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0의무여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0의무여단은 미국 육군의 의무 부대로, 1933년 10월 1일 제30의무연대로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걸프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등에 참전했다. 현재는 독일 젬바흐에 주둔하며, 유럽 지역의 건강 보호 및 보건 서비스를 제공하는 원정 전구급 의무 지휘통제부대로 활동하고 있다. 과거에는 제7의무사령부, 제7군단, 제2군단지원사령부 등에 배속되었으며, 여러 차례 재편성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의무여단 - 제65의무여단
제65의무여단은 1927년 창설되어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럽 전구에서 활약한 미 육군 의무 부대로, 한국에서 주둔하며 주한미군 의료 지원을 제공한 후 현재는 캠프 험프리스에서 브라이언 올굿 육군 지역병원을 중심으로 주한미군 및 한국군 장병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미국의 의무여단 - 제32의무여단
제32의무여단은 미국 육군 의무사령부 소속으로 텍사스주 포트 샘 휴스턴에 주둔하며, 의무병 양성 및 교육 훈련을 담당하고 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경력이 있다. - 주독 미군 - 제2통신여단 (미국)
제2통신여단은 미국 육군의 통신여단으로, 유럽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통신 및 사이버 지원을 담당하며, 제2차 세계 대전과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후 2017년부터 미국 유럽-아프리카 육군 직속 부대가 되었다. - 주독 미군 - 제2병참단
제2병참단은 과거 미 육군 병참 지원 부대로, 2차 세계 대전, 냉전 시대 서독, 그리고 1980년대 한국에서 활동하며 여러 예하 부대를 거느리고 해체와 재소집을 반복했다. - 1955년 폐지 - 대한민국 총무처
대한민국 총무처는 1948년 정부 수립과 함께 설치되어 정부 조직, 공무원 인사 등 일반 행정 사무를 담당했으며, 1998년 행정자치부로 개편되었다. - 1955년 폐지 - 삼선동
삼선동은 서울특별시 성북구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옥녀봉 전설에서 유래한 이름과 함께 조선시대 삼선평이라 불렸으며, 현재는 교육기관과 교통편을 갖춘 지역이다.
제30의무여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부대 명칭 | 제30의무여단 |
원어 명칭 | 30th Medical Brigade |
활동 기간 | 1942년 7월 25일 ~ 1949년 6월 6일 |
활동 기간 (재창설) | 1953년 3월 25일 ~ 현재 |
국가 | 미국 |
소속 | 미국 육군 |
병과 | 의무대 |
종류 | 원정전구급 의무 지휘통제부대 |
규모 | 알 수 없음 |
명령 체계 | 제21전구지원사령부 |
본부 | 독일 셈바치 막사 |
표어 | (나의 믿음은 십자가에 있다) |
![]() | |
지휘관 | |
현재 지휘관 | 알 수 없음 |
주요 지휘관 | 알 수 없음 |
참전 | |
참전 |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
2. 역사
1933년 10월 1일, 제30의무연대가 정규 육군에 편성되어 제9군단에 배속되었으며, 제4군에 배정되었다.[2] 1934년 12월까지 조직 예비군 인원을 포함하여 몬태나주 버트에 사령부를 둔 "정규 육군 비활성"(RAI) 부대로 조직되었다. 1933년부터 1936년까지 지정된 동원 훈련 기지는 와이오밍주 포트 프란시스 E. 워렌였다.[2] 1936년 6월 5일, 제9군단에서 철수하여 제7군단에 배속되었다. 이 부대는 1943년 9월 8일 제30의무단으로 재지정되었다. 1944년 이 부대는 영국 리버풀로 이동한 후 오마하 해변으로 이동했다.[3]
2. 1. 제2차 세계 대전
1933년 10월 1일, 제30의무연대가 정규 육군에 편성되어 제9군단에 배속되었으며, 제4군에 배정되었다.[2] 초기에는 몬태나주 버트에 사령부를 둔 "정규 육군 비활성"(RAI) 부대로 조직되었으며, 동원 훈련 기지는 와이오밍주 포트 프란시스 E. 워렌이었다.[2] 1936년 6월 5일, 제9군단에서 제7군단으로 배속이 변경되었다.[2] 진주만 공격으로 동원령이 발효되어 1942년 7월 25일, 텍사스주 캠프 바클리에서 제30의무연대가 창설되었다. 본부부대는 처음에는 "본부 및 본부분견대"였다가 본부근무중대로 조정되었다. 1943년 9월 8일에는 제30의무단으로 재편성되었다. 1944년 영국 리버풀을 거쳐 오마하 해변으로 이동했다.[3] 부대는 라인란트 전역과 중앙 유럽 작전에 참전하였으며, 종전 이후 1949년 6월 6일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해산되었다.2. 2. 한국 전쟁
한국 전쟁의 막바지인 1953년 3월 25일, 의료와 치의 지원을 위한 의무 부대 중 하나로 지정되어 한반도에서 재소집되었다. 1953년 6월 4일부터 1954년 1월까지 한국에서 임무를 수행하며 공로 부대 표창을 수상했다.2. 3. 주독 미군 및 이후
