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주대만 미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주대만 미군은 1950년대부터 1979년까지 대만에 주둔하며 중화민국 방어를 지원했다. 1949년 중화민국 정부의 대만 이주와 6.25 전쟁 발발 이후, 미국은 제7함대 파견을 시작으로 중미공동방어조약 체결, 대만 결의안 통과 등을 통해 대만과의 군사적 협력을 강화했다. 1955년부터 1979년까지는 미군 협방 타이완 사령부(USTDC)가 타이베이에 주둔하며, 주대만 미국 군사고문단(MAAG-China)은 중화민국군에 대한 군사 훈련 및 자문을 제공했다. 1979년 미중 수교와 함께 상호방위조약이 폐지되었으나, 2020년대 들어 미중 갈등 심화로 인해 주대만 미군의 역할이 다시 부각되고 있으며, 군사고문단 재설립 및 대만군 훈련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1957년에는 레이놀즈 시위로 알려진 반미 시위가 발생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주대만 미군 - 미군 협방 타이완 사령부
    미군 협방 타이완 사령부(USTDC)는 미국과 중화민국 간의 상호 방위 조약에 따라 타이완 및 펑후 제도의 방어를 책임졌으며, 타이베이에 사령부를 두고 육해공군과 해병대를 운용하다가, 미중 관계 변화로 1979년 해체되었다.
  • 1979년 해체된 단체 - 제85민사여단
    제85민사여단은 2009년 10월 1일 창설된 대한민국 육군 소속 민사작전 수행 부대로, 여러 민사대대를 예하에 두고 지역 주민과의 관계 개선, 인도주의적 지원, 재난 복구 지원 등을 수행하며 지역 사회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다.
  • 1979년 해체된 단체 - 미군 협방 타이완 사령부
    미군 협방 타이완 사령부(USTDC)는 미국과 중화민국 간의 상호 방위 조약에 따라 타이완 및 펑후 제도의 방어를 책임졌으며, 타이베이에 사령부를 두고 육해공군과 해병대를 운용하다가, 미중 관계 변화로 1979년 해체되었다.
  • 미국의 통합전투사령부 - 주일 미군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일본 점령기부터 미일 안보 조약에 따라 현재까지 일본에 주둔하며 일본 방위와 자위대 협력 태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기지 집중으로 인한 주민 반발, 범죄, 환경 문제, 그리고 최근 미일 동맹 강화 계획 발표로 논란이 심화되고 있는 미군을 주일 미군이라고 한다.
  • 미국의 통합전투사령부 -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
    미국 인도-태평양 사령부는 인도양과 태평양 지역을 관할하는 미국 국방부 산하의 통합 전투 사령부로, 미국의 이익 보호, 동맹국과의 안보 협력 증진, 역내 안정 강화를 목표로 군사 작전 및 훈련을 수행하며, 2018년 태평양 사령부에서 명칭이 변경되었다.
주대만 미군
개요
이름주대만 미군
원어 이름United States Forces Taiwan
원어 이름 (중국어)駐台美軍
약칭USF-T
창설1950년
해체1979년 5월
국가미국
소속미국 국방부
종류하위 통합전투사령부
역할중화민국 국군과 연계하여 중국 인민해방군에 대한 견제
본부타이베이시

2. 역사

1949년 11월 30일, 난징이 함락되면서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국부천대하고 중화민국 국군이 대만으로 철수하면서 제2차 국공 내전은 끝맺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공산진영과의 긴장감이 고조되었고, 이틀 후 6월 27일 미국은 일본 열도에 주둔하던 제7함대에 명령하여 분견대를 조직, 대만 본섬으로 정기 순찰을 보내기 시작하였다.

1954년 9월 제1차 대만 해협 위기가 발발하면서 미국과 중화민국은 미국-중화민국 상호방위조약(중미공동방어조약)을 체결하였다. 1955년 미국 상원은 대만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드와이트 D. 아이젠아워 미국 대통령이 서명하였다. 1979년 12월 31일, 미국-중화민국 상호방위조약이 폐지되었다.

