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천안 전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천안 전투는 1950년 7월 7일부터 8일까지 대한민국 천안에서 벌어진 한국 전쟁 초기 미군과 북한군의 교전이다.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한국군이 후퇴하고 유엔군이 참전하면서, 미 제24보병사단은 북한군의 남하를 지연시키는 임무를 맡았다. 윌리엄 F. 딘 소장의 지휘 아래, 미군은 평택 전투에서 패배한 후 천안에서 방어선을 구축하려 했으나, 북한군의 강력한 공격에 직면했다. 전투 결과, 미군은 천안에서 철수하고 금강 방어선으로 이동했으며, 제34보병연대 지휘관 로버트 R. 마틴 대령은 전사 후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다. 천안 전투는 북한군의 진격을 지연시키고, 대전 전투를 준비하는 데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천안시의 역사 - 부성동
    부성동은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부성1동과 부성2동으로 구성되며, 과거 공업 지역에서 주거 지역으로 변화하고 상업, 주거 지역과 택지 개발, 공단 등을 포함한다.
  • 천안시의 역사 - 송유진의 난
    송유진의 난은 1594년 임진왜란 이후 송유진이 주도하여 선조를 폐위하고 광해군을 옹립하려다 실패한 반란이다.
  • 1950년 전투 - 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은 1950년 9월 15일 한국 전쟁 중 유엔군이 인천에 상륙하여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고 전세를 역전시킨 작전으로, 맥아더 장군의 지휘 아래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지형적 어려움, 서울 진격 속도, 민간인 피해 등에 대한 논란도 있다.
  • 1950년 전투 - 대전 전투
    대전 전투는 한국 전쟁 초기 대전 일대에서 조선인민군과 미 제24보병사단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유엔군의 증원군이 부산 교두보를 구축할 시간을 벌기 위해 미군이 지연전을 펼쳤으나 북한군에 패배하여 대전이 점령당하고 미군은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하게 되었다.
  • 1950년 7월 - 1950년 FIFA 월드컵
    1950년 FIFA 월드컵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브라질에서 개최되었으며, 13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 후 최종 리그를 치르는 방식으로 진행, 우루과이가 브라질을 꺾고 우승하여 '마라카낭의 비극'을 낳았다.
  • 1950년 7월 - 대전 전투
    대전 전투는 한국 전쟁 초기 대전 일대에서 조선인민군과 미 제24보병사단 사이에 벌어진 전투로, 유엔군의 증원군이 부산 교두보를 구축할 시간을 벌기 위해 미군이 지연전을 펼쳤으나 북한군에 패배하여 대전이 점령당하고 미군은 낙동강 방어선을 구축하게 되었다.
천안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전투 개요
분쟁한국 전쟁
날짜1950년 7월 7일 – 7월 8일
장소충청남도 천안시
좌표36°48′36″N 127°08′51″E
결과조선인민군의 승리
교전 세력
유엔군
지휘관
유엔군윌리엄 F. 딘
로버트 R. 마틴
로버트 L. 웨들링턴
조선인민군리권무
병력 규모
유엔군2,000명
조선인민군12,000명
피해 규모
유엔군약 300명 사상 또는 실종 (98–109명 사망/실종) 및 60명 포로
조선인민군불명
참전 부대
유엔군미국 34 보병 연대
조선인민군조선인민군 4사단
제16 보병 연대
제18 보병 연대
조선인민군 105 기갑 사단
조선인민군 107 전차 연대
지도
평택-안성-천안까지의 전투 지도
34연대의 지연 작전 지도 (7월 5일 ~ 8일)

2. 배경

1950년 6월 25일, 조선인민군은 10개 사단 89,000명의 병력으로 대한민국을 기습 침공했다. 대한민국 육군은 장비와 전쟁 준비 부족으로 혼란에 빠졌고, 수적으로 우세한 북한군은 남쪽으로 빠르게 진격했다. 6월 28일, 북한군은 서울을 점령했고, 한국 정부와 군대는 남쪽으로 후퇴했다.[2][3][4]

스미스 특임대가 한국에 도착하다.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대한민국을 지원하기로 결정했고,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미군에 한국 파병을 명령했다.[5] 당시 극동 지역에서 가장 가까운 미군 부대는 일본 규슈에서 점령 임무를 수행하던 미국 제8군 소속 미국 제24보병사단이었다. 윌리엄 F. 딘 소장이 지휘하는 제24보병사단은 병력과 장비가 부족했지만, 북한군의 진격을 지연시키고 다른 미군 부대가 도착할 시간을 벌기 위해 한국으로 급파되었다.[5][6]

