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조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조선은 나고야 시를 순환하는 지하철 노선으로, 1965년 개통되어 2004년 순환선이 완성되었다.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운행 방식을 사용하며, 가나야마역을 중심으로 메이코선과 직통 운행한다. 2023년 역명 변경, 여성 전용 차량 운행, 스크린도어 설치 등 시설 개선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남포선
    남포선은 충청남도 보령시 남포역과 옥마역을 잇는 4.3km의 폐선된 산업 철도 노선으로, 1964년 무연탄 수송을 위해 개통되었으나 2009년 폐지되었으며, 일부 구간은 대천 레일바이크로 활용되고 있다.
  • 196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진삼선
    진삼선은 일제강점기 대삼선 계획의 일부로 건설된 진주시 개양역과 사천시 삼천포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었으나, 경쟁력 약화와 적자 누적으로 폐선되었고 현재 사천선 구간만 공군 전용선으로 남아있다.
  • 나고야 시영 지하철 노선 - 나고야 시영 지하철 사쿠라도리선
    나고야 시영 지하철 사쿠라도리선은 나고야시 중심부를 동서로 연결하는 지하철 노선으로, 히가시야마선 혼잡 완화를 목적으로 1989년 일부 개통 후 자동 열차 운전 장치를 활용한 원맨 운전 시스템을 도입, 2011년 노선 연장을 통해 현재의 노선망을 갖추었다.
  • 나고야 시영 지하철 노선 - 나고야 시영 지하철 히가시야마선
    나고야 시영 지하철 히가시야마선은 나고야시 다카바타역과 후지가오카역을 잇는 20.6km의 노선으로, 나고야 시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며 혼잡도 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197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베이징 지하철 1호선
    베이징 지하철 1호선은 베이징 시내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간선 노선으로, 1971년 개통 이후 2021년 8호선과의 직결 운행을 시작했으며, 현재 미래 개발 계획이 진행 중이다.
  • 197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조반 완행선
    조반 완행선은 JR 동일본이 운영하며 아야세역과 도리데역을 잇는 29.7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도쿄 메트로 지요다선 및 오다큐 오다와라선과 직결 운행하여 수도권의 통근을 지원하고 있으며, 자동 열차 운전 장치 도입 및 스크린도어 설치 등의 시설 개선이 이루어지고 2025년 원맨 운전 개시를 앞두고 있다.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조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노선 정보
나고야 성 (나고야-조) 역 입구
나고야 성 (나고야-조) 역 입구
노선 이름메이조 선
다른 이름나고야 시 고속도 철도 제2호선
4호선
로마자 표기Meijō-sen
주요 도시아이치현나고야시
노선 종류도시 철도
노선 시스템나고야 시 교통국 지하철
노선 상태운행 중
기점오조네 역
종점오조네 역
역 수28개 역
노선 길이26.4km
궤간1,435mm (표준궤)
선로 수복선
전기화직류 600V 제3궤조 방식
신호 방식차내 신호식
보안 장치CS-ATC
ATO
최고 속도65km/h
소유자나고야 시 교통국
운영자나고야 시 교통국
차량 기지다이코 (나고야 돔-마에 야다 역과 스나다바시 역 사이)
메이코 공장
사용 차량2000형 전동차
노선 구조환상선
개업1965년 10월 15일 (2호선)
전체 개통2004년 10월 6일 (4호선)
1일 평균 이용객 수197,082명 (2008년, 메이코 선 포함)
노선 기호M
노선 번호2호선 (오조네 - 사카에 - 가나야마 구간)
4호선 (가나야마 - 나고야 대학 - 오조네 구간)
노선 색상보라색
추가 정보
도시 계획 상 명칭나고야 시 고속도 철도 제2호선
도시 계획 상 명칭나고야 시 고속도 철도 제4호선
홈페이지나고야 시 교통국

2. 역사

1965년 10월 15일 2호선 사카에마치(현 사카에역) ~ 시야쿠쇼(현 나고야조 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점진적으로 확장되었다. 1969년 4월 25일 노선 명칭을 '메이조선'으로 결정했다. 1971년에는 나고야코 ~ 가나야마 구간과 시야쿠쇼 ~ 오조네 구간이 개통되며 2호선 전 구간이 완성되었다.

