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화민국 해군육전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1909년 청나라 해군 시설 방어 및 전략적 요충지 점령을 위해 창설된 해군 육상 병력에서 기원하며, 1914년 정식으로 해군육전대로 개편되었다. 중화민국 대륙 시기, 군벌 시대와 국민혁명군 편입을 거치며 규모가 확대되었으며, 1949년 중화민국 정부의 대만 퇴각 이후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상륙전에 특화된 정예 부대로 재편되었다. 1950년대 한국 전쟁 발발 후 미국의 지원을 받아 현대화되었으며, 현재는 2개의 해병 여단과 상륙정찰 및 순찰부대를 주력으로 하는 약 9,000명 규모의 부대로, 대만 방어를 주요 임무로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민국 해군 - 방공경위군
방공경위군은 중화민국 해군육전대 소속 부대로, 해군 기지 경비 및 방공 임무를 수행하며, 1949년 창설 이후 여러 부대 개편을 거쳐 2013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중화민국 해군 - 중화민국 해군사령부
중화민국 해군사령부는 중화민국 국방부 예하 해군을 총괄하는 군사 기관으로, 1912년 북양정부 시기 해군부로 창설되어 국공 내전 후 타이완으로 이전, 가오슝시 쭤잉구에 위치하며 해군 전력 현대화를 추진한다. - 쭤잉구 - 가오슝 국가체육장
가오슝 국가체육장은 2009년 가오슝 월드 게임의 메인 스타디움으로 건설된 40,000석 규모의 개방형 경기장으로, 국제 육상 경기 연맹(IAAF) 클래스 1 인증 육상 경기장이자 국제 축구 연맹(FIFA) 요구 사항 충족 축구 경기장이며, 태양광 발전을 통해 연간 1MW의 전력을 생산하는 친환경 경기장이다. - 쭤잉구 - 방공경위군
방공경위군은 중화민국 해군육전대 소속 부대로, 해군 기지 경비 및 방공 임무를 수행하며, 1949년 창설 이후 여러 부대 개편을 거쳐 2013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 1914년 설립된 단체 - 연방거래위원회
연방거래위원회(FTC)는 미국의 독립 행정기관으로, 소비자 보호와 공정 경쟁 촉진을 주요 임무로 하며, 초기 독과점 금지에서 소비자 보호 영역으로 확장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최근에는 권한 제한 논란과 존폐 논쟁에 직면하고 있다. - 1914년 설립된 단체 - 미국아마추어무선연맹
1914년 히람 퍼시 맥심에 의해 설립된 미국아마추어무선연맹(ARRL)은 아마추어 무선 기술 발전과 권익 보호를 위한 비영리 단체로서, 출판, 시험 관리, 콘테스트 개최, 비상 통신 운영 등의 활동을 하며 연방통신위원회 규제 옹호 활동도 펼치고, 최근 랜섬웨어 공격과 한국과의 교류를 겪었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소속 | 중화민국 해군 |
종류 | 해병대 |
역할 | 수륙 양용전 원정군 |
규모 | 10,000명 (2023년 기준) |
본부 | 가오슝시쭤잉구 |
별칭 | 해군 육전대 |
모토 | 永遠忠誠 (Yǒngyuǎn zhōngchéng, 영원히 충성) |
군가 | 海軍陸戰隊隊歌 (Hǎijūnlùzhànduì duì gē, 해군 육전대 군가) |
![]() | |
![]() | |
지휘부 | |
사령관 | 판촨성 중장 |
해병대 사령부 사령관 | 판촨성 |
역사 | |
창설 | 1914년 |
해체 | 1946년 (이후 재창설) |
재창설 | 1947년 |
참전 | |
군벌 시대 | 북벌 |
중화민국 시대 | 중소 분쟁 (1929) 중일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 태평양 전쟁 |
냉전 | 국공 내전 |
기타 | |
관련 항목 | 중화민국 국군 중화민국 해군 중화민국 육군 중화민국 공군 중화민국 헌병 |
2. 역사
wikitext
1909년, 청나라 정부는 해군대신 뢰칙을 서구 해군 연구를 위해 파견했다.[40] 영국에서의 조사 결과와 제1차 중일전쟁 당시 중국 육군과 해군 간 협조 부족을 바탕으로, 뢰칙은 청나라 조정에 해군 시설 방어 및 전략적 요충지 점령을 위한 해군 육상 병력 창설을 건의했다.[40] 산둥성 기지에 해군 경비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신해혁명 발발 당시에는 아직 초기 단계였다.[40] 중화민국 수립 후 해군 경비대는 북양정부의 통제를 받았다.[40] 혁명 당시 일본 유학 중이던 여러 중국 해군 사관생도들이 귀국하여, 상하이 혁명 총독 진기미(陳其美)가 조직한 소규모 "해병대"의 일원이 되었다.[40] 이 부대는 수백 명의 대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황제 퇴위 때까지 청나라 군대와 싸웠다.[40] 위안스카이(袁世凱) 대통령 재임 중 원래의 해군 경비대는 산둥성에서 상하이로 재배치되어 1913년 제2차 혁명 진압에 사용되었다.[40]
1914년 12월, 해군대신의 건의에 따라 류관웅(劉冠雄) 제독의 권고로 해군 경비대는 중국 해안을 더 잘 보호하기 위해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로 개편되었다.[40]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4개 보병 중대(대대)로 편성된 1개 대대(여단)로 구성되었으며, 푸젠성에 주둔했다. 1918년에 2개 대대가 추가되었다.[40] 그때부터 해병대는 베이징 해군부의 직접 지휘를 받았다.[40] 초기 공화국 시대에 해병대는 해군 기지를 보호했고, 정치적 분열과 군벌주의 때문에 해군의 나머지 부대와 마찬가지로 봉급과 자원 부족에 시달렸다.[40] 1922년, 해병대 대대가 푸젠성에서 산적 토벌 작전에 참여했다.[40] 1923년 1월, 해군부는 푸젠성에 해병대 사령부를 설립했고,[40] 그 후 몇 년 동안 푸젠성의 질서 유지를 위해 해병대가 확장되었으며, 같은 해에 해병대 제1혼성여단이 창설되었다.[40] 이 여단은 포병대와 기관총 대대와 함께 4개 연대를 보유하고 있었다.[40] 또한 군벌 시대에 중국 북동부의 봉천군벌과 남부의 쑨원의 대안 정부 부대도 해병대 부대를 창설했지만, 북양 정부에 충성했던 푸젠성의 주력 중화민국 해병대의 규모에 미치지 못했다.[40]
1925년, 린젠장(林建章)과 두시구이(杜錫貴) 제독이 이끄는 해군부는 10월에 제1해병혼성여단을 해체하는 등 해병대의 규모 축소를 명령했지만, 양수장(楊樹莊) 제독에 의해 1926년 1월에 복원되어 다시 작전에 참여했다. 북벌이 시작되자, 푸젠성의 해병대는 북양함대의 다른 부대와 함께 허잉친(何應欽)이 이끄는 국민당 국민혁명군에 투항했다. 1926년 12월, 국민혁명군 해병대가 창설되었다.[40] 해병대는 1927년에 국민혁명군과 함께 싸웠고, 양수장(楊樹莊) 제독 지휘하에 전직 북양군의 제11혼성여단을 편입하여 푸젠성의 군벌과 싸우기 위해 해병대가 확장되었다.[40] 8월에 2개의 해병혼성여단과 4개의 독립 연대가 창설되었다.[40] 양쯔강 유역에서 직례군벌의 군벌 쑨촨팡(孫傳芳)에 대한 작전에 해병대 부대가 배치된 반면, 다른 부대는 푸젠성에서 작전을 계속했다.[40] 1928년까지 해병대는 추가 부대를 흡수하여 규모가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하여 2개의 혼성여단과 6개의 연대로 구성되었으며, 푸젠성 해안을 따라 여러 곳에 주둔했다.[40]
새로운 국민정부는 1928년 비용 절감을 위해 중화민국 해병대의 규모를 축소하고, 독립 연대를 기존의 2개 여단으로 통합했다. 1931년 현재 2개의 해병여단은 총 14,412명 이상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었다.[40] 각 여단은 각각 3개 대대의 보병 연대 2개와 포병 대대 1개를 보유하고 있었다.[40] 이 무렵 푸젠성에 해병대 총사령부가 설립되어 작전을 감독했다. 1933년 7월, 해군부는 해병대의 조직 구조를 2개의 보병 연대, 포병 포대, 그리고 일부 지원 부대로 묘사한 "해병대 조직 임시 규정"을 발표했다.[40]
기존의 신건육군 병력이 대체로 계승된 육군과 달리, 청 해군이나 혁명군이 편성한 육전대는 이후 세대에 계승되지 않고 해산되었다. 따라서 북양정부의 육전대는 백지에서부터 시작해야 했다. 1912년 4월, 경위대가 창설되었다. 중대 규모였던 것이 점차 규모를 늘려 1914년에는 2개 영(대대)으로 개편되어 북경과 상해에 주둔했다. 참고로, 이 외에도 임시로 편성된 "육전단"이라고 불리는 부대가 있었던 것 같다.
1922년, 해군총사령관에 복건 출신의 두석규(杜錫珪)가 취임했다. 그 무렵, 복건에서는 독군 이후기(李厚基)가 안휘파와 호법군정부의 압력을 받아 권력이 급속히 흔들리고 있었다. 더불어, 오래전부터 이와 그의 총애를 받던 경찰청장 왕헌신의 압정에 시달리던 민중도 폭동을 일으켜 내우외환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그래서 두는 병력의 대부분을 복건 평정에 파병했다. 이후 육전대는 장치평의 반란과 허숭지 등 호법군정부와 대치하면서 직례파의 방어선인 복주를 손전방(孫伝芳)과 함께 유지했다. 두석규(杜錫珪)의 보호를 받으며 착실히 세력을 키워 2년 만에 1개 여단 규모로 성장했다.
그러나 1924년 9월의 제2차 봉직전쟁에서 직례파가 패배하자 두석규(杜錫珪)도 실각했다. 후원을 잃은 육전대는 새로 해군총장이 된 임건장(林建章)의 압력을 받아, 이듬해 1925년 5월에는 양지를 처형당하고, 10월에는 1개 대대 규모로 축소되었다. 이듬해, 두석규(杜錫珪)와 가까운 양수장(楊樹莊)이 해군총장에 취임하면서 여단이 부활했다. 그 해 연말에는 복건을 제압한 국민혁명군에 대해, 양의 의향도 있어 신속히 귀순하여 손전방(孫伝芳)군의 소탕에 참가했다.
한편 광동군정부에서는 "중화혁명당 해군육전대"에 원세개 육전대 사령이었던 양호(楊虎)가 취임했다. 제1차 호법운동의 실패로 쑨원이 광주를 떠난 후, 임포역(林葆懌) 등에 의해 확충되었으나, 진형명(陳炯明)의 반란으로 인해 접수되어 소멸한다. 그 후 1924년에 재흥되어 2개 단(연대)까지 성장했으나, 장태뢰(張太雷) 등 중국공산당원이 일으킨 광주폭동에 육전대 병사들도 참가했던 것이 발각되어 해산되었고, 양수장(楊樹莊)의 적극적인 군벌 측이었던 전 주민 육전대를 충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민정부 성립 후, 육군이나 공군과 같은 대규모 개혁이 해군에서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력 함정의 궤멸 후에는 눈에 띄는 활약 없이 각 부대는 전후에 해산되어 육군에 편입되었다. 따라서 육전대가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된 것은 전후가 되어서였다.
;북양 해군 육전대
- 1912년 4월 - 북양 정부 해군부, 경위대를 설립. 초기 편제는 2개 구대(區隊)로 8개 배(排)(소대)를 공유. 관대(管帶)는 임용희(林鎔禧). 제1구대장은 반명승(范銘升), 제2구대장은 송괴청(宋槐清).
- 1913년
- * 2월 - 2개 연(連)(중대)으로 확충. 제1연 연장(連長)은 구관평(邱官平), 제2연 연장은 유조린(游兆麟).
- * 6월 - 경위대, 상해 고창묘진(上海高昌廟鎮)을 근거지로 함.[40]
- 1914년 12월 - 중화민국 해군부 경위대, 해군 육전영(營)(대대)으로 개편
- 1918년
- * 2월 - 육전영, 1개 기창연(機槍連)(기관총 중대) 증설. 연장은 진양침(陳揚琛).
- * 7월 - 모집한 신병으로 4개 연 증설, 제2영이 성립. 제1영 영장(營長)은 공상운(孔祥雲), 제2영 영장은 임용희(林鎔禧). 제1영은 북경, 제2영은 상해 고창묘 해군총사령부(上海高昌廟海軍總司令部) 및 해군 강남조선소(江南造船所), 마미조선소(馬尾造船所)의 경위 임무에 종사. 총 병력은 2개 영 8연, 각 영에 1개 기창연.
