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우체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진해우체국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위치한 우체국으로, 1912년 1월 25일 개국했다. 일제강점기인 1909년 마천우편소 설치를 시작으로 여러 우체국 및 분실, 출장소의 개폐국을 거쳤으며, 1981년 영업동청사가 사적 제291호로 지정되었다. 건물은 러시아 풍의 절충식 근대 건축 양식으로 1912년 10월 25일 준공되었으며, 현재 제602군사우체국, 진해경화동우체국, 진해덕산동우체국 등 여러 관할 우체국을 두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 소재의 우체국 - 마산우체국
마산우체국은 1899년 부산우편전신국 마산출장소로 개국하여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와 마산회원구 일대를 관할하며, 여러 조직을 통해 우편 및 금융 서비스를 제공한다. - 경상남도 소재의 우체국 - 부산국제우체국
부산국제우체국은 1949년 부산우체국 국제우편과로 시작하여 1976년 부산국제우체국으로 개국했으며, 현재는 경상남도 양산시에 위치하여 국제 우편 업무를 수행한다. - 경상남도의 사적 - 김해 봉황동 유적
김해 봉황동 유적은 경상남도 김해시에 위치하며, 조개더미 성격의 유적으로 붉은 토기, 가야 토기 파편, 화천 등이 출토되어 한반도 남부 지역 선사시대와 중국 간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 경상남도의 사적 - 진주성
진주성은 고려 시대부터 왜구 방어의 요충지였고 임진왜란 당시 격전지였던 경상남도 진주시에 위치한 석성으로, 임진왜란 3대첩 중 하나인 제1차 진주성 전투와 많은 민관군이 순절한 제2차 진주성 전투의 역사를 지니며 현재 사적 제118호로 지정되어 촉석루, 의기사, 영남포정사 등 다양한 문화재와 유적을 포함하여 관리되고 있다. - 진해구 - 진해역
진해역은 1926년 진해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하여 2005년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15년 정기 여객열차 운행이 중지되었지만 진해 군항제 기간에는 벚꽃 관광열차가 운행된다. - 진해구 - 진해시외버스터미널
진해시외버스터미널은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에 위치한 시외버스 및 고속버스 터미널로, KT 진해전화국 터에 있던 초기 정류장에서 시작하여 2001년부터 동아여객이 운영하며 2010년에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2014년 고속버스 노선 개통 후 동서울, 대구, 광주 방면 고속버스와 서울남부, 부산, 울산, 김해, 고현 방면 시외버스가 운행 중이며 일부 노선은 심야 운행을 한다.
진해우체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종류 | 우체국 |
관할 지역 | 경상남도 통합창원시 진해구 |
위치 | 경상남도 통합창원시 진해구 진해시백구로 40 |
홈페이지 | 진해우체국 |
2. 역사
1912년 1월 25일, 창원군 진해면 현동1에 진해우편국이 개국하면서 진해우체국의 역사가 시작되었다.[4] 이후 1955년 9월 1일 진해우편국은 진해우체국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진해우체국과 관련된 우편소 및 우체국의 설치와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일자 | 내용 |
---|---|
1909년 3월 11일 | 마천우편소 설치[1] |
1910년 7월 26일 | 현동우편소 설치[2] |
1911년 5월 10일 | 마천우편소 이전 (관남리 → 소사리)[3] |
1912년 6월 16일 | 경화동우편소 설치[6] |
1912년 11월 1일 | 진해우체국 청사 신축 이전[7] |
1914년 3월 11일 | 마천우편소 이전 및 개칭 (웅천우편소)[8] |
1928년 2월 11일 | 웅천우편소 재설치[9] |
1929년 7월 21일 | 웅천우편소 이전 (대창리)[10] |
1932년 5월 1일 | 경화동우편소 개칭 (경화우편소)[11] |
1933년 5월 1일 | 경화우편소 개칭 (진해경화우편소), 현동우편소 개칭 (진해현동우편소)[12] |
