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용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용제는 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로, 포수였다. 2014년 두산 베어스에 육성 선수로 입단하여 2016년 정식 선수로 승격되었으며, 2022년 은퇴를 발표했다. 2017년 상무 야구단에 입단하여 군 복무를 마쳤으며, 2024년부터 강릉고등학교 야구부의 배터리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통산 4시즌 동안 타율 0.280, 44안타, 25타점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도곡초등학교 동문 - 류택현
류택현은 전 야구 선수이자 야구 코치이며, 투수로서 1994년 OB 베어스에 입단하여 LG 트윈스에서 활동하며 통산 100홀드를 달성했고, 2007년 홀드왕을 차지했으며, 현재는 SSG 랜더스 코치로 활동한다. - 서울도곡초등학교 동문 - 스테파니 (대한민국의 가수)
스테파니는 SM 엔터테인먼트 소속 그룹 천상지희 더 그레이스 멤버로 활동했던 대한민국의 가수로, 부상 후 LA 발레단 활동을 거쳐 솔로 가수로 데뷔, 음반 발매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이수중학교 동문 - 슈카월드
슈카월드는 333만 명 이상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브 채널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출신이자 연세대학교 금융공학 석사인 슈카가 경제 및 시사 분야 콘텐츠를 제작하며, 다수의 방송 프로그램 출연으로 대중적 인지도를 쌓았다. - 이수중학교 동문 - 김명성 (1988년)
김명성(1988년)은 중앙대학교 야구 선수로 국가대표로도 활약하며 아시안 게임 금메달로 병역 혜택을 받았으나, 롯데 자이언츠에 입단 후 두산 베어스로 트레이드, 방출되며 프로 통산 52경기 1승 1패, 평균자책점 6.18을 기록한 전 야구 선수이다. - 광주진흥고등학교 동문 - 이한열
이한열은 1987년 6월 항쟁을 격화시킨 연세대생 민주화 운동가로, 시위 중 최루탄에 맞아 사망하여 민주국민장으로 장례가 치러졌고 연세대학교 명예 학사 학위가 추서되었으며 기념관이 건립되었다. - 광주진흥고등학교 동문 - 김상진 (1977년)
해태 타이거즈의 전 야구 선수 김상진은 1997년 한국시리즈에서 최연소 완투승을 기록하며 팀 우승에 기여했지만, 위암으로 투병 중 1999년에 2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최용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선수 정보 | |
본명 | 최용제 |
영어 표기 | Choi Yong-Je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
신장 | 182 |
체중 | 90 |
利き腕 | 오른쪽 |
타석 | 오른쪽 |
수비 위치 | 포수, 1루수 |
프로 입단 연도 | 2014년 |
드래프트 순위 | 지명 없음 (육성 선수 입단) |
첫 출장 | KBO / 2016년 5월 13일 고척 대 넥센전 |
마지막 경기 | KBO / 2022년 6월 12일 잠실 대 LG전 대타 |
연봉 | 6500만 원 (2022년) |
선수 경력 | |
코치 경력 | |
한국 인물 정보 | |
한글 | 최용제 |
한자 | 崔容薺 |
가타카나 | さい・ようさい |
히라가나 | さい・ようさい |
로마자 표기 | Choi Yong-Je |
2. 선수 시절
2014년 두산 베어스에 육성 선수로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16년 정식 선수로 전환되어 1군 무대에 데뷔했으나, 초기에는 많은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시즌 종료 후 군 복무를 위해 상무 야구단에 입대하여 2017년부터 2018년 9월까지 복무했다.
제대 후 두산 베어스로 복귀하여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 2019년에는 1군 출전 기록이 없었으나, 2020년부터 백업 포수 및 대타로 기용되며 점차 출전 기회를 늘려갔다. 특히 2020년 8월에는 데뷔 첫 끝내기 안타를 기록하는 등 인상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1] 2021년에는 주로 대타로 활약하며 79경기에 출전했다.
하지만 2022년에는 1군 경기에 나서지 못했고, 시즌 종료 후 팀에서 방출 통보를 받았다.[2] 이후 2022년 12월 31일 현역 은퇴를 선언하며 선수 생활을 마감했다.
2. 1. 두산 베어스 시절
2014년 두산 베어스에 육성 선수로 입단했다. 같은 해와 2015년에는 1군 경기에 출장하지 못하고 2군에서 활동했다.2016년 시즌 전에 정식 선수로 전환되었고, 같은 해 5월 13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더스틴 니퍼트와 선발 배터리를 이루며 1군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3타수 1안타, 1볼넷을 기록하며 데뷔 첫 안타를 신고했고, 다음 날 같은 팀과의 경기에서는 첫 타점을 기록했다. 그러나 6일 후, 백업 포수 박세혁이 1군에 복귀하면서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2016년 시즌에는 총 4경기에 출장했다.
시즌 종료 후 군 복무를 위해 상무에 입대했다. 2018년 9월 11일 제대하여 팀에 복귀했다.
