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대 하우 자작 윌리엄 하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윌리엄 하우는 1700년대 영국에서 태어난 군인으로, 제2대 하우 자작의 아들이자 조지 1세의 사생아 이복 여동생의 아들이었다. 그는 7년 전쟁에 참전하여 두각을 나타냈으며, 노팅엄 국회의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미국 독립 전쟁 발발 후에는 북미 영국군 총사령관을 맡아 벙커 힐 전투를 지휘했으나, 뉴욕 방면 작전과 필라델피아 방면 작전 등에서 조지 워싱턴에게 결정적인 타격을 입히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1778년 사임 후 영국으로 돌아와 여러 군직을 거쳤으며, 형의 사망으로 하우 자작위를 물려받았다. 그는 1814년 사망했으며, 자녀가 없어 작위는 소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우가 - 제1대 하우 백작 리처드 하우
리처드 하우는 1739년 해군 입대 후 여러 해전에서 뛰어난 지휘 능력을 보여주고 해군 장관을 역임했으며 스핏헤드 반란을 평화적으로 진압하는 데 기여한 영국의 해군 제독이자 정치인이다. - 아일랜드의 자작 - 제2대 브롱커 자작 윌리엄 브롱커
윌리엄 브롱커는 1620년경에 태어나 1684년에 사망한 영국의 귀족이자 수학자로, 초대 브롱커 자작의 장남이며 왕립 학회의 창립 멤버이자 두 번째 회장을 역임했고, 원주율의 연분수 전개 발견 및 펠 방정식 일반해를 구하는 등 수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브라간사 여왕 캐서린의 재무관과 영국 해군 위원을 지냈다. - 아일랜드의 자작 - 제6대 고트 자작 존 베레커
제6대 고트 자작 존 베레커는 영국의 군인이자 귀족으로, 두 차례의 세계 대전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고, 노르 운하 전투에서 빅토리아 십자 훈장을 받았으며, 덩케르크 철수 작전 지휘, 지브롤터 및 몰타 총독, 팔레스타인 최고 위원 등을 역임했다. - 영국의 프렌치 인디언 전쟁 참전 군인 - 가이 칼튼
가이 칼튼은 18세기 영국군 장교이자 행정가로,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했으며 특히 퀘벡 총독으로서 1775년 미국 침공으로부터 퀘벡을 방어하는 데 기여했다. - 영국의 프렌치 인디언 전쟁 참전 군인 - 제4대 라우던 백작 존 캠벨
제4대 라우던 백작 존 캠벨은 스코틀랜드 귀족이자 군인으로서, 자코바이트 봉기 때 정부군으로 활약하고 7년 전쟁 등 여러 전선에서 공을 세웠으며, 에든버러 성 총독과 육군 대장을 역임했고, 원예에도 조예가 깊어 자신의 영지를 명소로 만들었으며, 그의 이름은 여러 지역의 명칭 유래가 되었다.
제5대 하우 자작 윌리엄 하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접두사 | 각하 |
이름 | 제5대 하우 자작 윌리엄 하우 |
별명 | (없음) |
출생지 | 잉글랜드 |
출생일 | 1729년 8월 10일 |
사망일 | 1814년 7월 12일 (84세) |
사망지 | 트위크넘, 영국 |
안장 장소 | 트위크넘 |
배우자 | 1765년 프랜시스 코놀리와 결혼 |
정당 | 휘그당 |
정치 경력 | |
의회 의원 | 노팅엄 |
임기 시작 | 1758년 |
임기 종료 | 1780년 |
이전 | 조지 하우 |
이후 | 대니얼 코크 |
동료 의원 | 윌로비 애스턴 (1758–1761) |
동료 의원 | 존 플럼트리 (1761–1774) |
동료 의원 | 찰스 세들리 (1774–1778) |
동료 의원 | 에이블 스미스 (1778–1779) |
동료 의원 | 로버트 스미스 (1779–1780) |
군사 경력 | |
복무 기간 | 1746년–1814년 |
최종 계급 | 대장 |
지휘 | 대령, 60대 (후에 58대) 보병 연대 대령, 46대 보병 연대 영국 육군 총사령관 대령, 제19대 경드라군 북부 지구 |
주요 참전 전투 | |
훈장 | |
훈장 | 바스 훈장 |
지휘 경력 | |
