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섬감총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섬감총독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 섬서성과 감숙성을 관할하던 총독이다. 청나라는 1644년 섬서총독부를 설치하여 사천성을 관할하였으며, 이후 산서성을 포함하는 산섬총독으로 개칭되기도 했다. 1731년에는 섬서성과 감숙성만을 관할했고, 1882년에는 신강성을 추가로 관할했다. 명나라 시기에는 군사 작전을 조정하는 역할을 했으며, 청나라 시기에는 관할 지역과 총독의 명칭, 관할 순무 등이 여러 번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섬감총독 - 홍승주 (청나라)
    홍승주는 명나라 말기 청나라 초기의 군인이자 관료로, 명나라에서는 농민 반란 진압에 공을 세웠으나 청나라에 항복하여 청나라의 관료로 활동하며 강남 평정 등에 기여했고 사후 시호를 받았다.
  • 청나라의 총독 - 양광총독
    양광총독은 명나라와 청나라 시기에 광동과 광서를 관할하던 총독으로, 1734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광동 무역 체제를 통해 유럽 상인과의 교역을 관리했다.
  • 청나라의 총독 - 직례총독
    직례총독은 청나라 시대에 직례 지역을 관할하며 황하 관리, 치수, 통상, 외국 교섭 등을 담당했고 북양함대를 지휘하기도 했던 최고위 지방관직이었다.
  • 간쑤성의 역사 - 서하
    서하는 1038년부터 1227년까지 중국 북서부에 존재했던 탕구트족의 왕조로, 이원호가 건국하여 송, 요와 대립하며 불교를 숭상하고 문화를 발전시켰으나 몽골 제국 침입으로 멸망했다.
  • 간쑤성의 역사 - 간쑤성 (중화민국)
    간쑤성은 중화민국 시기에 청나라 시대 간쑤성 관할 지역을 계승하여 성립되었으나, 1928년 닝샤성과 칭하이성 신설로 관할 구역이 축소되었고, 1949년 란저우 점령으로 중화민국이 실효 지배권을 상실했다.
섬감총독
지도
기본 정보
중국어 간체陕甘总督
중국어 정체陝甘總督
병음Shǎn Gān Zǒngdū
몽골어ᡧᠠᠨᠰᡳ ᡬᠠᠨᠰᡠ ᠊ᡳ ᡠᡥᡝᡵᡳ ᡴᠠᡩ᠋ᠠᠯᠠᡵᠠ ᠠᠮᠪᠠᠨ
다른 이름총독 섬감 등처 지방 제독 군무, 겸리 양향, 관리 차마, 겸 순무사
직책총독
관할 지역산시성
간쑤성
그 외 지역
임명 및 해임
임명 기관청나라 황제
해임 기관청나라 황제
역사
설치 시기순치제 시기
폐지 시기신해혁명 이후
역할 및 권한
주요 역할군사, 식량 및 급여 관리, 차와 말 관리, 순무사 겸임
관할 업무군사 업무 총괄
지역 내 민정 및 재정 감독
차마고도 무역 관리
황제에 대한 보고 및 자문
추가 권한비상시 황제의 권한 대행
관련 정보
영향력지역 통치에 막대한 영향력 행사
중요성청나라의 서북 지역 안정에 기여

2. 연혁

다음은 섬감총독의 연혁이다.