1974년 3월 30일 4호선 아라타마바시 ~ 가나야마 구간이 개통되었고, 이후 여러 차례 연장을 거쳐 2000년 1월 19일 오조네 ~ 스나다바시, 2003년 12월 13일 스나다바시 ~ 나고야다이가쿠 구간이 개통되었다.

2004년 10월 6일, 4호선 나고야다이가쿠 ~ 아라타마바시 구간이 개통되면서 순환선이 완성되었다. 이때부터 순환 구간은 '메이조선', 나고야코 ~ 가나야마 구간은 '메이코선'으로 분리되었다.

사카에역 - 나고야 성역 구간은 1965년에 개통했지만, 나고야 대학역 - 아라마키바시역 구간은 2004년에 개통하여 개통 시기는 약 40년 차이가 난다.

2023년 1월 4일, 시야쿠쇼 역, 덴마초 역, 진구니시 역은 각각 나고야조 역, 아쓰타진구덴마초 역, 아쓰타진구니시 역으로 개칭되었다.[24]

가미마에즈역의 가동식 스크린도어

2. 1. 연표

3. 운행 형태

메이조선은 시계 방향(clockwise)과 반시계 방향(counterclockwise)으로 순환 운행하며, 메이코선 직통 열차도 운행된다.[9][8] 운행 방향은 "바깥쪽 순환", "안쪽 순환" 대신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데, 이는 국가나 지역에 따라 전철의 통행 방향(우측통행 또는 좌측통행)이 달라 혼란을 야기할 수 있고, 터널 안에서는 안과 밖의 구분이 어렵다는 나고야시 교통국의 판단[52]과 노선도 상에서도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이 더 직관적이라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에 따른 것이다.

평일 러시아워 시간대에는 가나야마 ~ 사카에 ~ 오조네 구간은 3분 간격, 그 외 구간은 6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낮 시간대에는 환상 계통과 메이코선 직통 계통 모두 1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두 계통이 겹치는 가나야마 ~ 사카에 ~ 오조네 구간은 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야간 시간대에는 메이코선 직통 계통이 없어지고, 메이코선은 가나야마 회차로 운행된다.[42]

반테린 돔 나고야에서 이벤트가 있을 경우 임시 열차가 운행된다. 주로 메이코선 내 회차 열차를 임시로 메이조선 나고야돔 앞 야다역까지 구간 연장하는 방식으로 운행된다.

2005년 10월 6일부터 접근 멜로디가 도입되었으며, 2007년 3월 19일부터는 오리지널 곡으로 변경되었다.[21] 현재 사용되는 접근 멜로디는 메이조선의 왼쪽 방향이 "랜딩", 오른쪽 방향이 "서클 포인트", 메이코선의 나고야항 방면이 "해피 타임", 가나야마 방면이 "바다"이다.

2020년 5월 23일 시간표 개정으로 각 역의 정차 시간이 조정되어 1바퀴 소요 시간이 50분에서 60분으로 연장되었다.

2021년 7월 1일부터 나고야 돔 앞 야다역 - 모토야마역 - 가나야마역 간에 원맨 운전이 시작되었으며,[45] 2022년 7월 1일부터는 전 구간에서 원맨 운전이 시행되고 있다.[32]

4. 노선 정보


  • 노선 거리(영업 킬로미터): 전체 길이 26.4 km
  • 2호선: 오조네 - 사카에 - 가나야마 구간 8.9 km
  • (2호선 전 노선 오조네 - 사카에 - 가나야마 - 나고야항 구간은 14.9 km)
  • 4호선: 오조네 - 나고야 대학 - 가나야마 구간 17.5 km
  • 궤간: 1435mm
  • 역 수: 28개 역
  • 복선 구간: 전 노선
  • 전철화 구간: 전 노선 (직류 600V・제3궤조 방식)
  • 폐색 방식: 차내 신호 방식
  • 최고 속도: 65 km/h
  • 1개 편성의 차량 수: 6량
  • 홈 최대 대응 차량 수: 6량

