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거칠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거칠부는 신라의 관리로, 젊은 시절 승려가 되어 고구려에서 혜량의 강론을 들었다. 신라로 돌아와 벼슬길에 올라 대아찬이 되었고, 진흥왕의 명으로 《국사》 편찬에 참여하여 파진찬으로 승진했다.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침공하여 영토를 확장했으며, 고구려 승려 혜량을 신라로 데려와 신라 최초의 승통이 되도록 했다. 상대등으로 승진했으며, 78세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진찬 - 죽지
    신라의 장군이자 관료인 죽지는 김유신 휘하에서 백제와의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진덕여왕 때 집사부의 중시를 지냈으며, 문무왕 때 고구려 정벌에 참여하여 각간의 관등을 받았고 효소왕 때 낭도 득오가 그를 기리는 노래를 지었다.
  • 일길찬 - 충상
    충상은 7세기 백제 장수로, 황산벌 전투에서 계백과 함께 싸우다 신라에 투항하여 신라 귀족이 되었고, 백제부흥군 정벌에도 참여했다.
  • 일길찬 - 상영 (백제)
    상영은 백제의 장군으로 660년 황산벌 전투에서 계백과 함께 신라군에 맞서 싸우다 패배 후 충상 등과 신라에 투항하여 일길찬 벼슬을 받고 신라 귀족이 되었다.
  • 579년 사망 - 진지왕
    진지왕은 신라의 25대 왕으로, 진흥왕의 아들이며, 재위 기간 동안 백제와의 충돌, 진나라와의 외교 관계가 있었으나, 정사 문란으로 폐위되었고 야사가 전해진다.
  • 579년 사망 - 교황 베네딕토 1세
    교황 베네딕토 1세는 575년부터 579년까지 재임했으며, 랑고바르드족의 침략으로 어려움을 겪고 동로마 제국에 구원병을 요청했으며 기근 속에서 선종했다.
거칠부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원래 이름거칠부(居柒夫)
작위신라상대등
재임 기간576년 ~ 579년
군주신라 진지왕
군주 칭호국왕
국적신라
저작《국사》
별호황종(荒宗)불교 승려 법명도 황종(荒宗), 구지포례(久遲布禮)일본서기(日本書紀) 권17 남대적천황(男大迹天皇) 계체천황(繼體天皇). 신라왕과 백제왕을 소집하였으나 사신을 보냄. 신라가 4개 촌을 공략 (529년 4월), 구례이사지우내사마리(久禮爾師知于奈師磨里), 거칠부지(居七夫智)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561년), 거비부지(居朼夫智)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磨雲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1년)
출생일미상
출생지미상
사망일579년 (78세)
사망지미상
종교불교
가족 관계
배우자말보(末宝)
아버지물력(勿力)
자녀장녀 : 윤옥(允玉)
차녀 : 윤궁(允宮)
장남 : 윤황(允荒)
친인척잉숙(할아버지)
구리지(손자)
문노(사위)
군사 경력
복무신라군
참전고구려-신라 전쟁

2. 생애

거칠부는 신라 진흥왕과 진지왕 대에 활약한 고위 관료이자 장군이다. 젊어서 승려가 되어 고구려에서 혜량에게 가르침을 받았고, 신라로 돌아와 벼슬을 시작하여 대아찬이 되었다.[5][6] 진흥왕 6년(545년)에는 왕명을 받들어 《국사》를 편찬하는 데 참여하여 파진찬으로 승진했다.[7]

진흥왕 12년(551년)에는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 죽령 이북과 고현(高峴) 이내의 10개 군을 점령하는 군사적 공을 세웠다.[8] 이때 고구려 승려 혜량을 신라로 데려와 승통으로 삼아 신라 불교 발전에 기여했다.[9]

진지왕 원년(576년)에는 상대등에 올랐으며, 78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였다.[10]