  • 1644년(순치 원년): 청나라가 섬서성과 사천성을 관할하는 섬서총독부를 설치하고 구위안에 본부를 두었다.
  • 1657년(순치 14년): 총독부를 한중으로 이전했다.
  • 1664년(강희 3년): 산서성을 관할에 포함시키면서 산섬총독으로 개칭하고, 총독부를 서안으로 옮겼다.
  • 1675년(강희 14년): 산서성을 관할에서 분리하고 섬감총독으로 개칭하면서 별도로 산서총독을 설치했다.
  • 1680년(강희 19년): 산서총독을 폐지하고 산섬총독으로 명칭을 환원하여 산서성을 다시 관할하게 했다.
  • 1723년(옹정 원년): 산서성을 다시 분리하고 섬감총독으로 개칭하면서, 산서순무가 산서성을 관할하도록 했다.
  • 1731년(옹정 9년): 사천성을 관할에서 제외하여 섬서성과 간쑤성만을 관할하게 했다.
  • 1736년(옹정 13년): 다시 사천성을 관할에 포함시켜 천섬감총독으로 개칭했다.
  • 1754년(건륭 19년): 총독부를 란주로 이전하고 감숙순무를 폐지하여 총독이 겸임하게 했다.
  • 1759년(건륭 24년): 감숙총독을 설치하여 숙주에 총독부를 두고 섬서성도 관할하게 했다. 천섬총독부는 사천성으로 이전되었다. 이후 섬감총독이 부활하여 란저우에 총독부를 두고 순무를 겸임했다.
  • 1882년(광서 8년): 신강성을 설치하여 섬감총독이 관할하게 되었다.

2. 1. 명나라 시기

명나라 초기, 산시성 북부 국경을 따라 군대를 주둔시키면서 섬감총독의 관할이 시작되었다. 세 개의 주둔지는 각각 "연수순무(延綏巡撫)", "닝샤순무(寧夏巡撫)", "간쑤순무(甘肅巡撫)"라고 불렸다.

1497년, 북원의 몽골족이 국경을 넘어 침입하자, 홍치제는 왕월(王越)에게 산시, 연수, 닝샤, 간쑤 지역의 군사 작전을 조정하는 책임을 맡겼다.

정덕제 (재위 1505–1521) 초기, 몽골족이 구위안을 침략했다. 장군 조웅 (曹雄)은 외부의 지원을 거부했다. 양일청 (楊一清)은 경무장 기병대를 이끌고 몽골족을 기습하여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 이 사건 이후 양일청은 연수, 닝샤, 간쑤 지역의 군사 작전이 더 잘 조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황실에 세 지역을 감독할 총독을 임명할 것을 촉구했다. 유대하 (劉大夏)는 양일청을 그 자리에 추천했다.

총독의 관할은 1525년, 가정제 통치 시기에 "군무제독" (提督軍務)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1528년에는 "총제" (總制)로, 1540년에는 "총독" (總督)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본부는 화마지 (花馬池; 현재의 옌츠현, 닝샤시)에 위치했다.

2. 2. 청나라 시기

1644년(순치 원년), 청나라는 섬서성과 사천성을 관할하는 섬서총독부를 설치하고 구위안에 본부를 두었다. 1657년(순치 14년)에는 총독부를 한중으로 이전했다.

1664년(강희 3년), 산서성을 관할에 포함시키면서 산섬총독으로 개칭하고, 총독부를 서안으로 옮겼다. 1675년(강희 14년)에는 산서성을 관할에서 분리하고 섬감총독으로 개칭하면서 별도로 산서총독을 설치했다. 1680년(강희 19년), 산서총독을 폐지하고 산섬총독으로 명칭을 환원하여 산서성을 다시 관할하게 했다.

1723년(옹정 원년), 산서성을 다시 분리하고 섬감총독으로 개칭하면서, 산서순무가 산서성을 관할하도록 했다. 1731년(옹정 9년)에는 사천성을 관할에서 제외하여 섬서성과 간쑤성만을 관할하게 했다. 1736년(옹정 13년)에는 다시 사천성을 관할에 포함시켜 천섬감총독으로 개칭했다.

1754년(건륭 19년), 총독부를 란주로 이전하고 감숙순무를 폐지하여 총독이 겸임하게 했다. 1759년(건륭 24년), 감숙총독을 설치하여 숙주에 총독부를 두고 섬서성도 관할하게 했다. 천섬총독부는 사천성으로 이전되었다. 이후 섬감총독이 부활하여 란저우에 총독부를 두고 순무를 겸임했다.

