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를 이끄는 직책이다. 1948년 헌법 제정으로 신설되어, 초기에는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했다. 1972년 헌법 개정으로 주석이 신설되면서 국가 대표 권한을 상실하고 최고인민회의 의장을 겸임하며 입법 활동에 전념했다. 1998년 헌법 개정으로 국가 원수 권한이 다시 부여되었으나, 2019년 헌법 개정으로 국무위원회 위원장이 국가 원수가 되면서 권한이 이관되었다. 2022년 국무위원회 위원장이 영어 명칭으로 불리면서, 이전 명칭으로 환원되었다. 초대 위원장은 김두봉이며, 역대 위원장으로는 최용건, 황장엽, 양형섭, 김영남, 최룡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 최룡해
    최룡해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 국무위원회 제1부위원장,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정치경제학을 전공하고 김일성사회주의청년동맹에서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 김영남 (1928년)
    김영남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며 헌법상 국가 수반 역할을 수행했고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에 걸쳐 핵심 요직을 두루 거치며 외교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직위 정보
직위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소속 기관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임명자최고인민회의
임기최고인민회의 임기와 동일
설립일1948년 9월 8일
초대김두봉
유형의장
구성 문서조선민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부관부위원장
서기장
현직 정보
현직최룡해
취임일2019년 4월 11일
상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기
관련 정보
관련 부서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기타
로마자 표기Choego inmin hoeui sangim wiwonhoe wiwonjang

2. 역사

1948년 헌법 제정을 통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가 설치되었다. 초기 헌법에서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외교 관련 권한을 행사하며 사실상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했다. 1972년 헌법 개정으로 주석직이 신설되면서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국가 대표 권한을 상실하고 입법 활동에 전념하게 되었다. 1998년 헌법 개정으로 상임위원회 위원장에게 국가 원수 권한이 다시 부여되었으나, 2019년 개정으로 국무위원회 위원장이 국가 원수가 되었다. 2022년 2월, 국무위원회 위원장은 영어로 '국무위원장'으로 불리기 시작하면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이전 명칭으로 환원되었다.

역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초상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김두봉
1948년 9월 8일1957년 9월 20일
2·3·4최용건--1957년 9월 20일1972년 12월 28일1962년 재선
1967년 3선
5·6황장엽
1972년 12월 28일1982년 4월 7일1977년 재선
7·8·9양형섭1982년 4월 7일1998년 9월 5일1986년 재선
1990년 3선
10·11·12·13김영남
1998년 9월 5일2019년 4월 11일2003년 재선
2009년 3선
2014년 4선
14최룡해
2019년 4월 11일현재


2. 1. 1948년 헌법 제정

1948년 헌법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직책을 만들었다.[4]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외국과의 조약 비준 또는 무효화, 외국 주재 대사 임명 또는 소환, 외국 외교 대표의 신임장 또는 소환장 접수 권한을 가졌다.[5] 이로 인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명목상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원수가 되었다. 명목상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최고 국가 직책을 맡았고, 그 다음은 국무총리 김일성이었다.

2. 2. 1972년 헌법 개정

1972년 헌법은 주석 직책을 신설하여 국가 원수 역할을 부여했다.[6] 이에 따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국가 대표 권한을 상실하고, 최고인민회의 의장을 겸임하며 입법 활동에만 집중하게 되었다.[7]

2. 3. 1998년 헌법 개정

1998년 헌법 개정으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에게 국가 원수로서의 권한이 부활되었다.[7] 그러나 2019년 4월 헌법 개정으로 국무위원회 위원장이 국가 원수로 지정되었고, 같은 해 8월 국가 원수의 권한이 국무위원회 위원장에게 이관되었다.

2. 4. 2019년 헌법 개정

1972년 헌법의 2019년 4월 개정으로 국무위원회 위원장이 국가 원수로 지정되었으며, 같은 해 8월 국가 원수의 권한이 국무위원회 위원장에게 이관되었다.[7]

3. 역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대수이름초상임기 시작임기 종료비고
1김두봉1948년 9월 8일1957년 9월 20일
2·3·4최용건--1957년 9월 20일1972년 12월 28일1962년 재선
1967년 3선
5·6황장엽1972년 12월 28일1983년 4월 7일1977년 재선
7·8·9양형섭1983년 4월 7일1998년 9월 5일1986년 재선
1990년 3선
10·11·12·13김영남1998년 9월 5일2019년 4월 11일2003년 재선
2009년 3선
2014년 4선
14최룡해2019년 4월 11일현재