제24보병사단 예하 제21보병연대 제1대대는 오산 전투에서 북한군과 첫 교전을 벌였으나 패퇴했고(스미스 특임대),[8] 제34보병연대는 평택-안성 선에서 지연전을 펼쳤으나 북한군 전차를 막을 장비가 부족하여 큰 피해를 입고 천안으로 후퇴했다.[9][11]

2. 1. 한국 전쟁 발발

1950년 6월 25일 밤, 조선인민군 10개 사단이 남쪽 이웃 나라인 대한민국을 전면 침공했다. 89,000명의 병력은 6개 열로 이동했으며, 기습을 당한 대한민국 육군은 혼란에 빠졌고, 장비 부족과 전쟁 대비 부족으로 참패했다.[2] 수적으로 우세한 북한군은 전선에 배치된 38,000명의 한국군으로부터 고립된 저항을 분쇄하고 남쪽으로 꾸준히 진격했다.[3] 대부분의 한국군은 침공에 맞서 후퇴했으며, 6월 28일 북한군은 서울을 점령하여 정부와 붕괴된 병력이 남쪽으로 철수하도록 했다.[4]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붕괴하는 국가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지상군을 한국에 투입하라고 명령했다.[5] 그러나 극동 지역의 미군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5년간 꾸준히 감소하고 있었다. 당시 가장 가까운 병력은 일본 규슈에서 일본 점령 임무를 수행하던 미국 제8군 소속 미국 제24보병사단이었으며, 윌리엄 F. 딘 (미국 육군 소장)이 지휘했다. 그러나 사단은 병력 부족 상태였으며, 정규 전시 규모의 2/3 수준에 불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군사비 지출 감소로 인해 제24보병사단의 장비 대부분은 노후화되었다. 이러한 결점에도 불구하고 제24보병사단은 한국에 투입되었으며,[5] 나머지 제8군이 한국에 도착하여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도록 북한군의 초기 "충격"을 흡수하는 임무를 받았다.[6]

2. 2. 미국의 참전 결정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붕괴하는 대한민국을 지원하기로 결정했다. 이후 해리 S. 트루먼 미국 대통령은 미군에 한국 파병을 명령했다.[5]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극동 지역의 미군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었다. 당시 가장 가까운 병력은 일본 규슈에서 일본 점령 임무를 수행하고 있던 미국 제8군 소속의 미국 제24보병사단이었으며, 윌리엄 F. 딘(미국 육군 소장)이 지휘하고 있었다. 그러나 제24보병사단은 병력 부족 상태였으며, 정규 전시 규모의 2/3 수준에 불과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군사비 지출 감소로 인해 제24보병사단의 장비 대부분이 노후화되었다. 이러한 결점에도 불구하고 제24보병사단은 한국에 투입되었으며,[5] 나머지 제8군이 한국에 도착하여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도록 북한군의 초기 "충격"을 흡수하는 임무를 받았다.[6]

2. 3. 초기 전투

미국 제24보병사단은 조선인민군의 남하를 지연시키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제21보병연대 제1대대는 오산 전투에서 북한군과 첫 교전을 벌였으나 패퇴했다.(스미스 특임대)[8] 제34보병연대는 평택-안성 선에서 지연전을 펼쳤으나,[9] 북한군 전차를 막을 장비가 부족하여 큰 피해를 입고 천안으로 후퇴했다.[11] 특히 평택 전투에서 제1대대는 큰 피해를 보았다.[12][13][14]

3. 작전계획



딘 소장이 안성-평택 선에 방어선을 구축하려 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에 따라 러브리스 대령은 연대본부를 성환에 설치하고, 데이비드 H. 스미스 중령이 이끄는 제3대대를 안성으로 보내 장호원과 용인 쪽 도로를 방어하게 했다. 또한, L 중대를 성환에 예비로 배치하고, 4.2인치 중박격포를 전선의 양 대대에 분할 배속하였다. 제3대대는 I, K 중대로 안성 동북쪽과 서북쪽 도로를, 제1대대는 A, B 중대로 경부국도를 방어하게 되었다.

그러나 당시 통신 상태가 좋지 않아 연대장의 지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고, 전선의 대대들은 대대장의 독자적인 판단에 따라 행동해야 했다.