- 1919년 - 강방해륙전대(江防海陸戰隊) 편성
;복건계 해군 육전대
- 1922년
- * 10월 - 두석규(杜錫珪), 복건 평정을 위해 제2함대 사령부 부관 양저중(楊砥中)을 관대(統帶)로 하여, 육전대 제1영 및 제2영 예하 3개 연 병력을 복건에 파견
- * 11월 - 마미경비사령부(馬尾警備司令部) 성립
- 1923년
- * 1월 - 주민(駐閩) 육전대를 확충, 복주 남태중주 수정리국(福州南台中州水亭厘局)에서 '''해군 육전대 통대부(統帶部)''' 성립. 통대는 양저중(楊砥中), 참모장은 황무화(黃懋和). 제1영 영장은 임충(林忠), 제2영 영장은 마곤정(馬坤貞)
- * 5월 - 해군 육전대 통대부, '''잠편 제1혼성여(旅)'''로 개편. 제1단 단장(團長)은 마곤정(馬坤貞), 제2단 단장은 임충(林忠). 또한 동시기에 독립단(단장: 임지당(林志棠)) 및 포병, 공병, 기관총, 박격포 등 각 1개 연 증설. 예하 부대는 8개 보병영 및 기관총과 산포 각 1개 영이 되고, 이후 육전대의 기본 단위는 “영”이 됨.
- * 10월 - 제1혼성여, 정식으로 성립.
- 1924년
- * 4월 - 에서 '''해군 육전대 강무학교(講武學校)''' 개교. 교장은 양저중(楊砥中), 감독은 이세갑(李世甲), 교육장은 삽군예(薩君豫)
- * 5월 - 하문(廈門) 점령. 해군 민하경비사령부 위대영(閩廈警備司令部衛隊營)(영장: 장종주(莊宗周), 예하 4개 연) 성립. 특별 보병단 독립 제3영을 확충하여 보병 제3단으로 편입, 단장은 황무화(黃懋和) 참모장이 겸임(후에 임지당(林志棠)). 포병연은 포병영(영장: 홍정명(洪貞銘))으로 확충. 이후 포병영을 2개에서 3개 연(야포 1연, 산포 2연)으로 확충. 이 외, 여부 직속 부대도 확충됨. 주둔지에 복청(福清), 연강(連江), 장락(長樂), 평담(平潭) 등 추가
- * 6월 - 해군 육전대 강무학교, "'''해군 육전대 군관연구반(軍官研究班)'''"으로 개칭, 육전대의 하급 군관을 소집하여 재훈련 실시. 또한, 신규 군관의 양성 교육을 위해 학생대 증설
- * 8월 - 손전방(孫伝芳) 지휘하의 주복주 복건육군 제1독립단(단장: 임수국(林壽國))을 편입하여 '''해군 육전대 제1혼성여 보병독립단'''으로 개편
- **제1영 영장: 임균(林鋆)
- **제2영 영장: 임요동(林耀棟)
- **제3영 영장: 임병주(林秉周)
- **기관총 연 및 박격포 연, 후에 1개 보병영 증설.
이에 따라 4개 단 제가 됨. 포천(莆田), 선유(仙游) 등의 지에 분주
- 1925년
- * 2월 - 양저중(楊砥中), 부정으로 임건장(林建章) 해군총장의 명령에 따라 체포되어 처형됨. 제2단장 임충(林忠)이 여장 대리(旅長代理)가 됨
- * 3월 - 제1혼성여 보병독립단, 제1혼성여 보병 제3단으로 개편. 임수국(林壽國)이 다시 단장이 되어, 복주, 영덕(寧德) 지역에 주둔
- * 10월 - 제1혼성여, 단기서(段祺瑞)의 명령을 받고 해체. 잔존 병력은 '''육전대대(陸戰大隊)'''로 축소됨. 예하에 2개 지대(支隊)를 가지며, 일지대장은 임충(林忠), 이지대장은 임수국(林壽國). 대장은 해군총사령 양수장(楊樹莊)이 겸임
- 1926년
- * 1월 8일 - 육전대대, 제1혼성여로 복편
- * 11월 - 북양 해군 제1함대 사령 겸 주민하경비사령(駐閩廈警備司令) 진계량(陳季良), 국민혁명군에 귀순
- * 12월 - 제1혼성여, 양수장(楊樹莊)의 명령을 받고 "국민혁명군 해군육전대사령부(國民革命軍海軍陸戰隊司令部)"를 성립. 사령은 임수국(林壽國)(17년 1월 이후는 양정영(楊廷英)), 제1단(단장: 금진중(金振中)) 및 제2단(단장: 구진무(邱振武)) 등 2개 단을 관할
- 1927년
- * 1월 - 영덕(寧德)시의 복건육군 제11혼성여(여장: 왕린(王麟)) 잔존 병력을 접수, 2개 잠편독립단으로 함. 제1단 단장은 심가(沈珂), 제2단 단장은 심국영(沈國英).
- * 3월 - 제2단(단장: 금진중(金振中)) 전단 및 진덕곤(陳德堃)의 1개 영을 상해에 파견
- * 8월 - 2개 혼성여 및 4개 단을 편제. 임충(林忠)을 육전대 제1혼성여 여장으로 하고, 육전대 제1혼성여 예하 보병 제3단을 확충하여 새롭게 육전대 보병 제1여를 편성, 보병 제3단에는 신편 제1·제2의 2개 독립단을 합병 축소하여 충당함
- * 11월 - 육전대 제1혼성여, 성성(省城) 복주에 주둔, 여장 임충(林忠)이 성방사령(省防司令) 겸임. 육전대 보병 제1여는 민남(閩南)의 비적 토벌에 종사.
- * 12월 - 양수장(楊樹莊), 를 장하경비사령(漳廈警備司令)에 임명, 복주, 하문의 경비에 종사하게 함
;동북 해군 육전대
1928년 12월 성립. 제1대대장은 장혁염(張赫炎), 제2대대장은 이윤청(李潤青). 각 대대는 4개 중대를 거느리고, 각 중대는 3개 분대를 거느림. 1개 대대 약 600명으로 육군에도 필적하는 규모로, 청도(青島), 연대(煙台), 장산팔도(長山八島), 길림(吉林) 및 흑룡강성(黑龍江省) 연강 등에 널리 주둔하고 있었으나, 중동로사건(中東路事件)의 10월 12일에 에서 제1대대가 괴멸, 1930년 11월 24일, "중화민국 해방육전대(中華民国海防陸戰隊)"라 칭하고, 1931년에는 보충대대(대대장: 윤조건(尹祚乾))를 증설하는 등 재기를 도모하나, 만주사변으로 소멸. 이후 청도(青島)에서 재흥을 이루나, 일중전쟁 발발에 따른 화북 제압으로 청도를 쫓겨남.
;청도 해군 육전대
제3함대에 예속.
- 1928년 동북 해군 육전대의 일부대(一部隊)로서 설립
- 1931년 - 동북 해군 잔존 병력에 통합됨
- 1933년 7월 - 제2대대 증설
- 1935년 - 대대를 영으로 개칭.
- 1936년 2월 - 육전지대(陸戰支隊)로 개칭하고 육전지대사령부 성립. 사령은 장혁염(張赫炎). 제1영(영장: 장혁염(張赫炎) 겸임) 및 제2영(영장: 이윤청(李潤青))
- 1937년
- * 연초 - 제3함대 교도총대(教導總隊)와 합병. 대대제 부활
- * 7월 - 해군 육전총대(海軍陸戰總隊)
- 1939년 - 특종병총대(特種兵總隊)로 개편.
;호법군 해군 육전대/국민혁명군 해군 육전대
- 1915년 12월 - 광주(廣州)에서 "중화혁명당(中華革命党) 해군 육전대" 성립. 사령은 양호(楊虎), 손상부(孫祥夫)
- 1917년 7월 - 쑨원(孫文), 광동성(廣東省) 성장(省長) 주경란(朱慶瀾)에게 "성장 친군(省長親軍)"의 20개 영 편성을 요청. 진형명(陳炯明)을 사령으로 해군 육전대가 설립되나, 진병곤(陳炳焜)에 의해 광동성 경위군(廣東省警衛軍)으로 개편
- 1918년 5월 - 3개 영의 "민군(民軍)"을 육전대로 개편. 호법해군총사령부 참모 및 동안함(同安艦) 함장(艦長) 요명란(饒鳴鑾)이 육전대 통령(統領)을 겸임, 해군사령부 경위대 1개 영(영장: 양위화(梁渭華)) 병설
- 1919년 3월 - 육전대 통령을 육전대 사령으로 개칭, 누영건(鈕永健)이 사령 취임
- 1920년
- * 7월 - 육전대 사령을 육전대 총지휘(總指揮)로 개칭, 이기(李綺)가 총지휘 취임
- * 7월 15일 - 육전대 총지휘의 명칭을 육전대 사령으로 환원. 진책(陳策)이 사령 취임
- 1922년 4월 - 정식 명칭을 "호법군정대원수부(대본영) 해군 육전대(護法軍政府大元帥府(大本營)海軍陸戰隊)"로 개칭
- 1922년 6월 - 진형명(陳炯明)에 의해 육전대 접수. "광동성 경위군(廣東省警衛軍)"으로 개칭
- 1924년 가을 - 광동 해군, 육전대를 신편. 2개 지대 및 2개 독립연을 거느림
- 1927년 12월 17일 - 광주폭동(廣州暴動)에 육전대의 병사도 참가했던 것이 발각되었기 때문에 폭동 진압 후, 육전대 해산
:;국민혁명군 해군 육전대 보병 제1여
- 1927년 8월 - 복건 해군 육전대 제1혼성여 보병 제3단을 개편. 여장은 임수국(林壽國).
- 1927년 11월 - 혼성여로 개편, 예하 3개 단. 여장: 임충(林忠).
- 1928년 2월 - 해소, 제2독립여로 재편.
:;국민혁명군 해군 육전대 보병 제2여
- 1927년 8월 - 보병 독립단을 확충하여 성립.
- 1927년 11월 - 혼성여로 확충, 예하 2개 단. 여장은 임수국(林壽國).
- 1929년 - 해소, 제1독립여로 재편.
:;국민혁명군 해군 육전대 보병 보충단
- 보충 제1단: 1927년 말, 민하경비사령부 위대영(閩廈警備司令部衛隊營)을 개편. 단장은 장종주(莊宗周). 하문(廈門), 금문(金門) 및 동산도(東山島) 일대에 주둔
- 보충 제2단: 1928년 말, 민남(閩南) 연해 각 현의 염무집사대(鹽務緝私隊)를 개편. 단장은 하심준(何心浚). 동안(同安), 마항(馬巷), 안해(安海), 련하(蓮河) 일대에 주둔. 1929년 11월 이후 재정부의 귀속이 됨
- 제3보충단: 1928년 2월 성립
- 제4보충단: 1928년 2월 성립
- 포병영: 1928년 2월 성립.
:;해군 육전대 제1독립여
- 1929년 편성. 여장: 임충(林忠).
- 1930년 7월 - 금진중(金振中)이 여장 취임, 후에 양정영(楊廷英)
- 1933년 10월 - 해군 하문요항호포대 교도총대(海軍廈門要港護砲台教導總隊)를 병입하고, 보충영으로 개편.
- * 연말 - 사령부를 남경(南京)으로 이전, 곧 마미요항사령(馬尾要港司令) 이세갑(李世甲)이 여장을 겸임했기 때문에 복건으로 돌아옴.
- 1934년
- * 1월 - 제3단을 해산하고, 인원을 제1, 2단으로 이동.
- * 12월 4일, 제1독립여와 번호를 교환.
- 1936년 - 제3단 부활.
- 1938년 4월 - 보충영 해산
- 1945년 6월 - 해산, 육군에 편입.
:;해군 육전대 제2독립여
- 1929년 편성.
- 1936년 - 삭군법처(裁軍法處).
- 1938년 8월 8일 - 해군 육전대 신병훈련소 설치.
- 1945년 6월 - 해산, 육군에 편입.(제4단만 1946년 해산)
:;해군 경위대
- 1945년 8월 - 상해(上海)에서 성립, 9개 연을 관할. 대장: 엽보기(葉寶琦). 후에 육전대로 편입.
;정편 시기
- 1946년 - 세계 정세를 고려하여, 중화민국 육군이 설립
- 1947년 - 국공내전 격화, 9월 16일 복건성(福建省) 복주(福州) 마미(馬尾)에 6개 중대를 예하에 둔 해군 육전대 대대가 발족
- 1948년 - 육전 제1, 제2, 제3연대를 해군 경위연대로 통합
- 1949년 - 육전 제2여단과 상해 육전대 사령부를 성립. 동년 주산시(舟山市)와 하남도(海南島)를 방위하기 위해 정해구(定海區)로 이전. 다음 중화민국 정부는 대만으로 이전, 고웅시(高雄市) 좌영구(左營區)에 집중시킴.