3. 1. 제1대 김두봉 (1948년 9월 8일 ~ 1957년 9월 20일)



'''김두봉'''(金枓奉, 1889년 ~ 1958년)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초기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1948년 9월 8일부터 1957년 9월 20일까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1949년까지는 조선로동당 (1949년까지) 소속이었고, 1949년부터는 조선로동당 소속으로 활동했다.[1] 제1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이었다.[1]

3. 2. 제2,3,4대 최용건 (1957년 9월 20일 ~ 1972년 12월 28일)

최용건(1900–1976)은 조선로동당 소속으로 2대, 3대, 4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57년 9월 20일부터 1972년 12월 28일까지 재임하였다.[1]

번호사진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소속 정당최고인민회의
2--최용건
1957년 9월 20일1972년 12월 28일조선로동당2대
3대
4대


3. 3. 제5,6대 황장엽 (1972년 12월 28일 ~ 1983년 4월 7일)

'''황장엽'''(黃長燁, 1923년 ~ 2010년)은 1972년 12월 28일부터 1983년 4월 7일까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한 정치인이다. 조선로동당 소속으로, 제5대 및 제6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황장엽은 주석직 신설 이후 상임위원회 위원장으로서 입법 활동을 주도했으며, 대한민국으로 망명한 이후에는 북한 민주화 운동에 헌신했다.[3]

3. 4. 제7,8,9대 양형섭 (1983년 4월 7일 ~ 1998년 9월 5일)

양형섭은 1983년 4월 7일부터 1998년 9월 5일까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1986년과 1990년에 재선되어 7, 8, 9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지냈다. 양형섭은 조선로동당 소속이었다.[4]

번호이름임기 시작임기 종료소속 정당최고인민회의
4양형섭
(1925–2022)
1983년 4월 7일1998년 9월 5일조선로동당


3. 5. 제10,11,12,13대 김영남 (1998년 9월 5일 ~ 2019년 4월 11일)



김영남은 1998년 9월 5일부터 2019년 4월 11일까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조선로동당 소속으로, 10대, 11대, 12대, 13대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 20년 이상 상임위원회 위원장직을 수행하면서 북한의 외교 활동을 대표했다.

3. 6. 제14대 최룡해 (2019년 4월 11일 ~ 현재)

최룡해


최룡해는 1950년에 출생하였으며, 제14대 최고인민회의에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조선로동당 소속으로, 2019년 4월 11일부터 현재까지 재임 중이다.

4. 역대 최고인민회의 의장

이름초상임기비고
1허헌
141x141픽셀
1948년 9월 ~ 1951년 8월
4백남운
섬네일
1967년 11월 25일 ~ 1972년
5, 6, 7한덕수1972년 ~ 1986년
10, 11, 12, 13최태복1998년 9월 5일 ~ 2019년 4월 11일
14박태성
158x158픽셀
2019년 4월 11일 ~ 현재


4. 1. 제1기 허헌 (1948년 9월 ~ 1951년 8월)



허헌1948년 9월부터 1951년 8월까지 제1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4. 2. 제4기 백남운 (1967년 11월 25일 ~ 1972년)

백남운1967년 11월 25일부터 1972년까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였다.

4. 3. 제5,6,7기 한덕수 (1972년 ~ 1986년)

한덕수1972년부터 1986년까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인민회의 제5, 6, 7기 상임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임기
5, 6, 7기1972년 ~ 1986년


4. 4. 제10,11,12,13기 최태복 (1998년 9월 5일 ~ 2019년 4월 11일)

1998년 9월 5일부터 2019년 4월 11일까지 최태복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직을 맡았다. 최태복은 제10기, 제11기, 제12기, 제13기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을 지냈다.

4. 5. 제14기 박태성 (2019년 4월 11일 ~ 현재)



2019년 4월 11일부터 현재까지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박태성이다.

이름임기
14박태성2019년 4월 11일 ~ 현재


참조

[1] 문서 Socialist Constitu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rticle 113
[2] 문서 Socialist Constitu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rticle 117
[3] 웹사이트 In full: promotions and demotions at North Korea's 14th SPA https://www.nknews.o[...] Korea Risk Group 2019-04-12
[4] 문서 Constitu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948), Article 48
[5] 문서 Constitu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948), Article 49
[6] 문서 Socialist Constitu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972), Article 89
[7] 문서 Socialist Constitution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972), Articles 86 and 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