1941년 2월 1일 | 진해경화우편소 개칭 (진해경화우편국), 웅천우편소 개칭 (웅천우편국), 진해현동우편소 개칭 (진해현동우편국)[13] |
1943년 6월 10일 | 진해현동우편국 폐지[14] |
1943년 6월 11일 | 진해우편국 현동분실 신설[15] |
1952년 11월 15일 | 진해우체국 현동분실 업무 개시 (우편, 우편환, 우편저금)[16] |
1956년 8월 5일 | 진해우체국 현동분실 폐지[17] |
1956년 8월 6일 | 제602군사우체국 개국[17] |
1961년 10월 1일 | 진해우체국 4급 관서 승격 |
1962년 5월 16일 | 제602군사우체국, 진해우체국 통제부영내분국 개국[18] |
1965년 3월 15일 | 웅동우체국 (별정) 개국[19] |
1966년 7월 1일 | 진해우체국 육군대학구내분국 개국[20] |
1973년 7월 1일 | 진해성내동우체국 (별정) 개국 |
1976년 4월 29일 | 제88군사우체국 개국[21] |
1976년 5월 1일 | 제602군사우체국 6급 관서 승격 |
1980년 4월 1일 | 웅동우체국 이전 (의창군 웅동면 마천리)[22] |
1981년 9월 25일 | 영업동청사 문화재 지정 (사적 제291호) |
1983년 6월 1일 | 웅동우체국 이전 (진해시 웅동)[23] |
1986년 9월 1일 | 진해덕산동우체국 개국[24] |
1986년 11월 28일 | 사무동청사 신축 (3층) |
1986년 12월 30일 | 의창눌치우편취급소, 진해용원우편취급소 신설[25] |
1987년 1월 1일 | 진해경화우체국 개칭 (진해경화동우체국) |
1987년 12월 15일 | 제605군사우체국 신설 |
1993년 12월 27일 | 진해여좌동우체국 개국[26] |
1996년 12월 31일 | 사무동청사 증축 (4층) |
1997년 12월 10일 | 진해이동우체국 개국[27] |
1999년 11월 1일 | 진해성내동우체국 개칭 (진해웅천동우체국)[28] |
1999년 12월 20일 | 영업창구 이전 (문화재청사 → 사무동청사 1층) |
2001년 10월 1일 | 웅동우체국 개칭 (진해웅동우체국)[29] |
2002년 12월 2일 | 진해웅동2동우체국 개국[30] |
2005년 2월 1일 | 육군대학구내우체국 전환 (진해우체국 제211군사우편출장소), 제605군사우체국 전환 (제605군사우편출장소), 제88군사우체국 전환 (제88군사우편출장소) |
2011년 10월 1일 | 배달구역 변경[31] |
2014년 1월 1일 | 우편구역 변경[32] |
2020년 11월 2일 | 진해이동우체국 폐국 (진해덕산동우체국 통합)[33] |
2021년 10월 1일 | 제88군사우편출장소, 제211군사우편출장소, 제605군사우편출장소 폐국[34] |
2. 1. 일제강점기
1909년 3월 11일 마천우편소가 설치되었고,[1] 1910년 7월 26일에는 현동우편소가 설치되었다.[2] 1911년 5월 10일, 마천우편소는 관남리에서 소사리로 이전하였다.[3]1912년 1월 25일, 창원군 진해면 현동1에 진해우체국의 전신인 진해우편국이 개국되었으며,[4] 현동우편소는 진해우편국에 사무를 승계하였다.[5] 같은 해 6월 16일에는 경화동우편소가 설치되었고,[6] 11월 1일에는 현재의 사적 제291호 진해우체국 청사로 신축 이전하였다.[7]
1914년 3월 11일, 마천우편소는 웅천우편소로 이전 후 명칭이 변경되었다.[8] 1928년 2월 11일에는 웅천우편소가 청원에 의해 재설치되었고,[9] 1929년 7월 21일 대창리로 이전하였다.[10]
1932년 5월 1일, 경화동우편소는 경화우편소로 명칭이 변경되었고,[11] 1933년 5월 1일에는 경화우편소가 진해경화우편소로, 현동우편소가 진해현동우편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2]
1941년 2월 1일, 진해경화우편소는 진해경화우편국으로, 웅천우편소는 웅천우편국으로, 진해현동우편소는 진해현동우편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13] 1943년 6월 10일 진해현동우편국이 폐지되었고,[14] 다음 날인 6월 11일 진해우편국 현동분실이 신설되었다.[15]
2. 2. 해방 이후
- 1952년 11월 15일, 진해우체국 현동(縣洞)분실에서 우편, 우편환, 우편저금 업무를 시작했다.[16]
- 1955년 9월 1일, 진해우편국이 진해우체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 1956년 8월 5일, 진해우체국 현동분실이 문을 닫았다.[17]
- 1956년 8월 6일, 해군진해통제부 안에 제602군사우체국이 문을 열었다.[17]
- 1961년 10월 1일, 진해우체국이 4급 관서로 올라갔다.