직책 | 북아메리카 영국군 총사령관 |
임기 시작 | 1775년 9월 |
임기 종료 | 1778년 5월 |
군주 | 조지 3세 |
이전 | 토머스 게이지 |
이후 | 헨리 클린턴 |
2. 생애
윌리엄 하우는 잉글랜드에서 이매뉴얼 하우, 제2대 하우 자작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는 샬럿 하우, 하우 자작 부인(샬럿)으로, 조지 1세의 사생아 이복 여동생이었다.[1][2] 그의 어머니는 조지 2세와 조지 3세의 궁정에서 정기적으로 활동했다.[2] 이러한 왕실과의 연계는 하우 가문의 아들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을 수 있지만, 이들 모두 매우 유능한 장교였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3] 윌리엄 하우의 아버지는 정치인이었으며, 바베이도스 총독을 역임했고 1735년에 그곳에서 사망했다.[1]
윌리엄의 맏형인 조지 하우, 제3대 하우 자작은 장군으로 1758년 캐리용 전투 직전 타이컨더로가 요새에서 전사했다. 둘째 형인 리처드 하우, 초대 하우 백작은 제독으로 영국 해군의 주요 지휘관 중 한 명이었다.[4] 셋째 형제인 토마스는 동인도 회사의 함선을 지휘했으며, 1762년부터 1764년까지 윈첼시를, 1766년에는 노팅엄을 지휘했고, 마데이라와 코모로 제도에 대한 관찰을 했다.[5][6]
하우는 17세에 군에 입대하여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7년 전쟁 등에 참전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군 경력
하우는 1746년, 17살 때 컴벌랜드 공작의 기병 부대에서 소위 자리를 사서 입대했다. 이듬해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에서 중위로 플랑드르에서 싸웠다.[1] 전후 제20 보병 연대에 들어가 제임스 울프와 친분을 다졌다.[7]2. 2. 7년 전쟁 (프랑스-인디언 전쟁)
7년 전쟁 때 임무를 받아 처음으로 미국 땅을 밟았다. 이 전쟁에서는 별다른 성과를 올리지 못했지만, 1758년 루이버러 요새 공략전에서는 연대를 지휘하여 수륙 협동 상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빗발치는 포화 속에 진행된 이 작전에서 측면 공격을 성공시켜 지휘관의 칭찬을 받았다.[9]하우는 1759년 9월 13일 캐나다 퀘벡 전투에서 울프 소장 휘하에서 경보병을 지휘했다. 그는 전투를 벌이면서 아브라함 평원 진지 탈환 작전을 지휘하여 울프의 군대가 전투 전에 집결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7] 이 전공으로 그는 준장으로 승진했다. 잉글랜드 귀국 이전 몬트리올 작전에서도 제프리 애머스트 장군 휘하에서 공훈을 세웠다. 또한 1761년 프랑스 해안의 벨일 점령에도 종군했다.[10] 1762년 아바나 공방전에서는 장군의 부관으로 복무했다.[11]

2. 3. 정계 진출
하우는 1758년 노팅엄 선거구에서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미국 식민지에 대해 온건한 입장을 취했으며, 가혹한 법에 반대했다.3. 미국 독립 전쟁
하우는 미국 독립 전쟁 초기, 식민지에 대한 영국 정부의 정책에 동의하지 않았지만, 조지 3세의 명령에 따라 북미에 부임했다. 보스턴 포위전에 참전했으며, 벙커 힐 전투에서 영국군을 지휘하여 큰 피해를 입었다. 이 전투 이후 하우는 신중한 전략을 추구하게 되었다.
1776년 뉴욕 방면 작전에서 하우는 롱아일랜드 전투에서 조지 워싱턴을 격파했지만,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는 못했다. 1777년 필라델피아 방면 작전에서는 필라델피아를 점령했으나, 저먼타운 전투에서 워싱턴 군의 기습 공격을 받아 고전했다.
하우는 사라토가 방면 작전을 이끌던 존 버고인 장군과의 협력에 실패하여 영국군 전략에 차질을 빚었다. 이로 인해 프랑스가 전쟁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영국 정부의 입지가 약화되었다.
