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최재형 (독립운동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최재형은 1858년 함경도에서 태어나, 러시아 연해주로 이주하여 무역을 통해 부를 축적한 독립운동가이다. 그는 한인들의 교육과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고, 동의회 조직 및 안중근 의사의 이토 히로부미 저격을 지원하는 등 항일 무장 투쟁에 헌신했다. 1920년 일본군에 체포되어 총살당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한혁명당 당원 - 박은식
    박은식은 언론인, 역사학자, 정치인으로서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주필을 지내며 계몽운동을 전개하고, 국외 망명 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여 국무총리와 제2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며,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등을 저술하여 한국 독립운동의 역사와 정당성을 알린 독립운동가이다.
  • 신한혁명당 당원 - 이상설
    이상설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로, 성균관 교수와 탁지부 재무관을 역임하며 헤이그 특사로 파견되어 독립을 호소하고,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러시아에서 사망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대 해군 장교 - 신성모
    신성모는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군인으로, 임시정부 군사위원, 국방부 장관, 국무총리 서리 등을 역임했으며, 블라디보스토크 망명 후 독립운동, 중국 해군 복무, 광복군 활동, 해방 후 대한청년단, 내무부 및 국방부 장관 등을 지냈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대 해군 장교 - 정긍모
    일제강점기 해기사 출신으로 해군 창설에 기여한 정긍모(1914년 ~ 1980년)는 해군 교육사령관, 진해통제부 사령관, 해군참모총장을 역임한 군인이자, 중장 예편 후 제5대 참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 권업회 - 이상설
    이상설은 대한제국 시기의 독립운동가로, 성균관 교수와 탁지부 재무관을 역임하며 헤이그 특사로 파견되어 독립을 호소하고, 국외에서 독립운동을 전개하다 러시아에서 사망했다.
  • 권업회 - 홍범도
    홍범도는 1868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로 활동하며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에서 승리하고 소련으로 강제 이주되어 사망, 2021년 유해가 대한민국으로 봉환되었다.
최재형 (독립운동가) - [인물]에 관한 문서
정보
원래 이름崔在亨
러시아어 이름Цой Пётр Семёнович
다른 이름최재형(崔在衡), 최도헌(崔都憲)
러시아식 이름초이 표트르 세묘노비치(Цой Пётр Семёнович)
본관회령(會寧)
국가러시아 제국 프리모르스키 변경주
소속 정당무소속
관직 (러시아 제국)
직책나데즈딘스키 군서기
임기 시작1894년 1월 20일
임기 종료1896년 8월 15일
군주알렉산드르 3세 군주, 니콜라이 2세 군주
관직 (대한민국 임시정부)
직책재무총장
임기 시작1919년 4월 10일
임기 종료1919년 9월 11일
대통령이승만 대통령 겸 국무총리
총리이승만 대통령 겸 국무총리, 이동녕 총리 임시서리, 이동녕 국무총리, 안창호 총리 임시서리
차관이춘숙 재무차장, 윤현진 재무차장
개인 정보
출생일1858년 8월 15일
출생지조선 함경도 경원
사망일1920년 4월 7일
사망지러시아 SFSR 프리모르스키 지방
군 복무1892년 러시아 제국 해군 소좌 전역
서훈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
부모최흥백(부)
형제이복 형 1명
경력
주요 활동신한독립단 단장, 한족민회(韓族民會) 회장
웹사이트두산백과 최재형

2. 생애

최재형은 함경북도 경원 출생으로[1], 가난한 집안 환경에도 불구하고 9세에 부모와 함께 시베리아로 이주하여 여러 사업을 통해 재산을 모았다. 특히 러시아군을 상대로 한 군수 사업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학교 건설, 장학금 지급, 군자금 제공 등을 통해 대한제국의 한일 병합에 반대하며 연해주로 이주한 동포와 무장 의병을 지원했으며, 독립운동 단체 "동의회"를 조직했다.[1] 대한국민의회 외교부장과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재무총장에 임명되었고[1], 안중근이 그의 집에서 사격술을 연마하며 지원을 받았다. 1919년에는 의병 조직 "독립단"을 조직했다.