4. 전투 과정

윌리엄 F. 딘 소장은 스미스 부대를 오산 부근으로 투입할 당시 북한군의 전력을 과소평가했다. 그는 스미스 부대가 북한군을 저지하는 동안 제34연대를 안성-평택선에 전개하여 적의 남진을 막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7월 4일 오후, 제34연대 1대대가 대전에 도착하자, 딘 소장은 이 대대로 평택 부근에 진지를 구축하여 스미스 부대의 철수를 엄호하고 수용하는 임무를 맡겼다. 7월 5일 새벽, 제3대대와 연대본부가 도착하자 딘 소장은 연대장 제이 B. 러브리스 대령에게 다음과 같은 긴급 명령을 내렸다.

긴급명령



딘 소장이 안성-평택선에 방어선을 구축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이에 따라 러브리스 대령은 연대본부를 성환 읍내에 설치하고, 데이비드 H. 스미스 중령이 이끄는 제3대대를 안성으로 보내 장호원과 용인 쪽 도로를 방어하게 했다. 연대에 예비 병력이 없어 제3대대의 L 중대를 성환에 예비로 배치하고, 연대의 4.2인치 중박격포를 전선의 양 대대에 분할 배속했다.

제3대대는 I, K 두 개 중대로 안성의 동북쪽과 서북쪽 도로를 방어했고, 제1대대는 지휘소를 평택 북쪽 외곽 민가에 설치하고 C 중대를 예비로 확보한 가운데 A, B 양개 중대로 경부 국도 방어에 임했다. 그러나 당시 통신 상태가 좋지 않아 연대장의 지휘 조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고, 전선 대대는 대대장의 독자적인 판단에 따라 행동해야 했다.

7월 7일 저녁부터 7월 8일 오전까지 천안에서 벌어진 전투의 주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때 육군참모총장 윌턴 워커 중장과 함께 딘 소장이 전투를 관찰하기 위해 도시 남쪽에 도착했고, 제34연대의 마지막 병력이 천안을 떠났다. 딘 소장은 제34보병연대에 금강으로 후퇴하라고 명령했다. 제3대대 34보병연대는 175명으로 줄어 병력의 3분의 2(약 350명)를 잃었고, 박격포와 기관총을 포함한 장비 대부분을 손실했다.[26] 북한은 60명의 미군 포로를 잡았다고 보도했다. 연대는 늦은 오후에 퇴각을 시작했고, 북한군은 연대와 평행한 능선으로 이동했다.[29] 대부분의 대대는 도보와 트럭으로 이동하여 7월 9일 금강에 도착해 새로운 방어 위치를 구축했다.[28]

4. 1. 7월 7일

딘 소장은 제34보병연대에 1개 중대를 북상시켜 북한군과의 접촉을 유지하라는 명령을 내렸다.[25] 이에 따라 제34보병연대장 러브리스 대령은 L 중대와 정보 수색(I&R) 소대를 천안에서 성환 쪽으로 북상시켰다. 제3대대 주력은 L 중대의 뒤를 따랐고, 제1대대 일부는 천안 동북쪽 안성 도로를 방어했다.[26]

한편, 사단장은 로버트 R. 마틴 대령을 새 연대장으로 임명했다. 마틴 대령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서유럽 전선에서 용맹을 떨친 인물로, 딘 소장의 신임을 받았다.[24]

7월 7일 저녁, 북한군의 압박이 천안 서쪽에서 전개되었다. 밤 8시경, 북한군 전차와 보병 부대가 동쪽에서 천안으로 접근했다. 이들은 제63야전포병대대의 포격을 받았는데, 제63야전포병대대는 34보병연대를 지원하며 105mm 곡사포백린탄과 대전차 고폭탄(HEAT)을 발사했다. 제63야전포병대대는 전차 2대를 파괴했지만, 자정 무렵 북한군이 천안에 침투했다.[25] 제63야전포병대대는 밤새도록 백린탄을 발사하여 미군 부대의 지형을 밝히고 미군이 포위되는 것을 막았다.[11]

자정 이후, 북한군은 마틴을 포함한 80명의 병력을 나머지 미군 부대와 격리시켰고, 연대 행정 장교인 로버트 L. 와들링턴 중령이 지휘권을 잡고 딘에게 추가 탄약을 요청했다. 7월 8일 새벽 2시 20분까지 마틴이 시로 돌아왔고, 대전으로 가는 보급로가 다시 열렸다.[24][25]

4. 2. 7월 8일

7월 8일 천안을 중심으로 격렬한 전투가 벌어졌다.[25] 북한군은 T-34 전차를 앞세워 천안 읍내로 진입했다.[26][28] 미군은 읍내 진입로에 800여 발의 대전차 지뢰를 매설했지만, 북한군 전차는 이를 통과했다. 지뢰가 작동하지 않은 이유는 불명이다.[26]