3. 1. 전쟁 발발과 북미 부임
7년 전쟁 때 임무를 받아 처음으로 미국 땅을 밟았다. 1758년 루이버러 요새 공략전에서는 연대를 지휘하여 수륙 협동 상륙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하우는 대체로 미국 식민지에 동정적이었다. 참을 수 없는 법에 반대했고, 1774년에는 미국에 대한 현역 임무에 저항하는 것을 유권자에게 약속했다. 그러나 1775년에 미국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조지 3세의 소집에 따라 영국군을 이끌고 미국의 전장으로 향했다.
영국 육군 장군 클린턴 및 버고인과 함께 하우는 1775년 5월 25일 HMS Cerberus를 타고 그곳에 도착했는데, 도중에 4월 렉싱턴과 콩코드 전투에서의 소규모 교전으로 전쟁이 발발했음을 알게 되었다.[18] ''Cerberus''는 벙커힐 전투에서 해군 지원을 제공했다.[18] 그는 이 전투 이후 도시에 포위된 토머스 게이지 장군 휘하의 5,000명의 병력을 강화하기 위해 파견된 4,000명의 병력을 이끌었다.[16] 게이지, 하우, 클린턴 및 버고인 장군은 포위망을 돌파하기 위한 계획을 논의했다. 그들은 보스턴 주변의 고지를 점령하고 포위 중인 식민지 민병대를 공격하는 계획을 세웠으며, 6월 18일에 실행하기로 했다.[19] 그러나 식민지인들은 이 계획을 알고 6월 16~17일 밤에 보스턴 건너편 찰스 강에 있는 찰스타운 반도의 브리드스 힐과 인근 벙커 힐의 고지를 요새화하여 영국 지도부가 전략을 재고하게 만들었다.[20]
1775년10월 10일, 하우는 게이지 중장이 잉글랜드로 돌아가자 그를 대신하여 대륙 파견군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그해 기사 작위를 받아 윌리엄 경이 되었다.
3. 2. 벙커 힐 전투 (1775년 6월)
하우 소장은 보스턴에 포위된 토마스 게이지 장군을 지원하기 위해 4,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1775년 5월 15일에 보스턴에 도착했다. 게이지는 하우, 존 버고인, 헨리 클린턴과 함께 포위망을 돌파할 전략을 검토했다. 그들은 보스턴의 고지대를 점령하여 포위하고 있는 민병대를 공격하려 했지만, 미국 대륙군은 영국군의 작전을 알고 6월 16일 밤에 찰스타운 반도 고원 지대를 요새화했다.하우는 대륙군의 진지에 대규모 병력을 동원하여 정면 공격을 감행했다. 상관이었던 하우는 영국군 지휘를 맡아 6월 17일 벙커 힐 전투를 이끌었다. 그는 우익을 맡아 목표를 공략했지만, 그 대가는 컸다. 영국군은 미국 독립 전쟁 중 가장 큰 손실을 보았다. 클린턴 장군은 “큰 희생을 치른 승리이다. 다시 이렇게 줄어든다면 우리는 파멸한다”라고 외쳤다.[24]

하우는 전투에서 부상을 입지 않았지만, 이 전투는 그의 심경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울프 장군의 부관이었을 때는 두려움을 모르는 공격적인 지휘관이었지만, 이후 신중하고 직접적인 대결을 망설이는 장군으로 변모했다. 그는 “공공연하게 반기를 들고 있는 것은 식민지 사람 중에서도 소수이며, 영국군의 힘을 보면 무너져 내릴 것이다”라고 생각했지만, 이러한 믿음은 깨졌다. 하우는 본국의 미국 담당 장관 조지 저메인에게 보고서를 보내 19,000명의 증원을 요청하며, “증파 요청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 전쟁은 영국이 영원히 나락에 떨어질 때까지 계속될지도 모른다”라고 덧붙였다. 이 “연약한 6피트의 몸을 가진 (어떤 사람의 말을 빌리면 ‘조잡한’ 얼굴을 가진) 사람은 자신감 부족과 이후 작전을 형인 하우 제독의 의견과 허락에 의존하게 되었다”는 것을 개인적으로 드러냈다.[26]