1920년 3월 니콜라예프스크 사건 이후, 일본군블라디보스토크에 상륙하여 보복으로 한민학교와 한민회관, 민가에 방화하고 조선인 주민을 학살하자, 의병을 이끌고 시가전을 벌이다 사살되었다.[1] 1962년, 대한민국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1]

2. 1. 어린 시절과 러시아 이주

최재형은 1858년 8월 15일 함경도 경원에서 아버지 최홍백(소작농이었다)[4]과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집안은 가난했지만[1], 1869년 아버지 손에 이끌려 가족과 함께 러시아 지신허(Tizinkhe)로 이주하였다.[4]

2. 2. 자수성가와 한인 사회 지원

러시아 선장 부부의 도움으로 상선을 타고 세계를 돌며 무역을 배워 부와 지식을 쌓았다.[1] 17세에 블라디보스토크로 돌아와 군수업으로 1년 수입 10만달러 (한화 1억 원)의 막대한 부를 쌓았다.[1] 특히, 조선인들을 직원으로 고용하여 절대빈곤에 시달리던 조선인들이 자력으로 돈을 벌 수 있게 하였다.[1]

연해주 연추에서 활동한 최재형은 조선인들의 경제적 자립에 기여한 덕분에 연추의 조선인 사회에서 도헌(都憲, 군수 비슷한 공직)에 선출되는 등 러시아 사회에서 높은 지위를 얻었다.[1] 또한, 한인들의 교육에도 힘을 쏟아 한인 마을에 32개의 정교회 학교를 설립하였다.[1] 조선인들은 최재형을 페치카(따뜻한 난로)라고 불렀다.[1]

최재형은 유창한 러시아어를 구사하여, 언어 장벽을 빌미로 조선인 노동자들의 권익을 갈취하던 통역사들의 횡포를 막고, 조선인 노동자들의 부당한 대우를 시정해주었다. 또한, 한인 인부들을 이끌고 도로 공사를 성공적으로 마쳐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로부터 은급 훈장을 받기도 했다.[1]

2. 3. 항일 무장 투쟁과 독립운동

러일전쟁 이후 최재형은 일본의 침략 야욕을 간파하고 항일 투쟁에 투신하였다. 1908년, 그는 최초의 독립운동 단체인 동의회를 조직하여 총장으로 활동하였다.[1] 동의회는 의병들의 무장을 지원하고 러시아 국경의 일본군 초소를 공격하는 등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 당시 일본군은 전사자가 40여 명에 달했으나, 의병들은 부상자가 불과 4명이었다.

최재형은 안중근 의사의 독립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안중근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할 수 있도록 자금과 정보를 제공하고, 거사 후 러시아 법정에서 재판받을 수 있도록 변호사를 준비하는 등 다방면으로 도왔다.[1] 그러나 안중근이 1910년 일본 법정의 불법 재판 끝에 순국하자, 최재형은 자신이 안중근을 지켜주지 못했다고 자책하며 그의 가족들을 보호하였다.

최재형은 대동공보를 인수하여 항일 의식을 고취하고, 권업회를 창설하여 독립운동을 이어갔다.[1]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후에는 재무총장에 선임되었으나, 현지에 남아 독립운동을 계속하였다.[1]

2. 4. 순국과 유산

Цой Петр Семёнович|최표트르세묘노비치ru1920년 연해주에 침입한 일본군에 체포되어 탈출을 시도하다 총살당했다.[1] 향년 61세였다. 일본 헌병대가 시신을 수습하지 않아 그의 유해는 현재까지 찾지 못하고 있으며, 국립서울현충원에 가묘가 조성되어 있다.[1] 1970년 현충원에 묘소가 조성되었지만, 후손 문제로 안장지 자리가 비워지고 위패만 안치되어 있었다. 이후 2023년 부인의 유해가 대한민국으로 송환되면서 국립서울현충원에 합장되었다.[5]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여 그의 공훈을 기리고 있다.[1]

3. 사후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최재형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1]