- 1950년부터 1952년 9월 - 전후하여 운수차 제1, 제2대대와 해군 육전대 학교를 증편
- 1953년 6월 - 남베트남 푸껫섬(富國島) 탈환을 위해 부대부대(富台部隊)를 편제
- 1955년 1월 - 육전 제2여단과 육군 제45사단을 육전 제1사단으로 통합, 작전근무연대 및 신병훈련중심을 증설. 11월에 육군 제780수색연대를 본대로 하여 창설
- 1957년 4월 - 육전대 사관학교가 성립하고, 6월에는 함대 육전대 사령부가 성립
- 1959년 - 신병훈련영, 신병훈련중심으로 확대
- 1962년 3월 - 경위 제1연대 성립
- 1965년 2월 - 경위 제2연대 성립
- 1966년 9월 - 육전 제1여단과 육군 제81사단을 육전 제2사단으로 통합
- 1967년 - 상륙전차지휘부(登陸戰車指揮部) 성립
- 1968년 9월 - 함대 육전대 사령부를 해산하고, 항춘기지지휘부(恒春基地指揮部) 성립
- 1969년 3월 - 장전차지휘부(將戰車指揮部)를 상륙전차단(登陸戰車團)으로 변경
- 1969년 3월 - 신병훈련중심과 삼군련훈기지지휘부(三軍聯訓基地指揮部)를 육전 제77사단으로 통합
- 1971년 6월 - 육전대 검진소를 육전대 병원으로 확대, 동시에 헌병연 성립
- 1974년 4월 - 항춘훈련기지(恒春訓練基地)를 삼군련훈기지로 확대
- 1975년 - 전근단기지공장(戰勤團基地工廠)을 육전대 전용 장비 종합기지공장으로 확대
- 1981년 - 특종근무대(特種勤務隊)와 제2육전사단 대전차중대 성립
- 1983년 5월 - 전근연대보양대대(戰勤連隊保養大隊)와 보양소대를 공병전차보양중대(工兵戰車保養中隊)로 통합
- 1984년 7월 - 육전 제77사단을 해산하고, 삼군련훈기지지휘부 및 신병훈련중심으로 환원
- 1985년 4월 - 공관대(空觀隊) 해산하고, 10월에 육군선박대대박차중대(陸軍船舶大隊駁車中隊)를 본대로 하여 창설, 양서박운차중대(兩棲駁運車中隊) 제1, 제2중대로 명명
- 1986년 1월 - 해군 육전대 학교 및 육전대 사관학교를 합병, 7월에 육전대 병원을 개편하여 의무소로 함, 9월에 근전근연대안근제99대대(勤戰勤連隊岸勤第99大隊)를 개편하여, 제2육전사단안근대대(第2陸戰師團岸勤大隊)로 하고, 병행하여 제2육전사단화학병대대 성립
- 1987년 9월 - 공군방포제209대대제4중대(空軍防砲第209大隊第4中
2. 1. 중화민국 대륙 시기 (1914년 ~ 1949년)
1909년, 청나라 정부는 해군대신 뢰칙을 서구 해군을 연구하기 위해 파견했다. 영국에서의 조사 결과와 제1차 중일전쟁 당시 중국 육군과 해군 간의 협조 부족을 감안하여, 뢰칙은 청나라 조정에 해군 시설 방어 및 전략적 요충지 점령을 위한 해군 육상 병력 창설을 건의했다. 산둥성 기지에 해군 경비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신해혁명이 발발했을 때는 아직 개발 초기 단계였다. 중화민국이 수립되면서 해군 경비대는 북양정부의 통제를 받았다. 혁명 당시 일본에서 유학 중이던 여러 중국 해군 사관생도들이 전투에 참여하기 위해 귀국하여, 상하이 혁명 총독 진기미(陳其美)이 조직한 소규모 "해병대"의 일원이 되었다. 이 부대는 수백 명의 대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황제가 퇴위할 때까지 해산될 때까지 청나라 군대와 싸웠다. 위안스카이(袁世凱) 대통령 재임 중 원래의 해군 경비대는 산둥성에서 상하이로 재배치되어 1913년 제2차 혁명을 진압하는 데 사용되었다.
1914년 12월, 해군대신의 건의에 따라 류관웅(劉冠雄) 제독의 권고로 해군 경비대는 중국 해안을 더 잘 보호하기 위해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로 개편되었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4개 보병 중대(대대)로 편성된 1개 대대(여단)로 구성되었으며, 푸젠성에 주둔했다. 1918년에 2개 대대가 추가되었다. 그때부터 해병대는 베이징 해군부의 직접 지휘를 받았다. 초기 공화국 시대에 해병대는 해군 기지를 보호했고, 정치적 분열과 군벌주의 때문에 해군의 나머지 부대와 마찬가지로 봉급과 자원 부족에 시달렸다. 1922년, 해병대 대대가 푸젠성에서 산적 토벌 작전에 참여했다. 1923년 1월, 해군부는 푸젠성에 해병대 사령부를 설립했고, 그 후 몇 년 동안 푸젠성의 질서 유지를 위해 해병대가 확장되었으며, 같은 해에 해병대 제1혼성여단이 창설되었다. 이 여단은 포병대와 기관총 대대와 함께 4개 연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군벌 시대에 중국 북동부의 봉천군벌과 남부의 쑨원의 대안 정부 부대도 해병대 부대를 창설했지만, 북양 정부에 충성했던 푸젠성의 주력 중화민국 해병대의 규모에 미치지 못했다.
1925년, 린젠장(林建章)과 두시구이(杜錫貴) 제독이 이끄는 해군부는 10월에 제1해병혼성여단을 해체하는 등 해병대의 규모 축소를 명령했지만, 양수장(楊樹莊) 제독에 의해 1926년 1월에 복원되어 다시 작전에 참여했다. 북벌이 시작되자, 푸젠성의 해병대는 북양함대의 다른 부대와 함께 허잉친(何應欽)이 이끄는 국민당 국민혁명군에 투항했다. 1926년 12월, 국민혁명군 해병대가 창설되었다. 해병대는 1927년에 국민혁명군과 함께 싸웠고, 양수장(楊樹莊) 제독 지휘하에 전직 북양군의 제11혼성여단을 편입하여 푸젠성의 군벌과 싸우기 위해 해병대가 확장되었다. 8월에 2개의 해병혼성여단과 4개의 독립 연대가 창설되었다. 양쯔강 유역에서 직례군벌의 군벌 쑨촨팡(孫傳芳)에 대한 작전에 해병대 부대가 배치된 반면, 다른 부대는 푸젠성에서 작전을 계속했다. 1928년까지 해병대는 추가 부대를 흡수하여 규모가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하여 2개의 혼성여단과 6개의 연대로 구성되었으며, 푸젠성 해안을 따라 여러 곳에 주둔했다.
새로운 국민정부는 1928년 비용 절감을 위해 중화민국 해병대의 규모를 축소하고, 독립 연대를 기존의 2개 여단으로 통합했다. 1931년 현재 2개의 해병여단은 총 14,412명 이상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각 여단은 각각 3개 대대의 보병 연대 2개와 포병 대대 1개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무렵 푸젠성에 해병대 총사령부가 설립되어 작전을 감독했다. 1933년 7월, 해군부는 해병대의 조직 구조를 2개의 보병 연대, 포병 포대, 그리고 일부 지원 부대로 묘사한 "해병대 조직 임시 규정"을 발표했다.
기존의 신건육군 병력이 대체로 계승된 육군과 달리, 청 해군이나 혁명군이 편성한 육전대는 이후 세대에 계승되지 않고 해산되었다. 따라서 북양정부의 육전대는 백지에서부터 시작해야 했다. 1912년 4월, 경위대가 창설되었다. 중대 규모였던 것이 점차 규모를 늘려 1914년에는 2개 영(대대)으로 개편되어 북경과 상해에 주둔했다. 참고로, 이 외에도 임시로 편성된 "육전단"이라고 불리는 부대가 있었던 것 같다.
1922년, 해군총사령관에 복건 출신의 두석규(杜錫珪)가 취임했다. 그 무렵, 복건에서는 독군 이후기(李厚基)가 안휘파와 호법군정부의 압력을 받아 권력이 급속히 흔들리고 있었다. 더불어, 오래전부터 이와 그의 총애를 받던 경찰청장 왕헌신의 압정에 시달리던 민중도 폭동을 일으켜 내우외환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그래서 두는 병력의 대부분을 복건 평정에 파병했다. 이후 육전대는 장치평의 반란과 허숭지 등 호법군정부와 대치하면서 직례파의 방어선인 복주를 손전방(孫伝芳)과 함께 유지했다. 두석규(杜錫珪)의 보호를 받으며 착실히 세력을 키워 2년 만에 1개 여단 규모로 성장했다.
그러나 1924년 9월의 제2차 봉직전쟁에서 직례파가 패배하자 두석규(杜錫珪)도 실각했다. 후원을 잃은 육전대는 새로 해군총장이 된 임건장(林建章)의 압력을 받아, 이듬해 1925년 5월에는 양지를 처형당하고, 10월에는 1개 대대 규모로 축소되었다. 이듬해, 두석규(杜錫珪)와 가까운 양수장(楊樹莊)이 해군총장에 취임하면서 여단이 부활했다. 그 해 연말에는 복건을 제압한 국민혁명군에 대해, 양의 의향도 있어 신속히 귀순하여 손전방(孫伝芳)군의 소탕에 참가했다.
한편 광동군정부에서는 "중화혁명당 해군육전대"에 원세개 육전대 사령이었던 양호(楊虎)가 취임했다. 제1차 호법운동의 실패로 쑨원이 광주를 떠난 후, 임포역(林葆懌) 등에 의해 확충되었으나, 진형명(陳炯明)의 반란으로 인해 접수되어 소멸한다. 그 후 1924년에 재흥되어 2개 단(연대)까지 성장했으나, 장태뢰(張太雷) 등 중국공산당원이 일으킨 광주폭동에 육전대 병사들도 참가했던 것이 발각되어 해산되었고, 양수장(楊樹莊)의 적극적인 군벌 측이었던 전 주민 육전대를 충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민정부 성립 후, 육군이나 공군과 같은 대규모 개혁이 해군에서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력 함정의 궤멸 후에는 눈에 띄는 활약 없이 각 부대는 전후에 해산되어 육군에 편입되었다. 따라서 육전대가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된 것은 전후가 되어서였다.
2. 1. 1. 기원
1909년, 청나라 정부는 해군대신 뢰칙을 서구 해군 연구를 위해 파견했다.[40] 영국에서의 조사 결과와 제1차 중일전쟁 당시 중국 육군과 해군 간 협조 부족을 바탕으로, 뢰칙은 청나라 조정에 해군 시설 방어 및 전략적 요충지 점령을 위한 해군 육상 병력 창설을 건의했다.[40] 산둥성 기지에 해군 경비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신해혁명 발발 당시에는 아직 초기 단계였다.[40] 중화민국 수립 후 해군 경비대는 북양정부의 통제를 받았다.[40] 혁명 당시 일본 유학 중이던 여러 중국 해군 사관생도들이 귀국하여, 상하이 혁명 총독 진기미(陳其美)가 조직한 소규모 "해병대"의 일원이 되었다.[40] 이 부대는 수백 명의 대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황제 퇴위 때까지 청나라 군대와 싸웠다.[40] 위안스카이(袁世凱) 대통령 재임 중 원래의 해군 경비대는 산둥성에서 상하이로 재배치되어 1913년 제2차 혁명 진압에 사용되었다.[40]1914년 12월, 해군대신의 건의에 따라 류관웅(劉冠雄) 제독의 권고로 해군 경비대는 중국 해안을 더 잘 보호하기 위해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로 개편되었다.[40]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4개 보병 중대(대대)로 편성된 1개 대대(여단)로 구성되었으며, 푸젠성에 주둔했다. 1918년에 2개 대대가 추가되었다.[40] 그때부터 해병대는 베이징 해군부의 직접 지휘를 받았다.[40] 초기 공화국 시대에 해병대는 해군 기지를 보호했고, 정치적 분열과 군벌주의 때문에 해군의 나머지 부대와 마찬가지로 봉급과 자원 부족에 시달렸다.[40] 1922년, 해병대 대대가 푸젠성에서 산적 토벌 작전에 참여했다.[40] 1923년 1월, 해군부는 푸젠성에 해병대 사령부를 설립했고,[40] 그 후 몇 년 동안 푸젠성의 질서 유지를 위해 해병대가 확장되었으며, 같은 해에 해병대 제1혼성여단이 창설되었다.[40] 이 여단은 포병대와 기관총 대대와 함께 4개 연대를 보유하고 있었다.[40] 또한 군벌 시대에 중국 북동부의 봉천군벌과 남부의 쑨원의 대안 정부 부대도 해병대 부대를 창설했지만, 북양 정부에 충성했던 푸젠성의 주력 중화민국 해병대의 규모에 미치지 못했다.[40]
1925년, 린젠장(林建章)과 두시구이(杜錫貴) 제독이 이끄는 해군부는 10월에 제1해병혼성여단을 해체하는 등 해병대의 규모 축소를 명령했지만, 양수장(楊樹莊) 제독에 의해 1926년 1월에 복원되어 다시 작전에 참여했다. 북벌이 시작되자, 푸젠성의 해병대는 북양함대의 다른 부대와 함께 허잉친(何應欽)이 이끄는 국민당 국민혁명군에 투항했다. 1926년 12월, 국민혁명군 해병대가 창설되었다.[40] 해병대는 1927년에 국민혁명군과 함께 싸웠고, 양수장(楊樹莊) 제독 지휘하에 전직 북양군의 제11혼성여단을 편입하여 푸젠성의 군벌과 싸우기 위해 해병대가 확장되었다.[40] 8월에 2개의 해병혼성여단과 4개의 독립 연대가 창설되었다.[40] 양쯔강 유역에서 직례군벌의 군벌 쑨촨팡(孫傳芳)에 대한 작전에 해병대 부대가 배치된 반면, 다른 부대는 푸젠성에서 작전을 계속했다.[40] 1928년까지 해병대는 추가 부대를 흡수하여 규모가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하여 2개의 혼성여단과 6개의 연대로 구성되었으며, 푸젠성 해안을 따라 여러 곳에 주둔했다.[40]
새로운 국민정부는 1928년 비용 절감을 위해 중화민국 해병대의 규모를 축소하고, 독립 연대를 기존의 2개 여단으로 통합했다. 1931년 현재 2개의 해병여단은 총 14,412명 이상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었다.[40] 각 여단은 각각 3개 대대의 보병 연대 2개와 포병 대대 1개를 보유하고 있었다.[40] 이 무렵 푸젠성에 해병대 총사령부가 설립되어 작전을 감독했다. 1933년 7월, 해군부는 해병대의 조직 구조를 2개의 보병 연대, 포병 포대, 그리고 일부 지원 부대로 묘사한 "해병대 조직 임시 규정"을 발표했다.[40]
기존의 신건육군 병력이 대체로 계승된 육군과 달리, 청 해군이나 혁명군이 편성한 육전대는 이후 세대에 계승되지 않고 해산되었다. 따라서 북양정부의 육전대는 백지에서부터 시작해야 했다. 1912년 4월, 경위대가 창설되었다. 중대 규모였던 것이 점차 규모를 늘려 1914년에는 2개 영(대대)으로 개편되어 북경과 상해에 주둔했다. 참고로, 이 외에도 임시로 편성된 "육전단"이라고 불리는 부대가 있었던 것 같다.