메이조선에서는 운행 방향 안내에 다른 일본의 환상 철도 노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바깥쪽 순환", "안쪽 순환" 대신,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이라는 표현이 사용된다. 이는 전철이 오른쪽 통행인지 왼쪽 통행인지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바깥쪽 순환", "안쪽 순환"으로는 반대 방향으로 이해될 우려가 있다는 점, 그리고 운행 중인 전철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는 터널 안에서는 안과 밖이라는 구분이 적절하지 않다는 교통국의 판단[52]과, 노선도상에서도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이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쉽다는 유니버설 디자인의 생각에 따른 것으로, 기존 나고야시 교통국에서 순환 운행을 하는 시내 버스에서 사용되던 표현을 따른 것이다(가미샤 11호, 아라마키 13호 계통 등). 환상 운행 열차에 대해서는 모든 역의 발차 표지나 차량의 행선막에 "메이조선(시계 방향)", "메이조선(반시계 방향)"으로 표시된다.

「시계 방향」 방향막

5. 역 목록

도카이도 본선, 주오 본선
나고야 철도 나고야 본선나카구M02히가시베쓰인東別院|히가시베쓰인일본어M03가미마에즈上前津|가미마에즈일본어쓰루마이 선 (T09)M04야바초矢場町|야바초일본어M05사카에栄|사카에일본어히가시야마 선 (H10)M06히사야오도리久屋大通|히사야오도리일본어사쿠라도리 선 (S05)M07나고야조名古屋城|나고야조일본어M08메이조코엔名城公園|메이조코엔일본어기타구M09구로카와黒川|구로카와일본어M10시가혼도리志賀本通|시가혼도리일본어M11헤이안도리平安通|헤이안도리일본어가미이다 선 (K02)M12오조네大曽根|오조네일본어주오 본선, 나고야 철도 세토 선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M13나고야돔마에야다ナゴヤドーム前矢田|나고야돔마에야다일본어히가시구M14스나다바시砂田橋|스나다바시일본어M15자야가사카茶屋ヶ坂|자야가사카일본어지쿠사구M16지유가오카自由ヶ丘|지유가오카일본어M17모토야마本山|모토야마일본어히가시야마 선 (H16)M18나고야다이가쿠名古屋大学|나고야다이가쿠일본어M19야고토닛세키八事日赤|야고토닛세키일본어쇼와구M20야고토八事|야고토일본어쓰루마이 선 (T15)M21소고리하비리센타総合リハビリセンター|소고리하비리센타일본어미즈호구M22미즈호운도조 히가시瑞穂運動場東|미즈호운도조히가시일본어M23아라타마바시新瑞橋|아라타마바시일본어사쿠라도리 선 (S14)M24묘온도리妙音通|묘온도리일본어M25호리타堀田|호리타일본어M26아쓰타진구덴마초熱田神宮伝馬町|아쓰타진구덴마초일본어아쓰타구M27아쓰타진구니시熱田神宮西|아쓰타진구니시일본어M28니시타카쿠라西高蔵|니시타카쿠라일본어


6. 기타

1965년 사카에초역(현재의 사카에역) - 시야쿠쇼역(현재의 나고야 성역) 구간[7]이 2호선으로 개통되었다. 2004년 10월 6일 4호선 나고야 대학역에서 야고토역을 거쳐 아라마키바시역까지 개통[9][8]하면서 오조네역 - 나고야 대학역 - 가나야마역 구간이 모두 개통되어, 2호선 오조네역 - 사카에역 - 가나야마역 구간과 함께 나고야 시영 지하철 최초의 환상선이 완성되었다. 이는 일본 최초의 지하철 순환 운전이다.[9][8] 환상선 완성을 기념하여 환상 구간의 애칭은 "메이조선", 방사형 지선인 2호선 가나야마역 - 나고야항역 구간의 애칭은 "메이코선"으로 정해졌다.[9][8] "메이조선"은 나고야 성 근처를 지나는 노선이고, "메이코선"은 나고야항으로 향하는 노선이기 때문이다.[10] 환상 운전 실시 이전에는 오조네역 - 가나야마역 - 나고야항역 구간을 "메이조선", 그 외 구간을 "4호선"으로 표기했다.[11]

가장 오래된 구간인 사카에역 - 나고야 성역 구간은 1965년에 개통되었고, 가장 새로운 구간인 나고야 대학역 - 아라마키바시역 구간은 2004년에 개통되어 개통 연도 차이가 약 40년이다. 이 구간은 일부 사유지 아래를 지나기 때문에 토지 소유주로부터 건설 중지[12]와 토지 수용 사업 인정 및 수용 재결 취소를 요구하는 소송이 제기[13]되어 개통이 늦어졌다.

