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진삼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삼선은 1953년 개양역과 사천역을 잇는 사천선으로 개통되어, 1965년 삼천포까지 연장되면서 진삼선으로 개칭된 철도 노선이다. 국도 제3호선 개통으로 인한 적자 누적으로 1980년 여객 영업이 중단되었고, 1990년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폐선 직전에는 하루 1왕복의 여객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폐지 이후 개양-사천 구간은 공군 전용선으로, 사천-삼천포 구간은 국도로 변경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3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옥구선
    옥구선은 한국 전쟁 중 군산 비행장으로의 물자 수송을 위해 건설된 철도 노선으로, 여객 운송 중단 후 화물 운송도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으며, 노선 조정 후 현재 한국철도공사에서 일부 구간을 운영하고 있다.
  • 196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남포선
    남포선은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역과 옥마역을 잇는 4.3km의 폐선된 산업 철도 노선으로, 1964년 무연탄 수송을 위해 개통되었으나 2009년 폐지되었으며, 일부 구간은 대천 레일바이크로 활용되고 있다.
  • 196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조선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조선은 나고야시를 순환하는 총 길이 2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호선과 4호선으로 구성되어 1965년 개통 이후 2004년 순환선 완성, 2020년 자동 열차 운전 장치 도입 및 스크린도어 설치, 2022년 전 구간 원맨 운전 개시 등의 변화를 거쳤다.
  • 1990년 폐지된 철도 노선 - 다이샤선
    다이샤선은 일본국유철도가 개통한 이즈모시역과 다이샤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었으나, 특정 지방 교통선으로 지정되어 폐지되었고, 일부 구간은 자전거 도로로 활용되며, 다이샤역은 중요 문화재로 보존되고 있다.
  • 1990년 폐지된 철도 노선 - 서청주선
    1980년 충북선 복선화로 개통된 서청주선은 청주역과 서청주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었으나, 1990년 화물 수송량 감소로 폐선되었다.
진삼선
기본 정보
한글진삼선
한자晉三線
로마자 표기Jinsam Seon
개요
노선진주역 ~ 삼천포역
상태폐선
폐선 연도1980년대
역사
폐쇄 시점42년 전
복원 추진진주시 ~ 사천시 구간 복원 추진 중
문제점
문제점차량 통로 박스의 기형적 설치로 잇단 사고 발생

2. 역사

진삼선은 1937년에 지역에서 요구한 진삼철도(晋三鐵道) 계획이 시초이다.[5] 1941년 대전에서 진주를 지나 삼천포로 이어지는 212km 길이의 대삼선 계획이 확정되었는데,[6] 이 노선 중 진삼선과 동일한 개양 - 삼천포 구간이 같은 해 착공하여 1943년 노반 공사가 준공되었다.[7] 그러나 전체 노선은 종전과 함께 완공되지 못하였다.

1953년 5월 25일, 사천 비행장의 군사 수송력을 철도와 연계하기 위해 개양역사천역을 잇는 노선이 '''사천선'''(泗川線)이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다. 이후 1965년 김삼선과 연계하기 위해 종점이 삼천포까지 연장되며 '''진삼선'''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국도 제3호선 개통으로 김삼선 (김천 - 개양 구간)이 개통되지 못해 노선 적자가 크게 늘었다. 1980년 여객 영업이 중지되었고, 1990년 1월 20일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개양 - 사천 구간은 개양역에 배속된 '''사천선'''이라는 공군 전용선으로 바뀌었으며, 사천 - 삼천포 구간은 국도 제3호선이 옛 노반으로 확장되며 철거되었다. 2012년 10월 23일 사천선은 개양역에서 진주역으로 분기점이 변경되었다.

연도날짜내용
1941년9월대삼선 진주역 - 삼천포역 구간 노반 공사 착공
1943년대삼선 진주역 - 삼천포역 구간 노반 공사 준공
1953년5월 25일개양역 - 사천역 간 10.5km 사천선 개통
1965년12월 7일사천역 - 삼천포역 간 18.5km 개통, 진삼선으로 개칭[1]
1966년2월 21일예하역 개업
1974년12월 5일예하역, 금문역, 노룡역 폐지
1977년3월 1일죽림역 폐지
1980년10월 1일여객 영업 중지
1990년1월 20일진삼선 폐지[2]



폐선 직전 여객 열차 운행 횟수는 하루 1왕복뿐이었다.