2. 1. 초기 생애와 불교 귀의

거칠부는 젊은 시절 승려가 되어 사방을 돌아다니다 고구려에 가 혜량의 강론을 들었다.[5] 이후 신라로 돌아와 벼슬길에 올라 대아찬이 되었다.[6]

2. 2. 국사 편찬과 관직 진출

거칠부는 젊은 시절 승려가 되어 사방을 돌아다니다 고구려에 가 혜량의 강론을 들었다.[5] 이후 신라로 돌아와 벼슬길에 올라 대아찬이 되었다.[6] 545년 7월(진흥왕 6년) 왕명을 받아 선비들과 함께 《국사》를 편찬하고 공을 인정받아 파진찬으로 승진했다.[7] 551년(진흥왕 12년) 백제와 연합하여 8명의 장군과 함께 고구려를 침공해 죽령 이북, 고현(高峴) 이내의 10군을 빼앗았고,[8] 고구려 승려 혜량과 함께 신라로 돌아와 혜량이 최초의 승통이 되게 했다.[9] 576년(진지왕 원년) 상대등으로 승진했고 78세로 죽었다.[10]

2. 3. 군사 활동과 영토 확장

551년(진흥왕 12년), 거칠부는 백제와 연합하여 8명의 장군과 함께 고구려를 침공, 죽령 이북과 고현(高峴) 이내의 10개 군을 빼앗았다.[8] 이 때 고구려 승려 혜량을 신라로 데려와 최초의 승통으로 삼았다.[9]

2. 4. 혜량 귀화와 불교 발전

거칠부는 젊은 시절 승려가 되어 사방을 돌아다니다 고구려에 가 혜량의 강론을 들었다.[5] 이후 신라로 돌아와 벼슬길에 올라 대아찬이 되었다.[6] 551년(진흥왕 12년) 백제와 연합하여 8명의 장군과 함께 고구려를 침공해 죽령 이북, 고현(高峴) 이내의 10군을 빼앗았고,[8] 고구려 승려 혜량과 함께 신라로 돌아와 혜량을 최초의 승통이 되게 했다.[9]

2. 5. 말년

거칠부는 젊은 시절 승려가 되어 사방을 돌아다니다 고구려에 가 혜량의 강론을 들었다.[5] 이후 신라로 돌아와 벼슬길에 올라 대아찬이 되었다.[6] 545년(진흥왕 6년) 왕명을 받아 선비들과 함께 《국사》를 편찬하고 공을 인정받아 파진찬으로 승진했다.[7] 551년(진흥왕 12년) 백제와 연합하여 8명의 장군과 함께 고구려를 침공해 죽령 이북, 고현(高峴) 이내의 10군을 빼앗았고,[8] 고구려 승려 혜량과 함께 신라로 돌아와 최초의 승통이 되게 했다.[9] 576년(진지왕 원년) 상대등으로 승진했고 78세로 죽었다.[10]

3. 가족

관계이름
할아버지잉숙(仍宿)
아버지물력[11]
아내말보(末宝)[12]
장녀윤옥(允玉)[12]
장녀의 남편미생
차녀윤궁(允宮)[13]
차녀의 남편문노
장남윤황(允荒)[12]


4. 관련 작품

참조

[1] 문서 불교 승려 법명도 황종(荒宗)
[2] 서적 日本書紀 2017-08-05
[3] 웹인용 창녕신라진흥왕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 http://gsm.nricp.go.[...] 2017-08-05
[4] 웹인용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磨雲嶺新羅眞興王巡守碑) http://gsm.nricp.go.[...] 2017-08-05
[5] 서적 三國史記 2017-08-05
[6] 서적 三國史記 2017-08-05
[7] 서적 三國史記 2017-08-05
[8] 서적 三國史記 2017-08-05
[9] 서적 三國史記 2017-08-05
[10] 서적 三國史記 2017-08-05
[11] 서적 三國史記 2017-08-05
[12] 서적 花郞世紀 2017-08-13
[13] 서적 花郞世紀 2017-08-13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