1922년, 해군총사령관에 복건 출신의 두석규(杜錫珪)가 취임했다. 그 무렵, 복건에서는 독군 이후기(李厚基)가 안휘파와 호법군정부의 압력을 받아 권력이 급속히 흔들리고 있었다. 더불어, 오래전부터 이와 그의 총애를 받던 경찰청장 왕헌신의 압정에 시달리던 민중도 폭동을 일으켜 내우외환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그래서 두는 병력의 대부분을 복건 평정에 파병했다. 이후 육전대는 장치평의 반란과 허숭지 등 호법군정부와 대치하면서 직례파의 방어선인 복주를 손전방과 함께 유지했다. 두석규의 보호를 받으며 착실히 세력을 키워 2년 만에 1개 여단 규모로 성장했다.
그러나 1924년 9월의 제2차 봉직전쟁에서 직례파가 패배하자 두석규도 실각했다. 후원을 잃은 육전대는 새로 해군총장이 된 임건장(林建章)의 압력을 받아, 이듬해 1925년 5월에는 양지를 처형당하고, 10월에는 1개 대대 규모로 축소되었다. 이듬해, 두와 가까운 양수장(楊樹莊)이 해군총장에 취임하면서 여단이 부활했다. 그 해 연말에는 복건을 제압한 국민혁명군에 대해, 양의 의향도 있어 신속히 귀순하여 손전방(孫伝芳)군의 소탕에 참가했다.
한편 광동군정부에서는 "중화혁명당 해군육전대"에 원세개 육전대 사령이었던 양호(楊虎)가 취임했다. 제1차 호법운동의 실패로 손문이 광주를 떠난 후, 임포역(林葆懌) 등에 의해 확충되었으나, 진형명(陳炯明)의 반란으로 인해 접수되어 소멸한다. 그 후 1924년에 재흥되어 2개 단(연대)까지 성장했으나, 장태뢰(張太雷) 등 중국공산당원이 일으킨 광주폭동에 육전대 병사들도 참가했던 것이 발각되어 해산되었고, 양수장의 적극적인 군벌 측이었던 전 주민 육전대를 충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민정부 성립 후, 육군이나 공군과 같은 대규모 개혁이 해군에서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력 함정의 궤멸 후에는 눈에 띄는 활약 없이 각 부대는 전후에 해산되어 육군에 편입되었다. 따라서 육전대가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된 것은 전후가 되어서였다.
2. 1. 2. 해군육전대의 설립
1914년 12월, 북양정부 해군부는 해군부장 류관웅의 건의에 따라 해군경위대를 해군육전대로 재편성하였다.1909년, 청나라 정부는 해군대신 뢰칙을 서구 해군 연구를 위해 파견했다. 영국 조사 결과와 제1차 중일전쟁 당시 중국 육군과 해군 간 협조 부족을 바탕으로 뢰칙은 청나라 조정에 해군 시설 방어 및 전략적 요충지 점령을 위한 해군 육상 병력 창설을 건의했다. 산둥성 기지에 해군 경비대를 창설하려 했으나, 신해혁명 발발 당시 초기 단계였다. 중화민국 수립 후 해군 경비대는 북양정부 통제를 받았다. 혁명 당시 일본 유학 중이던 여러 중국 해군 사관생도들이 귀국하여 상하이 혁명 총독 진기미가 조직한 소규모 "해병대"의 일원이 되었다. 이 부대는 수백 명의 대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황제 퇴위 때까지 해산될 때까지 청나라 군대와 싸웠다. 위안스카이 대통령 재임 중 원래의 해군 경비대는 산둥성에서 상하이로 재배치되어 1913년 제2차 혁명 진압에 사용되었다.
1914년 12월, 류관웅 제독의 권고로 해군 경비대는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로 개편되었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4개 보병 중대(대대)로 편성된 1개 대대(여단)로 구성되었으며, 푸젠성에 주둔했다. 1918년에 2개 대대가 추가되었다. 해병대는 베이징 해군부의 직접 지휘를 받았다. 초기 공화국 시대에 해병대는 해군 기지를 보호했고, 정치적 분열과 군벌주의 때문에 해군과 마찬가지로 봉급과 자원 부족에 시달렸다. 1922년, 해병대 대대가 푸젠성에서 산적 토벌 작전에 참여했다. 1923년 1월, 해군부는 푸젠성에 해병대 사령부를 설립했고, 그 후 몇 년 동안 푸젠성 질서 유지를 위해 해병대가 확장되었으며, 같은 해에 해병대 제1혼성여단이 창설되었다. 이 여단은 포병대와 기관총 대대와 함께 4개 연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군벌 시대에 중국 북동부의 봉천군벌과 남부의 쑨원의 대안 정부 부대도 해병대 부대를 창설했지만, 북양 정부에 충성했던 푸젠성의 주력 중화민국 해병대의 규모에는 미치지 못했다.
1925년, 린젠장과 두시구이 제독이 이끄는 해군부는 10월에 제1해병혼성여단을 해체하는 등 해병대 규모 축소를 명령했지만, 양수장 제독에 의해 1926년 1월에 복원되어 다시 작전에 참여했다. 북벌이 시작되자, 푸젠성의 해병대는 북양함대의 다른 부대와 함께 허잉친이 이끄는 국민당 국민혁명군에 투항했다. 1926년 12월, 국민혁명군 해병대가 창설되었다. 해병대는 1927년에 국민혁명군과 함께 싸웠고, 양수장 제독 지휘하에 전직 북양군의 제11혼성여단을 편입하여 푸젠성의 군벌과 싸우기 위해 해병대가 확장되었다. 8월에 2개의 해병혼성여단과 4개의 독립 연대가 창설되었다. 양쯔강 유역에서 직례군벌의 군벌 쑨촨팡에 대한 작전에 해병대 부대가 배치된 반면, 다른 부대는 푸젠성에서 작전을 계속했다. 1928년까지 해병대는 추가 부대를 흡수하여 규모가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하여 2개의 혼성여단과 6개의 연대로 구성되었으며, 푸젠성 해안을 따라 여러 곳에 주둔했다.
국민정부는 1928년 비용 절감을 위해 중화민국 해병대 규모를 축소하고, 독립 연대를 기존의 2개 여단으로 통합했다. 1931년 현재 2개의 해병여단은 총 14,412명 이상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각 여단은 각각 3개 대대의 보병 연대 2개와 포병 대대 1개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무렵 푸젠성에 해병대 총사령부가 설립되어 작전을 감독했다. 1933년 7월, 해군부는 해병대의 조직 구조를 2개의 보병 연대, 포병 포대, 그리고 일부 지원 부대로 묘사한 "해병대 조직 임시 규정"을 발표했다.
기존의 신건육군 병력이 대체로 계승된 육군과 달리, 청 해군이나 혁명군이 편성한 육전대는 이후 세대에 계승되지 않고 해산되었다. 따라서 북양정부의 육전대는 백지에서부터 시작해야 했다. 1912년 4월, 경위대가 창설되었다. 중대 규모였던 것이 점차 규모를 늘려 1914년에는 2개 영(대대)으로 개편되어 북경과 상해에 주둔했다. 참고로, 이 외에도 임시로 편성된 "육전단"이라고 불리는 부대가 있었던 것 같다.
1922년, 해군총사령관에 복건 출신의 두석규가 취임했다. 그 무렵, 복건에서는 독군 이후기가 안휘파와 호법군정부의 압력을 받아 권력이 급속히 흔들리고 있었다. 더불어, 오래전부터 이와 그의 총애를 받던 경찰청장 왕헌신의 압정에 시달리던 민중도 폭동을 일으켜 내우외환의 양상을 띠고 있었다. 그래서 두는 병력의 대부분을 복건 평정에 파병했다. 이후 육전대는 장치평의 반란과 허숭지 등 호법군정부와 대치하면서 직례파의 방어선인 복주를 손전방과 함께 유지했다. 두석규의 보호를 받으며 착실히 세력을 키워 2년 만에 1개 여단 규모로 성장했다.
그러나 1924년 9월의 제2차 봉직전쟁에서 직례파가 패배하자 두석규도 실각했다. 후원을 잃은 육전대는 새로 해군총장이 된 임건장의 압력을 받아, 이듬해 1925년 5월에는 양지를 처형당하고, 10월에는 1개 대대 규모로 축소되었다. 이듬해, 두석규와 가까운 양수장이 해군총장에 취임하면서 여단이 부활했다. 그 해 연말에는 복건을 제압한 국민혁명군에 대해, 양의 의향도 있어 신속히 귀순하여 손전방군의 소탕에 참가했다.
한편 광동군정부에서는 "중화혁명당 해군육전대"에 원세개 육전대 사령이었던 양호가 취임했다. 제1차 호법운동의 실패로 쑨원이 광주를 떠난 후, 임포역 등에 의해 확충되었으나, 진형명의 반란으로 인해 접수되어 소멸한다. 그 후 1924년에 재흥되어 2개 단(연대)까지 성장했으나, 장태뢰 등 중국공산당원이 일으킨 광주폭동에 육전대 병사들도 참가했던 것이 발각되어 해산되었고, 양수장의 적극적인 군벌 측이었던 전 주민 육전대를 충당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민정부 성립 후, 육군이나 공군과 같은 대규모 개혁이 해군에서 이루어지지 않았고, 주력 함정의 궤멸 후에는 눈에 띄는 활약 없이 각 부대는 전후에 해산되어 육군에 편입되었다. 따라서 육전대가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된 것은 전후가 되어서였다.
2. 1. 3. 군벌 시대와 국민혁명군 편입
1909년, 청나라 정부는 해군대신 뢰칙을 서구 해군 연구를 위해 파견했다. 제1차 중일전쟁 당시 청나라 육군과 해군 간 협조 부족을 반성하며, 영국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해군 시설 방어 및 전략적 요충지 점령을 위한 해군 육상 병력 창설을 청나라 조정에 건의했다. 산둥성 기지에 해군 경비대를 창설하려는 노력이 있었지만, 신해혁명 발발 당시에는 초기 단계였다. 중화민국 수립 후 해군 경비대는 북양정부의 통제를 받았다.[15] 혁명 당시 일본 유학 중이던 여러 중국 해군 사관생도들이 전투 참여를 위해 귀국, 상하이 혁명 총독 진기미(陳其美)가 조직한 소규모 "해병대"의 일원이 되었다. 이 부대는 수백 명의 대원으로 구성되었으며, 황제 퇴위 시까지 청나라 군대와 싸웠다.[40] 위안스카이(袁世凱) 대통령 재임 중 원래의 해군 경비대는 산둥성에서 상하이로 재배치되어 1913년 제2차 혁명 진압에 사용되었다.
1914년 12월, 해군대신의 건의에 따라 류관웅(劉冠雄) 제독의 권고로 해군 경비대는 중국 해안을 더 잘 보호하기 위해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로 개편되었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4개 보병 중대(대대)로 편성된 1개 대대(여단)로 구성되었으며, 푸젠성에 주둔했다. 1918년에 2개 대대가 추가되었다. 그때부터 해병대는 베이징 해군부의 직접 지휘를 받았다. 초기 공화국 시대에 해병대는 해군 기지를 보호했고, 정치적 분열과 군벌주의 때문에 해군의 나머지 부대와 마찬가지로 봉급과 자원 부족에 시달렸다. 1922년, 해병대 대대가 푸젠성에서 산적 토벌 작전에 참여했다. 1923년 1월, 해군부는 푸젠성에 해병대 사령부를 설립했고, 그 후 몇 년 동안 푸젠성의 질서 유지를 위해 해병대가 확장되었으며, 같은 해에 해병대 제1혼성여단이 창설되었다. 이 여단은 포병대와 기관총 대대와 함께 4개 연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군벌 시대에 중국 북동부의 봉천군벌과 남부의 쑨원의 대안 정부 부대도 해병대 부대를 창설했지만, 북양 정부에 충성했던 푸젠성의 주력 중화민국 해병대의 규모에는 미치지 못했다.
