촌마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촌마게는 일본 남성의 전통적인 머리 스타일로, 머리 정수리를 깎고 머리카락을 묶어 상투를 만드는 형태이다. 헤이안 시대에 기원하여, 사무라이 계급에서 시작되어 에도 시대에 이르러 모든 남성에게 필수적인 스타일이 되었다. 촌마게는 계급에 따라 스타일이 달랐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단발령으로 인해 점차 사라졌지만, 현재는 스모 선수와 가부키 배우들이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스모 선수들의 촌마게는 특별한 형태를 가지며, 은퇴식에서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머리 모양 - 장발
장발은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고 길게 기른 상태를 지칭하며, 생존에 유리한 기능과 건강 및 생식 잠재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의 역할, 그리고 권력, 부, 종교적 헌신 등 다양한 문화적 의미를 내포한다. - 머리 모양 - 삭발
삭발은 머리카락을 부분적 또는 완전히 제거하는 행위로, 종교적 의례, 사회적 지위, 형벌, 패션, 미용 등 다양한 목적과 의미를 지닌다. - 일본의 패션 - 세일러복
세일러복은 19세기 영국 해군 갑판복에서 유래하여 아동복, 여성 패션, 교복 등으로 유행했으며, 큰 칼라와 넥타이가 특징이고, 일본 대중문화에서 젊음과 여성 청소년을 상징하는 이미지로 사용된다. - 일본의 패션 - 비주얼계
비주얼계는 1980년대 일본 언더그라운드 음악 씬에서 시작되어 화려한 외모와 패션을 특징으로 하는 문화 현상으로, 1990년대 전성기를 거쳐 쇠퇴 후 현재까지 일본 대중문화의 일부로 남아 재평가되고 있다. - 에도 시대의 문화 - 니시키에
니시키에는 다색 목판화 기법으로 제작된 일본 우키요에 판화의 한 종류이며, 1765년경 하이카이 시인들의 모임에서 시작되어 기술이 발전했고, 아즈마니시키에라는 이름으로 대중화되었으나 점차 쇠퇴했다. - 에도 시대의 문화 - 요미혼
요미혼은 18세기 중국 백화소설의 영향을 받아 일본에서 등장한 소설 장르로, 고전적인 지식을 가진 지식인 계층에 의해 쓰였으며, 우에다 아키나리의 『우게쓰 이야기』, 다키자와 바킨의 『난소 사토미 팔견전』 등이 대표적인 작품이다.
촌마게 | |
---|---|
개요 | |
![]() | |
로마자 표기 | Chonmage |
종류 | 일본 전통 남성 헤어스타일 |
역사적 중요성 | 에도 시대 무사의 상징 사회적 지위의 표현 |
유래 및 역사 | |
어원 | "정수리"를 의미하는 속어 "Chon"에서 유래 "Mage"는 머리 묶음 또는 스타일을 의미 |
기원 | 원래는 머리카락을 기능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고안됨 전투 중 헬멧을 쓰기 쉽도록 함 |
에도 시대 | 사무라이 계급의 상징으로 발전 다양한 종류의 촌마게가 사회적 지위를 나타냄 |
스타일 | |
기본 형태 | 머리 윗부분을 면도하고 남은 머리카락을 묶어 올림 |
종류 | 다양한 스타일 존재 (예: 혼다마게, 미쓰오레) 스타일은 시대, 사회적 지위,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름 |
현대적 변화 | |
메이지 유신 이후 | 1871년 단발령으로 촌마게가 쇠퇴 사무라이 계급의 폐지와 함께 사라짐 |
스모 선수 | 현대에는 스모 선수들이 촌마게를 유지 스모 선수에게 촌마게는 전통과 지위의 상징 |
문화적 의미 | |
상징성 | 전통, 역사, 사회적 지위 남성성과 용기의 상징 |
현대 문화 | 일본 전통 문화의 아이콘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에서 자주 등장 |
참고 | |
관련 용어 | 단발령 (散髪脱刀令): 메이지 시대의 단발령 사무라이 (侍): 일본의 무사 계급 스모 (相撲): 일본의 전통 스포츠 |
2. 역사
촌마게일본어의 기원은 헤이안 시대(794–1185)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대 귀족들은 공식 의상의 일부로 특수한 모자 형태의 관을 착용했고, 관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머리카락을 머리 뒤쪽 근처에서 묶었다.