1882년(광서 8년), 신강성을 설치하여 섬감총독이 관할하게 되었다.

3. 명칭

섬감(陝甘)이라는 이름은 산시성(陝西, Shaanxi)과 간쑤성(甘肅, Gansu)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들어졌다.

청나라 총독 지도

4. 역대 섬감총독

1644년 (순치 원년), 섬서총독(陝西總督)이 설치된 이후, 청나라 시기 섬감총독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구위안에 총독부가 설치되었고 사천성을 관할했다. 이후 한중, 서안으로 총독부가 이전되고 관할 지역도 산서성을 포함했다 제외하는 등 변동이 있었다.

1675년 (강희 14년) 섬감총독으로 개칭된 후, 1680년 (강희 19년)에는 산섬총독으로 명칭이 환원되었다가 1723년 (옹정 원년) 다시 섬감총독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산서성은 관할 지역에서 제외되기도 하고, 산서순무가 별도로 관할하기도 했다. 1731년 (옹정 9년)에는 사천성이 관할에서 제외되었으나, 1736년 (옹정 13년) 다시 포함되어 천섬감총독으로 개칭되었다.

1754년 (건륭 19년) 총독부가 란저우로 이전되었고, 1759년 (건륭 24년) 감숙총독이 설치되면서 섬감총독은 란저우에 총독부를 두고 순무를 겸임하게 되었다. 1882년 (광서 8년)에는 신강성이 설치되어 섬감총독의 관할 하에 놓였다.

역대 섬감총독은 다음과 같다.

역대 섬감총독
이름재임 기간
윤계선 (尹継善)1748년-1749년, 1750년-1751년 (서리: 1753년)
호보 (瑚宝)1749년
황정계 (黄廷桂)1751년-1753년, 1755년-1759년
영상 (永常)1753년-1754년
유통훈 (劉統勛) (서리)1754년-1755년
우다산 (呉達善)1759년, 1766년-1768년, 1771년
양응거 (楊応琚)1760년-1766년
명산 (明山)1769년-1771년
문수 (文綬)1771년-1772년
해명 (海明)1772년
륵이근 (勒爾謹)1772년-1776년 (서리: 1772년), 1776년-1781년
필원 (畢沅) (서리)1776년, 1783년
이시요 (李侍尭)1781년-1784년
복강안 (福康安)1784년
경계 (慶桂) (서리)1785년
영보 (永保) (서리)1786년
륵보 (勒保)1788년-1795년 (서리: 1787년)
의면 (宜綿)1795년-1796년, 1797년-1799년
육유인 (陸有仁) (잠서)1796년-1797년
영선 (英善) (대서)1797년
항서 (恒瑞) (서리)1799년
송균 (松筠)1799년-1800년, 1809년
장린 (長麟)1800년-1801년, 1807년-1809년, 1813년-1814년, 1817년-1822년, 1825년
혜령 (恵齢)1801년-1804년
나언성 (那彦成)1810년-1813년, 1822년-1825년 (서리: 1804년)
왜십포 (倭什布)1804년-1806년
전보 (全保)1806년-1807년
방유전 (方維甸) (서리)1806년
채정형 (蔡廷衡) (호리)1807년
화녕 (和寧) (서리)1809년, 1817년
선복 (先福)1814년-1817년
고기 (高杞) (서리)1814년
주훈 (서리)1821년
악산 (鄂山) (서리)1825년, 1826년, 1830년
양우춘 (楊遇春)1827년-1835년 (서리: 1825년-1826년)
호송액 (瑚松額)1835년-1840년 (서리: 1840년)
눌이경액 (訥爾経額)1840년
은특형액 (恩特亨額)1841년-1842년 (서리: 1840년-1841년)
부녕아 (富呢揚阿)1842년-1845년
혜길 (恵吉)1845년
등정진 (鄧廷楨) (서리)1845년
부언태 (布彦泰)1845년-1849년
임칙서 (林則徐) (서리)1845년
양이증 (楊以増) (서리)1847년
기산 (琦善)1849년-1851년 (서리: 1849년)
살영아 (薩迎阿) (잠서)1851년
유태 (裕泰)1851년
서흥아 (舒興阿)1851년-1853년 (서리: 1851년)
역당 (易棠)1854년-1856년 (서리: 1853년)
낙빈 (楽斌)1856년-1860년, 1860년-1861년
상적 (常績) (호리)1856년
임양조 (林揚祖) (서리)1859년, 1860년
복제 (福済) (서리)1860년
린괴 (麟魁)1862년
심조린 (沈兆霖) (서리)1862년
희린 (熙麟)1862년 ~ 1864년
은린 (恩麟) (호리)1862년, 1864년
양악빈 (楊岳斌)1864년 ~ 1866년
도흥아 (都興阿) (서리)1864년
좌종당1866년, 1869년 ~ 1880년
목도선 (穆図善) (서리)1866년, 1867년 ~ 1869년
양창준 (楊昌濬)1880년 ~ 1881년, 1888년 ~ 1895년
증국전1881년
담종린 (譚鍾麟)1881년 ~ 1888년
도모 (陶模) (서리)1895년, 1896년 ~ 1899년
위광수 (魏光寿) (서리)1899년, 1900년
숭번 (崧蕃)1900년 ~ 1905년
하복곤 (何福堃) (호리)1900년, 1901년
이정소 (李廷簫) (대호)1900년
승윤 (升允)1905년 ~ 1909년
장경 (長庚)1909년 ~ 1911년