1925년, 린젠장(林建章)과 두시구이(杜錫貴) 제독이 이끄는 해군부는 10월에 제1해병혼성여단을 해체하는 등 해병대의 규모 축소를 명령했지만, 양수장(楊樹莊) 제독에 의해 1926년 1월에 복원되어 다시 작전에 참여했다. 북벌이 시작되자, 푸젠성의 해병대는 북양함대의 다른 부대와 함께 허잉친(何應欽)이 이끄는 국민당 국민혁명군에 투항했다. 1926년 12월, 국민혁명군 해병대가 창설되었다. 해병대는 1927년에 국민혁명군과 함께 싸웠고, 양수장(楊樹莊) 제독 지휘하에 전직 북양군의 제11혼성여단을 편입하여 푸젠성의 군벌과 싸우기 위해 해병대가 확장되었다. 8월에 2개의 해병혼성여단과 4개의 독립 연대가 창설되었다. 양쯔강 유역에서 직례군벌의 군벌 쑨촨팡(孫傳芳)에 대한 작전에 해병대 부대가 배치된 반면, 다른 부대는 푸젠성에서 작전을 계속했다. 1928년까지 해병대는 추가 부대를 흡수하여 규모가 두 배 이상으로 증가하여 2개의 혼성여단과 6개의 연대로 구성되었으며, 푸젠성 해안을 따라 여러 곳에 주둔했다.
새로운 국민정부는 1928년 비용 절감을 위해 중화민국 해병대의 규모를 축소하고, 독립 연대를 기존의 2개 여단으로 통합했다. 1931년 현재 2개의 해병여단은 총 14,412명 이상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각 여단은 각각 3개 대대의 보병 연대 2개와 포병 대대 1개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무렵 푸젠성에 해병대 총사령부가 설립되어 작전을 감독했다. 1933년 7월, 해군부는 해병대의 조직 구조를 2개의 보병 연대, 포병 포대, 그리고 일부 지원 부대로 묘사한 "해병대 조직 임시 규정"을 발표했다.
2. 1. 4. 중일전쟁 시기 (1937년 ~ 1945년)
중일전쟁 당시 중화민국 해병대는 철도, 수로, 고속도로[14]와 해안선 방어에 투입되었다. 전쟁 중 해군은 지상 작전을 지원했으며, 많은 인원을 잃었는데, 이는 해병대를 해군으로 전속시켜 충원했다.1937년 7월 중일전쟁의 발단이 된 마찰교 사건 이후, 9월 일본군이 절강성에 상륙했다. 제2해병여단 예하 제3해병연대는 절강성에 배치되어 항주 방어에 나섰으나, 항주는 이미 함락된 상태였기에 연대는 금화와 거주에 남아 육군과 함께 이들 도시를 방어했다. 제1해병여단은 강서성으로 파병되었다. 1938년 1월, 군사위원회는 일본과의 전쟁으로 인해 해군, 그리고 해병대의 규모 축소를 명령했다. 해병대 총원은 약 7,000명으로 추산된다.[14] 같은 달, 제1해병여단의 한 연대가 양자강 沿岸 일본군 상륙 저지를 위해 배치되었으나, 2월 강서성으로 복귀했다.
1938년 봄, 두 해병여단은 해군 본부의 지휘하에 호남성과 호북성의 광주-한구 철도 구간 방어에 투입되었다. 1939년 제1해병여단은 호남성 서부의 토벌 작전에 투입되었고, 그 후 몇 년 동안 호남성, 귀주성, 사천성 접경 지역의 치안 유지를 위해 자주 동원되었다. 제4해병연대는 복건성에 남은 유일한 해병대 부대였다.
전쟁이 끝나자 중국 정부는 해병대 해산을 결정했다. 해군 사령관 천소관 제독은 이를 막으려 했고, 해병대가 특정 해군기지 방어에 필요하다며 명령 이행을 지연시켰다. 그러나 결국 해산 명령은 실행되었다. 여러 해병대 부대는 육군에 통합되었다. 1946년 7월, 해병대 해산이 완료되었다.[15]
2. 2. 제2차 국공 내전 시기 (1945년 ~ 1949년)
1948년, 해군경위연대가 해군육전대로 넘겨지고 제1, 2, 3연대로 개편되었다.[17] 1949년, 쓰촨성 청두를 마지막으로 대만으로 대규모 퇴각하였다.[15]1940년대 후반, 중화민국 해군 사령관 桂永清(Gui Yongqing) 제독은 칭다오에서 미국 해병대 제럴드 C. 토마스(Gerald C. Thomas) 장군과 논의한 후 1947년 중화민국 해병대를 재건하기로 결정했다.[17] 桂永清 제독은 동아시아에서 미군과 협력했고, 중국으로 돌아온 후 해병대가 중화민국 해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여, 중화민국 육군에서 병사와 장교를 선발하여 해병대를 구성했으며, 이후 몇 년 동안 육군 지원병을 추가로 모집하여 해병대를 확장했다.[17] 현재 중화민국 해병대의 창설일은 1947년 9월 16일로 간주된다.[15]
초기 해병대는 양후채(Yang Houcai)가 지휘하는 대대 규모였으며, 난징에 주둔하다가 그 해 말 상하이로 이동했다.[15] 桂永清 제독은 중국 해안 도시에서 해병대 모집 활동을 조직했다. 재건된 해병대는 3개 연대로 구성되었으며, 제1해병연대는 1948년 마웨이(Mawei), 복건성에 창설되었다. 공산군의 진격이 계속되자 1948년 말 해군에 의해 제2해병연대가, 1949년 1월 제3해병연대가 창설되었다. 이들은 중국 해안 지역과 일부 해상 섬에 배치되었다. 육군에서 포병 부대가 중화민국 해병대에 배속되었다. 1949년 3월, 3개 연대와 포병 연대, 해군 경비대가 합쳐져 제2해병사단이 편성되었다.[15]
1949년 늦봄까지 3개 연대로 구성된 2개의 해병사단이 해병대 사령부 아래에 편성되었다. 이들은 저장성 저우산 열도(Zhoushan Islands) 전투, 특히 등부도(Dengbu Island) 전투와 완산군도(Wanshan Archipelago) 전투, 완산군도 작전(Wanshan Archipelago Campaign)에서 공산군과 싸웠다. 1949년 8월, 제1사단 제2연대 소속 해병 약 1,000명이 산둥성 창산 열도(Changshan Islands)(Penglai, Yantai)에서 3만 명의 공산군과 싸우다 전사했다. 해병들은 또한 복건성 마웨이(Mawei) 등지에서 전투를 치렀다.[15] 하이난섬에 주둔하고 있던 육전대 제2여단을 포함한 중화민국 국군은 1950년 4월 16일에 중국 인민해방군의 상륙으로 시작된 전투에서 살아남은 병력은 대만으로 퇴각하였다.[15]
2. 3. 국부천대 이후 (1949년 ~ 현재)
1955년 1월, 해군육전대 제2여단과 육군 제45사단을 병합하여 육전 제1사단을 편성하였다.[15]1966년 9월, 육전대 제1여단과 육군 제81사단을 병합하여 육전 제2사단을 편성하였다.[18]
1967년, 등륙전차지휘부를 설립하였다.
1969년 3월, 등록전차지휘부는 연대로 감편되었다.
1979년 3월, 해군육전대 신병훈련소 및 3군연합훈련기지지휘부를 병합하여 육전 제77사단을 편성하였다.
1984년 7월, 육전 제77사단이 해체되고, 신병훈련소와 3군연합훈련기지지휘부로 되돌려졌다. 사단 편제는 전시 편제로 지정되었다.
1997년 7월 이후, 에 따라 전략을 중국 대륙 공격에서 대만 방어로 바꿈에 맞춰 모든 사단을 여단으로 축소하였다. 육전여단, 수비여단, 기지경위여단, 우추 지휘부, 훈병훈련지휘부[20]
2004년 4월, 신병훈련지휘부가 후비사령부로, 보수대대 산하 탄약중대가 연합후근사령부로 전속하였다.
2005년 1월, 해군 3군연합작전훈련기지지휘부가 육전대 지휘부로, 해군수중폭파대대가 중대가 감편되고 양서정수대대로, 해군해안경비중대(), 장비중대가 공안대대로 전속하였다. 4월 1일 육전여단과 수비여단이 육전 제66여단, 99여단으로, 7월 1일에, 기지경위여단이 육전 제77여단으로, 공안대대가 탄안근무대대로, 통신전자대대는 통자전대대로 개명되었다.[21]
2006년 3월, 해군육전대 사령부가 지휘부로 지위가 한단계 낮아졌다.
2011년 1월 1일, 육전군악대(陸戰軍樂隊)가 해산하였다.
2013년 11월 2일, 육전 제77여단이 방공경위군으로 개편되었다.[21]


1949년 국민당의 중국 본토에서 타이완으로의 퇴각 이후, 확장된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정부에 의해 18,563명에서 13,713명으로 감축되었다. 두 개의 해병사단은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마잉주 대통령 집권 기간 동안 해병대는 1만 6천 명에서 9천 명으로 감축되었고, 2014년에는 해체 제안이 있었다.[23][22]
수십 년 동안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의 임무는 중국 본토 침공을 주도하는 것에서 타이완과 해안 섬을 방어하는 것, 특히 중국군의 상륙 작전을 방해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1979년 이후 외국 군대와의 관계가 없었기 때문에 21세기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미국 해병대가 기동전에 더욱 중점을 두고 해상 항공 지상 임무 부대를 사용하기 시작하기 전인 1970년대 후반과 같이 기동성이 떨어지는 중장비 부대이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자체 항공대가 없다.[23]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병대는 해안 섬을 증강하고 전력 투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16]
2017년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와 미 해병대 간의 연례 훈련인 "해병의 포효"가 부활했다. 이 훈련은 1958년부터 미국이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한 1979년까지 실시되었다. 2017년부터 타이완 국군이 미국으로부터 받는 지원이 증가했다.[24] 2020년 중화민국 해군육전대가 미국 해병대 레인저 연대와 함께 실시하는 연례 훈련이 1979년 이후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진행되었다.[25]

또한 2020년 99해병여단의 타이완군이 프라타스 섬(둥샤)에 배치되어 해안경비대를 지원했는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해당 지역에서 섬 상륙 작전을 시뮬레이션하는 전쟁 게임을 계획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26] 2021년 99여단의 해병대원들이 괌으로 이동하여 미국 해병대와 연례 훈련에 참가했다.[24]
2023년 99해병여단은 제10군단의 감독 하에 중화민국 육군(ROCA) 제269기계화여단과 함께 "상록수" 군사 훈련에 참가하여 침공군을 시뮬레이션하는 한편 육군 부대는 방어에 집중했다.[27]
2. 3. 1. 대만으로의 퇴각과 재편
1949년 국민당의 중국 본토에서 타이완으로의 퇴각 이후,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18,563명에서 13,713명으로 감축되었다. 두 개의 해병사단은 여단으로 개편되었다.[15]한국 전쟁 발발 후, 미국은 타이완의 중국군에 대한 지원을 결정하고 상호 원조 협정을 체결했다.[16] 해병대를 포함한 중화민국 국군 전체는 1950년대 미국 군대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국민당 정부가 타이완에 있게 되자 상륙전에 특화된 부대의 가치가 더욱 명확해졌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의 임무는 본토에 대한 상륙 작전을 개시하고 중화민국 육군이 사용할 교두보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해병대는 미국으로부터 도움을 받아 엘리트 부대로 확장되고 훈련되었다.[16]
1951년, 미 해병대 로버트 B. 카니 주니어(Robert B. Carney Jr.) 소령이 상호 안보법에 따라 미국이 타이완(중화민국)에 제공하는 군사 원조의 일환으로 주우환(周雨寰) 장군주우환/周雨寰중국어인 중화민국 해군육전대 사령관의 미국 고문이 되었다. 미국 고문단은 나중에 확장되었고, 그들은 연대 전투단과 유사한 여러 여단으로 구성된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를 재구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해병대는 추가 지원 부대가 있는 미국 해병사단과 유사한 구조를 갖게 되었다. 이 무렵 해병대는 지구본 위에 중국 지도, 닻, 그리고 그 위에 12개의 꼭짓점을 가진 국민당 백일기 휘장을 사용한 휘장을 채택했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또한 고문들로부터 미국의 장비와 훈련을 받았다.[17] 1952년 장교 훈련을 위한 해병학교가 설립되었다.[15] 미국과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제2차 타이완 해협 위기 중인 1958년 9월 "해병의 포효"라는 합동 상륙전 훈련을 실시했다.[16]
중화민국이 통제하는 푸젠성 연안의 진먼 제도가 1958년 8월 23일부터 공산당 포병 사격을 받으면서 위기가 시작되었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의 LVT 부대는 9월 10일부터 섬 주민들에게 물자를 공급하는 데 사용되었다. 3개월 동안 해병대는 중국 공산당의 포격 속에서 진먼 제도에 계속해서 물자를 공급하고 중국이 섬을 장악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을 주었다. 이 공로로 장제스(蔣介石) 총통으로부터 깃발을 받았다.[15]
1955년 1월, 해군육전대 제2여단과 육군 제45사단을 병합하여 육전 제1사단을 편성하였다. 1956년 로우요우룬(羅友倫) 장군로우요우룬/羅友倫중국어이 중화민국 해군육전대 사령관이 되었다. 그는 표준화된 해병대 군복, 깃발, 장교 훈련 프로그램을 수립하려고 노력했으며, "영원히 충성"을 해병대의 모토로 만들었다. 그때까지 해병대는 육군과 해군 군복을 사용해왔다. 1966년 9월, 육전대 제1여단과 육군 제81사단을 병합하여 육전 제2사단을 편성하였다. 그 후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37,543명의 인원을 보유하게 되었다. 1967년, 등륙전차지휘부를 설립하였다. 1969년 3월 등록전차지휘부는 연대로 감편되었다.