1580년대(전국 시대 말기, 1467–1615)부터 1630년대(에도 시대, 1603–1867) 초반까지 일본 남성의 머리 스타일에 대한 문화적 태도가 바뀌었다. 이전의 군사 시대에는 풍성한 머리카락과 수염이 남성다움의 징표로 여겨졌지만, 뒤이은 평화로운 시대에는 수염과 깎지 않은 정수리가 야만적이고 2세기 동안의 내전에 저항하는 것으로 점차 여겨지게 되었다.[1] 특히 임진왜란 (1592–1598) 당시, 일본은 조선인들에게 일본인과 같은 정체성을 강요하며 이 헤어스타일로 머리를 깎도록 강요했다. 이는 조선에 대한 문화적 침략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1]
깎은 정수리(사카야키일본어)는 에도 시대 초기에 사무라이 계급에게 요구되었으며, 1660년대에 이르러서는 평민이든 사무라이든 모든 남성이 수염을 기르는 것이 금지되었고 사카야키일본어는 필수 사항으로 간주되었다. 촌마게일본어("상투") 스타일은 착용자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달랐으며, 사무라이의 스타일이 장인이나 상인보다 더 두드러졌다.[2] 로닌, 즉 주군을 섬기지 않는 사무라이는 머리를 깎을 필요가 없었다. 이것은 그러한 사람들을 쉽게 식별하는 방법이 되었다.[1]
2. 1. 전국 시대와 에도 시대
촌마게일본어의 기원은 헤이안 시대(794–1185)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시대 귀족들은 공식 의상의 일부로 특수한 모자 형태의 관을 착용했고, 관을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해 머리카락을 머리 뒤쪽 근처에서 묶었다.
1580년대(전국 시대 말기, 1467–1615)부터 1630년대(에도 시대, 1603–1867) 초반까지 일본 남성의 머리 스타일에 대한 문화적 태도가 바뀌었다. 이전의 군사 시대에는 풍성한 머리카락과 수염이 남성다움의 징표로 여겨졌지만, 뒤이은 평화로운 시대에는 수염과 깎지 않은 정수리가 야만적이고 2세기 동안의 내전에 저항하는 것으로 점차 여겨지게 되었다.[1] 이러한 변화는 임진왜란 (1592–1598) 당시에도 강요되었는데, 일부 일본 지휘관들은 복종한 조선인들에게 일본인과 같은 정체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이 헤어스타일로 머리를 깎도록 강요했다.[1]
깎은 정수리()는 에도 시대 초기에 사무라이 계급에게 요구되었으며, 1660년대에 이르러서는 평민이든 사무라이든 모든 남성이 수염을 기르는 것이 금지되었고 는 필수 사항으로 간주되었다. ("상투") 스타일은 착용자의 사회적 지위에 따라 달랐으며, 사무라이의 스타일이 장인이나 상인보다 더 두드러졌다.[2] 로닌, 즉 주군을 섬기지 않는 사무라이는 머리를 깎을 필요가 없었다. 이것은 그러한 사람들을 쉽게 식별하는 방법이 되었다.[1]
2. 2. 메이지 유신과 근대화
메이지 유신 하에서 1853년 의 종료 이후, 봉건적이고 현대 시대에 부적합하다고 여겨진 사무라이 계급의 관행은 상류층 일본 남성의 외모를 '현대화'하기 위한 일련의 칙령을 가져왔다.[2] 1871년 9월 23일(메이지 4년 8월 9일)에 산발 탈도령(단발령)이 태정관 포고되어 사무라이 계급 남성은 머리를 짧게 잘라야 했으며,[3][4] 사실상 를 버렸다.[5]메이지 천황이 1873년에 단발을 하자, 전통적인 남자 촌마게를 하는 남성이 급감하고 서양식 머리나 자르지 않은 머리가 유행했다.[15] 속요에서는 "촌마게 머리를 두드려보면, 구습타파의 소리가 난다", "총발 머리를 두드려보면, 왕정복고의 소리가 난다", "자르지 않은 머리를 두드려보면, 문명개화의 소리가 난다"라고 노래했다.[16]
야마카와 기쿠에는 저서 『무가의 여성』에서 외할아버지 아오야마 노부히사가 유신 전 촌마게를 하는 것에 매우 고생했지만, 유신 후 매일 촌마게를 하는 것으로부터 해방된 에피소드를 언급하고 있다.[10] 한편, 촌마게에 대한 애착과 긍지에서 산발에 소극적인 사람도 있었다.[10][17][18] 검술가 사카키바라 겐키치, 사쓰마 번 마지막 번주였던 시마즈 타다요시는 평생 촌마게를 자르지 않았다고 전해진다.[19]
3. 특징
머리 정수리를 깎는 노정(露頂) 풍습은 무로마치 말기 이후로 퍼졌다.[14] 성인이 사카야키(月代)를 깎는 무가의 풍습은 오다-도요토미 시대부터 에도 초기에 걸쳐 일반 서민에게도 퍼졌지만, 촌마게(丁髷)를 묶는 방식은 시대에 따라 크게 달랐다.[14]
성인 남성의 촌마게는 크게 나누어 묶은 머리카락을 모토유이(元結)로 감아 끝을 내는 다선마게와 모토유이의 끝을 반으로 접은 묶음이 있었다.[14] 성년 전의 남자는 앞머리를 남기고 가운데를 깎는 와카슈마게(若衆髷)를 하고, 성년 후에 앞머리를 깎아 없앴다.[14]
4. 스모와 촌마게
현대 일본에서 촌마게를 하는 유일한 사람들은 스모 선수와 가부키 배우들이다.[6] 현대 시대의 이 독특한 헤어스타일 때문에, 일본 스모 협회는 스모 선수들의 머리를 자르고 손질하는 도코야마/토코야마일본어라고 불리는 전문 이발사를 고용하고 있다.
