육군 알래스카의 작전 통제 하에 있던 제25보병사단 배지 부대인 제1, 제4여단전투단은 각각 제11공수사단의 제1, 제2여단전투단으로 재지정되었다.
[1]
웹사이트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4-21
[2]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Battalion, 25th Infantry Division; Lineage and Honors
http://www.history.a[...]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4-08-26
[3]
서적
Armies, Corps, Divisions, and Separate Brigades
https://books.google[...]
United States Government Publishing Office
1999-08-25
[4]
간행물
Army Battle Casualties and Nonbattle Deaths, Final Report
Office of the Adjutant General
1953-06-01
[5]
웹사이트
The 25th Infantry Division Organizations Cold War, Peacekeeping and War on Terrorism
https://www.25thida.[...]
25th Infantry Division Association
2020-06-28
[6]
웹사이트
3rd Battalion 21st Infant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7]
웹사이트
1st Battalion 27th Infant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8]
웹사이트
1st Battalion 14th Infant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9]
웹사이트
1st Battalion 21st Infant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10]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COMBAT AVIATION BRIGADE, 25th INFANTRY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11]
웹사이트
1st Battalion, 25th Aviat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12]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February 1990
https://books.google[...]
US Army Field Artillery School
1990
[13]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February 1987
https://books.google[...]
US Army Field Artillery School
1987
[14]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December 1989
https://books.google[...]
US Army Field Artillery School
1988
[15]
웹사이트
Field Artillery - Army Lineage Series - Part 1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16]
웹사이트
3rd Battalion, 7th Field Artille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17]
웹사이트
2nd Battalion, 11th Field Artille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18]
웹사이트
325th Support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19]
웹사이트
725th Support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0]
웹사이트
1st Battalion, 62nd Air Defense Artiller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1]
웹사이트
65th Engineer Battalion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2]
웹사이트
Signal Corps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3]
웹사이트
71st Chemical Company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4]
웹사이트
25th Infantry Division Band Lineage
https://history.army[...]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20-06-28
[25]
웹사이트
25th ID History
https://www.army.mil[...]
Army.mil
2018-03-27
[26]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4th Brigade Combat Team (Airborne), 25th Infantry Division
https://www.adn.com/[...]
2015-07-09
[27]
웹사이트
172nd Stryker Brigade legacy to live on as unit 'Reflags,' gets new Commanders
https://www.army.mil[...]
2006-12-15
[28]
웹사이트
Fort Lewis' active-duty troops likely to top 30,000
https://www.seattlet[...] [29]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4th Brigade Combat Team (Airborne), 25th Infantry Division
https://www.adn.com/[...]
2015-07-09
[30]
Webarchive
Operation Champion Sword
http://www.usarak.ar[...]
Alaska Post
2009-08-07
[31]
웹사이트
Brigade Combat Teams
https://www.25thida.[...]
2023-10-15
[32]
웹사이트
25th CAB bids farewell during deployment ceremony
http://www.hawaiiarm[...]
2011-11-24
[33]
웹사이트
'Pathfinders' tackle drug routes during joint ANCOP SWAT mission
http://www.hawaiiarm[...]
2012-03-30
[34]
웹사이트
Final Flight
https://www.flickr.c[...]
2013-01-07
[35]
웹사이트
Army Announces Deployment of 1,500 Alaska-Based Troops
http://www.military.[...]
military.com
2017-04-07
[36]
웹사이트
Department of the Army announces upcoming 1st BCT, 25th ID, U.S. Army Alaska unit rotation
https://www.army.mil[...]
2019-04-01
[37]
웹사이트
25th Infantry Division to shrink and shed Strykers this spring
https://www.armytime[...]
Army Times
2023-10-16
[38]
웹사이트
Arctic Angels? The 11th Airborne Division may replace Army Alaska
https://www.armytime[...]
Army Times
2023-10-16
[39]
웹사이트
Army re-activates historic airborne unit, reaffirms commitment to Arctic Strategy
https://www.army.mil[...]
Army News Service
[40]
웹사이트
25th Infantry Division Artillery (DIVARTY)
https://home.army.mi[...]
25th Infantry Division
2024-03-01
[41]
웹사이트
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COMBAT AVIATION BRIGADE, 25th INFANTRY DIVISION - Lineage and Honors Information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42]
웹사이트
25th Infantry Division Homepage
http://www.25idl.arm[...]
2012-11-23
[43]
웹사이트
25th Infantry Division Homepage
http://www.25idl.arm[...]
2012-11-23
[44]
웹사이트
25th Infantry Division Homepage
http://www.25idl.arm[...]
2012-11-23
[45]
웹사이트
25th Infantry Division Homepage
http://www.25idl.arm[...]
2012-11-23
[46]
웹사이트
Coat of Arms
http://www.tioh.hqda[...]
2017-02-20
[47]
웹사이트
25th Infantry Division, Division Commanders
http://www.army.mil/[...]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07-03-02
[48]
웹사이트
25th Infantry Division Commanders
https://www.25thida.[...]
25th Infantry Division Association
2019
[49]
서적
G2: Intelligence for Patton
https://books.google[...]
Schiffer Publishing, Ltd
1999
[50]
뉴스
Carter Assumes 25th Command
https://stars.newspa[...]
1954-05-27
[51]
서적
The 25th's 25th in Combat: Tropic Lightning, 1 Oct. 1941 – 1 Oct. 1966, 25th Infantry Division
Albert Love Enterprises, Inc.
2023-03-20
[52]
웹사이트
25th ID Welcomes New Commanding General
https://www.dvidshub[...]
25th Infantry Division
2023-08-25
[53]
뉴스
N.J. soldier honored with 'Soldier's Medal' for heroism
http://www.app.com/a[...]
Courier-Post (N.J.)
2010-01-21
[54]
서적
昭和天皇実録第十
東京書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