4. 1. 명나라

명나라 초기, 산시성 북부 국경을 따라 군대를 주둔시키면서 섬감총독의 관할이 시작되었다. 세 개의 주둔지는 각각 "연수순무(延綏巡撫)", "닝샤순무(寧夏巡撫)", "간쑤순무(甘肅巡撫)"라고 불렸다.

1497년, 북원의 몽골족이 국경을 넘어 침입하자, 홍치제는 왕월(王越)에게 산시, 연수, 닝샤, 간쑤 지역의 군사 작전을 조정하는 책임을 맡겼다.

정덕제 (재위 1505–1521) 초기, 몽골족이 구위안을 침략했다. 장군 조웅 (曹雄)은 외부 지원을 거부했다. 양일청 (楊一清)은 경무장 기병대를 이끌고 몽골족을 기습하여 격퇴하는 데 성공했다. 이 사건 이후 양일청은 연수, 닝샤, 간쑤 지역의 군사 작전이 더 잘 조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고, 황실에 세 지역을 감독할 총독을 임명할 것을 촉구했다. 유대하 (劉大夏)는 양일청을 그 자리에 추천했다.

총독의 관할은 1525년, 가정제 통치 시기에 "군무제독" (提督軍務)이라는 이름으로 설치되었다. 1528년에는 "총제" (總制)로, 1540년에는 "총독" (總督)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본부는 화마지 (花馬池; 현재의 옌츠현, 닝샤시)에 위치했다.

역대 섬감총독은 다음과 같다.

#이름초상화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왕월(王越)147414981474년에는 "삼변군무 총지"(總制三邊軍務)로, 1497년부터 1498년까지는 "감, 량, 변무 총지 겸 순무"(總制甘、涼邊務兼巡撫)로 재임
2진굉
15011504"삼변군무 총지"(總制三邊軍務)로 재임
3이월(李鉞)15221523"섬서 삼변 군무 총지"(總制陝西三邊軍務)로 재임
4양일청
15251525
5왕헌(王憲)15251528"섬서 삼변 군무 독"(督陝西三邊軍務)으로 재임
6왕경(王瓊)
15281532
7이문(李汶)1535
8증선15461548"섬서 삼변 군무 총독"(總督陝西三邊軍務)으로 재임
9고기지1610
10황가산
11유민관
12장학명
13양응빙
14기광종1615"감, 량, 삼변 군무 총독"(總督甘、涼三邊軍務)으로 재임
15이기원"섬서 삼변 군무 총독"(總督陝西三邊軍務)으로 재임
16무지망1628
17양학(楊鶴)1629
18홍승주
1631
19정숭검1639
20정계예1640


