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소태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소태후는 신라 법흥왕의 딸로, 진흥왕의 어머니이자 섭정으로 국정을 운영했다. 입종 갈문왕과의 사이에서 진흥왕을 낳았으며, 540년 진흥왕이 즉위하면서 왕태후가 되어 551년까지 섭정을 했다. 섭정 기간 동안 이사부, 거칠부 등을 등용하여 국정을 운영하고 불교 중흥에 힘썼다. 574년 불국사 중건 기록을 마지막으로 생애에 대한 기록은 전하지 않으며, 《화랑세기》에 따르면 화랑 제도를 조직했다고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화랑세기 - 미실
미실은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신라 시대 인물로, 여러 왕과 관계를 맺으며 권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삶은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로 제작되었으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신라의 왕녀 - 선덕여왕
선덕여왕은 신라 최초의 여왕으로, 진평왕의 딸로 태어나 화백회의에서 추대되어 즉위하여 재위 기간 동안 당나라와의 외교 강화, 불교 진흥,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첨성대 축조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백제와 고구려의 침략, 비담의 난을 겪고 승하하였으며, 뛰어난 통찰력과 예지력을 보여주는 일화가 전해진다. - 신라의 왕녀 - 진성여왕
진성여왕은 신라 경문왕의 딸로, 정강왕 사후 887년에 즉위하여 음란한 행실과 국정 문란, 민란 발생으로 혼란을 겪다가 897년 효공왕에게 양위하고 사망했다. - 신라의 왕비 - 미실
미실은 《화랑세기》에 등장하는 신라 시대 인물로, 여러 왕과 관계를 맺으며 권력을 행사했고, 그녀의 삶은 다양한 대중문화 콘텐츠로 제작되었으나 실존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신라의 왕비 - 만월부인
만월부인은 신라 경덕왕의 왕비이자 혜공왕의 어머니로, 아들이 없던 중 불국사 승려 표훈의 도움으로 혜공왕을 낳았으며 혜공왕 즉위 후 태후로서 섭정을 맡았다.
지소태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지소 |
작위 | 왕비, 태후 |
별칭 | 지소부인, 지몰시혜비, 지수시혜비 |
출생일 | 생년 미상 |
출생지 | 신라 |
사망일 | 574년 이후 |
사망지 | 미상 |
재위 | 541년 ~ 551년 |
배우자 | 입종 갈문왕, 이화랑, 이사부, 박영실, 구진 |
자녀 | 진흥왕, 숙흘종, 만호부인, 노리부, 숙명공주, 황화공주, 송화공주, 보명궁주 |
친인척 | 동륜태자, 진지왕, 김구륜, 태양공주, 아양공주, 은륜공주, 월륜공주 |
부왕 | 법흥왕 |
모후 | 보도부인 |
전임자 | 보도부인 |
후임자 | 사도왕후 박씨 |
묘호 | 미상 |
시호 | 미상 |
능묘 | 미상 |
거주지 | 신라 |
국적 | 신라 |
가문 | 경주 김씨 |
종교 | 불교 |
소속 | 미상 |
왕조 | 신라 |
목록 | 신라의 왕후 |
2. 생애
지소는 법흥왕과 보도왕후 김씨의 딸로, 법흥왕의 동생인 입종과 혼인하여 아들 삼맥종을 낳았다. 입종은 법흥왕 재위기에 갈문왕에 임명되었으나 일찍 사망하였다. 위화랑과의 사이에서는 딸 만호부인을 낳았다. 아버지의 동복 동생인 갈문왕김구진과도 혼인하여 아들 삼맥종(훗날의 진흥왕)을 낳았다.
540년 아들 삼맥종이 7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왕태후가 되었다.
2. 1. 섭정
540년에 법흥왕이 붕어하고 아들 삼맥종이 7세의 나이로 왕위에 오르자, 지소태후는 왕태후가 되었다. 처음 1년간은 보도부인이 섭정을 하였으나, 541년부터 지소태후가 섭정을 시작하였다.[7] 섭정 기간은 대체로 진흥왕 12년(551년)까지로 여겨지는데, 551년에 진흥왕이 연호를 고친 것은 섭정을 끝내고 친정을 시작했기 때문으로 보인다.[7]지소태후는 이사부, 거칠부 등의 보좌를 받아 국정을 운영하였다. 545년에는 이사부의 건의를 받아들여 거칠부에게 국사(國史)를 편찬하게 하였다. 또한 흥륜사를 완공하고 불사리를 받아들이는 등 불교 중흥에도 힘썼다. 당시 신라는 백제와의 동맹 하에 고구려와 여러 차례 전쟁을 벌였는데, 진흥왕 11년(550년)까지의 전과는 지소태후의 섭정 하에 이루어진 것이다. 541년에는 이사부를 병부의 장관으로 임명했다.