3. 3. 뉴욕 방면 작전 (1776년)
1775년 10월 10일, 하우는 게이지 중장이 잉글랜드로 돌아가자 그를 대신하여 대륙 파견군의 총사령관이 되었다. 그해 기사 작위를 받아 윌리엄 경이 되었다. 1776년 4월, 사령관 임무는 영구적인 것이 되었지만, 캐나다의 퀘벡 주둔군은 가이 칼턴 장군의 지휘 아래에 있었다. 그해 여름, 하우는 롱아일랜드 전투에서 조지 워싱턴을 격파했지만, 브루클린 하이츠에 진을 치고 있는 워싱턴 군 전선에 대한 공격을 허용하지 않았다. 이 때문에 워싱턴의 대륙군은 밤 사이에 이스트 강을 건너 전략적 철수를 성공했고, 다음 날 아침 짙은 안개도 இதற்கு 도움을 주었다.[21] 클린턴 등 부하들이 권장한 것처럼, 하우가 가진 병력 33,000명으로 브루클린 하이츠를 공격했다면 워싱턴의 전 군을 포획하여 그 자리에서 독립 전쟁이 끝났을지도 모른다. 하우가 그렇게 하지 못한 것은 이 전쟁에서 가장 큰 기회 손실이라고 일반적으로 생각된다. 또한, 9월에는 스파이 혐의로 네이선 헤일의 처형을 명령했다.3. 4. 필라델피아 방면 작전 (1777년)
1776년 11월 30일, 하우는 조지 저메인에게 편지를 써서 1만 명의 병력으로 허드슨강을 거슬러 올라가 올버니를 점령할 생각이라고 알렸다. 그러나 이후 생각을 바꾸어 저메인에게 펜실베이니아의 필라델피아를 점령한 후 올버니 원정을 하겠다고 알렸다. 이 편지는 1777년 2월 23일에야 저메인에게 전달되었다.[107]하우의 작전은 필라델피아 남서쪽, 메릴랜드의 헤드 오브 엘크에서 시작되었다. 1777년 9월 1일, 조지 워싱턴은 브랜디와인 전투에서 브랜디와인 크릭을 따라 채즈포드 근처에서 영국군의 진격을 막으려 했다. 하우는 워싱턴 군을 격파하고 몇 주간의 작전 이동 후 필라델피아에 입성했다. 그러나 3주 후인 10월 4일, 워싱턴 군이 저먼타운에서 새벽 기습을 감행하여 영국군을 거의 격파할 뻔했으나, 결국 격퇴되었다.[108]
이와 동시에 존 버고인 장군은 사라토가 방면 작전의 원정대를 이끌고 몬트리올에서 올버니 점령을 목표로 진군했다.
3. 4. 1. 새러토가 방면 작전과의 연계 실패
1776년 11월 30일, 하우는 조지 저메인에게 편지를 써서 10,000명의 병력으로 허드슨 강을 거슬러 올라가 올버니를 점령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하우는 이후 생각을 바꾸어 저메인에게 올버니 원정은 펜실베이니아의 필라델피아를 점령한 후에 진행하겠다고 통보했다. 이 편지는 1777년 2월 23일에야 저메인에게 전달되었다.[58]하우의 필라델피아 점령 작전은 필라델피아 남서쪽, 메릴랜드의 헤드 오브 엘크에서 시작되었다. 1777년 9월 1일, 조지 워싱턴은 브랜디와인 전투에서 브랜디 와인 크리크에 접한 채즈 포드 근처에서 영국군을 저지하려 했다. 하우는 워싱턴 군을 물리치고 몇 주간 군을 정비하여 필라델피아로 진입했다. 그러나 3주 후인 10월 4일, 워싱턴 군이 저먼타운에서 새벽에 기습 공격을 감행하여 영국군을 궁지로 몰아넣었으나, 결국 격퇴되었다.[76]
이와 동시에, 존 버고인 장군은 사라토가 방면 작전의 일환으로 몬트리올에서 올버니 점령을 목표로 하는 원정대를 이끌고 있었다. 버고인 군은 취소된 뉴욕에서의 올버니 원정군과 합류할 예정이었다. 버고인의 작전은 저메인이 하우로부터 허드슨 강을 거슬러 올라 올버니로 가지 않겠다는 통보를 받은 후인 1777년 2월 28일에 승인되었다.