메이조선의 전체 길이는 26.4km로, JR 서일본오사카 순환선(21.7km)보다 길고, 도쿄 도영 지하철 오에도선의 환상부(27.8km), JR 동일본 야마노테선(34.5km)보다는 짧다.

일본의 환상 지하철로는 오에도선 다음이며, 오에도선 환상부는 도쿄 도청 앞역에서 히카리가오카역으로 가는 방사형 노선으로 연결되어 스위치백형 배선(전체 노선 형태는 방사형 노선을 포함하여 라켓형)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노선 자체가 완전한 환상선이며, 환상 운행을 하는 지하철로서는 메이조선이 일본 최초이자 유일하다.[14] 세계적으로는 런던 지하철 서클 선[15], 글래스고 지하철, 모스크바 지하철 순환선, 마드리드 지하철 6호선, 서울교통공사 2호선[16], 베이징 지하철 2호선에 이어 7번째이며, 한 바퀴 길이는 모스크바 지하철 대환상선, 베이징 지하철 10호선, 서울교통공사 2호선에 이어 세계 4번째로 길다.

2005년 10월 6일부터 기존 접근 차임 대신 시험적으로 접근 멜로디가 메이코선과 함께 전 역에 도입되었다. JR 동일본 수도권 역에서 사용되는 사쿠라이 음악 공방의 발차 멜로디(메이조선 왼쪽 방향 "스스키노 고원", 오른쪽 방향 "아자미노", 메이코선 나고야항 방면 "twilight", 가나야마 방면 "빛과 바람과")가 사용되었으나, 2007년 3월 19일부터 오리지널 곡으로 변경되었다. 현재 사용되는 접근 멜로디는 메이조선 왼쪽 방향 "랜딩", 오른쪽 방향 "서클 포인트", 메이코선 나고야항 방면 "해피 타임", 가나야마 방면 "바다"이다.[21]

2020년 6월부터 순차적으로 각 역에 가동식 스크린도어를 설치하고 있으며,[44] 2021년 3월까지 전 역에 설치가 완료되었다.[22][23]

과거에 운행되었던 드래곤스 트레인 (2010년 7월 11일, 가나야마역)


나고야 돔(현 반테린 돔 나고야)을 홈구장으로 하는 프로 야구 구단 주니치 드래곤스와 이온, 주니치 신문사의 협력으로, 2006년[54]부터 "드래곤스 트레인"이라는 기획 전철이 해당 노선을 운행했다. 연선에 나고야 돔(현 반테린 돔 나고야)이 있어 해당 노선이 선택되었으며, "오른쪽 순환", "왼쪽 순환" 양방향으로 운행했다.

매년 시즌 개막과 거의 동시에 운행이 시작되며, 통상 시즌 종료와 함께 드래곤스 트레인의 운행도 종료되지만, 주니치 드래곤스의 성적에 따라 클라이맥스 시리즈나 일본 시리즈 기간까지 운행이 연장되는 경우도 있었다.

7. 연선 개황

메이조선을 가나야마역에서 시계 방향으로 살펴보면, 가나야마역 - 히가시별원역 구간은 오쓰 거리 서쪽을 지나고, 히가시별원역부터는 오쓰 거리 동쪽으로 바뀐다. 히가시별원역 - 야바초역 구간은 마에쓰 거리, 야바초역 - 나고야성역 부근은 히사야오도리 아래를 통과한다. 나고야성역 부근에서는 오쓰 거리 아래를 지나, 메이조 공원역 부근에서 조금 서쪽으로 벗어나 그대로 북쪽으로 향한다. 메이조 공원역을 지나면 진로를 동쪽으로 바꾸어 나고야시도 나고야 환상선 아래를 통과하며, 오조네역을 지나면 나고야 가이드웨이 버스 가이드웨이 버스 시단미선과 평행하게 되어, 나고야 돔 옆을 지난다. 스나다바시역을 지나면 진로를 약간 남쪽으로 바꾸어, 오와리 구릉(히가시야마 구릉・야고토 구릉)의 주택지 아래를 통과하고, 모토야마역 - 미즈호운동장히가시역 구간은 야마테 그린 로드 아래를 통과한다. 이 부근은 지형의 기복이 심하여, 나고야 고속 2호 히가시야마선이 히가시야마 터널에서 이 노선과 교차하며, 나고야시에서도 상당히 깊은 위치에 승강장이 있어 콘코스까지의 거리가 긴 역이 많다. 나고야 대학역 부근은 나고야 대학의 캠퍼스 내 지하를 통과하고 있으며, 전국적으로도 드문 사례이다. 아라마키역에서 호리타역을 지나기까지는 서쪽으로 진로를 잡고, 아이치현도 221호 이와사키 나고야선 아래, 호리타역 - 아쓰타진구 덴마초역 구간은 국도 1호선 아래를 통과한다. 아쓰타진구 덴마초역을 지나면 진로를 북쪽으로 바꾸어, 후시미 거리(국도 19호선과 국도 22호선의 중복 구간) 아래를 통과하여, 아쓰타 신궁 서쪽을 지나 가나야마역으로 돌아온다. 가나야마역에서는 메이조선 전철이 바깥쪽 선로로 들어가, 메이코선과 합류하여 그대로 사카에오조네역 방면으로 향한다.

