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천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천역은 1905년 1월 1일 영업을 시작한 경상북도 김천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경부선과 경북선이 분기하는 역으로, 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열차가 정차한다. 3면 5선식 승강장으로 운영되며, 1번 승강장은 서울, 대전 방면, 2, 3번 승강장은 부산, 진주, 대구, 구미 방면, 4, 5번 승강장은 영주 방면 열차가 사용한다. 2010년 김천역의 1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6,526명이었다. 역 주변에는 김천경찰서, 교육기관, 종교 시설 등이 위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천시의 건축물 - 아포역
아포역은 경상북도 김천시 아포읍에 위치한 경부선 상의 역으로, 과거 여객 및 화물 취급을 했으나 2024년 12월 6일 최종적으로 여객 취급이 중단되었다. - 김천시의 건축물 - 김천(구미)역
김천(구미)역은 경부고속선, 경전선, 동해선이 지나는 경상북도 김천시의 고속철도역으로, 2010년 개통하여 KTX, SRT가 정차하며 주요 도시를 연결하지만, 역 주변은 농촌 지역으로 역세권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 김천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김천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경상북도의 철도역 - 용궁역
용궁역은 1928년 개업하여 1944년 폐역되었다가 1966년 재개업한 경북선 지상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주변에 용궁면 행정복지센터, 용궁초등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 경상북도의 철도역 - 남성현역
남성현역은 경상북도 경산시 남산면에 위치한 경부선 지상역으로, 신호소에서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역사를 이전 및 신축했으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와 독특한 배선 구조를 가지며, 대한민국 최초의 스위치백 흔적이 남아있는 역사적 의미를 지닌 무궁화호 정차역이다.
김천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김천역 |
한자 표기 | 金泉驛 |
로마자 표기 | Gimcheon Station |
위치 | 경상북도 김천시 평화동 264-1 |
좌표 | 36°07′24″N 128°06′53″E |
개업일 | 1905년 1월 1일 |
역 구조 | 지상역 |
승강장 | 3면 5선 |
운영 정보 | |
운영 기관 | 한국철도공사 |
역 등급 | 1급 |
그룹 대표역 | 그룹 대표역 |
전보 약호 | (정보 없음) |
역 번호 | (정보 없음) |
노선 정보 | |
노선 | 경부선, 경북선 |
경부선 거리 | 서울 기점 253.8 km |
경부선 이전 역 | 직지사 |
경부선 다음 역 | 대신 |
경북선 거리 | 김천 기점 0.0 km |
경북선 다음 역 | 옥산 |
기타 정보 | |
승차 인원 (2010년) | 3,264명 |
승강 인원 (2010년) | 6,526명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비치역 |
2. 역사
- 1905년 1월 1일 : 보통역으로 영업 개시[6]
- 2007년 6월 1일 : KTX 상·하행 각 2회 운행 개시[6]
- 2008년 1월 1일 : KTX 증편(왕복 4회 운행)[6]
- 2010년 11월 1일 : 김천(구미)역 개통과 함께 KTX 운행 폐지[6]
- 2014년 5월 1일 : 충북종단열차 운행 개시
- 2014년 5월 12일 : ITX-새마을 운행 개시
- 2017년 12월 18일 : 화물 취급 중지
- 2019년 1월 1일 : 시간표 개정으로 경북선 무궁화호 증설[6]
- 2021년 5월 1일 ~ 7월 31일: 경북선 영주 ~ 김천 전 구간 토사붕괴 위험으로 열차운행 일시중지[7]및 대체 버스 투입[8]
- 2023년 9월 1일 : ITX-마음 운행 개시
3. 역 구조
김천역은 3면 5선의 혼합식 지상역으로, 남쪽부터 1번선 - 5번선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역사는 1번선 승강장과 인접해 있으며, 각 승강장은 육교 또는 지하 연결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1]
3. 1. 승강장
김천역은 3면 5선식 혼합식 승강장으로 운용되며, 그 중 1면 2선 섬식 승강장은 경북선 승강장으로 운용된다.
4. 이용 현황
2010년도 김천역의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3,264명, 1일 평균 승하차 인원은 6,526명이었다.[1]
연도별 | 김천역 이용 인원[2] | |||||||||
---|---|---|---|---|---|---|---|---|---|---|
경부선 | 경북선 | |||||||||
KTX | 새마을 | 무궁화 | 통일 | 합계 | 새마을 | 무궁화 | 합계 | |||
2008년[3] | 하행 | 승차 | 2,243 | 115,288 | 578,506 | 폐지 | 696,037 | - | 22,763 | 29,723 |
하차 | 42,181 | 126,488 | 299,274 | 467,943 | - | 7,607 | ||||
상행 | 승차 | 56,818 | 117,527 | 293,100 | 467,445 | - | 6,930 | |||
하차 | 2,996 | 105,225 | 580,325 | 688,546 | - | 26,997 | 34,604 | |||
2010년[4] | 하행 | 승차 | 2,425 | 127,015 | 586,289 | 715,729 | - | 34,934 | 34,942 | |
하차 | 39,475 | 117,876 | 284,891 | 442,242 | - | - | - | |||
상행 | 승차 | 52,954 | 107,537 | 280,232 | 440,723 | - | - | - | ||
하차 | 3,154 | 126,117 | 579,622 | 708,893 | - | 39,391 | 39,391 | |||
2011년[5] | 하행 | 승차 | 폐지 | 99,039 | 632,269 | 732,471 | - | 35,995 | 35,995 | |
하차 | 92,765 | 307,874 | 401,492 | - | - | - | ||||
상행 | 승차 | 89,371 | 305,367 | 395,363 | - | - | - | |||
하차 | 115,537 | 611,053 | 727,312 | - | 44,316 | 44,234 |
5. 역 주변
6. 인접한 역
참조
[1]
웹사이트
국가교통DB
http://ktdb.go.kr/ht[...]
[2]
서적
철도통계연보
철도청 및 한국철도공사
[3]
웹사이트
http://info.korail.c[...]
[4]
웹사이트
http://info.korail.c[...]
[5]
웹사이트
http://www.korail.co[...]
[6]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839호
http://gwanbo.mois.g[...]
2017-12-18
[7]
뉴스
경북선, 공사 中 토사붕괴 위기 "5월부터 열차운행 중단"
http://www.redaily.c[...]
철도경제
[8]
웹사이트
경북선 운행중지 알림
http://www.letskorai[...]
레츠코레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