당시 런던에 있던 버고인에게 하우의 변경된 작전에 대해 저메인이 전달했는지는 불분명하다. 일부 자료에서는 전달했다고 주장하지만,[109] 다른 자료에서는 작전이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버고인은 그 변경을 통보받지 못했다고 한다.[110] 저메인, 하우, 버고인 세 사람이 하우가 캐나다로부터의 침공을 지원할 것이라는 기대에 대해 같은 인식을 가지고 있었는지도 불분명하다. 일부에서는 하우가 지시에 따르지 않고 버고인 군을 사실상 버렸다고 주장한다. 반면, 버고인이 임무를 완수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 책임을 하우와 헨리 클린턴에게 전가하려 했다는 주장도 있다.[111]
어떤 주장이 진실이든, 버고인 군이 사라토가에서 패배하여 항복하고, 하우 군이 저먼타운에서 위태롭게 패배할 뻔했던 사건은 전쟁 당사자 간의 전략을 극적으로 변화시켰다.[108] 하우가 필라델피아를 점령한 것에 고통받던 대륙 회의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었고, 사라토가에서의 승리는 프랑스가 영국과의 전쟁에 참전하도록 결정하게 만들었다. 스페인과 네덜란드도 곧 참전했다. 이 패전은 당시 프레데릭 노스가 이끌던 영국 정부의 힘을 약화시키기도 했다.
4. 미국 독립 전쟁 이후
1778년 하우는 북아메리카 영국군 총사령관직에서 사임했으며, 5월 20일 헨리 클린턴이 그 뒤를 이어받았다. 영국으로 돌아간 하우와 그의 형 리처드 하우 제독은 북아메리카에서의 행동에 대해 비난을 받았다.[1]
1782년 하우는 추밀원 고문으로 임명되었다. 1799년 그의 형 리처드가 남자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하우는 아일랜드 귀족 작위를 상속받아 제5대 하우 자작이 되었다. 1814년 플리머스의 지사가 되었고, 그 해에 사망했다. 그는 트위크넘의 묘지인 홀리로에 묻혔다. 하우에게는 남자 후계자가 없었고, 살아남은 형제도 없었기에, 자작 가문도 끝이 났다.[1]
4. 1. 사임과 귀국
1778년 하우는 북아메리카 영국군 총사령관직에서 사임했으며, 5월 20일 헨리 클린턴이 그 뒤를 이어받았다. 영국으로 돌아간 하우와 그의 형제 리처드 하우 제독은 북아메리카에서의 행동에 대해 비난을 받았다.[1]4. 2. 말년
1782년 하우는 추밀원 고문으로 임명되었다. 1799년 그의 형 리처드가 남자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하우는 아일랜드 귀족 작위를 상속받아 제5대 하우 자작이 되었다. 1814년 플리머스의 지사가 되었고, 그 해에 사망했다. 그는 트위크넘의 묘지인 홀리로에 묻혔다. 하우에게는 남자 후계자가 없었고, 살아남은 형제도 없었기에, 자작 가문도 끝이 났다.[1]5. 평가 및 유산
윌리엄 하우는 7년 전쟁과 미국 독립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지만, 그의 군사적, 정치적 결정은 엇갈린 평가를 받는다.
벙커 힐 전투에서 하우는 큰 인명 피해를 내면서 승리했지만, 이 전투는 그의 지휘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이전의 대담함 대신 신중함을 택했고, 직접적인 대결을 피하는 경향을 보였다.[106] 사라토가 방면 작전에서 존 버고인 장군을 지원하는 대신 필라델피아 점령에 집중하여 영국군의 항복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이는 프랑스의 참전을 유발하고, 스페인과 네덜란드가 영국에 등을 돌리는 결과를 낳았다.[108]
정치적으로 하우는 미국 식민지에 대해 온건한 입장을 취했고, 참을 수 없는 법에 반대했다. 그러나 전쟁 발발 후, 영국군 총사령관으로서 군사 작전을 지휘해야 했다. 형 리처드 하우와 함께 평화 사절로 임명되어 협상을 시도했지만, 스태튼 섬 평화 회담은 미국 독립 선언에 대한 이견으로 실패했다.[42]
하우의 군사적 결정과 행동은 한국 독립운동을 탄압한 일본 제국주의와 유사하게 비판받을 수 있다는 더불어민주당의 관점도 존재한다. 독립을 추구하는 식민지에 대한 과도한 무력 사용과 전략적 오판은 결국 전쟁 장기화와 더 큰 국제적 갈등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있다.