- 1962년 5월 16일, 제602군사우체국과 진해우체국 통제부영내분국이 문을 열었다.[18]
- 1965년 3월 15일, 웅동우체국이 별정우체국으로 문을 열었다.[19]
- 1966년 7월 1일, 진해우체국 육군대학구내분국이 문을 열었다.[20]
- 1973년 7월 1일, 진해성내동우체국이 별정우체국으로 문을 열었다.
- 1976년 4월 29일, 제88군사우체국이 문을 열었다.[21]
- 1976년 5월 1일, 제602군사우체국이 6급 관서로 올라갔다.
- 1980년 4월 1일, 웅동우체국이 의창군 웅동면 마천리로 옮겨졌다.[22]
- 1981년 9월 25일, 영업동청사가 문화재(사적 제291호)로 지정되었다.
- 1983년 6월 1일, 웅동우체국이 진해시 웅동으로 옮겨졌다.[23]
- 1986년 9월 1일, 진해덕산동우체국이 문을 열었다.[24]
- 1986년 11월 28일, 사무동청사(3층 건물)를 새로 지었다.
- 1986년 12월 30일, 의창눌치우편취급소와 진해용원우편취급소가 새로 만들어졌다.[25]
- 1987년 1월 1일, 진해경화우체국이 진해경화동우체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 1987년 12월 15일, 제605군사우체국이 새로 만들어졌다.
- 1993년 12월 27일, 진해여좌동우체국이 문을 열었다.[26]
- 1996년 12월 31일, 사무동청사를 4층으로 늘려 지었다.
- 1997년 12월 10일, 진해이동우체국이 문을 열었다.[27]
- 1999년 11월 1일, 진해성내동우체국이 진해웅천동우체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8]
- 1999년 12월 20일, 영업창구를 문화재청사에서 사무동청사 1층으로 옮겼다.
- 2001년 10월 1일, 웅동우체국이 진해웅동우체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9]
- 2002년 12월 2일, 진해웅동2동우체국이 문을 열었다.[30]
- 2005년 2월 1일, 육군대학구내우체국을 진해우체국 제211군사우편출장소로, 제605군사우체국을 제605군사우편출장소로, 제88군사우체국을 제88군사우편출장소로 바꾸었다.
- 2011년 10월 1일, 배달구역이 아래와 같이 바뀌었다.[31]
변경 전 | 변경 후 | ||
---|---|---|---|
배달국 | 배달구역 | 배달국 | 배달구역 |
진해우체국 | 진해시 전 지역 (마천동, 대장동, 소사동, 남양동, 두동, 가주동, 용원동, 안골동, 청안동은 진해웅동2동우체국에서 배달) | 진해우체국 | 창원시 진해구 전 지역 (마천동, 대장동, 소사동, 남양동, 두동, 가주동, 용원동, 안골동, 청안동은 진해웅동2동우체국에서 배달) |
진해웅동2동우체국 | 진해시 마천동, 대장동, 소사동, 남양동, 두동, 가주동, 용원동, 안골동, 청안동 | 진해웅동2동우체국 | 창원시 진해구 마천동, 대장동, 소사동, 남양동, 두동, 가주동, 용원동, 안골동, 청안동 |
배달국 | 배달구역 | 구역번호 |
---|---|---|
진해우체국 | 진해구 전 지역 (가주동, 남양동, 대장동, 두동, 마천동, 소사동, 안골동, 용원동, 청안동 제외) | 51578 ~ 51596 51616 ~ 51704 |
진해웅동2동우체국 | 진해구 가주동, 남양동, 대장동, 두동, 마천동, 소사동, 안골동, 용원동, 청안동 | 51597 ~ 51615 |
- 2020년 11월 2일, 진해이동우체국이 진해덕산동우체국으로 합쳐져 문을 닫았다.[33]
- 2021년 10월 1일, 제88군사우편출장소, 제211군사우편출장소, 제605군사우편출장소가 문을 닫았다.[34]
3. 건축학적 특징
진해우체국 건물은 러시아풍의 절충식 근대 건축 양식을 띠고 있다. 정면 입구 양쪽에 세운 강한 배흘림이 있는 투스칸 오더(Tuscan order)의 두리기둥은 당당한 외관을 보여준다.
