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조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조선은 나고야 시를 순환하는 지하철 노선으로, 1965년 개통되어 2004년 순환선이 완성되었다.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운행 방식을 사용하며, 가나야마역을 중심으로 메이코선과 직통 운행한다. 2023년 역명 변경, 여성 전용 차량 운행, 스크린도어 설치 등 시설 개선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남포선
남포선은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역과 옥마역을 잇는 4.3km의 폐선된 산업 철도 노선으로, 1964년 무연탄 수송을 위해 개통되었으나 2009년 폐지되었으며, 일부 구간은 대천 레일바이크로 활용되고 있다. - 196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진삼선
진삼선은 일제강점기 대삼선 계획의 일부로 건설된 진주시 개양역과 사천시 삼천포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었으나, 경쟁력 약화와 적자 누적으로 폐선되었고 현재 사천선 구간만 공군 전용선으로 남아있다. - 나고야 시영 지하철 노선 - 나고야 시영 지하철 사쿠라도리선
나고야 시영 지하철 사쿠라도리선은 나고야시 중심부를 동서로 연결하는 지하철 노선으로, 히가시야마선 혼잡 완화를 목적으로 1989년 일부 개통 후 자동 열차 운전 장치를 활용한 원맨 운전 시스템을 도입, 2011년 노선 연장을 통해 현재의 노선망을 갖추었다. - 나고야 시영 지하철 노선 - 나고야 시영 지하철 히가시야마선
나고야 시영 지하철 히가시야마선은 나고야시 다카바타역과 후지가오카역을 잇는 20.6km의 노선으로, 나고야 시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혼잡도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197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베이징 지하철 1호선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은 베이징 시내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 노선으로, 1971년 개통 이후 2021년 8호선과의 직결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 미래 개발 계획이 진행 중이다. - 197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조반 완행선
조반 완행선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며 아야세역과 도리데역을 잇는 29.7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및 오다큐 오다와라선과 직결 운행하여 수도권의 통근을 지원하고 있으며, 자동 열차 운전 장치 도입 및 스크린도어 설치 등의 시설 개선이 이루어지고 2025년 원맨 운전 개시를 앞두고 있다.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조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 | |
노선 이름 | 메이조 선 |
다른 이름 | 나고야 시 고속도 철도 제2호선 4호선 |
로마자 표기 | Meijō-sen |
주요 도시 | 아이치현나고야시 |
노선 종류 | 도시 철도 |
노선 시스템 | 나고야 시 교통국 지하철 |
노선 상태 | 운행 중 |
기점 | 오조네 역 |
종점 | 오조네 역 |
역 수 | 28개 역 |
노선 길이 | 26.4km |
궤간 | 1,435mm (표준궤) |
선로 수 | 복선 |
전기화 | 직류 600V 제3궤조 방식 |
신호 방식 | 차내 신호식 |
보안 장치 | CS-ATC ATO |
최고 속도 | 65km/h |
소유자 | 나고야 시 교통국 |
운영자 | 나고야 시 교통국 |
차량 기지 | 다이코 (나고야 돔-마에 야다 역과 스나다바시 역 사이) 메이코 공장 |
사용 차량 | 2000형 전동차 |
노선 구조 | 환상선 |
개업 | 1965년 10월 15일 (2호선) |
전체 개통 | 2004년 10월 6일 (4호선) |
1일 평균 이용객 수 | 197,082명 (2008년, 메이코 선 포함) |
노선 기호 | M |
노선 번호 | 2호선 (오조네 - 사카에 - 가나야마 구간) 4호선 (가나야마 - 나고야 대학 - 오조네 구간) |
노선 색상 | 보라색 |
추가 정보 | |
도시 계획 상 명칭 | 나고야 시 고속도 철도 제2호선 |
도시 계획 상 명칭 | 나고야 시 고속도 철도 제4호선 |
홈페이지 | 나고야 시 교통국 |
2. 역사
1965년 10월 15일 2호선 사카에마치(현 사카에역) ~ 시야쿠쇼(현 나고야조 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확장되었다. 1969년 4월 25일 노선 명칭을 '메이조선'으로 결정했다. 1971년에는 나고야코 ~ 가나야마 구간과 시야쿠쇼 ~ 오조네 구간이 개통되며 2호선 전 구간이 완성되었다.
1974년 3월 30일 4호선 아라타마바시 ~ 가나야마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2000년 1월 19일 오조네 ~ 스나다바시, 2003년 12월 13일 스나다바시 ~ 나고야다이가쿠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4년 10월 6일, 4호선 나고야다이가쿠 ~ 아라타마바시 구간이 개통되면서 순환선이 완성되었다. 이때부터 순환 구간은 '메이조선', 나고야코 ~ 가나야마 구간은 '메이코선'으로 분리되었다.
사카에역 - 나고야 성역 구간은 1965년에 개통했지만, 나고야 대학역 - 아라마키바시역 구간은 2004년에 개통하여 개통 시기는 약 40년 차이가 난다.
2023년 1월 4일, 시야쿠쇼 역, 덴마초 역, 진구니시 역은 각각 나고야조 역, 아쓰타진구덴마초 역, 아쓰타진구니시 역으로 개칭되었다.[24]
2. 1. 연표
- 1965년 10월 15일: 2호선 사카에마치~시야쿠쇼 구간 개통.[7][25] 1000형 계열 전동차 영업 운전 개시.
- 1966년 6월 1일: 사카에마치역을 사카에로 역명 변경.
- 1967년 3월 30일: 2호선 사카에~가나야마 구간 개통.[7]
- 1969년 4월 25일: 노선 애칭을 '''메이조 선'''으로 결정.[26] 1969년 5월 1일부터 사용 시작.