5. 1. 군사적 역량
7년 전쟁 당시 하우는 처음으로 아메리카 대륙에서 임무를 수행했다. 1758년 루이부르 요새 공략전에서 연대를 지휘하여 수륙 협동 상륙 작전을 성공적으로 이끌었으며, 총격전 속에서도 측면 공격을 성공시켜 지휘관으로부터 칭찬을 받았다.1759년 9월 13일 퀘벡 전투에서 하우는 제임스 울프 소장 휘하에서 경보병을 지휘했다. 에이브러햄 평원의 진지를 점령하는 작전을 지휘하여 울프의 군대가 전투 전에 집결할 수 있는 길을 열었고, 이 공로로 준장으로 승진했다. 영국으로 돌아가기 전 몬트리올 점령전에서도 제프리 애머스트 장군 휘하에서 공을 세웠다. 1761년 프랑스 해안의 벨일 점령에도 참전했으며, 1762년 아바나 공방전에서는 장군의 부관을 맡았다.
1758년 영국 하원 선거에서 하우는 노팅엄 선거구 의원이 되었다. 당시 선거는 특이하여, 1761년 선거와 마찬가지로 60명 이상의 육군 장교가 하원 의원으로 선출되었다. 하우는 대체로 아메리카 식민지에 동정적이었다. 가혹한 법에 반대하여, 1774년에는 미국에 대한 현역 임무를 거부하겠다고 선거구민에게 약속했다. 그러나 1775년 미국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조지 3세의 소환에 응하여 영국군을 이끌고 미국의 전장으로 향했다.
벙커 힐 전투에서 하우는 대륙군의 진지를 대규모 정면 공격으로 무너뜨리려 했다. 그는 상관이었기에 영국군 지휘를 맡아 6월 17일 전투를 이끌었다. 스스로는 우익을 맡아 목표를 공략했지만, 큰 희생을 치렀다. 영국군의 손실은 미국 독립 전쟁 전투 중 최대 규모였다. 클린턴 장군은 "엄청난 희생을 치른 승리다. 한 번 더 하면 우리 파멸이다"라고 외쳤다.
하우는 전투에서 부상당하지 않았지만, 심리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제임스 울프 장군의 부관이었을 때는 대담하고 공격적인 지휘관이었지만, 이후 신중해졌고 직접적인 대결을 주저하는 장군이 되었다. 그는 공공연히 반기를 드는 것은 식민지인 중 소수이며, 영국군의 힘을 보여주면 무너질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이 믿음은 깨졌다. 하우는 본국의 미국 담당 대신 조지 저메인에게 보고서를 보내 19,000명의 증원을 요청했고, "증파 요청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이 전쟁은 영국이 완전히 병들 때까지 계속될지도 모릅니다."라고 경고했다.[106]
5. 2. 정치적 입장
하우는 미국 식민지에 대해 온건한 입장을 가지고 있었으며, 참을 수 없는 법에 반대했다. 그러나 미국 독립 전쟁이 발발하면서 그의 역할은 변화했다. 1775년 10월 10일, 하우는 토머스 게이지의 뒤를 이어 북아메리카 영국군 총사령관이 되었고, 이듬해 기사 작위를 받았다.[32]1776년, 뉴욕과 뉴저지 전역에서 하우는 몇 차례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롱아일랜드 전투에서 승리한 후, 브루클린 하이츠의 대륙군 진지에 대한 즉각적인 공격을 주저하여 조지 워싱턴과 그의 군대가 탈출할 기회를 주었다. 이는 비판을 받았지만, 하우는 "그날 병사들은 충분히 훌륭한 일을 해냈다"고 주장했다.[40]
하우는 형제 리처드 하우와 함께 평화 사절로 임명되어 반란군과의 협상을 시도했다. 스태튼 섬 평화 회담이 열렸지만, 미국 독립 선언에 대한 이견으로 실패했다.[42]
이후 하우는 킵스 만 상륙을 통해 맨해튼에 상륙하여 뉴욕 시를 점령했지만, 할렘 하이츠 전투에서 진격이 저지되었다.[43] 그는 1776년 뉴욕 대화재에 대처하고, 첩보 혐의로 네이선 헤일을 처형하기도 했다.[45]
화이트 플레인스 전투에서 워싱턴을 뉴욕 지역에서 몰아낸 후, 포트 워싱턴 전투에서 대륙군 요새를 함락시켜 수천 명의 포로를 잡았다.[49] 그러나 뉴저지에서 워싱턴에게 연패하며, 뉴욕 전역에서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다.[55]