1979년 3월, 해군육전대 신병훈련소 및 3군연합훈련기지지휘부를 병합하여 육전 제77사단을 편성하였다. 1984년 7월, 육전 제77사단이 해체되고, 신병훈련소와 3군연합훈련기지지휘부로 되돌려졌다. 사단 편제는 전시 편제로 지정되었다. 1986년 해병학교는 해병 부사관학교와 통합되었다.
1997년 7월 이후, 에 따라 전략을 중국 대륙 공격에서 대만 방어로 바꿈에 맞춰 모든 사단을 여단으로 축소하였다. 육전여단, 수비여단, 기지경위여단, 우추 지휘부, 훈병훈련지휘부
2004년 4월, 신병훈련지휘부가 후비사령부로, 보수대대 산하 탄약중대가 연합후근사령부로 전속하였다.
2005년 1월, 해군 3군연합작전훈련기지지휘부가 육전대 지휘부로, 해군수중폭파대대가 중대가 감편되고 양서정수대대로, 해군해안경비중대(), 장비중대가 공안대대로 전속하였다. 4월 1일 육전여단과 수비여단이 육전 제66여단, 99여단으로, 7월 1일에, 기지경위여단이 육전 제77여단으로, 공안대대가 탄안근무대대로, 통신전자대대는 통자전대대로 개명되었다.
2006년 3월, 해군육전대 사령부가 지휘부로 지위가 한단계 낮아졌다.
2011년 1월 1일, 육전군악대(陸戰軍樂隊)가 해산하였다.
2013년 11월 2일, 육전 제77여단이 방공경위군으로 개편되었다.
마잉주 대통령 집권 기간 동안 해병대는 1만 6천 명에서 9천 명으로 감축되었고, 2014년에는 해체 제안이 있었다.
수십 년 동안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의 임무는 중국 본토 침공을 주도하는 것에서 타이완과 해안 섬을 방어하는 것, 특히 중국군의 상륙 작전을 방해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자체 항공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병대는 해안 섬을 증강하고 전력 투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2017년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와 미 해병대 간의 연례 훈련인 "해병의 포효"가 부활했다. 이 훈련은 1958년부터 미국이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한 1979년까지 실시되었다. 2017년부터 타이완 국군이 미국으로부터 받는 지원이 증가했다. 2020년 중화민국 해군육전대가 미국 해병대 레인저 연대와 함께 실시하는 연례 훈련이 1979년 이후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2020년 99해병여단의 타이완군이 프라타스 섬(둥샤)에 배치되어 해안경비대를 지원했는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해당 지역에서 섬 상륙 작전을 시뮬레이션하는 전쟁 게임을 계획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2021년 99여단의 해병대원들이 괌으로 이동하여 미국 해병대와 연례 훈련에 참가했다.
2023년 99해병여단은 제10군단의 감독 하에 중화민국 육군(ROCA) 제269기계화여단과 함께 "상록수" 군사 훈련에 참가하여 침공군을 시뮬레이션하는 한편 육군 부대는 방어에 집중했다.
2. 3. 2. 한국 전쟁과 미국의 지원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미국은 타이완의 중국군에 대한 지원을 결정하고 상호 원조 협정을 체결했다.[16] 해병대를 포함한 중화민국 국군은 1950년대 미국 군대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국민당 정부가 타이완에 있게 되자 상륙전에 특화된 부대의 가치가 더욱 명확해졌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의 임무는 본토에 대한 상륙 작전을 개시하고 중화민국 육군이 사용할 교두보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이제 중요한 역할을 부여받은 해병대는 미국으로부터 도움을 받아 엘리트 부대로 확장되고 훈련되었다.[16]1951년,[15] 미 해병대 로버트 B. 카니 주니어(Robert B. Carney Jr.) 소령이 상호 안보법에 따라 미국이 타이완(중화민국)에 제공하는 군사 원조의 일환으로 주우환(周雨寰중국어) 장군인 중화민국 해군육전대 사령관의 미국 고문이 되었다. 미국 고문단은 나중에 확장되었고, 그들은 연대 전투단과 유사한 여러 여단으로 구성된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를 재구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해병대는 추가 지원 부대가 있는 미국 해병사단과 유사한 구조를 갖게 되었다. 이 무렵 해병대는 지구본 위에 중국 지도, 닻, 그리고 그 위에 12개의 꼭짓점을 가진 국민당 백일기 휘장을 사용한 휘장을 채택했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또한 고문들로부터 미국의 장비와 훈련을 받았다.[17] 1952년 장교 훈련을 위한 해병학교가 설립되었다.[15]
2. 3. 3. 감축 및 현대화
1955년 1월, 해군육전대 제2여단과 육군 제45사단을 병합하여 육전 제1사단을 편성하였다.[15]1966년 9월, 육전대 제1여단과 육군 제81사단을 병합하여 육전 제2사단을 편성하였다.[18]
1967년, 등륙전차지휘부를 설립하였다.
1969년 3월, 등록전차지휘부는 연대로 감편되었다.
1979년 3월, 해군육전대 신병훈련소 및 3군연합훈련기지지휘부를 병합하여 육전 제77사단을 편성하였다.
1984년 7월, 육전 제77사단이 해체되고, 신병훈련소와 3군연합훈련기지지휘부로 되돌려졌다. 사단 편제는 전시 편제로 지정되었다.
1997년 7월 이후, 정실안/精實案중국어에 따라 전략을 중국 대륙 공격에서 대만 방어로 바꿈에 맞춰 모든 사단을 여단으로 축소하였다. 육전여단, 수비여단, 기지경위여단, 우추 지휘부, 훈병훈련지휘부[20]
2004년 4월, 신병훈련지휘부가 후비사령부로, 보수대대 산하 탄약중대가 연합후근사령부로 전속하였다.
2005년 1월, 해군 3군연합작전훈련기지지휘부가 육전대 지휘부로, 해군수중폭파대대가 중대가 감편되고 양서정수대대로, 해군해안경비중대(탄안근중대/灘岸勤中隊중국어), 장비중대가 공안대대로 전속하였다. 4월 1일 육전여단과 수비여단이 육전 제66여단, 99여단으로, 7월 1일에, 기지경위여단이 육전 제77여단으로, 공안대대가 탄안근무대대로, 통신전자대대는 통자전대대로 개명되었다.[21]
2006년 3월, 해군육전대 사령부가 지휘부로 지위가 한단계 낮아졌다.
2011년 1월 1일, 육전군악대(陸戰軍樂隊)가 해산하였다.
2013년 11월 2일, 육전 제77여단이 방공경위군으로 개편되었다.[21]
1949년 국민당의 중국 본토에서 타이완으로의 퇴각 이후, 확장된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정부에 의해 18,563명에서 13,713명으로 감축되었다. 두 개의 해병사단은 여단으로 개편되었다.
마잉주 대통령 집권 기간 동안 해병대는 1만 6천 명에서 9천 명으로 감축되었고, 2014년에는 해체 제안이 있었다.
2. 3. 4. 최근 동향
2004년 4월, 신병훈련지휘부가 후비사령부로, 보수대대 산하 탄약중대가 연합후근사령부로 전속되었다.[16]2005년 1월, 해군 3군연합작전훈련기지지휘부가 육전대 지휘부로, 해군수중폭파대대가 중대로 감편되고 양서정수대대로, 해군해안경비중대(탄안근중대/灘岸勤中隊중국어), 장비중대가 공안대대로 전속하였다. 4월 1일 육전여단과 수비여단이 육전 제66여단, 99여단으로, 7월 1일에, 기지경위여단이 육전 제77여단으로, 공안대대가 탄안근무대대로, 통신전자대대는 통자전대대로 개명되었다.[16]
2006년 3월, 해군육전대 사령부가 지휘부로 지위가 한단계 낮아졌다.[16]
2011년 1월 1일, 육전군악대(陸戰軍樂隊)가 해산하였다.[16]
2013년 11월 2일, 육전 제77여단이 방공경위군으로 개편되었다.[21]
1997년 정부는 해병대를 포함한 군대를 감축하기로 결정했다.[16] 1998년 1월, 중화민국 정부의 군 감축 계획이 시작될 무렵, 해병대는 66해병사단과 99해병사단, 상륙정찰순찰부대, 상륙장갑차단, 652연대, 신병훈련소, 해병학교, 본부대대, 통신대대, 경비대대, 그리고 중화민국이 통치하는 섬들(우치우, 둥샤, 난사)에 있는 3개의 주둔 사령부로 구성되어 총 22,247명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었다.[16] 두 개의 사단은 66해병여단과 99해병여단으로 개편되었다.[16] 전 66사단의 여러 부대를 사용하여 해병기지경비여단이 편성되었고, 2005년 제77해병여단이 되었다.[16] 또한 2005년 해병대 본부는 해병대 사령부가 되었다.[16] 2013년 제77해병여단은 해산되었고, 일부 부대는 방공부대로 재편성되었다.[21] 마잉주 대통령 집권 기간 동안 해병대는 1만 6천 명에서 9천 명으로 감축되었고, 2014년에는 해체 제안이 있었다.[23][22]
수십 년 동안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의 임무는 중국 본토 침공을 주도하는 것에서 타이완과 해안 섬을 방어하는 것, 특히 중국군의 상륙 작전을 방해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1979년 이후 외국 군대와의 관계가 없었기 때문에 21세기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미국 해병대가 기동전에 더욱 중점을 두고 해상 항공 지상 임무 부대를 사용하기 시작하기 전인 1970년대 후반과 같이 기동성이 떨어지는 중장비 부대이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자체 항공대가 없다.[23]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병대는 해안 섬을 증강하고 전력 투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16]
2017년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와 미 해병대 간의 연례 훈련인 "해병의 포효"가 부활했다. 이 훈련은 1958년부터 미국이 중화민국과의 외교 관계를 단절한 1979년까지 실시되었다. 2017년부터 타이완 국군이 미국으로부터 받는 지원이 증가했다.[24] 2020년 중화민국 해군육전대가 미국 해병대 레인저 연대와 함께 실시하는 연례 훈련이 1979년 이후 처음으로 공개적으로 진행되었다.[25]
또한 2020년 99해병여단의 타이완군이 프라타스 섬(둥샤)에 배치되어 해안경비대를 지원했는데,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이 해당 지역에서 섬 상륙 작전을 시뮬레이션하는 전쟁 게임을 계획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26] 2021년 99여단의 해병대원들이 괌으로 이동하여 미국 해병대와 연례 훈련에 참가했다.[24]
2023년 99해병여단은 제10군단의 감독 하에 중화민국 육군(ROCA) 제269기계화여단과 함께 "상록수" 군사 훈련에 참가하여 침공군을 시뮬레이션하는 한편 육군 부대는 방어에 집중했다.[27]
3. 조직 구조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의 주력 부대는 상륙장갑차 그룹의 지원을 받는 2개의 해병여단과 상륙정찰 및 순찰부대로 구성되며, 후자는 미국 해병대 강습정찰대대와 비슷하다. 과거에는 3개 여단이 있었지만, 2013년에 1개 여단이 해체되었다.[3][21][9] 현재, 육전대는 中華民國海軍 소속이며, 인원은 약 9000명이다. 육전대원은 중화민국 해군 육전대학교에서 훈련받으며, 유사시 신속하게 작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 중화민국 해군사령부
- * 해군 육전대 지휘부
- ** 육전 제66여단 “선봉부대”
- ** 육전 제99여단 “철군부대”
- ** 육전방공경계군 “철위부대” (2013년 11월 2일, 육전 제77여단에서 개편)[21]
- ** 직속 전문대대
양서정찰대대
상륙전차대대
* 지원중대
* 제1수송중대
* 제2수송중대
* 제3수송중대
* 제4수송중대
* 제1포차중대
* 제2포차중대
전투지원대대
* 통신중대
* 통신중대
* 해안근무중대
* 해안근무중대
* 위생중대
* 보급중대
* 수송중대
* 지원중대(원:대대부대대)
3. 1. 지휘부
해군육전대지휘부(海軍陸戰隊指揮部)는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의 지휘 기관이다.[10] 지휘관은 중장 1명, 부지휘관은 소장 1명, 참모장은 소장 1명, 부참모장은 상교 2명, 정치작전 주임은 소장 1명, 정치작전 부주임은 상교 1명, 지휘부사관 독도장(督導長)은 1등사관장 1명으로 구성된다.- 전투지원대대(戰鬥支援大隊): 2010년 후방지원대대와 통신·정보·전자전대대가 합쳐져 창설되었으며, 2013년 사령부 대대가 지원대대에 추가되었다.[11] 해군육전대에 대한 물류, 공병, 의무, 군악대 지원을 제공한다.[11]
- 상륙장갑대대(登陸戰車大隊): 1997년 제651연대에서 창설되었으며, AAV7과 LVTP-5를 운용한다.