참조

[1] 간행물 各鉄軌道会社のご案内 http://wwwtb.mlit.go[...] Japa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and Tourism 2010-12-19
[2] 웹사이트 名城線・名港線の女性専用車両運行開始について http://www.kotsu.cit[...] Nagoya City Transportation Bureau 2016-09-15
[3] 문서 「名古屋市交通局 旅客サインマニュアル」による
[4] 서적 日本縦断! 地下鉄の謎
[5] 뉴스 地下鉄の色、どんな意味 http://www.chunichi.[...] 2014-12-26
[6] 문서
[7] 서적 新修名古屋市史 第7巻 名古屋市 1998-03-31
[8] 논문 鉄道記録帳 鉄道友の会 2005-01-01
[9] 웹사이트 地下鉄4号線名古屋大学・新瑞橋間の開業について https://web.archive.[...] 名古屋市交通局新着情報
[10] 웹사이트 地下鉄4号線の駅名等及び路線の愛称について http://www.kotsu.cit[...] 名古屋市交通局 2020-09-22
[11] 문서
[12] 문서
[13] 웹사이트 平成14(行コ)20 事業認定処分取消,土地収用裁決取消請求控訴 https://www.courts.g[...]
[14] 웹사이트 市営交通100年祭(名古屋市)のツイート(2021年10月6日) https://twitter.com/[...] 名古屋市交通局 2021-10-06
[15] 문서
[16] 문서
[17] 웹사이트 環狀線北環及南環 https://www.dorts.go[...] 台北市政府捷運工程局
[18] 웹사이트 環狀線東環段 https://www.dorts.go[...] 台北市政府捷運工程局
[19] 문서
[20] 문서
[21] 웹사이트 列車接近メロディ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2-06-04
[22] 웹사이트 名城線ホーム柵設置工事のお知らせ(堀田・伝馬・神宮西・西高蔵) http://meishinren.or[...] 名古屋市身体障害者福祉連合会 2021-01-18
[23] 웹사이트 可動式ホーム柵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2-06-06
[24] 웹사이트 地下鉄駅名称変更の実施日について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2-07-08
[25] 웹사이트 市営交通100年祭(名古屋市)のツイート(2021年10月15日) https://twitter.com/[...] 名古屋市交通局 2021-10-15
[26] 웹사이트 市営交通100年祭(名古屋市)のツイート(2022年4月25日) https://twitter.com/[...] 名古屋市交通局 2022-04-25
[27] 웹사이트 市営交通100年祭(名古屋市)のツイート(2022年3月29日) https://twitter.com/[...] 名古屋市交通局 2022-03-29
[28] 웹사이트 市営交通100年祭(名古屋市)のツイート(2022年3月30日) https://twitter.com/[...] 名古屋市交通局 2022-03-30
[29] 웹사이트 市営交通100年祭(名古屋市)のツイート(2022年6月10日) https://twitter.com/[...] 名古屋市交通局 2022-06-10
[30] 웹사이트 市営交通100年祭(名古屋市)のツイート(2021年12月7日) https://twitter.com/[...] 名古屋市交通局 2021-12-07
[31] 웹사이트 市営交通100年祭(名古屋市)のツイート(2022年1月19日) https://twitter.com/[...] 名古屋市交通局 2022-01-19
[32] 문서
[33] 서적 週刊 歴史でめぐる鉄道全路線 公営鉄道・私鉄 No.10
[34] 웹사이트 市営交通100年祭(名古屋市)のツイート(2022年2月7日) https://twitter.com/[...] 名古屋市交通局 2022-05-29
[35] 웹사이트 地下鉄4号線「砂田橋・名古屋大学間」の開業について https://web.archive.[...] 名古屋市交通局新着情報
[36] 간행물 鉄道記録帳2003年12月 鉄道友の会 2004-03-01
[37] 웹사이트 名古屋大学・新瑞橋間の開業及び東山線等の運行の見直しについて https://web.archive.[...] 名古屋市交通局