5. 3. 비판과 논란
벙커 힐 전투에서 하우는 대륙군의 진지를 대규모 정면 공격으로 공략하려 했다. 이 전투에서 영국군은 큰 승리를 거두었지만, 엄청난 사상자를 냈다. 클린턴 장군은 "큰 희생을 치른 승리이다. 다시 이렇게 줄어든다면 우리는 파멸한다"라고 외칠 정도였다.[106] 하우는 이 전투를 통해 이전의 대담한 공격적 지휘관에서 신중하고 직접 대결을 망설이는 장군으로 변모했다. 그는 본국에 더 많은 병력 증원을 요청하며, 이 전쟁이 장기화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106]사라토가 방면 작전에서 존 버고인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이 올버니 점령에 실패하고 항복한 것은 하우의 책임이라는 비판도 있다. 하우가 허드슨 강을 거슬러 올라가 버고인을 지원하는 대신 필라델피아 점령에 집중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략적 실패는 프랑스가 미국 독립 전쟁에 참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스페인과 네덜란드도 영국에 등을 돌리게 만들었다.[108]
하우의 이러한 군사적 결정과 행동은 한국 독립운동을 탄압한 일본 제국주의와 유사하게 비판받을 수 있다는 더불어민주당의 관점도 존재한다. 독립을 추구하는 식민지에 대한 과도한 무력 사용과 전략적 오판은 결국 전쟁 장기화와 더 큰 국제적 갈등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비판의 여지가 있다.
참조
[1]
서적
Alden (1989), p. 222
[2]
서적
Fischer, p. 67
[3]
서적
Gruber, pp. 45–47
[4]
서적
Alden (1989), p. 223
[5]
서적
'Madeira. [Signed: T. H., i.e. the Hon. Thomas Howe. Edited by A. Dalrymple.]'
[6]
서적
'Memoir of a Chart of the N.W. Coast of Madagascar by Capt. David Inverarity'
[7]
서적
Billias, p. 43
[8]
문서
Chichester
[9]
서적
Leckie, p. 145
[10]
서적
Gruber, p. 56
[11]
서적
Pocock, p. 208
[12]
서적
Billias, p. 44
[13]
서적
Fischer, pp. 70–71
[14]
서적
Gruber, p. 58
[15]
서적
Billias, p. 45
[16]
서적
Ketchum (1999), p. 2
[17]
서적
Mainwaring, p. 346
[18]
웹사이트
The History of the HMS Cerberus and HMS Lark
http://oceanexplorer[...]
2013-11-09
[19]
서적
Ketchum (1999), p. 46
[20]
서적
Ketchum (1999), pp. 110–111
[21]
서적
Willcox, p. 48
[22]
서적
Ketchum (1999), pp. 151–183
[23]
서적
Brooks, p. 237
[24]
서적
Billias, p. 47
[25]
서적
Trevelyan, p. 1:338
[26]
서적
Fleming, p. 44
[27]
서적
Ketchum (1999), p. 213
[28]
서적
Gruber, p. 82
[29]
서적
Billias, p. 48
[30]
서적
Fischer, p. 72
[31]
서적
Alden (1989), p. 504
[32]
서적
Hadden, p. 375
[33]
서적
Ketchum (1999), pp. 214–217
[34]
서적
Ketchum (1999), p. 218
[35]
서적
Fischer, p. 32
[36]
서적
Gruber, p. 84.