- '''상륙정찰 및 순찰부대(海軍陸戰隊兩棲偵搜大隊):''' 1997년에 창설되었으며, "개구리 부대"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MARSOC 또는 Force Reconnaissance에 해당하며, 부대원 600명 중 절반 이상이 원주민이다.[3]
- 제66해병여단 '선봉'(陸戰六六旅「先鋒部隊」): 타이페이 지역
- 제99해병여단 '철군'(陸戰九九旅「鐵軍部隊」): 가오슝
- 방공경계군(防空警衛群)[21]
- 우치우 수비대대(烏坵守備大隊)[9]
- 삼군 합동작전훈련기지(三軍聯合作戰訓練基地)[9]
- '''해군육전대 신병훈련소(海軍陸戰隊新兵訓練中心)'''
- '''해군육전대학교(海軍陸戰隊學校):''' 장교와 부사관 교육을 모두 제공한다.[13]
현재, 육전대는 중화민국 해군 소속이며, 인원은 약 9000명이다. 육전대원은 중화민국 해군 육전대학교에서 훈련받으며, 유사시 신속하게 작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 2. 부대
중화민국 해군 육전대의 주력 부대는 상륙장갑차 그룹의 지원을 받는 2개의 해병여단과 상륙정찰 및 순찰부대로 구성되며, 후자는 미국 해병대 강습정찰대대와 비슷하다. 과거에는 3개 여단이 있었지만, 2013년에 1개 여단이 해체되었다.[3][21][9]- 해군육전대사령부(海軍陸戰隊指揮部)[10]
- * 전투지원대대(戰鬥支援大隊): 2010년에 후방지원대대와 통신·정보·전자전대대가 합쳐져 창설되었다. 2013년에는 사령부 대대가 지원대대에 추가되었다. 해군육전대에 대한 물류, 공병, 의무, 군악대 지원을 제공한다.[11]
- ** 지원중대(支援中隊), 이전에는 사령부 대대(隊部營)[11]
- ** 위생련/衛生連중국어
- ** 의장대중대/儀隊連중국어[11][12]
- ** 경위중대/警衛連중국어
- ** 수송중대/輜汽連중국어[11]
- ** 해군육전대헌병 제272중대(陸戰憲兵第二七二連)
- ** 군악대/軍樂隊중국어[11]
- * 상륙장갑대대/登陸戰車大隊중국어: 1997년 제651연대에서 창설되었으며, 현재 수송 4개 중대, 포병 2개 중대, 지원 1개 중대를 보유하고 있다. 사용하는 수송 장비는 AAV7과 LVTP-5이다.
- ** 4개의 상륙수송중대/運輸中隊중국어, 2개의 AAV7 중대 포함.
- ** 2개의 상륙포병중대/砲兵中隊중국어
- ** 지원중대/支援中隊중국어
- * 상륙정찰 및 순찰부대(海軍陸戰隊兩棲偵搜大隊): 1997년 창설되었으며, "개구리 부대"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MARSOC 또는 Force Reconnaissance에 해당하는 해군육전대 부대이다. 600명의 부대원 중 절반 이상이 원주민 타이완인이다.[3]
- ** 3개의 정찰중대/偵搜中隊중국어[20]
- ** 특수임무중대(特勤中隊): 주로 대테러 작전을 담당하는 상륙정찰 및 순찰부대의 특수부대이다.[20]
- ** 1개의 수중폭파중대/爆破中隊중국어: 미 해군 특수전단(SEALs)에 해당한다. 2005년 해군에서 해군육전대사령부로 이관되었다.[5][20]
- ** 1개의 지원중대/支援中隊중국어[20]
- * 제66해병여단 '선봉'(陸戰六六旅「先鋒部隊」), 타이페이 지역[18]
- * 제99해병여단 '철군'(陸戰九九旅「鐵軍部隊」), 가오슝[19]
- * 방공경계군(防空警衛群)[21]
- * 우치우 수비대대(烏坵守備大隊)[9]
- * 삼군 합동작전훈련기지(三軍聯合作戰訓練基地)[9]
- * 해군육전대 신병훈련소(海軍陸戰隊新兵訓練中心)
- * 해군육전대학교: 장교와 부사관 교육을 모두 제공한다.[13]
3. 2. 1. 예하부대
- 3군연합작전훈련기지 - 타이완성 핑둥현 처청향
- 육전 66여단 "선봉부대" - 타이완성 타오위안시 구이산구
- 육전 99여단 "철군부대" - 타이완성 가오슝시 린위안구
- 방공경위군 "철위부대" - 타이완성 가오슝시 쭤잉구
- 우추 수비대대 - 푸젠성 진먼현 우추향
- 해군육전대사령부(海軍陸戰隊指揮部)[10]
- * 전투지원대대(戰鬥支援大隊): 2010년에 후방지원대대와 통신·정보·전자전대대가 합쳐져 창설되었다. 2013년에는 사령부 대대가 지원대대에 추가되었다. 해군육전대에 대한 물류, 공병, 의무, 군악대 지원을 제공한다.[11]
- ** 지원중대(支援中隊), 이전에는 사령부 대대(隊部營)[11]
- ** 위생중대(衛生連)
- ** 의장대중대(儀隊連)[11][12]
- ** 경비중대(警衛連)
- ** 수송중대(輜汽連)[11]
- ** 해군육전대헌병 제272중대(陸戰憲兵第二七二連)
- ** 군악대(軍樂隊)[11]
- * 상륙장갑대대(登陸戰車大隊): 1997년 제651연대에서 창설되었으며, 현재 수송 4개 중대, 포병 2개 중대, 지원 1개 중대를 보유하고 있다. 사용하는 수송 장비는 AAV7과 LVTP-5이다.
- ** 4개의 상륙수송중대(運輸中隊), 2개의 AAV7 중대 포함.
- ** 2개의 상륙포병중대(砲兵中隊)
- ** 지원중대(支援中隊)
- * 상륙정찰 및 순찰부대(海軍陸戰隊兩棲偵搜大隊): 1997년 창설되었으며, "개구리 부대"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MARSOC 또는 Force Reconnaissance에 해당하는 해군육전대 부대이다. 600명의 부대원 중 절반 이상이 원주민 타이완인이다.[3]
- ** 3개의 정찰중대(偵搜中隊)[20]
- ** 특수임무중대(特勤中隊): 주로 대테러 작전을 담당하는 상륙정찰 및 순찰부대의 특수부대이다.[20]
- ** 1개의 수중폭파중대(爆破中隊): 미 해군 특수전단(SEALs)에 해당한다. 2005년 해군에서 해군육전대사령부로 이관되었다.[5][20]
- ** 1개의 지원중대(支援中隊)[20]
- * 해군육전대 신병훈련소
- * 해군육전대학교: 장교와 부사관 교육을 모두 제공한다.[13]
3. 2. 2. 직할부대
- 해군육전대사령부(海軍陸戰隊指揮部)[10]
- * 전투지원대대(戰鬥支援大隊): 2010년에 후방지원대대와 통신·정보·전자전대대가 합쳐져 창설되었다. 2013년에는 사령부 대대가 지원대대에 추가되었다. 해군육전대에 대한 물류, 공병, 의무, 군악대 지원을 제공한다.[11]
- ** 지원중대(支援中隊), 이전에는 사령부 대대(隊部營)[11]
- ** 위생련/衛生連중국어
- ** 의장대중대/儀隊連중국어[11][12]
- ** 경위중대/警衛連중국어
- ** 수송중대/輜汽連중국어[11]
- ** 해군육전대헌병 제272중대(陸戰憲兵第二七二連)
- ** 군악대/軍樂隊중국어[11]
- * 상륙장갑대대/登陸戰車大隊중국어: 1997년 제651연대에서 창설되었으며, 현재 수송 4개 중대, 포병 2개 중대, 지원 1개 중대를 보유하고 있다. 사용하는 수송 장비는 AAV7과 LVTP-5이다.
- ** 4개의 상륙수송중대/運輸中隊중국어, 2개의 AAV7 중대 포함.
- ** 2개의 상륙포병중대/砲兵中隊중국어
- ** 지원중대/支援中隊중국어
- * 상륙정찰 및 순찰부대(海軍陸戰隊兩棲偵搜大隊): 1997년 창설되었으며, "개구리 부대"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MARSOC 또는 Force Reconnaissance에 해당하는 해군육전대 부대이다. 600명의 부대원 중 절반 이상이 원주민 타이완인이다.[3]
- ** 3개의 정찰중대/偵搜中隊중국어[20]
- ** 특수임무중대(特勤中隊): 주로 대테러 작전을 담당하는 상륙정찰 및 순찰부대의 특수부대이다.[20]
- ** 1개의 수중폭파중대/爆破中隊중국어: 미 해군 특수전단(SEALs)에 해당한다. 2005년 해군에서 해군육전대사령부로 이관되었다.[5][20]
- ** 1개의 지원중대/支援中隊중국어[20]
- 본부대대/大部連중국어
- * 본부중대/隊部連중국어
- * 경위중대/警衛連중국어
- * 의장중대/儀隊連중국어
- * 사격훈련대/射訓隊중국어
- * 군락대/軍樂隊중국어
- * 군수련/輜汽連중국어
- * 위생련/衛生連중국어
- 양서정수대대
- 登陸戰車大隊|등륙전차대대중국어
- * 제1지원중대/支援第一中隊중국어
- * 제1운송차중대/運輸車第一中隊중국어
- * 제2운송차중대/運輸車第二中隊중국어
- * 제3운송차중대/運輸車第三中隊중국어
- * 제1포차중대/砲車第一中隊중국어
- 戰鬥支援大隊|전투지원대대중국어
- * 통자중대/通資中隊중국어
- * 통전중대/通電中隊중국어
- * 탄근중대/灘勤中隊중국어 (물가)
- * 근안중대/岸勤中隊중국어 (언덕)
- * 위근중대/衛勤中隊중국어
- * 보수중대/補保中隊중국어
- * 운송중대/運輸中隊중국어
- * 지원중대/支援中隊중국어
- 해군육전대 학교
- 해군육전대 신병훈련소, 해군 교육훈련 및 준칙발전지휘부에서 관제함.
- 우치우 수비대대(烏坵守備大隊)[9]
- 삼군 합동작전훈련기지(三軍聯合作戰訓練基地)[9]
- 해군육전대 신병훈련소(海軍陸戰隊新兵訓練中心)
- 해군육전대 학교
4. 장비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는 2023년 기준으로 중화민국 해병대가 M60A3 주력전차 100대와 다양한 유형의 상륙돌격장갑차 200대 이상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했다.[1]
유형 | 제작사/모델 | 원산지 | 출처 |
---|---|---|---|
주력전차 | M60A3 TTS | 미국 | [28][29] |
경전차 | M41 워커 불독 | 미국 | |
장갑차 | AAV-P7A1 상륙돌격장갑차 | 미국 | [1] |
장갑 전투 차량 | LVPT5A1 상륙돌격장갑차 | 미국 | [1] |
구축전차 | CM-25 (CM-21 + TOW 발사기 1개) | 중화민국 | [1] |
장갑차 | LVT-5 (LVTH-6, LVTE-1, LVTR-1, LVTC-1) | 미국 | |
장갑 전투 차량 | CM-24 | 중화민국 | 개조된 CM-21 탄약 운반차 |
경량 유틸리티 차량 | M998 | 미국 | |
곡사포 | M101 곡사포 | 미국 | |
곡사포 | M109 곡사포 | 미국 | |
대전차 미사일 | BGM-71 TOW-2A/B | 미국 | |
대전차 미사일 | MK-153 SMAW | 미국 | |
대전차 미사일 | FGM-148 재블린 대전차 유도 미사일 | 미국 | [30] |
무반동총 | M40A1 무반동총 | 미국 | |
대전차 로켓 | 케스트럴 (로켓 발사기) | 중화민국 | [31] |
지대공 미사일 | 스팅어 DMS(이중 장착 스팅어) | 미국 | [32] |
지대공 미사일 | MIM-72/M48 샤파렐 CSIST에 의해 현지 업그레이드된 FLIR | 미국 | [32] |
돌격소총 | T65K2 돌격소총 | 중화민국 | |
돌격소총 | T91 전투소총 | 중화민국 | |
분대 자동화기 | T75 분대 기관총 | 중화민국 | |
저격총 | SSG-2000 | 스위스 | |
저격총 | T93 | 중화민국 | |
자동 유탄 발사기 | Mk 19 유탄 발사기 | 미국 | |
기관포 | T-75 기관포 20mm | 중화민국 | |
대잠전 및 유틸리티 헬리콥터 | 맥도넬 더글러스 MD 500 디펜더 | 미국 | |
전술 무인기 | NCSIST 카디널 II | 중화민국 | |
고속 상륙정 | M109 | 중화민국 | [33] |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M60A3 전차를 운용한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LVTP-5를 비롯, LVTH6-A1, LVTE1, LVTR1, LVTP5A1 등의 상륙돌격장갑차를 운용했다. 현재는 AAV7을 운용하고 있다.
M998가 있다.
CM-24 탄약수송차량이 있다.
M101 곡사포, M109 자주곡사포를 운용한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다양한 대전차 무기를 보유하고 있다. M40A1 무반동포와 51식 106mm 무반동포를 운용한다. 또한, 홍준(紅隼) 대전차 로켓/Kestrel (rocket launcher)영어과 SMAW 대전차 로켓을 사용한다. FGM-148 재블린과 TOW-2A, TOW-2B도 보유하고 있다. CM-25는 BGM-71 TOW를 탑재한 장갑차량이다.
FIM-92 스팅어 미사일은 2연장 발사기형도 있다. MIM-72/M48 샤파렐이 있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다양한 개인 화기를 사용한다. 권총으로는 M1911 권총(국군 명칭: 45구경 권총)과 T75 권총을 사용한다. 기관단총으로는 우지 기관단총, MP5A5 기관단총, SIG MPX를 사용한다.
돌격소총으로는 M4A1 돌격소총, T65K2, T91 돌격소총, M16A1 돌격소총을 사용한다. 저격소총으로는 T93 저격소총과 SIG 자우어 SSG 2000/SIG Sauer SSG 2000영어을 사용한다.