4. 2. 청나라

1644년 (순치 원년) 섬서총독(陝西總督)이 설치된 이후, 청나라 시기 섬감총독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초기에는 구위안에 총독부가 설치되었고 사천성을 관할했다. 이후 한중, 서안으로 총독부가 이전되고 관할 지역도 산서성을 포함했다 제외하는 등 변동이 있었다.

1675년 (강희 14년) 섬감총독으로 개칭된 후, 1680년 (강희 19년)에는 산섬총독으로 명칭이 환원되었다가 1723년 (옹정 원년) 다시 섬감총독이 되었다. 이 과정에서 산서성은 관할 지역에서 제외되기도 하고, 산서순무가 별도로 관할하기도 했다. 1731년 (옹정 9년)에는 사천성이 관할에서 제외되었으나, 1736년 (옹정 13년) 다시 포함되어 천섬감총독으로 개칭되었다.

1754년 (건륭 19년) 총독부가 란저우로 이전되었고, 1759년 (건륭 24년) 감숙총독이 설치되면서 섬감총독은 란저우에 총독부를 두고 순무를 겸임하게 되었다. 1882년 (광서 8년)에는 신강성이 설치되어 섬감총독의 관할 하에 놓였다.

4. 2. 1. 초기 (1645-1748)

1644년 (순치 원년), 섬서총독(陝西總督)이 설치되었다. 총독부는 구위안에 설치되었고, 사천성도 관할했다.

1657년 (순치 14년), 총독부가 한중으로 이전되었다.

1664년 (강희 3년), 산섬총독(山陝總督)으로 개칭되어 산서성도 관할하게 되었으며, 총독부는 서안으로 이전되었다.

1675년 (강희 14년), 섬감총독(陝甘總督)으로 개칭되어, 산서성은 관할에서 제외되고 산서총독이 별도로 설치되었다.

1680년 (강희 19년), 산섬총독으로 명칭이 환원되었다. 산서총독이 폐지되고, 산섬총독이 산서성의 관할도 다시 맡게 되었다.

1723년 (옹정 원년), 섬감총독으로 개칭되었다. 산서성은 다시 관할에서 제외되었고, 총독이 설치되지 않고 산서순무가 관할하게 되었다.

1731년 (옹정 9년), 섬서성과 감숙성만을 관할하고, 사천성은 관할에서 제외되었다.

1736년 (옹정 13년), 다시 사천성을 관할하여, 천섬감총독(川陝甘總督)으로 개칭되었다.

1748년, 사천-섬서 총독을 사천 총독과 섬감 총독으로 분리했다.

4. 2. 2. 중기 (1748-1862)

1748년 (건륭 13년), 사천성을 다시 관할하게 되면서 천섬감총독(川陝甘總督)으로 개칭되었다. 1754년 (건륭 19년)에는 총독부가 란저우로 이전되었고, 감숙순무가 폐지되면서 총독이 겸임하게 되었다.

1759년 (건륭 24년), 감숙총독이 설치되어 숙주에 총독부가 설치되었고, 섬서성도 관할하였다. 천섬총독부는 사천성으로 이전되었다. 이후 섬감총독이 부활하여 란저우에 총독부를 두고 순무를 겸임했다.

역대 섬감총독은 다음과 같다.