- 1971년 12월 20일: 2호선 시야쿠쇼~오조네 구간 개통.[7]
- 1974년 3월 30일: 4호선 아라타마바시~가나야마 구간 개통.[7][28]
- 1989년 9월 10일: 메이조선 사카에~시야쿠쇼 사이에 히사야오도리역 영업 개시.
- 2000년 1월 19일: 4호선 오조네~스나다바시 구간 개통.[31][32]
- 2003년 12월 13일: 4호선 스나다바시~나고야 대학 구간 개통.[35][36][32]
- 2004년 10월 6일: 4호선 나고야 대학~아라타마바시 구간 개통으로 순환선 완성. 순환선을 '''메이조 선'''으로, 분기선이 된 가나야마~나고야코 구간을 메이코선으로 명칭 변경.[37][8]
- 2019년 11월 5일[40]: 구로카와역을 시작으로 발차표를 LED식에서 LCD식으로 갱신 (메이코선 포함, 12월 5일까지 전 34개 역에서 교체 완료).[41]--
- 2020년
- * 5월 23일: 시간표 개정.[42] 자동 열차 운전 장치에 의한 자동 운전 시작. 소요 시간이 길어져, 1바퀴가 50분에서 1시간으로 변경.
- * 7월 5일: 가나야마역에서 메이조선 최초의 가동식 스크린 도어 가동.[44]
- 2021년
- * 3월 15일: 니시타카쿠라역의 가동식 스크린 도어가 가동되어 메이조・메이코선 전 역에서 가동식 스크린 도어 가동.[22]
- * 7월 1일: 나고야 돔 앞 야다-모토야마-가나야마 간 원맨 운전 개시.[45]
- 2022년
- * 7월 1일: 가나야마-사카에-나고야 돔 앞 야다 간에서도 원맨 운전 개시.[45] 전선 원맨 운전.[47]
- 2023년
- * 1월 4일: 시야쿠쇼역을 나고야 성역, 덴마초역을 아쓰타진구덴마초역, 진구니시역을 아쓰타진구니시역으로 개칭.[49][50]
3. 운행 형태
메이조선은 시계 방향(clockwise)과 반시계 방향(counterclockwise)으로 순환 운행하며, 메이코선 직통 열차도 운행된다.[9][8] 운행 방향은 "바깥쪽 순환", "안쪽 순환" 대신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는 국가나 지역에 따라 전철의 통행 방향(우측통행 또는 좌측통행)이 달라 혼란을 야기할 수 있고, 터널 안에서는 안과 밖의 구분이 어렵다는 나고야시 교통국의 판단[52]과 노선도 상에서도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이 더 직관적이라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에 따른 것이다.
평일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가나야마 ~ 사카에 ~ 오조네 구간은 3분 간격, 그 외 구간은 6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낮 시간대에는 환상 계통과 메이코선 직통 계통 모두 1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두 계통이 겹치는 가나야마 ~ 사카에 ~ 오조네 구간은 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야간 시간대에는 메이코선 직통 계통이 없어지고, 메이코선은 가나야마 회차로 운행된다.[42]
반테린 돔 나고야에서 이벤트가 있을 경우 임시 열차가 운행된다. 주로 메이코선 내 회차 열차를 임시로 메이조선 나고야돔 앞 야다역까지 구간 연장하는 방식으로 운행된다.
2005년 10월 6일부터 접근 멜로디가 도입되었으며, 2007년 3월 19일부터는 오리지널 곡으로 변경되었다.[21] 현재 사용되는 접근 멜로디는 메이조선의 왼쪽 방향이 "랜딩", 오른쪽 방향이 "서클 포인트", 메이코선의 나고야항 방면이 "해피 타임", 가나야마 방면이 "바다"이다.
2020년 5월 23일 시간표 개정으로 각 역의 정차 시간이 조정되어 1바퀴 소요 시간이 50분에서 60분으로 연장되었다.
2021년 7월 1일부터 나고야 돔 앞 야다역 - 모토야마역 - 가나야마역 간에 원맨 운전이 시작되었으며,[45] 2022년 7월 1일부터는 전 구간에서 원맨 운전이 시행되고 있다.[32]
4. 노선 정보
- 노선 거리(영업 킬로미터): 전체 길이 26.4 km
- 2호선: 오조네 - 사카에 - 가나야마 구간 8.9 km
- (2호선 전 노선 오조네 - 사카에 - 가나야마 - 나고야항 구간은 14.9 km)
- 4호선: 오조네 - 나고야 대학 - 가나야마 구간 17.5 km
- 궤간: 1435mm
- 역 수: 28개 역
- 복선 구간: 전 노선
- 전철화 구간: 전 노선 (직류 600V・제3궤조 방식)
- 폐색 방식: 차내 신호 방식
- 최고 속도: 65 km/h
- 1개 편성의 차량 수: 6량
- 홈 최대 대응 차량 수: 6량
메이조선에서는 운행 방향 안내에 다른 일본의 환상 철도 노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깥쪽 순환", "안쪽 순환" 대신,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이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이는 전철이 오른쪽 통행인지 왼쪽 통행인지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바깥쪽 순환", "안쪽 순환"으로는 반대 방향으로 이해될 우려가 있다는 점, 그리고 운행 중인 전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터널 안에서는 안과 밖이라는 구분이 적절하지 않다는 교통국의 판단[52]과, 노선도상에서도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이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쉽다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생각에 따른 것으로, 기존 나고야시 교통국에서 순환 운행을 하는 시내 버스에서 사용되던 표현을 따른 것이다(가미샤 11호, 아라마키 13호 계통 등). 환상 운행 열차에 대해서는 모든 역의 발차 표지나 차량의 행선막에 "메이조선(시계 방향)", "메이조선(반시계 방향)"으로 표시된다.

5. 역 목록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