2. 1. 중화민국과의 군사 협력

1949년 11월 30일, 난징이 함락되면서 중화민국 정부가 대만으로 국부천대하고 중화민국 국군이 대만으로 철수하면서 제2차 국공 내전은 끝맺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공산진영과의 긴장감이 고조되었고, 이틀 후 6월 27일 미국은 일본 열도에 주둔하던 제7함대에 명령하여 분견대를 조직, 대만 본섬으로 정기 순찰을 보내기 시작하였다.

1954년 9월 제1차 대만 해협 위기가 발발하면서 미국과 중화민국은 미국-중화민국 상호방위조약(중미공동방어조약)을 체결하였다. 1955년 미국 상원은 대만 결의안을 통과시키고 드와이트 D. 아이젠아워 미국 대통령이 서명하였다. 1979년 12월 31일, 미국-중화민국 상호방위조약이 폐지되었다.

2. 2. 미중 수교와 대만 관계법

2. 3. 최근 동향

2020년대 들어 미중 갈등 심화와 중국의 군사적 위협 증대로 인해 주대만 미군의 역할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1] 2022년, 미국 국방부는 주대만 미군 군사고문단의 재설립을 발표하였고,[1] 2023년에는 교관들이 파견되어 대만군 훈련을 지원하고 있다.[1]

3. 5.24 사건 (레이놀즈 시위)

1957년 5월 24일 주타이베이 미국 대사관 앞에서 레이놀드스 시위(Reynolds riot영어)로 알려진 반미 시위 사건이 일어났다. 3월 20일, 양밍산 미군 기숙사 곁을 지나가던 혁명실천연구원 학원생이자 중화민국 육군 소교인 류즈란(류즈란/劉自然중국어)이 미군 군사고문관 로버트 G. 레이놀즈에게 .22 구경 리볼버를 두 발 맞아 즉사했다. 레이놀즈가 외교면책특권을 주장하며 주타이베이 미국 군사경찰대의 체포를 거부하고 처벌을 받지 않자, 이에 분노한 대만 민중의 반미 시위로 이어졌다.

4. 조직



미군 협방 타이완 사령부(USTDC)는 1955년부터 1979년까지 타이완 타이베이시에 주둔하며 중화민국 방어를 담당했으며, 현재는 타이베이 시립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대만 미국 군사고문단(MAAG-China)은 중화민국군에 대한 군사 훈련 및 자문을 제공했다.

제7함대 분견대, 미국 해군 제2의학연구소(해군 인도-태평양 의료연구부대)() 등 해군 부대와, 제327항공사단, 제6987보안전대 (미국 공군 보안근무대), 제18전투비행단, 제314병력수송단, 제374항공수송단, 제405전투비행단 등 공군 부대가 주둔하였다. 1960년대에는 제82공수사단 1개 여단이 주둔하였다. 그 외에도 제71방공포병연대, 미국 육군 대만 물자국()이 있었다.

4. 1. 주대만 미군 사령부



미군 협방 타이완 사령부(USTDC)는 1955년부터 1979년까지 타이완 타이베이시에 주둔하며 중화민국 방어를 담당했으며, 현재는 타이베이 시립미술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주대만 미국 군사고문단(MAAG-China)은 중화민국군에 대한 군사 훈련 및 자문을 제공했다.

4. 2. 주요 부대

제7함대 분견대, 미국 해군 제2의학연구소(해군 인도-태평양 의료연구부대)() 등 해군 부대와, 제327항공사단, 제6987보안전대 (미국 공군 보안근무대), 제18전투비행단, 제314병력수송단, 제374항공수송단, 제405전투비행단 등 공군 부대가 주둔하였다. 1960년대에는 제82공수사단 1개 여단이 주둔하였다. 그 외에도 제71방공포병연대, 미국 육군 대만 물자국()이 있었다.

5. 시설

타이베이 미국 학교와 타이난 미국 학교는 주대만 미군 자녀들을 위한 교육 시설이었다. 양밍산 미군 기숙사와 톈무 화이트 하우스는 미군 및 그 가족들을 위한 주거 시설이었다. 숭위안 별관은 과거 미군 장교 클럽으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6. 같이 보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