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성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성선은 천안역에서 장호원역을 잇던 사철로, 1925년 경기선으로 시작하여 1989년 전 구간이 폐지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자원 수탈을 위해 안성-장호원 구간이 폐지되었고, 해방 후 국유화되어 안성선으로 개칭되었다. 1985년 여객 영업 중지 이후 화물 영업까지 중단되면서 노선이 폐지되었다. 현재 경기도 평택시와 이천시를 잇는 평택-부발선 철도 건설이 추진 중이며, 2024년에는 안성선 복원 논의가 다시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4년 폐지된 철도 노선 - 묘켄노모리 케이블
일본 효고현의 묘켄노모리 케이블은 1925년 개통되어 묘켄산 정상까지 운행했으나, 여러 차례 운행 중단 및 재개를 거쳐 2023년 12월 1일 사업 종료와 함께 폐지된 총 연장 1,270m, 고저차 442m의 케이블카였다. - 1944년 폐지된 철도 노선 - 금강산선
금강산선은 금강산 관광객 수송을 목적으로 건설되어 철원과 내금강을 잇는 사유 철도 노선이었으나, 해방 후 분단과 한국 전쟁으로 파괴되어 현재는 일부 구간만 등록문화재로 남아 있다. - 192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경전선
경전선은 삼랑진역과 광주송정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간선철도로, 일제강점기 건설 노선들을 통합하여 1968년 현재 모습으로 개편되었으며, 복선 전철화 사업과 KTX, SRT 운행으로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하고, 구간별 개량 사업을 통해 지역 이동 시간 단축 및 개발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 1925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오후나토선
오후나토선은 이와테현의 이치노세키시와 오후나토시를 잇는 철도 노선으로, 동일본 대지진 피해와 이용객 감소로 일부 구간이 폐선 및 BRT로 대체되어 현재는 이치노세키역에서 모리역 구간만 운행 중이다.
안성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노선 정보 | |
노선명 | 안성선 |
한자 표기 | 安城線 |
로마자 표기 | Anseong seon |
현황 | 폐지 |
소재지 | 충청남도 천안시 경기도 이천시 |
종류 | 간선 철도 |
상태 | 폐선 |
기점 | 천안역 (충청남도 천안시) |
종점 | 장호원역 (경기도 이천시) |
역수 | 7 |
개통일 | 1925년 11월 1일(천안~안성) 1927년 4월 16일(안성~죽산) 1927년 9월 15일(죽산~장호원) |
폐지일 | 1944년 11월 1일(안성~장호원) 1989년 1월 1일(천안~안성)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
운영자 | 철도청 |
영업 거리 | 28.4 km |
궤간 | 1,435mm (표준궤) |
제원 비고 | 내용 |
노선도 | |
![]() |
2. 역사
안성선은 일제강점기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가 건설한 사설 철도로, 1919년 9월 30일 장항선(당시 충남선)과 함께 천안-안성 구간 부설 허가를 받아 착공되었다. 1924년 안성-여주 구간 부설 허가를 받았으며, 1925년 안성까지 28.4km 구간, 1927년 안성-장호원 구간이 개통되었다.
1944년 태평양 전쟁으로 안성-장호원 구간 레일이 철거되어 폐선되었고, 1946년 국유철도에 편입되었다. 해방 후 안성선 연장 계획(안성역-동화역 93km[2], 안성역-원주역 81.0km 경기북부선[3])이 있었으나 취소되었다.
1973년 제1차 석유파동으로 잠시 영업이 중단되었고[4], 1985년 여객영업 중지, 1989년 전 구간이 폐선되었다. 현재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천호지 인근 주차장이 옛 안성선 자리이며, 도로 노반, 선형, 시설물 흔적에서 확인할 수 있다.
2. 1. 일제강점기
1919년 9월 30일, 조선경남철도주식회사는 장항선(당시 명칭은 충남선)과 함께 천안-안성 간 부설 허가를 취득하였는데, 당시 초기 명칭은 '''경기선'''이었다.[2] 1925년 11월 1일, 천안-안성 간 구간이 개통되었으나, 신부역은 개통되지 않았다.[2]1927년 4월 16일에는 안성-죽산 간 구간이 개통되면서 안성읍내역, 마전역, 삼죽역, 용월역, 죽산역이 영업을 시작하였다.[2] 이어서 같은 해 9월 15일에는 죽산-장호원 간 구간이 개통되어 죽산읍내역, 매산역, 주천역, 행죽역, 대서역, 장호원역이 추가로 개통되었다.[2]
그러나 1944년 11월 1일, 태평양 전쟁의 여파로 인한 불요불급선 지정 및 선로공출 명령에 따라 안성-장호원 간 41.8 km 구간이 폐지되었다. 이로 인해 안성읍내역, 마전역, 삼죽역, 용월역, 죽산역, 죽산읍내역, 매산역, 주천역, 행죽역, 대서역, 장호원역 등 11개 역이 폐지되었다.[2]
2. 2. 해방 이후
1946년 5월 10일 국유철도에 편입되었다.[5] 1955년 9월 1일 노선명이 안성선으로 바뀌었다.[5] 1957년 7월 1일 고지역이 다시 영업을 시작했다.[6] 1966년 4월 25일에는 성거역이 새로 문을 열었다.[7] 1978년 10월 29일에는 신부임시승강장이 개업했다.1985년 4월 1일, 안성선 전 구간에서 여객 영업이 중지되었다.[8] 이후 1989년 1월 1일 선로가 철거되면서 완전히 폐선되었고, 신부역, 석교역, 성거역, 입장역, 고지역, 미양역, 안성역 7개 역이 폐지되었다.