[38] 웹사이트 女性専用車両の路線拡大について http://www.kotsu.cit[...] 名古屋市交通局 2016-05-11
[39] 뉴스 名古屋市営地下鉄名城線・名港線に女性専用車両 http://railf.jp/news[...] 鉄道ファン・railf.jp 鉄道ニュース 2016-07-05
[40] 웹사이트 市営交通100年祭(名古屋市)のツイート(2021年11月5日) https://twitter.com/[...] 名古屋市交通局 2022-05-29
[41] 웹사이트 地下鉄名城線・名港線 カラー液晶式(LCD)案内表示装置への更新について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19-10-29
[42] 웹사이트 地下鉄名城線・名港線の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0-05-08
[43] 웹사이트 地下鉄名城線・名港線の可動式ホーム柵が稼働します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0-05-18
[44] 웹사이트 矢場町駅、栄駅の可動式ホーム柵稼働のお知らせ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0-08-13
[45] 웹사이트 名城線・名港線のワンマン運転実施について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1-06-18
[46] 웹사이트 名城線・名港線のホームと車両の段差・隙間の解消について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1-11-27
[47] 웹사이트 名城線・名港線における全線ワンマン運転の開始について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2-07-03
[48] 웹사이트 名城線・名港線のホームと車両の段差・隙間の解消について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1-11-27
[49] 웹사이트 地下鉄駅名称の変更について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2-06-23
[50] 웹사이트 地下鉄駅名称変更の実施日について https://www.kotsu.ci[...] 名古屋市交通局 2022-07-08
[51] 문서 名古屋市公報第197号(本号)633頁 https://www.city.nag[...]
[52] 뉴스 環状地下鉄名城線 あおなみ線 〜誕生特集〜 中日新聞 2004-10-06
[53] 문서 上飯田線も1形式だが、名鉄小牧線から300系が乗り入れてくる。
[54] 웹사이트 市営交通100年祭(名古屋市)のツイート(2022年3月13日) https://twitter.com/[...] 名古屋市交通局 2022-03-13
[55] 뉴스 名城線利用実績 当初予測の48% 総務省が公共事業調査 中日新聞社 2008-08-08
[56] 웹사이트 東京圏における主要区間の混雑率 - 国土交通省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6-07-11
[57] 문서 名城線の開業以前に、瀬戸線を栄(栄町)まで延伸する計画があったが、大曽根 - 栄間が名城線と競合するため、名鉄と名古屋市の間で協議が持たれた。最終的には、名鉄が持っていた八事 - 豊田市間(現在の鶴舞線の一部区間と名鉄豊田線)の免許のうち、八事 - 赤池間の免許と交換で名鉄に対して瀬戸線の栄町延伸が認められた。
[58] 뉴스 福留、岩瀬 CM初出演/名古屋市の地下鉄4号線をPR 中日新聞社 1999-12-01
[59] 웹사이트 「立浪です。バンテリンドームはこちらです」 地下鉄車内アナウンス https://www.chunichi[...] 中日新聞社 2022-04-29
[60] 웹사이트 中日・立浪監督が名古屋市営地下鉄名城線の車内案内放送を担当―「バンテリンドームナゴヤはこちらです」 https://www.sponichi[...] スポニチ Sponichi Annex 野球 2022-04-28
[61] 웹사이트 立浪監督による地下鉄車内放送実施のお知らせ https://dragons.jp/n[...] 中日ドラゴンズ オフィシャルウェブサイト 2022-05-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