2. 1. 해방 이후

진삼선은 1937년에 지역에서 요구한 진삼철도(晋三鐵道) 계획이 시초이다.[5] 1941년에 대전에서 진주를 지나 삼천포로 이어지는 212km 길이의 대삼선 계획이 확정되었는데[6], 이 노선 중 진삼선과 동일한 개양 - 삼천포 구간이 같은 해에 착공하여, 1943년에 노반 공사가 준공되었다.[7] 그러나 전체 노선은 종전과 함께 완공되지 못하였다.

1953년 5월 25일, 사천 비행장의 군사 수송력을 철도와 연계하기 위해 개양역사천역을 잇는 노선이 '''사천선'''(泗川線)이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다. 이후 1965년에는 김삼선과 연계하기 위해 종점이 삼천포까지 연장되며 '''진삼선'''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그러나 국도 제3호선의 개통으로 김삼선김천 - 개양 구간이 개통되지 못했고, 노선의 적자는 크게 늘어났다. 결국 1980년에 여객 영업 취급을 중단했으며, 1990년 1월 20일 공식적으로 노선이 폐지되었다. 개양 - 사천 구간은 개양역에 배속된 '''사천선'''이라는 공군 전용선으로 바뀌었으며, 사천 - 삼천포 구간은 국도 제3호선이 옛 노반으로 확장되며 철거되었다. 2012년 10월 23일에는 사천선이 개양역에서 진주역에서 분기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연도날짜내용
1941년9월대삼선 진주역 - 삼천포역 구간의 노반 공사 착공
1943년진주역 - 삼천포역 구간의 노반 공사 준공
1953년5월 25일개양역 - 사천역 간 10.5km가 사천선으로 개통
1965년12월 7일사천역 - 삼천포역 간 18.5km가 개통, 진삼선으로 개칭[1]
1966년2월 21일예하역 개업
1974년12월 5일예하역, 금문역, 노룡역 폐지
1977년3월 1일죽림역 폐지
1980년10월 1일여객 영업 중지
1990년1월 20일폐지[2]



폐선 직전에는 여객 열차 운행 횟수가 하루 1왕복뿐이었다.

2. 2. 운영 중단 및 폐지

1953년 5월 25일, 사천 비행장의 군사 수송력을 철도와 연계하기 위해 개양역사천역을 잇는 노선이 '''사천선'''(泗川線)이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다.[5] 이후 1965년 김삼선과 연계하기 위해 종점이 삼천포까지 연장되며 '''진삼선'''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1]

그러나 국도 제3호선 개통으로 김삼선김천 - 개양 구간이 개통되지 못했고, 노선의 적자는 크게 늘어났다. 결국 1980년 여객 영업을 중단했으며,[7] 1990년 1월 20일 공식적으로 노선이 폐지되었다.[2] 개양 - 사천 구간은 개양역에 배속된 '''사천선'''이라는 공군 전용선으로 바뀌었으며, 사천 - 삼천포 구간은 국도 제3호선이 옛 노반으로 확장되며 철거되었다. 2012년 10월 23일에는 사천선이 개양역에서 진주역으로 분기점이 변경되었다.

폐선 직전에는 여객 열차 운행 횟수가 하루 1왕복뿐이었다.