2. 3. 노선 연장 시도와 무산
해방 이후 안성선 잔존 구간은 영업 성과가 점차 나빠졌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선 연장 계획이 등장했는데, 1965년 철도건설 7개년 계획에는 안성역에서 동화역을 잇는 93km 철도 노선[2]이 포함되었다. 이후 제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는 안성역에서 원주역까지 이어지는 81.0km의 경기북부선(京畿北部線)[3]이 구상되었으나, 이들은 결국 건설이 취소되었다.1973년 제1차 석유파동 여파로 일시적으로 영업이 중단되었으며,[4] 1977년 시각표에 따르면 하루 2왕복의 열차편이 전부였다. 결국 1985년 4월 1일 여객영업이 중지되었으며, 입장~안성 구간은 사용이 중지되었다. 그 후 1989년 1월 1일에는 남은 천안~입장 구간이 폐지되고, 전 구간의 선로가 철거되어 폐선되었다.
3. 노선 정보
안성선은 전 구간이 단선이었고, 전철화되지 않은 노선이었다.
항목 | 내용 |
---|---|
노선 거리 | 28.4km (장호원역까지 영업했을 당시 69.8km) |
운영 기관 | 대한민국 철도청 |
궤간 | 1435mm (표준궤) |
역 수 | 7 (장호원역까지 영업했을 당시 16) |
복선 구간 | 없음 |
전철화 구간 | 없음 |
4. 역 목록
천안역을 기점으로 장호원역까지 이어졌던 안성선은 1989년 1월 1일 천안-안성 구간이, 1944년 11월 1일 안성-장호원 구간이 각각 폐지되었다.[1]
4. 1. 1989년 폐선 당시 (천안-안성)
1989년 폐선 당시 안성선(천안-안성) 구간의 역 목록은 다음과 같다.[1]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현재 소재지 |
---|---|---|---|---|---|---|---|
천안 | Ch'ŏnan | 天安 | 0.0 | 0.0 | 경부선, 장항선 | 충청남도 천안시 | 충청남도 천안시 |
신부 | Shinbu | 新富 | 2.4 | 2.4 | 충청남도 천원군 | 충청남도 천안시 | |
석교 | Sŏkkyo | 石橋 | 4.6 | 7.0 | 충청남도 천원군 | 충청남도 천안시 | |
성거 | Sŏnggŏ | 聖居 | 2.7 | 9.7 | 충청남도 천원군 | 충청남도 천안시 | |
입장 | Ipchang | 笠場 | 4.4 | 14.1 | 충청남도 천원군 | 충청남도 천안시 | |
고지 | Koji | 古池 | 5.6 | 19.7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
미양 | Miyang | 薇陽 | 3.2 | 22.9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
안성 | Ansŏng | 安城 | 5.5 | 28.4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4. 2. 1944년 폐선 구간 (안성-장호원)
安城|안성|Ansŏng일본어 - 長湖院|장호원|Changhowŏn일본어 구간은 1944년 11월 1일에 휴지되었고, 이후 폐지되었다.[1] 이 구간의 역들은 다음과 같다.역명 | 영어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 거리 (km) | 영업 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현재 소재지 |
---|---|---|---|---|---|---|---|
안성 | Ansŏng | 安城 | 5.5 | 28.4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
안성읍내 | Ansŏngupnae | 安城邑內 | 1.2 | 29.6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
마전 | Majŏn | 麻田 | 6.8 | 36.4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
삼죽 | Samjuk | 三竹 | 5.3 | 41.7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
용월 | Yongwŏl | 龍月 | 2.9 | 44.6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
죽산 | Chuksan | 竹山 | 2.4 | 47.0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
죽산읍내 | Chuksanupnae | 竹山邑内 | 1.0 | 48.0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
매산 | Maesan | 梅山 | 3.2 | 51.2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
주천 | Chuchŏn | 注川 | 4.7 | 55.9 | 경기도 안성군 | 경기도 안성시 | |
행죽 | Haengjuk | 行竹 | 3.9 | 59.8 | 경기도 이천군 | 경기도 이천시 | |
대서 | Taesŏ | 大西 | 3.5 | 63.3 | 경기도 이천군 | 경기도 이천시 | |
장호원 | Changhowŏn | 長湖院 | 6.5 | 69.8 | 경기도 이천군 | 경기도 이천시 |
5. 미래
안성선은 폐선되었지만, 안성 지역을 통과하는 새로운 철도 노선 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5. 1. 평택-부발 철도 건설
평택-부발 구간 철도가 국토해양부의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어 2024년 기준 예비타당성 조사 마무리 단계이며, 안성선과는 무관하지만 서해바다에서 동해바다까지 연결될 전망이다. 예상 개통 시기는 2030년으로 되어있다.[9]5. 2. 안성선 복원 논의
2024년 10월 7일 철도청 신문에 안성선 복원 관련 기사가 실렸다.[9]참조
[1]
서적
鉄道停車場一覧. 昭和12年10月1日現在
1937
[2]
뉴스
18개 철도를 부설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65-06-01
[3]
서적
철도건설사
교진사
1969
[4]
뉴스
8개선 32개 여객·화물열차 폐지
https://www.joongang[...]
1973-11-14
[5]
간행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 고시 제432호
1955-08-30
[6]
간행물
1957년 6월 29일 대한민국관보 교통부고시제494호
1957-06-29
[7]
간행물
1966년 4월 19일 대한민국관보 철도청훈령제1331호
1966-04-19
[8]
뉴스
안성선 객차없애
https://www.mk.co.kr[...]
1985-03-16
[9]
웹사이트
https://www.redail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