한국 전쟁 정전 이후 1955년에 제30의무여단은 주독 미군으로 지정되어 제7군으로 전속되었고, 란트슈툴 육군 의료원에 주둔하였다.[4] 그 해 4월에 루트비히스부르크로 이동하였다. 1965년 제7의무여단에 전속되었다가, 1979년 10월 26일 제7(VII)군단 제2군단지원사령부으로 전속되었다.[4]1993년 6월 17일, 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4] 2008년 10월 27일에는 제30의무사령부로, 2013년 10월 18일에는 다시 제30의무여단으로 재편성되었다.[4]
2009년,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전구의무사령부로서 임무를 수행했다.[4]
현재는 미국 유럽 육군 휘하에서 원정 전구급 의무 지휘통제부대로서 건강보호 및 보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4]
3. 부대 구성
3. 1. 현재 부대
제30의무여단은 독일 젬바흐에 주둔하고 있다.[1] 예하 부대로는 제519병원센터와 제421다기능의무대대가 있다. 제519병원센터는 카이저슬라우테른에 주둔하고 있으며,[1] 제421다기능의무대대는 바움홀더에 주둔하고 있다.[1]3. 2. 이전 부대
과거 제30의무여단에는 다음과 같은 의무 부대들이 소속되어 있었다.- 제52의무대대
- 제56의무대대
- 제42앰블런스중대
- 제651앰블런스중대
- 제4외과병원 (MASH)
- 제31전투지원병원
- 제128후송병원
- 제212전투지원병원 - Miesau
- 제47의무분견대 (헬리콥터 앰블런스)
- 제274의무분견대 (헬리콥터 앰블런스)
4. 기록
4. 1. 소속
제7의무여단 소속으로 1965년에 창설되었다. 1979년 10월 26일 제2군단지원사령부에 배속되었다. 걸프 전쟁 당시에는 제332의무여단에 배속되어 임무를 수행하였다. 2008년 10월 16일 유럽 지역의무사령부에, 2013년 10월 18일 미국 유럽 육군에 배속되었다. 이후 제21전구지원사령부에 배속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4. 2. 계보
1933년 10월 1일, 정규군에 제30의무연대, 본부 및 본부분견대(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30th Medical Regiment)로 할당되었다. 제30의무연대, 본부 및 근무중대(Headquarters, Headquarters and Service Company 30th Medical Regiment)로 재편성되었다. 1943년 9월 8일에는 제30의무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30th Medical Group)로, 1992년 3월 19일에는 제30의무여단, 본부 및 본부분견대(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Detachment, 30th Medical Brigade)로 다시 재편성되었다. 2008년 10월 27일, 제30의무사령부, 본부 및 본부중대(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30th Medical Command)로 변경되었다가, 2013년 10월 18일 다시 제30의무여단, 본부 및 본부중대(Headquarters and Headquarters Company, 30th Medical Brigade)로 재편성되었다.4. 3. 참전 기록

제2차 세계 대전의 유럽 전구에 참전하여 라인란트 전역과 중앙 유럽 전투에 참여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1952~1953년 세번째 한국 동계 작전 및 1953년 한국 하계 작전에 참여했다.
서남아시아 지역에 참전하여 1990년 사우디 아라비아 방어, 1991년 쿠웨이트 방어와 해방, 그리고 정전 등의 작전을 수행했다.
4. 4. 스트리머
제30의무여단은 공로부대표창을 수여받았다.("한국", 1953년 6월 4일 ~ 1954년 1월, 육군부 1954년 일반명령 제32호)[5]
육군 우수부대표창을 수여받았다.("1995-1996", 1995년 10월 15일 ~ 1996년 12월, 육군부 2005년 일반명령 제25호)[6]
참조
[1]
웹사이트
30th Medical Brigade
https://www.21tsc.ar[...]
21st Theater Sustainment Command
2023-05-02
[2]
서적
U.S. Army Order of Battle, 1919-1941, Volume 4. The Services: Quartermaster, Medical, Military Police, Signal Corps, Chemical Warfare, and Miscellaneous Organizations, 1919-41
Combat Studies Institute Press
2010
[3]
웹사이트
30th Medical Brigade
https://www.21tsc.ar[...]
2024-09-02
[4]
뉴스
30th Medical Command redesignated as 30th Medical Brigade
https://media.defens[...]
U.S. Army Europe Public Affairs
2019-06-04
[5]
간행물
General Order No. 32
https://armypubs.arm[...]
Department of Army
2023-05-23
[6]
간행물
General Order No. 25
https://web.archive.[...]
Department of Army
2019-04-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