2. 3. 폐지 이후

1953년 5월 25일 사천 비행장의 군사 수송력을 철도와 연계하려는 목적으로, 개양역사천역을 잇는 노선이 '''사천선'''(泗川線)이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다. 이후 1965년 김삼선과 연계하기 위해 종점이 삼천포까지 연장되며 '''진삼선'''으로 개칭되었다.[7]

그러나 국도 제3호선 개통으로 김삼선김천 - 개양 구간이 개통되지 못했고, 노선 적자는 큰 폭으로 누적되었다. 결국 1980년 여객 영업 취급을 중단했으며, 1990년 1월 20일 공식적으로 노선이 폐지되었다. 개양 - 사천 구간은 개양역에 배속된 '''사천선'''이라는 공군 전용선으로 바뀌었으며, 사천 - 삼천포 구간은 국도 제3호선이 옛 노반으로 확장되며 철거되었다. 2012년 10월 23일 사천선이 개양역에서 진주역에서 분기하는 것으로 바뀌었다.[7]

2. 4. 연혁

3. 역 목록

개양 - 사천 구간에는 예하역이, 선진 - 삼천포 구간에는 금문역, 노룡역, 죽림역이 존재했다.[1]

역명로마자 역명한자 역명접속 노선소재지현재 소재지
개양Kaeyang開陽경전선경상남도 진주시경상남도 진주시
사천Sach'ŏn泗川 경상남도 사천군경상남도 사천시
선진Sŏnjin船津 경상남도 사천군경상남도 사천시
삼천포Samchŏnpo三千浦 경상남도 삼천포시경상남도 사천시


3. 1. 폐지 직전 역 목록 (1990년 1월 19일 기준)

(km)누계 킬로미터
(km)접속 노선소재지일본어한글영어개양역개양역일본어Gaeyang0.00.0경전선경상남도 진주시예하역예하역일본어Yeha5.35.3 경상남도 진주시사천역사천역일본어Sacheon5.210.5 경상남도 사천시선진역선진역일본어Seonjin4.815.3 경상남도 사천시금문역금문역일본어Geummun3.218.5 경상남도 사천시노룡역노룡역일본어Noryong2.521.0 경상남도 사천시죽림역죽림역일본어Jungnim3.224.2 경상남도 사천시삼천포역삼천포역일본어Samcheonpo4.929.1 경상남도 사천시


4. 노선 정보

진삼선은 1937년 지역에서 요구한 진삼철도(晋三鐵道) 계획이 시초이다.[5] 1941년 대전에서 진주를 거쳐 삼천포로 이어지는 212km 길이의 대삼선 계획이 확정되었는데[6], 이 노선 중 진삼선과 동일한 개양-삼천포 구간이 같은 해에 착공하여 1943년 노반 공사가 준공되었다.[7] 그러나 전체 노선은 종전과 함께 완공되지 못했다.

1953년 5월 25일 사천 비행장의 군사 수송력을 철도와 연계하기 위해 개양역사천역을 잇는 노선이 '''사천선'''(泗川線)이라는 이름으로 개통되었다. 이후 1965년 김삼선과 연계하기 위해 종점이 삼천포까지 연장되며 '''진삼선'''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국도 제3호선 개통으로 김삼선김천 - 개양 구간이 개통되지 못했고, 노선 적자는 큰 폭으로 누적되었다. 결국 1980년 여객 영업 취급을 중단했으며, 1990년 1월 20일 공식적으로 노선이 폐지되었다. 개양-사천 구간은 개양역에 배속된 '''사천선'''이라는 공군 전용선으로 바뀌었으며, 사천 - 삼천포 구간은 국도 제3호선이 옛 노반으로 확장되며 철거되었다. 2012년 10월 23일 사천선이 개양역에서 진주역에서 분기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참조

[1] 간행물 大韓民国官報鉄道庁告示第186号 1965-12-01
[2] 간행물 大韓民国官報第11427号 1990-01-15
[3] 뉴스 차량 통로박스 기형적 설치로 잇단 사고] http://www.kookje.co[...] 2012-10-02
[4] 뉴스 42년전 폐쇄된 진주~삼천포 진삼선 철도 복원 추진 https://www.khan.co.[...] 2022-12-19
[5] 뉴스 진삼선철도촉진 http://newslibrary.n[...] 1936-01-30
[6] 서적 조선교통사 1 BG북갤러리
[7] 서적 조선교통사 1 BG북갤러리
[8]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 고시 제186호 1965-12-01
[9] 뉴스 진주∼삼천포 철도 https://www.joongang[...] 1980-09-13
[10]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제11427호 1990-0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