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유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지유용은 조선 초기의 문신으로, 1407년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온 것을 시작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그는 세종 시대에 영강진 첨절제사, 경성군사, 강계 절제사 등을 역임하며 북방 지역의 행정 및 군사 업무를 수행했다. 특히 경성군사 재직 시에는 백성들의 고충을 덜어주기 위해 노력했으며, 강계 절제사로 임명되었을 때는 세종으로부터 백성을 사랑하고 기르는 도리를 다하라는 당부를 받았다. 지유용은 강계 부사와 판의주목사를 거쳐 1437년에 사망했으며, 세종은 그에게 부의를 내렸다. 그의 가족 관계로는 아버지 지용기, 어머니 이천 서씨, 그리고 문종의 왕비 현덕왕후가 생질녀에 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37년 사망 - 제임스 1세 (스코틀랜드)
제임스 1세는 1394년에 태어나 1406년 스코틀랜드 왕이 되었지만 잉글랜드에 인질로 억류되었고, 돌아와 왕권 강화를 시도하다가 1437년 암살당했으며, 시와 음악에도 능했다. - 1437년 사망 - 카트린 드 프랑스 왕녀 (1401년)
프랑스 샤를 6세의 막내딸 카트린 드 발루아 왕녀는 잉글랜드 헨리 5세와 결혼하여 잉글랜드 왕비가 되었고, 사후 오언 튜더와의 관계에서 낳은 아들 에드먼드 튜더가 튜더 왕조의 기원이 되었다. - 1363년 출생 - 마리아 (시칠리아)
마리아 (시칠리아)는 1377년 시칠리아 여왕이 되었으나, 어린 나이와 귀족들의 권력 다툼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고, 1390년 마르티노 1세와 결혼 후 1392년부터 공동 통치했으나 1401년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시칠리아는 아라곤 왕가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 1363년 출생 - 황희
황희는 고려 말부터 조선 전기까지 활동한 재상으로, 세종 시대에 영의정을 지내며 태평성대를 이끌었으나, 친인척 비리 옹호 논란도 있는 인물이다. - 충주 지씨 - 지상욱
지상욱은 연세대학교와 스탠퍼드 대학교, 도쿄 대학에서 토목공학 및 건축공학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세대학교 연구교수를 거쳐 자유선진당 대변인으로 정계에 입문, 제20대 국회의원, 바른미래당 정책위원회 의장, 새로운보수당 공동대표, 여의도연구원 원장을 역임하고 현재 국민의힘 서울특별시당 수석부위원장을 맡고 있는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충주 지씨 - 지영서
지영서는 동양방송 아나운서로 시작해 KBS 아나운서, 한국외국어대학교 겸임교수를 거쳐 현재 한라대학교 조교수 및 KBS 한민족방송 진행자로 활동 중인 대한민국의 방송인이자 언론학자이다.
지유용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 1914년 12월 29일 |
사망 | 1995년 12월 14일 (향년 80세) |
직업 | |
분야 | 국문학자 |
학력 | |
학교 | 경성제국대학 졸업 |
경력 | |
주요 경력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교수 성균관대학교 교수 |
2. 생애
1407년(태종 7년) 사재감(司宰監)으로서, 세자인 이제(李褆:양녕대군)가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갈 때 사신의 일행으로 명나라 경사(京師)에 다녀왔다.[2]
1426년(세종 8년) 지영강현사(知永康縣事)로 임명되어 사조(辭朝)하니, 세종이 이르기를 "황해도는 연전에 농사가 잘 되지 못하였고, 또 금년에도 부실하다. 백성들에게 주는 환상곡(還上穀)이 만약 의창(義倉)의 양곡으로 부족하면 국고(國庫)의 것을 대차하여 지급하는 것은 이미 정한 규례로 되어 있으나, 수령이 이를 마음을 써서 하지 않으면 민간에서는 때를 잃는 한탄이 있게 된다. 내가 이 일에 대하여 항상 가슴속에 간절한 바 있으나, 몸소 가서 임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대들을 택하여 나의 근심을 나누어 보내는 것이니, 나의 마음을 몸받아 진대(賑貸)의 양곡을 미리 알려서 백성으로 하여금 농경함에 때를 잃었다는 한탄이 없도록 하라." 하였다.[3]
1427년(세종 9년) 영강진 첨절제사(永康鎭僉節制使)를 지냈다.