2019년에는 박세혁이 주전 포수로 자리 잡고 이흥련이 백업 역할을 맡으면서 1군 출전 기회를 얻지 못했다. 하지만 2020년 이흥련이 이승진과의 트레이드로 팀을 떠나면서 출전 기회가 늘어났다. 8월 12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는 9번 타자 겸 포수로 선발 출전하여 1151일 만에 선발 마스크를 썼고, 데뷔 첫 맹타상(3안타 이상)을 기록했다. 또한 8월 21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도 9번 타자 겸 포수로 선발 출전하여, 9회말 2사 만루 상황에서 롯데의 신인 투수 최준용을 상대로 데뷔 첫 끝내기 안타를 쳐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1]. 2020년 시즌에는 28경기에 출장했다.
2021년에는 주로 우타 대타 요원으로 기용되며 출전 기회가 더욱 증가했다. 79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2할 7푼대, 29안타, 15타점을 기록했다.
2022년에는 1군 경기에 출장하지 못했고, 시즌 후 윤수호 등과 함께 전력 외 선수로 분류되어[2], 같은 해 12월 31일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
2. 2. 상무 야구단 시절
2017년에 상무 야구단에 입단하여 군 복무를 시작했다. 2018년 9월 11일 제대하여 팀에 복귀했다.2. 3. 두산 베어스 복귀
2018년 9월 11일 상무에서 제대하여 팀에 복귀했다.2019년에는 박세혁이 주전 포수로 자리 잡고 백업 포수 역할도 이흥련이 맡게 되면서 1군 경기에 출전하지 못했다. 그러나 2020년에 이흥련이 이승진과의 트레이드로 팀을 떠나면서 출전 기회가 늘어났다. 2020년 8월 2일 NC전에서는 센스 있는 주루 플레이로 결승 득점을 올리기도 했다. 8월 12일 삼성 라이온즈전에서는 "9번·포수"로 1151일 만에 선발 출장하여 데뷔 첫 맹타상을 기록했으며, 8월 21일 롯데 자이언츠전에서도 "9번·포수"로 선발 출장하여 9회말 2사 만루 상황에서 롯데의 신인 최준용을 상대로 데뷔 첫 끝내기 안타를 쳐내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다[1]. 같은 해 28경기에 출장했다.
2021년에는 우타 대타 요원으로 출장 기회가 더 증가했다. 79경기에 출장하여 타율 2할 7푼대, 29안타, 15타점의 기록을 남겼다.
2022년 시즌에는 1군 출장이 없었고, 시즌 종료 후 윤수호 등과 함께 전력 외 선수로 분류되어 방출 통보를 받았다[2]. 이후 12월 31일 은퇴를 발표했다.
3. 야구선수 은퇴 후
(내용 없음)
3. 1. 코치 경력
2024년부터 강릉고등학교 야구부의 배터리코치로 활동한다.4. 플레이 스타일
리더십과 경기 운영 능력은 장점으로 평가받지만, 포수로서의 기술적인 부분은 약점으로 지적된다.
4. 1. 장점
리더십과 경기 운영 능력을 높게 평가받는다.4. 2. 단점
포수로서의 기술적인 부분이 약점으로 지적받는다. 파울 플라이를 잡지 못하거나, 주자가 홈으로 들어올 때 베이스 커버를 놓치는 모습도 보였다.5. 출신 학교
6. 통산 기록
wikitext
연도 | 팀명 | 타율 | 경기 | 타수 | 득점 | 안타 | 2루타 | 3루타 | 홈런 | 루타 | 타점 | 도루 | 도실 | 볼넷 | 사구 | 삼진 | 병살 | 실책 |
---|---|---|---|---|---|---|---|---|---|---|---|---|---|---|---|---|---|---|
2016 | 두산 | 0.222 | 4 | 9 | 0 | 2 | 0 | 0 | 0 | 2 | 1 | 0 | 0 | 1 | 0 | 2 | 1 | 0 |
2020 | 0.295 | 28 | 44 | 9 | 13 | 0 | 1 | 0 | 15 | 9 | 0 | 0 | 4 | 0 | 8 | 2 | 3 | |
2021 | 0.279 | 79 | 104 | 7 | 29 | 3 | 0 | 0 | 32 | 15 | 0 | 0 | 11 | 2 | 21 | 0 | 4 | |
2022 | - | 1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1 | 0 | 0 | 0 | |
통산 | 4시즌 | 0.280 | 112 | 157 | 16 | 44 | 3 | 1 | 0 | 49 | 25 | 0 | 0 | 16 | 3 | 31 | 3 | 7 |
7. 등번호
wikitext
등번호 | 사용 기간 |
---|---|
103 | 2014년 ~ 2015년 |
2 | 2016년 |
57 | 2018년 |
12 | 2019년 ~ 2022년 |
참조
[1]
웹사이트
최용제, 경기를 끝내는 짜릿한 안타 / 9회말
https://m.sports.nav[...]
2022-04-02
[2]
웹사이트
https://mobile.news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