스모 스타일의 존마게/촌마게일본어는 정수리 부분을 더 이상 깎지 않는다는 점에서 약간 다르다. 그러나 이 부분의 머리카락을 솎아내거나, 상투가 더 깔끔하게 자리 잡도록 하기 위해 머리 꼭대기를 깎는 나카조리/나카조리일본어를 할 수 있다.[7] 이는 약 3개월에 한 번씩 시행된다.[7]
모든 프로 스모 선수들은 머리카락이 충분히 길어지면 바로 존마게/촌마게일본어를 한다. 세키토리/세키토리일본어 계급의 스모 선수들은 혼바쇼/혼바쇼일본어 기간과 같은 특정 상황에서 상투 끝을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 은행나무 잎을 닮은 오이초/오이초일본어라고 불리는 더 정교한 형태의 상투를 할 의무가 있다.[8][9]
존마게/촌마게일본어는 스모에서 매우 상징적인 중요성을 지니고 있어서, 이를 잘라내는 것이 선수의 은퇴식의 핵심이다. 선수의 삶에서 중요한 인사들과 다른 중요 인물들이 가위질을 한 번씩 하고, 마지막 가위질은 그의 스승이 한다. 대부분의 세키토리/세키토리일본어 계급에 도달하지 못한 선수들의 경우, 은퇴식이 더 정교한 오이초마게/오이초마게일본어를 하는 유일한 기회가 될 것이다.
5. 대중문화 속 촌마게
만화나 캐릭터 상품에서 "촌마게"라고 칭하는 것은 간략화된 것이 있다. 전생했더니 슬라임이었던 건에 대하여의 코코브는 "촌마게 짱"이라는 통칭이 있다.[20] 키테레츠 대백과의 코로스케[21], 나고야시에서 주로 활동하는 지역 캐릭터 하치마루[22] 등이 그 예시이다.
참조
[1]
서적
Engaging the Other: 'Japan' and Its Alter-Egos, 1550-1850
https://books.google[...]
BRILL
2019
[2]
서적
Samurai: An Encyclopedia of Japan's Cultured Warrior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9
[3]
간행물
Lessons of The Last Samurai
https://www.asianstu[...]
2004
[4]
서적
Governance in the Asia-Pacific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8
[5]
서적
Kanban: Traditional Shop Signs of Japa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7-05-09
[6]
뉴스
The few good men who prop up sumo's topknot a dying breed
https://www.asahi.co[...]
2023-04-09
[7]
Youtube
THE REAL SECRET OF RIKISHI'S TOPKNOT
https://www.youtube.[...]
Sumo Prime Time
2023-04-09
[8]
뉴스
Sumo 101: The Topknot
https://www.japantim[...]
2023-04-09
[9]
Youtube
The Hairdresser to Japan's Sumo Wrestling Elite
https://www.youtube.[...]
Great Big Story
2023-04-09
[10]
간행물
明治時代の生活に学ぶ 第1回 "ちょんまげ"から"ざんぎり"へ
https://warp.da.ndl.[...]
独立行政法人 国民生活センター
2022-03-16
[11]
웹사이트
ちょんまげ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05-08
[12]
웹사이트
丁髷(ちょんまげ)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3-11-10
[13]
웹사이트
相撲髷(すもうまげ)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4-09
[14]
보고서
衣服から見る日本
https://ir.lib.hiros[...]
広島大学
2022-03-16
[15]
웹사이트
明治5年頃の日本人男性の髪型は、ザンギリ頭とちょん髷(まげ)のどちらが多かったか。(2006年)
https://www.edo-toky[...]
2023-07-24
[16]
웹사이트
文明開化でなにが強制されたのか?
https://diamond.jp/a[...]
2023-11-10
[17]
인용구
吾輩は猫である
[18]
웹사이트
歴史を動かす行動理論
https://www.jecc-net[...]
2023-11-10
[19]
웹사이트
島津忠義公銅像(鹿児島市) {{!}} 明治維新と鹿児島みて歩き
https://kagoshima-me[...]
2024-01-27
[20]
웹사이트
TVアニメ『転生したらスライムだった件 転スラ日記』に、ココブ役で出演させていただきました。
https://twitter.com/[...]
2024-01-27
[21]
웹사이트
キテレツ瓦版 号外
https://www.shogakuk[...]
小学館
2024-01-27
[22]
웹사이트
はち丸とは? 意味や使い方
https://kotobank.jp/[...]
2024-0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