이름재임 기간
윤계선 (尹継善)1748년-1749년, 1750년-1751년 (서리: 1753년)
호보 (瑚宝)1749년
황정계 (黄廷桂)1751년-1753년, 1755년-1759년
영상 (永常)1753년-1754년
유통훈 (劉統勛) (서리)1754년-1755년
우다산 (呉達善)1759년, 1766년-1768년, 1771년
양응거 (楊応琚)1760년-1766년
명산 (明山)1769년-1771년
문수 (文綬)1771년-1772년
해명 (海明)1772년
륵이근 (勒爾謹)1772년-1776년 (서리: 1772년), 1776년-1781년
필원 (畢沅) (서리)1776년, 1783년
이시요 (李侍尭)1781년-1784년
복강안 (福康安)1784년
경계 (慶桂) (서리)1785년
영보 (永保) (서리)1786년
륵보 (勒保)1788년-1795년 (서리: 1787년)
의면 (宜綿)1795년-1796년, 1797년-1799년
육유인 (陸有仁) (잠서)1796년-1797년
영선 (英善) (대서)1797년
항서 (恒瑞) (서리)1799년
송균 (松筠)1799년-1800년, 1809년
장린 (長麟)1800년-1801년, 1807년-1809년, 1813년-1814년, 1817년-1822년, 1825년
혜령 (恵齢)1801년-1804년
나언성 (那彦成)1810년-1813년, 1822년-1825년 (서리: 1804년)
왜십포 (倭什布)1804년-1806년
전보 (全保)1806년-1807년
방유전 (方維甸) (서리)1806년
채정형 (蔡廷衡) (호리)1807년
화녕 (和寧) (서리)1809년, 1817년
선복 (先福)1814년-1817년
고기 (高杞) (서리)1814년
주훈 (서리)1821년
악산 (鄂山) (서리)1825년, 1826년, 1830년
양우춘 (楊遇春)1827년-1835년 (서리: 1825년-1826년)
호송액 (瑚松額)1835년-1840년 (서리: 1840년)
눌이경액 (訥爾経額)1840년
은특형액 (恩特亨額)1841년-1842년 (서리: 1840년-1841년)
부녕아 (富呢揚阿)1842년-1845년
혜길 (恵吉)1845년
등정진 (鄧廷楨) (서리)1845년
부언태 (布彦泰)1845년-1849년
임칙서 (林則徐) (서리)1845년
양이증 (楊以増) (서리)1847년
기산 (琦善)1849년-1851년 (서리: 1849년)
살영아 (薩迎阿) (잠서)1851년
유태 (裕泰)1851년
서흥아 (舒興阿)1851년-1853년 (서리: 1851년)
역당 (易棠)1854년-1856년 (서리: 1853년)
낙빈 (楽斌)1856년-1860년, 1860년-1861년
상적 (常績) (호리)1856년
임양조 (林揚祖) (서리)1859년, 1860년
복제 (福済) (서리)1860년
린괴 (麟魁)1862년


4. 2. 3. 후기 (1862-1911)

1882년(광서 8년), 신강성이 설치되어 섬감총독이 관할하게 되었다.

역대 섬감총독 (1862년 ~ 1911년)
이름재임 기간
심조린(沈兆霖)1862년 (서리)
희린(熙麟)1862년 ~ 1864년
은린(恩麟)1862년 (호리), 1864년 (호리)
양악빈(楊岳斌)1864년 ~ 1866년
도흥아(都興阿)1864년 (서리)
좌종당1866년, 1869년 ~ 1880년
목도선(穆図善)1866년 (서리), 1867년 ~ 1869년
양창준(楊昌濬)1880년 ~ 1881년, 1888년 ~ 1895년
증국전1881년
담종린(譚鍾麟)1881년 ~ 1888년
도모(陶模)1895년 (서리), 1896년 ~ 1899년
위광수(魏光寿)1899년 (서리), 1900년
숭번(崧蕃)1900년 ~ 1905년
하복곤(何福堃)1900년, 1901년 (호리)
이정소(李廷簫)1900년 (대호)
승윤(升允)1905년 ~ 1909년
장경(長庚)1909년 ~ 1911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