3. 1. 기념 사업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1] 우수리스크에 있는 최재형의 유럽풍 벽돌집은 러시아인에게 넘어갔었으나, 2014년 러시아 한인 이주 15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정부가 매입했다.[1] 이후 대한민국 보훈처가 10억을 들여 <최재형기념관>으로 리모델링하여 2019년 3월 28일에 개관했다.[1]

3. 2. 평가

최재형은 군수업으로 쌓은 막대한 재산을 독립운동에 헌납하고, 연해주로 이주한 동포와 무장 의병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하여 노블레스 오블리주를 실천한 인물로 평가받는다.[1] 그는 학교 건설 및 장학금 지급, 군자금 제공을 통해 동포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헌신하였다. 또한 독립운동 단체 "동의회"를 조직하고, 1919년에는 의병 조직 "독립단"을 조직하는 등 무장 독립 투쟁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1] 안중근도 최재형의 집에 머물며 사격술을 연마하는 등, 최재형은 독립운동가들의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하였다.[1]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재무총장을 역임하기도 했다.[1]

4. 가족

최재형은 부인 옐레나 페트로브나와의 사이에 4남 7녀를 두었다. 후손들은 러시아와 대한민국 등지에 거주하고 있다.[1]

구분내용
배우자옐레나 페트로브나 (1880년 ~ 1952년)
장남페트로비치 (최운학, 생년 미상 ~ 전사)
차남파벨 페트로비치 (최선학, 1900년 ~ 1935년)
손자파벨 파블로비치 (1949년 ~ 생존)
3남발렌틴 페트로비치 (1908년 ~ 1992년)
손자최 발렌틴 발렌티노비치 (1937년 ~ 2020년 2월 14일)
증손자표트르 발렌티노비치 최
4남비켄티 페트로비치 (1914년 ~ 1964년)
장녀베라 페트로브나
차녀나제즈다 페트로브나 (1888년 ~ 1972년)
3녀류보비 페트로브나 (1898년 ~ ?)
4녀소피야 페트로브나 (1902년 ~ ?)
5녀올가 페트로브나 (1905년 ~ 2001년)
6녀류드밀라 페트로브나 (1910년 ~ ?)
7녀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 (1912년 ~ ?)


5. 관련 작품

2009년 초연된 뮤지컬 《영웅》과 2017년 초연된 뮤지컬 《페치카》에서 최재형의 삶과 독립운동을 다루고 있다. 2024년 2월 8일 발매된 닌텐도 스위치용 게임 《MazM: 페치카》는 최재형을 소재로 하고 있다.

5. 1. 뮤지컬

2009년 초연된 뮤지컬 《영웅》과 2017년 초연된 뮤지컬 《페치카》에서 최재형의 삶과 독립운동을 다루고 있다. 뮤지컬 《영웅》에서는 박해수, 장기용이 최재형 역을 연기하였고, 뮤지컬 《페치카》에서는 주셰페 김이 최재형 역을 맡았다.

2024년 2월 8일 발매된 닌텐도 스위치용 게임 《MazM: 페치카》는 최재형을 소재로 하고 있다.

5. 2. 게임

닌텐도 스위치용 게임 《MazM: 페치카》는 최재형을 소재로 하고 있다.

참조

[1] 뉴스 ロシア沿海州に抗日独立運動の「大御所」崔在亨先生の記念碑を建立 https://www.donga.co[...] 東亜日報 2019-08-13
[2] 웹사이트 「MazM:ペチカ」がSwitchで2月8日にリリース!韓国の熾烈な独立運動の歴史を体験するアドベンチャーゲーム https://www.gamer.ne[...] イクセル 2024-01-26
[3] 문서 1858년 1월 20일
[4] 웹인용 "[박종인의 땅의 歷史] '내 나라여 영원하라'" https://www.chosun.c[...] 조선일보 2023-03-23
[5] 뉴스 '연해주 독립운동 대부' 최재형 선생, 현충원서 부인과 합장…순국 103년 만에 부부 해후 https://www.megaecon[...] 메가경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