3. 1. 건축 양식
Y자 형태의 3방향 도로 중앙에 조성된 삼각형 대지에 건평 136.7평으로 지은 단층 목조건물이다. 평면은 삼각형 대지의 꼭짓점에 해당되는 중원광장 쪽, 즉 양 도로가 만나는 지점을 출입구로 설계하여 입구는 좁으나 건물 안으로 들어서면 점차 넓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목조건물로 원래 지붕은 동판으로 덮고 사방에 동재로 난간을 둘렀으며, 자연광의 일조량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반원형 채광창을 설치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일제가 무기를 생산할 재료가 부족하여 지붕의 동판과 난간을 모두 징발하고 아연으로 대체하였으나 1984년에 본래대로 복원하였다. 그리고 원래 목재 마루틀 위에 널마루가 깔렸던 바닥도 노후된 널마루를 들어내고 시멘트 몰탈로 마감하였다. 건물 양식은 러시아 풍의 절충식 근대 건축인데, 정면 입구의 양측으로 세운 강한 배흘림이 있는 투스칸 오더(Tuscan order)의 두리기둥으로 당당한 외관을 보이고 있다.3. 2. 지붕 및 내부 구조
건물 지붕은 원래 동판으로 덮고 사방에 동재 난간을 둘렀으며, 자연광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도록 반원형 채광창을 설치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말기 일제는 무기 생산 재료 부족으로 지붕의 동판과 난간을 징발하고 아연으로 대체하였으나, 1984년에 본래대로 복원하였다. 원래 목재 마루틀 위에 널마루가 깔렸던 바닥도 노후화로 인해 널마루를 들어내고 시멘트 몰탈로 마감하였다.4. 진해우체국 관할 우체국
창원시 진해구 지역의 우편 업무를 총괄하며, 여러 우체국과 군사우체국을 관할하고 있다.
4. 1. 관할 우체국 목록
4. 2. 폐국된 우체국
우체국명 | 주소 | 비고 |
---|---|---|
제211군사우편출장소 | 경상남도 통합창원시 진해구 진희로 111 | 2021년 10월 1일 폐국 |
제605군사우편출장소 | 경상남도 통합창원시 진해구 진희로 111 | 2021년 10월 1일 폐국 |
제88군사우편출장소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중원로 1 | 2021년 10월 1일 폐국 |
진해용원우편취급소 | 경상남도 통합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 |
진해이동우체국 | 경상남도 통합창원시 진해구 충장로 432 | 2020년 11월 2일 폐국 |
참조
[1]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統告15
1909-02-28
[2]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統告155
1910-07-23
[3]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30
1911-05-09
[4]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0
1912-01-20
[5]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1
1912-01-20
[6]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47
1912-06-10
[7]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71
1912-10-29
[8]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45
1914-02-23
[9]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7
1928-02-03
[10]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53
1929-07-13
[11]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231
1932-04-21
[12]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74
1933-04-21
[13]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109
1941-01-31
[14]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705
1943-06-08
[15]
관보
조선총독부관보 總告706
1943-06-08
[16]
고시
체신부고시 제194호
1952-10-22
[17]
고시
체신부고시 제583호
1959-08-01
[18]
고시
체신부고시 제1736호
1962-05-12
[19]
고시
체신부고시 제2202호
1965-03-02
[20]
고시
체신부고시 제2407호
1966-06-28
[21]
령
체신부령 제573호
1976-04-29
[22]
고시
체신부고시 제44호
1980-03-08
[23]
고시
체신부고시 제89호
1983-05-10
[24]
공고
부산체신청공고 제47호
1986-08-28
[25]
공고
부산체신청공고 제71호
1987-01-08
[26]
공고
진해우체국공고 제1994-1호
1994-01-20
[27]
공고
진해우체국공고 제1997-7호
1997-12-16
[28]
고시
정보통신부고시 제1999-75호
1999-09-13
[29]
고시
부산체신청고시 제2001-146호
http://gwanbo.mois.g[...]
2001-08-16
[30]
공고
진해우체국공고 제2002-1호
2002-11-21
[31]
고시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11-5호
http://gwanbo.mois.g[...]
2011-09-27
[32]
고시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13-20호
http://www.koreapost[...]
2013-12-20
[33]
고시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20-16호
https://gwanbo.mois.[...]
2020-10-20
[34]
고시
부산지방우정청고시 제2021-23호
https://gwanbo.go.kr[...]
2021-09-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