위서 논란이 있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따르면, 지소태후는 원화 제도를 폐지하고 화랑을 조직했다고 한다.
2. 2. 섭정 이후
551년 진흥왕이 연호를 고친 것은 섭정을 끝내고 친정을 하게 되면서 연호를 고쳤을 것이라고 추정된다.[7] 지소태후는 이사부, 거칠부 등의 보좌를 받아 국정을 운영하였으며, 545년에는 이사부의 건의에 따라 거칠부에게 국사(國史)를 편찬하게 하였다. 또한 흥륜사를 완공하고 불사리를 받아들이는 등 불교 중흥에도 힘썼다. 당시 신라는 백제와의 동맹 하에 고구려와 몇 차례 전쟁을 벌였는데, 진흥왕 11년(550년)까지의 전과는 지소태후의 섭정 하에서 일어난 것이다. 섭정에서 물러난 뒤에는 기록이 전하지 않는다. 574년에 불국사를 중건하였다는 기록으로 보아 574년 이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학계에서 위서 논란이 있는 필사본 《화랑세기》에 따르면, 지소태후는 원화 제도를 폐지하고 화랑을 조직했다. 지소태후는 자신의 딸인 숙명과 보명 등으로 하여금 진흥왕을 받들도록 하였고, 만호로 하여금 손자인 동륜의 비가 되게 하였다. 또한 진흥왕의 왕후이자 대원신통(大元神統)이었던 사도왕후를 싫어하여 쫓아내고자 하였으나, 사도왕후가 이를 알고 진흥왕에게 고함으로써 무산되었다. 사도왕후에게 사실을 알려준 것은 지소태후의 아들 노리부(세종 : 세종은 《화랑세기》에만 등장하는 지소태후의 아들이다.)의 부인 미실이었는데, 세종이 미실에게 반하여 결혼하고자 했을 때, 지소태후는 미실이 박영실(英失)의 자손(미실의 어머니 묘도부인과 사도왕후는 박영실과 옥진궁주 사이의 딸이다.)이라는 이유로 반대하려 하였으나, 이사부와 상의하여 결국 혼인을 허락하였다. 지소태후는 미실이 사도왕후에게 비밀을 누설한 것을 알자, 그녀를 쫓아냈다가, 아들 세종이 상심하자 다시 그녀를 불러들였다고 한다. 또한 지소태후는 여러 남편 및 애인을 거느렸고 많은 자손을 낳았다고 한다. 말년에는 위화랑을 따라 영흥사(永興寺)에서 불공을 드리며 살았다.
3. 가계
분류:신라의 왕족
3. 1. 남편과 자녀
4. 평가
지소태후는 아버지의 동복 동생인 갈문왕 김구진과 혼인하여 아들 삼맥종(三麥宗, 훗날의 진흥왕)을 낳았다.[1]
540년 선왕인 아버지가 붕어하자, 같은 해 7세로 즉위한 아들을 대신하여 551년경까지 섭정을 하였다.[1] 541년에는 이사부를 병부의 장관으로 임명하였다.[1] 지소태후의 업적으로는 백제와의 동맹을 유지하고 불교를 보호한 것이 있다.[1]
화랑세기에 따르면, 화랑 제도는 지소태후가 제정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1]
5. 대중 매체
참조
[1]
논문
신라의 여성정치가 지소태후
https://www.dbpia.co[...]
1998-06
[2]
논문
신라 진흥왕대의 국가발전과 정치사상 - 진흥왕순수비 · 황룡사장육존상 조성의 역사적 의의 -
http://dx.doi.org/10[...]
2019-08-31
[3]
논문
신라 사회 여성의 정치 활동
https://www.dbpia.co[...]
2005-03
[4]
논문
신라 불교 수용기 왕실 여성의 역할
https://www.dbpia.co[...]
2015-01
[5]
논문
중고기 신라의 변혁과 진흥왕 대의 『국사(國史)』 편찬 - 신라 사회에서 유교가치 보급과 정치사회적 연관관계를 중심으로 -
https://www.dbpia.co[...]
2016-01
[6]
논문
신라의 『國史』 편찬과 儒・佛 접점의 斷想-왜국 修史와의 비교를 위한 전제(Ⅱ)-
https://www.dbpia.co[...]
2022-08
[7]
웹사이트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100.nate.com/[...]
[8]
문서
화랑세기에 따르면 금진낭주의 아들이다
[9]
문서
법흥왕의 유명(遺命)으로 부부 사이가 되지만 사이가 좋지 못했다.
[10]
문서
필사본《화랑세기》14세 호림공 조(母曰松華公主 其父英失角干爲只召太后繼夫)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