1429년 진응사(進鷹使) 상호군으로 해청(海靑) 2연과 퇴곤(堆昆) 1연을 받들고 진경(陳景)과 같이 북경에 가서 옷·신·대도(大刀)와 저포·마포 각 4필을 받아왔다.[4]
1430년(세종 12년) 5월 23일 호군(護軍)으로서 소윤(少尹) 안구(安玖)와 함께 대탄(大灘)의 돌을 깨트리는 것을 감독하였다.[5]
1430년(세종 12년) 7월 3일 우군 첨총제(右軍僉摠制)에 제수되었다.[6]
1432년(세종 14년) 5월 16일 판경성군사(判鏡城郡事)로 임명할 사람을 의논할 때 황희·권진 등이 처치사(處置使) 지유용(池有容)을 추천하니 세종대왕이 말하기를 "나도 또한 지유용이 유능하다는 것을 들었다. 마땅히 가자(加資)하여서 보내겠다." 하였다.[7] 같은 해 6월 22일 판경성군사(判鏡城郡事)로 있을 때 경원을 군마로 부방(赴防)할 것과 공물(貢物)의 감면을 상언하여 시행하도록 하였다.[8]
1432년(세종 14년) 7월 2일 판경성부사(判鏡城府事)가 되었다.[9] 10월 18일 경성 절제사(鏡城節制使)로 재직했을 때 해청을 잡아서 세종으로부터 옷을 하사받았고,[10] 11월 26일 경성 도호부사(鏡城都護府使)로서 전(箋)을 올려 옷을 내려 준 것에 대하여 사례하였다.[11]
1434년(세종 16년) 강계 절제사(江界節制使)로 임명되어 사조(辭朝)하니, 세종이 "농상(農桑)을 권장하고 형벌을 삼가하며, 기민(飢民)을 구제하여 백성을 사랑하고 기르는 도리를 다하라." 하였다.[12]
강계 부사(江界府使), 판의주목사(判義州牧使)를 역임하고, 1437년(세종 19년) 1월 16일 졸하니 세종대왕이 부의를 보냈다.[13]
2. 1. 초기 관직 생활
1407년(태종 7년) 사재감(司宰監)으로서, 세자인 이제(李褆:양녕대군)가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갈 때 사신의 일행으로 명나라 경사(京師)에 다녀왔다.[2] 1426년(세종 8년) 지영강현사(知永康縣事)로 임명되어 세종에게 황해도 지역의 어려운 농사 사정을 보고하고 환상곡 지급에 대한 당부를 받았다.[3] 1427년(세종 9년) 영강진 첨절제사(永康鎭僉節制使)를 지냈다.1429년 진응사(進鷹使) 상호군으로 해청(海靑) 2연과 퇴곤(堆昆) 1연을 받들고 북경에 가서 여러 물품을 받아왔다.[4] 1430년(세종 12년) 5월 23일 호군(護軍)으로서 소윤(少尹) 안구(安玖)와 함께 대탄(大灘)의 돌을 깨트리는 것을 감독하였고,[5] 같은 해 7월 3일 우군 첨총제(右軍僉摠制)에 제수되었다.[6]
1432년(세종 14년) 황희, 권진 등의 추천으로 판경성군사(判鏡城郡事)로 임명되었고,[7] 경원을 군마로 부방(赴防)할 것과 공물(貢物)의 감면을 상언하여 시행하도록 하였다.[8] 같은 해 7월 2일 판경성부사(判鏡城府事)가 되었고,[9] 경성 절제사(鏡城節制使)로 재직했을 때 해청을 잡아 세종으로부터 옷을 하사받았으며,[10] 경성 도호부사(鏡城都護府使)로서 전문을 올려 옷을 내려 준 것에 대해 사례하였다.[11]
1434년(세종 16년) 강계 절제사(江界節制使)로 임명되어 세종에게 농상(農桑) 장려, 형벌 신중, 기민(飢民) 구제 등 백성을 위한 정치를 당부받았다.[12] 이후 강계 부사(江界府使), 판의주목사(判義州牧使)를 역임하고, 1437년(세종 19년) 1월 16일 사망하여 세종이 부의를 보냈다.[13]
2. 2. 명나라 사행 및 내직
1407년(태종 7년) 사재감(司宰監)으로서, 세자인 이제가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에 갈 때 사신의 일행으로 명나라 경사(京師)에 다녀왔다.[2] 1429년 진응사(進鷹使) 상호군으로 해청(海靑) 2연과 퇴곤(堆昆) 1연을 받들고 진경(陳景)과 같이 북경에 가서 옷·신·대도(大刀)와 저포·마포 각 4필을 받아왔다.[4]1426년(세종 8년) 지영강현사(知永康縣事)로 임명되었고,[3] 1427년(세종 9년) 영강진 첨절제사(永康鎭僉節制使)를 지냈다. 1430년(세종 12년) 5월 23일 호군(護軍)으로서 소윤(少尹) 안구(安玖)와 함께 대탄(大灘)의 돌을 깨트리는 것을 감독하였으며,[5] 같은 해 7월 3일 우군 첨총제(右軍僉摠制)에 제수되었다.[6]