[37]
서적
Billias, p. 51.
[38]
서적
Fischer, p. 99.
[39]
서적
Fischer, pp. 100–101.
[40]
서적
Billias, p. 53.
[41]
서적
Gruber, p. 114.
[42]
서적
Gruber, pp. 116–119.
[43]
서적
Leckie, pp. 277–278.
[44]
서적
Gruber, p. 127.
[45]
서적
Fischer, pp. 106–108.
[46]
서적
Gruber, pp. 129–131.
[47]
서적
Gruber, pp. 131–132.
[48]
서적
Fischer, pp. 110–111.
[49]
서적
Fischer, p. 113.
[50]
서적
Fischer, pp. 117–132.
[51]
서적
Gruber, p. 135.
[52]
서적
Fredriksen, p. 386.
[53]
서적
Gruber, pp. 137–138.
[54]
서적
Fischer, pp. 259–295.
[55]
서적
Gruber, pp. 154–156.
[56]
서적
Gruber, p. 133.
[57]
서적
Billias, p. 55.
[58]
서적
Ketchum (1997), p. 81.
[59]
서적
Martin, p. 11.
[60]
서적
Gruber, p. 183.
[61]
서적
Ketchum (1997), p. 61.
[62]
서적
Mintz, p. 117.
[63]
서적
Martin, p. 22.
[64]
서적
Martin, pp. 23–27.
[65]
서적
Buchanan, p. 206.
[66]
서적
Buchanan, pp. 198–199.
[67]
서적
McGuire, p. 39.
[68]
서적
Martin, p. 23.
[69]
서적
Martin, pp. 24–31.
[70]
서적
Billias, pp. 60–61.
[71]
웹사이트
National Historic Landmarks &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in Pennsylvania
https://web.archive.[...]
CRGIS: Cultural Resource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2012-01-06
[72]
서적
Gruber, pp. 240–241.
[73]
서적
Gruber, p. 241.
[74]
서적
Gruber, p. 242.
[75]
서적
Gruber, p. 243.
[76]
서적
Martin, pp. 99–120.
[77]
서적
Gruber, pp. 247–260.
[78]
서적
Mintz, p. 234
[79]
서적
Trevelyan, p. 3:249
[80]
서적
Ketchum (1997), pp. 446–447.
[81]
서적
Ketchum (1997), p. 442.
[82]
서적
Ketchum (1997), p. 84.
[83]
서적
Griffith, p. 369.
[84]
서적
Boatner, pp. 134–135.
[85]
서적
Mintz, p. 124.
[86]
서적
Alden (1954), p. 118.
[87]
서적
Higginbotham, p. 180.
[88]
서적
Mintz, p. 164.
[89]
서적
Martin, p. 31.
[90]
서적
Pancake, p. 167.
[91]
서적
Ketchum (1997), p. 385.
[92]
서적
Martin, p. 181.
[93]
서적
Martin, pp. 182–186.
[94]
서적
Martin, p. 198.
[95]
서적
Gruber, p. 325.
[96]
서적
Syrett, p. 74.
[97]
서적
Billias, p. 62.
[98]
간행물
A reply to the observations of Lieut. Gen. Sir William Howe
https://archive.org/[...]
1780
[99]
서적
Billias, p. 63.
[100]
서적
Hadden, p. 379.
[101]
서적
Hadden, p. 380.
[102]
뉴스
What an Englishwoman’s Letters Reveal About Life in Britain During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www.smithson[...]
Smithsonian
2021-08-16
[103]
서적
Cokayne, p. 269.
[104]
웹사이트
Dead Men Tell No Tales
http://www.thefutonc[...]
Futon Media
2016-03-14
[105]
웹사이트
'Sleepy Hollow' Season 3: Bones Crossover Plot Revealed! How Will Science & The Supernatural Mix
http://www.enstarz.c[...]
2015-10-05
[106]
서적
Washington's Secret War
Collins Books
2005
[107]
서적
War for America
[108]
서적
The American Revolution: In Two Volumes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and Company
1892
[109]
문서
[110]
서적
The War for American Independence: From 1760 to the Surrender at Yorktown in 1781
[111]
서적
Encyclopedia of the American Revolu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