기관총으로는 T75 분대용 기관총과 T74 분대용 기관총을 사용한다. 유탄발사기로는 T85 유탄발사기와 Mk 19 유탄발사기를 사용한다. T-75 20mm 기관포도 사용한다.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중형 전술 바퀴차량, 2.5톤 가솔린 차량, 맥도넬 더글러스 MD 500 디펜더/McDonnell Douglas MD 500 Defender영어, 홍준 II 무인정찰기/NCSIST Cardinal영어 등을 운용한다.
4. 1. 전차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M60A3 전차를 운용한다.
4. 2. 상륙돌격장갑차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LVTP-5를 비롯, LVTH6-A1, LVTE1, LVTR1, LVTP5A1 등의 상륙돌격장갑차를 운용했다. 현재는 AAV7을 운용하고 있다. CM-25는 BGM-71 TOW 및 M2 기관총을 장착하고 있다.
4. 3. 기타 장갑차
M998가 있다.
CM-24 탄약수송차량이 있다.
4. 4. 화포
M101 곡사포, M109 자주곡사포, 63식 120mm 박격포, T-75 81mm 박격포를 운용한다.4. 5. 대전차 무기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다양한 대전차 무기를 보유하고 있다. M40A1 무반동포와 51식 106mm 무반동포를 운용한다. 또한, 홍준(紅隼) 대전차 로켓/Kestrel (rocket launcher)영어과 SMAW 대전차 로켓을 사용한다. FGM-148 재블린과 TOW-2A, TOW-2B도 보유하고 있다. CM-25는 BGM-71 TOW를 탑재한 장갑차량이다.4. 6. 대공 무기
FIM-92 스팅어 미사일은 2연장 발사기형도 있다. RIM-72C 시 스패로 미사일과 MIM-72/M48 시 스패로 미사일이 있다.4. 7. 개인 화기
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다양한 개인 화기를 사용한다. 권총으로는 M1911 권총(국군 명칭: 45구경 권총)과 T75 권총을 사용한다. 기관단총으로는 우지 기관단총, MP5A5 기관단총, SIG MPX를 사용한다.돌격소총으로는 M4A1 돌격소총, T65K2, T91 돌격소총, M16A1 돌격소총을 사용한다. 저격소총으로는 T93 저격소총과 SIG 자우어 SSG 2000/SIG Sauer SSG 2000영어을 사용한다.
기관총으로는 T75 분대용 기관총과 T74 분대용 기관총을 사용한다. 유탄발사기로는 T85 유탄발사기와 Mk 19 유탄발사기를 사용한다. T-75 20mm 기관포도 사용한다.
4. 8. 기타
기륭 해군 부두에 전시된 ROCMC HMMWV 장착 T-75M 20mm 기관포, 해군 함대 사령부에 전시된 ROCMC M60A3 TTS, AAV7, ROCMC CM-25 상부에 장착된 BGM-71 TOW 및 M2 기관총, M109A2 155mm 자주포, 바다에서 잠수부를 구조하는 ROCMC M8 모터보트, 제66여단 모병 부스 뒤에 서 있는 ROCMC 특수부대원, SIG MPX를 소지한 해병대 특수임무대대 대원 등의 장비 및 사진 자료가 있다.중화민국 해군육전대는 중형 전술 바퀴차량, 2.5톤 가솔린 차량, 맥도넬 더글러스 MD 500 디펜더/McDonnell Douglas MD 500 Defender영어, 홍준 II 무인정찰기/NCSIST Cardinal영어 등을 운용한다.
5. 계급
중화민국 국군 계급장은 중화민국 국군 계급장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36][37]
장교 계급은 장성급(장군), 영관급 장교, 위관급 장교로 나뉜다. 장성급은 이급상장(二級上將), 중장(中將), 소장(少將)으로, 영관급은 상교(上校), 중교(中校), 소교(少校)로, 위관급은 상위(上尉), 중위(中尉), 소위(少尉)로 구성된다.
계급군 | 장군/장성 | 영관급 장교 | 위관급 장교 | |||||||||||||||||||||
---|---|---|---|---|---|---|---|---|---|---|---|---|---|---|---|---|---|---|---|---|---|---|---|---|
중화민국 해군육전대/중화민국 해군육전대zh-tw | colspan=2| | |||||||||||||||||||||||
이급상장/二級上將zh-tw | 중장/中將zh-tw | 소장/少將zh-tw | 상교/上校zh-tw | 중교/中校zh-tw | 소교/少校zh-tw | 상위/上尉zh-tw | 중위/中尉zh-tw | 소위/少尉zh-tw |
상사관은 일등사관장(一等士官長), 이등사관장(二等士官長), 삼등사관장(三等士官長)으로, 하사관은 상사(上士), 중사(中士), 하사(下士)로, 병은 상등병(上等兵), 일등병(一等兵), 이등병(二等兵)으로 구성된다.
계급군 | 상사관 | 하사관 | 병 | |||||||||||||||||||||||||||||||||
---|---|---|---|---|---|---|---|---|---|---|---|---|---|---|---|---|---|---|---|---|---|---|---|---|---|---|---|---|---|---|---|---|---|---|---|---|
대한민국 해병대 | ||||||||||||||||||||||||||||||||||||
일등사관장/一等士官長zh-tw | 이등사관장/二等士官長zh-tw | 삼등사관장/三等士官長zh-tw | 상사/上士zh-tw | 중사/中士zh-tw | 하사/下士zh-tw | 상등병/上等兵zh-tw | 일등병/一等兵zh-tw | 이등병/二等兵zh-tw |
6. 역대 지휘관
순서 | 이미지 | 이름 | 계급 | 재임 기간 | 비고 |
---|---|---|---|---|---|
해군육전대 사령관 | |||||
1 | 양후채(楊候采) | 소장 | 1947년 9월 16일 – 1950년 7월 31일 | ||
2 | 주유환(周玉煥) | 소장 | 1950년 8월 1일 – 1955년 3월 1일 | ||
3 | 당수지(唐壽治) | 중장 | 1955년 3월 16일 – 1957년 3월 31일 | ||
4 | ![]() | 로유륜/羅友倫중국어 | 중장 | 1957년 4월 1일 – 1960년 12월 31일 | |
5 | ![]() | 정위원/鄭為元중국어 | 중장 | 1961년 1월 1일 – 1964년 8월 31일 | |
6 | ![]() | 우호장/于豪章중국어 | 중장 | 1964년 9월 1일 - 1968년 1월 10일 | |
7 | ![]() | 원국징/袁國徵중국어 | 중장 | 1968년 1월 11일 - 1971년 3월 15일 | |
8 | ![]() | 하은정/何恩廷중국어 | 중장 | 1971년 3월 16일 - 1975년 6월 15일 | |
9 | ![]() | 공령성/孔令聲중국어 | 중장 | 1975년 6월 16일 - 1976년 12월 10일 | |
10 | 황광락/黃光洛중국어 | 중장 | 1976년 12월 11일 - 1977년 11월 18일 | ||
11 | ![]() | 로장/羅樟중국어 | 중장 | 1977년 11월 18일 - 1982년 8월 31일 | |
12 | 도유신/屠友信중국어 | 중장 | 1982년 9월 1일 – 1985년 3월 1일 | ||
13 | 황단신/黃端信중국어 | 중장 | 1985년 3월 2일 – 1988년 5월 1일 | ||
14 | 마록수이/馬魯綏중국어 | 중장 | 1988년 5월 2일 – 1992년 7월 1일 | ||
15 | 정국남/鄭國南중국어 | 중장 | 1992년 7월 2일 - 1995년 12월 29일 | ||
16 | 고왕결/高望覺중국어 | 중장 | 1995년 12월 30일 - 1998년 5월 31일 | ||
17 | ![]() | 진방지/陳邦治중국어 | 중장 | 1998년 6월 1일 - 2000년 8월 31일 | |
18 | 기림련/紀林連중국어 | 중장 | 2000년 9월 1일 - 2004년 5월 31일 | ||
19 | 서태성/徐台生중국어 | 중장 | 2004년 6월 1일 – 2006년 2월 28일 | ||
해군육전대 사령부 사령관 | |||||
19 | 서태성/徐台生중국어 | 중장 | 2006년 3월 1일 - 2006년 4월 15일 | ||
20 | ![]() | 서상문/徐尚文중국어 | 중장 | 2006년 4월 16일 – 2009년 4월 27일 | |
21 | 하복화/夏復華중국어 | 중장 | 2009년 4월 28일 – 2011년 10월 30일 | ||
22 | ![]() | 범진룡/潘進隆중국어 | 중장 | 2011년 10월 30일 - 2014년 10월 19일 | |
23 | ![]() | 진자봉/陳子鳳중국어 | 중장 | 2014년 10월 20일 - 2017년 7월 31일 | |
24 | 왕뢰린/王瑞麟중국어 | 중장 | 2017년 8월 1일 - 2022년 7월 31일 | ||
25 | ![]() | 마군초/馬群超중국어 | 중장 | 2022년 8월 1일 - 현재 | |
7.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서적
The Military Balance 2023
International Institute for Strategic Studies
2023
[2]
웹사이트
Bolstering Taiwan's Last Line of Defense
https://thediplomat.[...]
2017-06-15
[3]
웹사이트
ROC Military: Taiwan's Top Tier
https://www.tactical[...]
2014-10-21
[4]
웹사이트
The 'Road to Heaven,' one of Taiwan's most brutal military training events
https://www.business[...]
[5]
웹사이트
FEATURE: ARPU celebrates its 28th year with military drill
https://www.taipeiti[...]
2008-11-10
[6]
웹사이트
Taiwan marines trained with US forces in 2017
https://www.taiwanne[...]
2018-04-12
[7]
웹사이트
Reports alleging US Marines conduct training
https://www.taiwanne[...]
2019-05-14
[8]
웹사이트
US Marine Raiders Arrive in Taiwan to Train Taiwanese Marines
https://thediplomat.[...]
2020-11-11
[9]
웹사이트
海軍陸戰隊主要單位特色簡介
https://navy.mnd.gov[...]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24-04-13
[10]
웹사이트
海軍陸戰隊指揮部
https://navy.mnd.gov[...]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24-04-18
[11]
웹사이트
戰鬥支援大隊
https://navy.mnd.gov[...]
Republic of China Navy
2024-04-18
[12]
웹사이트
Honor guards in action
https://taiwantoday.[...]
2011-06-13
[13]
웹사이트
Organization Regulations of the Marine Corps School
https://law.moj.gov.[...]
Ministry of Justice
[14]
논문
The Chinese Marine Corps
https://www.usni.org[...]
2024-04-06
[15]
논문
Republic of China Marine Corps
https://books.google[...]
Marine Corps Association
1966-11
[16]
웹사이트
Forever loyal:The ROC Marine Corps in the Cold War era
https://culture.teld[...]
Taiwan E-Learning and Digital Archives Program
2010-02
[17]
잡지
Marines of Free China
https://archive.org/[...]
Headquarters Marine Corps
1953-02
[18]
웹사이트
陸戰六六旅
https://navy.mnd.gov[...]
2024-04-14
[19]
웹사이트
陸戰九九旅
https://navy.mnd.gov[...]
2024-04-14
[20]
웹사이트
兩棲偵搜大隊
https://navy.mnd.gov[...]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2024-04-14
[21]
웹사이트
防空警衛群
https://navy.mnd.gov[...]
[22]
웹사이트
Former marines protest plan to merge corps, army
https://www.taipeiti[...]
2014-07-28
[23]
웹사이트
Saving Taiwan's Marine Corps
https://thediplomat.[...]
2015-11-26
[24]
웹사이트
U.S. Marines Training Taiwan Elite Troops in Guam
https://www.newsweek[...]
2021-11-02
[25]
웹사이트
US Marines officially training in Taiwan for 1st time since 1979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0-11-09
[26]
웹사이트
Imagine Being One Of 200 Taiwanese Marines Staring Down A Chinese Invasion Force
https://www.forbes.c[...]
2020-08-07
[27]
웹사이트
Army holds first combat readiness drills in six years
https://www.taipeiti[...]
2023-10-23
[28]
웹사이트
ROCMC M41 tanks
http://www.wretch.cc[...]
[29]
웹사이트
ROCMC's 66th Brigade Receiving New Tanks
http://n.yam.com/gpw[...]
[30]
웹사이트
ROCMC open base 2010
http://www.wretch.cc[...]
[31]
웹사이트
Kestrel Rocket
http://www.ncsist.or[...]
NCSIST
[32]
웹사이트
Taiwan Marines conduct air defense drill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1-07-06
[33]
웹사이트
Taiwan's Marines unveil locally developed M109 assault boat
https://www.taiwanne[...]
Taiwan News
2021-01-27
[34]
웹사이트
Taiwan's Marine Corps Prepares for New Conscripts
https://www.taiwanpl[...]
Taiwan Plus
2024-03-06
[35]
웹사이트
Taiwan Initiates Its New One-Year Military Conscription Program
https://globaltaiwan[...]
Global Taiwan Institute
2024-02-07
[36]
논문
Drawings of the Uniform Regulations of the Army, Navy and Air Force
https://www.presiden[...]
1996-11-07
[37]
논문
Drawings of the Uniform Regulations of the Army, Navy and Air Force
https://www.presiden[...]
1996-11-07
[38]
웹사이트
国防部サイト
http://navy.mnd.gov.[...]
[39]
문서
PANZER
[40]
서적
p.445
金
[41]
뉴스
台湾で海兵隊「解体論」 総統は否定、存在アピール 背景に中国との関係
http://sankei.jp.msn[...]
2014-07-21
[42]
문서
海軍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