1432년(세종 14년) 판경성군사(判鏡城郡事)로 임명될 때 황희, 권진 등이 그를 추천하였고, 세종 또한 지유용이 유능하다고 평가하였다.[7] 같은 해 6월 22일 판경성군사(判鏡城郡事)로 있을 때 경원을 군마로 부방(赴防)할 것과 공물(貢物)의 감면을 상언하여 시행하도록 하였다.[8] 같은 해 7월 2일 판경성부사(判鏡城府事)가 되었고,[9] 10월 18일 경성 절제사(鏡城節制使)로 재직했을 때 해청을 잡아 세종으로부터 옷을 하사받았으며,[10] 11월 26일 경성 도호부사(鏡城都護府使)로서 전(箋)을 올려 옷을 내려 준 것에 대하여 사례하였다.[11]
1434년(세종 16년) 강계 절제사(江界節制使)로 임명되었고,[12] 강계 부사(江界府使), 판의주목사(判義州牧使)를 역임하고, 1437년(세종 19년) 1월 16일 졸하니 세종이 부의를 보냈다.[13]
2. 3. 북방 지역에서의 활동
1407년(태종 7년) 사재감으로서, 세자인 양녕대군이 하정사로 명나라에 갈 때 사신의 일행으로 명나라 경사에 다녀왔다.[2]1426년(세종 8년) 지영강현사로 임명되었고,[3] 1427년(세종 9년) 영강진 첨절제사를 지냈다.
1429년 진응사 상호군으로 해청 2연과 퇴곤 1연을 받들고 진경과 같이 북경에 가서 옷·신·대도와 저포·마포 각 4필을 받아왔다.[4]
1430년(세종 12년) 5월 23일 호군으로서 소윤 안구와 함께 대탄의 돌을 깨트리는 것을 감독하였고,[5] 같은 해 7월 3일 우군 첨총제에 제수되었다.[6]
1432년(세종 14년) 5월 16일 판경성군사로 임명될 때 황희·권진 등이 처치사 지유용을 추천하였고, 세종대왕은 지유용이 유능하다며 가자하여 보내겠다고 하였다.[7] 같은 해 6월 22일 판경성군사로 있을 때 경원을 군마로 부방할 것과 공물의 감면을 상언하여 시행하도록 하였다.[8] 같은 해 7월 2일 판경성부사가 되었다.[9] 10월 18일 경성 절제사로 재직했을 때 해청을 잡아 세종으로부터 옷을 하사받았고,[10] 11월 26일 경성 도호부사로서 전을 올려 옷을 내려 준 것에 대하여 사례하였다.[11]
1434년(세종 16년) 강계 절제사로 임명되었을 때, 세종은 농상을 권장하고 형벌을 삼가하며, 기민을 구제하여 백성을 사랑하고 기르는 도리를 다하라고 당부하였다.[12]
강계 부사, 판의주목사를 역임하고, 1437년(세종 19년) 1월 16일 졸하니 세종이 부의를 보냈다.[13]
3. 가족 관계
아버지는 충원부원군 지용기이고, 어머니는 영가군부인 이천 서씨이다. 영가군부인 이천 서씨는 승지 서욱의 딸이자 내사령 서희의 후손이다.[14] 누이는 충주 지씨이며, 매부는 최용(崔鄘)이다. 생질녀는 해녕부부인 해주 최씨로, 조선 제5대 왕 문종의 왕비 현덕왕후의 어머니다.[14] 생질서는 권전이다.[14]
처부는 목사 최윤우이며, 처모는 능성 구씨로 대제학 문하좌정승 구위의 딸이자 좌시중 구홍의 누이이다. 부인은 정부인 최씨이다.[14]
- 딸 : 충주 지씨
- 사위 : 한양 조씨 판관 조운명 - 우의정 조연의 손자
- 아들 : 지개(1390년 ~ 1426년) - 선공감직장(繕工監直長)
- 며느리 : 안인 공주 이씨
- * 손자 : 지계해(1419년 ~ 1486년)
- * 손자 : 지계강(1422년 ~ 1460년)
- ** 증손자 : 지윤온(池允溫)[14]
- * 손녀 : 전주 이씨 원산군 (의안대군의 손자)의 부인
- * 손녀 : 죽산 박씨 이조참의 박적선의 부인
- 아들 : 지호(1396년 ~ 1447년) - 한성 소윤으로서 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15]
- 며느리 : 영인 공주 이씨 - 감찰어사 이명성의 딸, 첨의정승 이사손의 증손녀
- * 손자 : 감찰(監察) 지계한
3. 1. 본인 및 배우자
아버지는 충원부원군 지용기(池湧奇)이고, 어머니는 영가군부인 이천 서씨이다. 영가군부인 이천 서씨는 승지 서욱의 딸이자 내사령 서희의 후손이다.[14] 누이는 충주 지씨이며, 매부는 최용(崔鄘)이다. 생질녀는 해녕부부인 해주 최씨로, 조선 제5대 왕 문종의 왕비 현덕왕후의 어머니다.[14] 생질서는 권전이다.[14]처부는 목사 최윤우이며, 처모는 능성 구씨로 대제학 문하좌정승 구위의 딸이자 좌시중 구홍의 누이이다. 부인은 정부인 최씨이다.[14]
딸은 충주 지씨이며, 사위는 한양 조씨 판관 조운명이다. 조운명은 우의정 조연의 손자이다. 아들로는 지개(1390년 ~ 1426년)와 지호(1396년 ~ 1447년)가 있다.[14] 지개는 선공감직장을 지냈으며, 며느리는 안인 공주 이씨이다. 지개의 손자로는 지계해(1419년 ~ 1486년)와 지계강(1422년 ~ 1460년)이 있고, 증손자는 지윤온(池允溫)이다.[14] 지호는 한성 소윤으로서 원종공신에 녹훈되었으며,[15] 며느리는 영인 공주 이씨이다. 영인 공주 이씨는 감찰어사 이명성의 딸이자, 첨의정승 이사손의 증손녀이다. 지호의 손자는 감찰 지계한이다.[14]