시가전이 벌어졌고, 미군은 2.36인치 로켓포와 수류탄으로 전차 2대를 파괴했다.[25][26] 로티스 E. 히터(Loetis E. Heater) 일병은 수류탄 다섯 발로 전차 1대를 파괴하기도 했다.[26]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서유럽 전선에서 용맹을 떨쳤던 로버트 R. 마틴(Robert R. Martin) 대령은 직접 로켓포를 들고 전차와 싸우다 전사했다.[26][34] 마틴 대령의 로켓포는 구식 무기여서 T-34 전차의 장갑을 관통할 수 없었다.[28]

마틴 대령은 전사 직후 수훈 십자장 (Distinguished Service Cross)을 추서받았다.[26] 연대장이 전사하고 북한군의 증원으로 전황이 악화되자, 미군은 천안에서 철수했다.[26][28][29]

한편, 이날 아침 월턴 워커(Walker) 미 제8군사령관이 대전을 방문하여 소장에게 지원을 약속했다.[26]

5. 결과 및 영향

7월 12일 조치원 전투에서 미군 제21연대는 큰 피해를 입고 금강 남쪽 대평리로 철수하여 새로운 방어 진지를 구축했다.[34] 같은 날, 공주에 있던 제34연대도 금강 남쪽으로 철수하며 금강교를 폭파했다. 유구에서 북한군을 격퇴했던 박익균 중위의 기병 중대는 7월 14일 공주의 제34연대에 합류했다.

7월 12일 조치원 상실로 청주를 방어하던 한국군 수도사단도 철수하면서, 북한군은 금강선까지 진출하여 대전 공격을 준비하게 되었다.

천안 전투에서 미군 제34보병연대는 큰 피해를 입고 금강으로 후퇴했지만, 평택-천안 전투에서 북한군의 진격을 14~20시간 지연시켰다.[31] 이후 제34보병연대는 금강 방어선을 구축하고 대전 전투에 참여했으나 큰 피해를 입었다. 미군은 부산 교두보 (낙동강, 대구 남동쪽)를 구축하고 부산 교두보 전투에서 북한군을 격퇴했다.[33]

천안 전투에서 전사한 제34보병연대 지휘관 로버트 R. 마틴은 사후 수훈 십자 훈장을 받았는데, 이는 한국 전쟁 중 최초의 수훈 십자 훈장 수여였다.[34]

5. 1. 전사자

제공된 원본 소스에 천안 전투의 전사자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Battle of Cheonan - Martin Park - Cheonan, Korea http://www.waymarkin[...] 2016-01-24
[2] 서적 Alexander 2003, p. 1
[3] 서적 Alexander 2003, p. 2
[4] 서적 Varhola 2000, p. 2
[5] 서적 Varhola 2000, p. 3
[6] 서적 Catchpole 2001, p. 14
[7] 웹사이트 Task Force Smith Informational Paper https://web.archive.[...] United States Army Japan 2009-11-29
[8] 서적 Varhola 2000, p. 4
[9] 서적 Alexander 2003, p. 62
[10] 서적 Fehrenbach 2001, p. 74
[11] 서적 Catchpole 2001, p. 15
[12] 서적 Gugeler 2005, p. 16
[13] 서적 Alexander 2003, p. 66
[14] 서적 Fehrenbach 2001, p. 78
[15] 서적 Alexander 2003, p. 63
[16] 서적 Gugeler 2005, p. 12
[17] 서적 Appleman 1998, p. 81
[18] 서적 Appleman 1998, p. 82
[19] 서적 Appleman, p. 83
[20] 서적 Appleman 1998, p. 89
[21] 서적 Appleman 1998, p. 84
[22] 서적 Appleman 1998, p. 85
[23] 서적 Fehrenbach 2001, p. 79
[24] 서적 Fehrenbach 2001, p. 80
[25] 서적 Appleman, p. 86
[26] 서적 Alexander 2003, p. 67
[27] 서적 Gugeler 2005, p. 18
[28] 서적 Fehrenbach 2001, p. 81
[29] 서적 Appleman 1998, p. 88
[30] 서적 Gugeler 2005, p. 19
[31] 서적 Gugeler 2005, p. 20
[32] 서적 Appleman 1998, p. 90
[33] 서적 Fehrenbach 2001, p. 101
[34] 서적 Appleman 1998, p. 87
[35] 서적 한국전쟁사 용산 전쟁기념관, 국방부, 전쟁기념사업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