손녀 중 한 명은 전주 이씨 원산군(조선 태조의 동생 의안대군의 손자)의 부인이 되었고,[14] 다른 손녀는 죽산 박씨 이조참의 박적선의 부인이 되었다.[14]
3. 2. 자녀 및 후손
- 부 : 충원부원군(忠原府院君) 지용기(池湧奇)
- 모 : 영가군부인 이천 서씨 - 승지 서욱의 딸, 내사령 서희의 후손
- * 누이 : 충주 지씨
- * 매부 : 최용(崔鄘)
- ** 생질녀 : 해녕부부인(海寧府夫人) 해주 최씨 - 조선 제5대 왕 문종의 왕비 현덕왕후의 어머니
- ** 생질서(甥姪壻) : 권전(權專)
- 처부 : 목사 최윤우
- 처모 : 능성 구씨(綾城具氏) - 대제학 문하좌정승 구위(具褘)의 딸, 좌시중 구홍(具鴻)의 누이
- * 부인 : 정부인 최씨
- ** 딸 : 충주 지씨
- ** 사위 : 한양 조씨(漢陽趙氏) 판관 조운명 - 우의정 조연(趙涓)의 손자
- ** 아들 : 지개(池開, 1390년 ~ 1426년) - 선공감직장(繕工監直長)
- ** 며느리 : 안인(安人) 공주 이씨
손자 : 지계해(池繼海, 1419년 ~ 1486년)
손자 : 지계강(池繼江, 1422년 ~ 1460년)
* 증손자 : 지윤온(池允溫)[14]
손녀 : 전주 이씨 원산군 (의안대군의 손자)의 부인
손녀 : 죽산 박씨 이조참의 박적선의 부인
- ** 아들 : 지호(池浩, 1396년 ~ 1447년) - 한성 소윤으로서 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15]
- ** 며느리 : 영인 공주 이씨 - 감찰어사 이명성의 딸, 첨의정승 이사손의 증손녀
손자 : 감찰(監察) 지계한(池繼漢)
참조
[1]
한국학중앙연구원
[2]
실록
『태종실록』 14권, 태종 7년 9월 25일 을해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3]
실록
『세종실록』 33권, 세종 8년 9월 7일 정유 5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4]
실록
『세종실록』 46권, 세종 11년 11월 28일 경오 3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5]
실록
『세종실록』 48권, 세종 12년 5월 23일 임술 3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6]
실록
『세종실록』 49권, 세종 12년 7월 3일 신축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실록
『세종실록』 56권, 세종 14년 5월 16일 계유 4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8]
실록
『세종실록』 56권, 세종 14년 6월 22일 기유 3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9]
실록
『세종실록』 57권, 세종 14년 7월 2일 무오 1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10]
실록
『세종실록』 58권, 세종 14년 10월 18일 계묘 3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11]
실록
『세종실록』 58권, 세종 14년 11월 26일 신사 1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12]
실록
『세종실록』 63권, 세종 16년 2월 4일 임자 1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13]
실록
『세종실록』 76권, 세종 19년 1월 16일 병오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
실록
『성종실록』 20권, 성종 3년 7월 24일 기미 5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15]
실록
『세조실록』 2권, 세조 1년 12월 27일 무진 3번째기사
https://sillok.hist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